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가로변 가설시설물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서주환(Suh, Joohwan),황지희(Hwang, Jihe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도시학자 제이콥스(Jane Jacob)에 의하면 ‘도시의 거리가 재미있어 보이면, 그 도시도 재미있게 보인다.’라고 하였다. 즉, ‘가로 공간’의 경관이 실질적으로 도시의 이미지 전체를 형성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가로 공간’은 도시의 경제적 · 기능적 측면이 부각됨에 따라 상업기능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업시설물인 가설시설물들은 가로 공간 내에 입지가 확산되고, 가로경관 및 도시환경 전체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설시설물’을 대상으로 가설시설물의 주·야간 시각적 및 경관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즉, 가설시설물의 주·야간 경관의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도, 경관이미지 인자와 시각적 선호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가설시설물로 인해 가로의 경관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간 부정적으로만 인식되어 온 가설시설물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조화롭고 특색 있는 가로공간으로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Jane Jacob, urbanologist, if the streets of the city seem to be fun, the city also seems to be fun. That is to say, Landscape is the principal factor which form the image of the entire city. Shedding a new light on economic and functional aspect of the city, the commercial function of the streets is becoming more vitalized.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street vendors grows more and more, which impacts on landscape and the environment of a c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landscape and visual characteristic of the street vendors, especially comparing day and night. I did comparativ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landscape variables and visual preference at different time - day and night - in this study. This study will make people reconsider street vendors which were looked at negatively and give us indexes for redesigning street with harmony and character.

      • 농촌공공공간 및 공공시설 디자인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적지선정 개선방안 연구

        서주환(Suh, Joohwan),최유나(Choi, Yoona),김진오(Kim, Jinoh)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농촌사회 구조의 변화와 지역의 지속적 복지요구 증대에 따른 개발 시 입지문제로 인한 경제적 비효율성, 접근성 문제, 환경오염, 민원발생, 에너지 낭비, 경관훼손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입지 문제가 농촌 공공공간 및 공공시설 디자인의 효과와 창의성을 근본적으로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공공공간 및 공공시설의 배치 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을 기능적, 환경적, 경관적 측면에서 검토, 분류하고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설문을 통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에 대한 6개의 평가항목과 32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각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AHP를 통해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초생활시설에는 시설 원래목적에 부합하는 이용 여부, 문화복지시설에는 주거지역과의 인접도, 농촌관광시설에는 인근 토지용도와의 부합성, 소득시설에는 도로와의 인접도, 경관정비시설에는 시설 원래 목적에 부합하는 이용 여부가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입지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공간과 차별화되는 농촌지역의 공공공간 및 공공시설 입지적정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입지적정성에 대한 효과적 검토는 궁극적으로 농촌의 공간 및 시설 디자인의 기능성과 이용성을 증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change of rural society and increasing demand of public welfare, unsuitable location of rural public space and facility has caused economic inefficiency, accessibility, environmental pollution, local residents" claims, unsustainable energy use, and disturbance of visual landscape. This suitability problem eventually undermines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design for rural public space and facility. This study aims to derive useful indicators to assess suitability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in rural areas in terms of sustainable use and environment, as well as visual values. From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survey, we identified 6 assessment categories and 32 indicato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indicators were evaluated by 15 experts in the fields of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After the evaluation, we applied AHP to assess relative weights of those indicators. The result indicates that for the infrastructure facilities, active use that meets the intended purpose received the highest weight. Distance from residential areas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r the facilities of culture and social wellfare, while harmony with adjacent land uses was ranked the most important for rural tourism facilities. For the facilities associated with income promotion, distance from road was assessed with highest priority, while effective use that meets the intended purpose was rank the most important for the landscape facilities. We expect that these indicators will be useful for promoting suitability of a variety of public space and facilities in rural areas, and for elevating ultimate effectiveness of creative design.

      • 자전거도로 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IPA분석

        서주환(Suh, Joohwan),정예슬(Jeong, Yese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국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 방향으로 저탄소 녹색 성장이 새로운 화두로 제시되면서 친환경적인 녹색교통 수단인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노력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전거 이용자의 편의와 이용만족을 위하여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서비스 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이용이 활발한 남한강 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하여, 자전거 도로 이용 시 중요시 여기는 속성과 그 속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우선적으로 개선을 요구하는 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전거도로 중요도-만족도 차이 검증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만족도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게 타나났다. 자전거도로 만족요인은 편리성, 주행성, 연계성, 경관성 4가지로 구분되었고, 경관성이 자전거도로 전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도로 전체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재방문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전거도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전거도로 주행 안전성 확보, 자전거도로 테마 구축, 자전거도로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 "Low-carbon, Green growth Campaign" for the method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presented as a new topic, and efforts for activation of using bicycle as eco-friendly green transportation are achieving vividly. the quality of realistic and practical service is needed for users"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surveyed bicycle lanes at Nan-han river where using bicycle is vivid and the important attributes for using bicycle lane and satisfaction about those, and eliciting first improvement requirements by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inally proposed activation of using bicycle based on the analysis. In comparison of two factors, the factor of importance is higher than that of satisfaction in every items. The factor of satisfaction about bicycle lanes are convenience, trafficability, connection and visual quality which is most effective factor. It also tells that the more satisfaction bicycle lanes provide, the more positive effects to revisitation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it needs to prepare the ensuring safety of bicycle lanes, construction of theme on bicycle lanes, reinforcement of connection between bicycle lanes.

      • 농촌 경관향상을 위한 마을회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서주환(Suh, Joohwan),김민철(Kim, Minchul),김진표(Kim, Jinpyo),황지희(Hwang, Jihe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최근 ‘농촌’이 새로운 지역개발의 중심지로서 농촌의 역할과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문화의 흔적을 담은 역사자원이자 자연과 문화의 자원이 되는 농촌경관의 형성과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농촌의 경관은 무분별한 외장색채의 사용 등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의 색채 부조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의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농촌만의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큰 영향을 주는 ‘색채’의 분석을 통해 농촌지역에서 주된 인위적 시각 구성요소인 공공시설 중 마을회관의 외장색채에 대한 색채현황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농촌지역 마을회관의 건축물 입면의 색채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I.R.I 색채감성척도를 통해 경관의 이미지를 색채로 도출하여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적이며 인공적인 색채의 경향이 농촌의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나 일반 기능위주의 도시환경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농촌경관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동시에 농촌의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이 내재된 특색 있는 농촌경관 색채 환경을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rural areas’ have been engaging public attention for their roles and values as the hub of the new local development.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andscapes of the rural areas, until now, the exterior colors have been used only thoughtlessly.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analyzed ‘colors’, and there, the colors have been forming various visual images of the rural areas.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es and images of the exterior colors of community center, these public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in the rural areas as the most popular artificial visual component. All the rural area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es and features of the facades of the community center. In addition, through I.R.I color sensibility scale, the study converted the landscape images into the colors, and analyzed the images of the target are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not only for the study has provided any relevant fields with a chance to have new understanding on the rural landscapes but also for it presents ideas about how to repair the color environments of the rural landscapes.

      • 농촌어메니티 관점에서 지역브랜드의 감성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서주환(Suh, Joohwan),이지은(E, Jeee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약 20여년간 농촌지역 개발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농촌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디자인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이에 농촌어메니티 관점의 분류 방법에 개념의 구조화를 중심으로 감성디자인 접근방법을 접목하여 디자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기호적 감성디자인 접근방법은 개념적인 감성구조로 내면의 가치를 외면으로 객관화해 가시화하는 구조이므로, 농촌 어메니티 자원유형 중 자연자원형과 비슷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각화로 잘 나타내어지지 않는 자연요소를 디자인화할 때 적용함이 용이 할 것이고, 은유적 감성디자인 접근방법은 실제 보여지는 형태의 특징에 가치를 함축적으로 추출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므로 농촌어메니티 자원유형 중 문화자원형의 분류요소들이 주로 형태적 특징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은유적 감성디자인의 접근방법으로 디자인요소를 활용하기 적합할 것이며, 경험적 감성디자인 접근방법은 디자인하려는 대상의 축적된 관념과 행동을 디자인 구조에 반영하는 방법이므로 농촌어메니티 자원유형 중 가장 인위적이고 인공적인 요소가 다수 포함된 사회자원형의 요소들을 디자인에 활용할 때 적용가능하다고 제안할 수 있다. 이렇게 접목된 방법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의 단호박마을 브랜드 로고를 사회자원형의 요소에 경험적 감성디자인 접근방법으로 디자인 하였다. 실제 사례결과가 다분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작업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객관성이 떨어지고, 본 연구에 예외적인 부분이 다소 있지만 농촌지역 개발에 적용되는 디자인이 농촌이라는 지역적 감성을 겸비하고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 지역적 감성에 맞는 지역개발디자인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라고 판단된다. Approximately 20 years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has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fields. But the design fits the rural areas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udy is still incomplete. Combines emotional design approach centered on the concept of structured classification of rural amenity perspective on how this research was the design plans. To objectify the value of the inner structure of the elements of nature when designing good symbol of emotional design. Difficult to visualize a structure similar to the natural resource type and design elements when good. Experiential emotional design approach is a way that reflects the thoughts and actions of the target good when artificial elements design elements of many moderators circular. Pumpkin village, Gangwon Hongcheon County streams if the brand logo design practices. Proposed design combines the sensibilities of the rural exception, but in this study, the design should be. Research design shall be appropriate to local sensibilities.

      • 가로수의 디자인 유형에 따른 시각적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서주환(Suh, Joohwan),유현정(Yeu, Hyunj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29 No.-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가로경관 향상을 위해 가로수 디자인 유형의 기준을 설정하여 도시민이 선호하는 가로 녹화유형과 경관이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지로는 일반적이며 보편적인 서울의 도시간선도로인 테헤란로를 대상으로 3D시뮬레이션 모형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민들은 크고 넓은 나무가 주는 청량감과 충분한 녹량을 느낄 수 있는 2열 교목식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 1열 교목식재의 하부에 지피를 식재한 녹화유형을 선호하였다. 1열과 2열 교목식재의 하부에 관목, 화분대, 중앙화단을 설치한 가로는 많은 식재의 양으로 인해 도시민들은 좁고 폐쇄적인 가로경관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고층의 빌딩으로 둘러싸인 도심의 가로에서 과한 식재는 도시민들이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측의 가로수와 함께 도시 가로경관을 향상시키는 중앙분리대 녹화 경우 관목과 지피로 구성된 녹화유형이 개방적이며 안정적인 가로경관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는 보도 녹화와 동일하게 녹량을 적절하게 하여 시각적으로 개방감을 줄 수 있는 낮은 관목식재를 도시민들은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로공간 조성 시 가로의 매력적인 요소 활용, 가로의 아름다움 향상, 가로공간의 개방감 증대 순으로 고려하여 가로를 이용하는 도시민에게 흥미롭고 활기찬 가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로수 2열 교목 식재와 중앙분리대의 설치는 도시경관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너무 과한 식재는 도시간선도로에서는 지양한다. 향후 다양한 가로유형별 가로녹화 조성에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oday, street tress as a major axis of urban green perform aesthetic and ecological functions such as providing leafy shade to citizens. A 3D simulation model of Tehran Street which is one of main roads in Seoul. The results showed citizens preferred 2-row tall tree planting because they could feel sufficient freshness and green volume of tall and wide trees, followed by 1-row tall tree planting with ground cover on the ground. Streets with 1-row and 2-row tall tree planting and with shrubs, flower bed and central flower bed on the ground provided the image of narrow and closed streetcape due to the large amount of planting. Excessive planting on the streets in central city surrounded by high-rise buildings are not preferred by citizens. In the case of a median strip that improves urban streetcape together with roadside street trees, the greening by shrubs and ground cover provided the open and stable image of streetcape. In other words, low shrubs that had visual openness adjusting green volume to roadside greening was preferred by citizens. Thus, 2-row tall tree planting and the installation of a median strip will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landscape. Yet excessive planting for the main roads in cities shall be avoided. Further studies on street type-specific greening are required.

      • 대학교 캠퍼스 디자인의 IPA분석에 관한 연구

        서주환(Suh, Joohwan),최유나(Choi, Yoona)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29 No.-

        현대사회가 세계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지식기반 사회로 전환되고, 그로 인한 국제교류도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 한국에서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학생이 점점 많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유학생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에 사회적 흐름에 발맞춰 국제적인 접근을 통한 캠퍼스 디자인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캠퍼스 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조성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하는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고 국제캠퍼스 공간디자인의 국제적인 접근을 위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결과의 활용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현황조사, 설문조사와 통계분석, 자료 분석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11개의 항목에서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변과의 조화, 야간조명, 공간의 연결성, 건축물 형태, 건축물의 미적요소는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는 낮은 항목으로 집중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항목임을 알 수 있다. 캠퍼스 조성 시 고려 또는 개선되어야 하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계획의 기준설정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modern society, globalization and the advances i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hanged society to revolve around knowledge, and accordingly international exchange has developed rapidly. Nowadays, it is not only common to see Koreans studying abroad in foreign countries, but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study in Korea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flow of changes in society, there must be changes in the campus design through an international approa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actical data to take a global approach on the area design of domestic campuses, and in doing so raise the applicability of this study. In order to do this, foreign students attending the global campus of Kyung Hee University were surveyed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ampus, and also on matters to consider in the development of the campus. This study was don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present-condition investigation, survey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materi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of 11 items, as well as presented the need for a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plan. It is especially apparent that there is a need for higher maintenance of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areas, night lighting, connectivity between areas, shape of buildings, and the aesthetic elements of buildings, as these items were said to have a high level of importance, but offer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practical data for consideration and plans for development when construction campuses.

      • KCI등재후보

        도심부 자전거도로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송파구 자전거 전용도로를 중심으로

        서주환(Suh Joohwan),김도훈(Kim Doh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최근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대체 교통수단의 필요성과 환경오염의 저감을 위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녹색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이용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이 비교적 활발하며 자전거 특별구로 선정되어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모범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송파구의 자전거도로 중 도로다이어트 방식을 이용하여 조성된 자전거 전용도로를 대상지로 하여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전거도로 이용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자전거도로의 개념 선행연구 자전거도로 여건에 관한 현황에 대한 검토를 하여 자전거도로 이용환경에 대해 검토하였고 자전거도로의 이용환경에 따른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의해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자들의 일반속성과 이용실태를 파악하였고 이용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력이 높은 요인을 파악하여 이용환경 요인에 대한 전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he bicycle use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green transportation encourages for necessity of alternative transportation and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the world crude oil prices increase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vitalization of the bicycle use as understanding the satisfaction rate about the environment of the bike paths by searching bike path which is using a road diet method in Songpagu of Seoul.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bike paths precedent study present condition related with data of the bike paths and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bike paths. Also we surveyed satisfaction rate as the environment of bike paths. Through this survey we understood general propertie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users. Also we understood the effective factors about satisfaction rate in bike paths by implementing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n we implemented correlation analysis about overall satisfaction rate.

      • KCI등재후보

        도시경관의 시지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성 분석 : 서울특별시 우수조망명소를 중심으로

        서주환(Suh Joohwan),박선영(Park Suny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경관이 도시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요인이라는 인식이 일반화되면서 경관은 도시 경쟁력을 결정짓는 주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도시의 요소 하나하나가 도시의 첫인상을 결정하며 도시의 첫인상은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말한다. 현재까지 경관을 평가하는 방법은 주로 심리적 평가의 언어적인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설문평가 등에서 도출된 결과에 대한 연구자의 자의적 판단에 근거를 두어 즉 절대적인 기준이 없는 판단과 경험에 좌우하여 자료를 해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심리적 평가와 함께 피험자 실험을 통하여 피험자의 시각적 반응을 직접 관찰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는 경관을 바라보는 시지각 특성과 심리적 인지 특성이 경관의 인지과정에서 상호 긴밀한 관련성을 갖고 이들은 인지에 의한 반응으로서 결국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 아래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는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선정한 우수조망명소 13개소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안구운동추적을 통하여 시선의 이동 궤적과 주시점의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경관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수단 이상의 어떤 측면이 앞으로는 연구되어야 할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일면 오늘날 현상에 적용되고 실행될 수 있는 모색이 있어야 함을 말하며 이를 위하여 안구운동 추적의 결과를 적용하고 실제 연구적 접근과 같은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A scenery has become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a city as the perception of regarding scenery as the determining factor on the first impression of a city has become generalized. Each element of a city determines its first impression and the first impres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n image of a city. Mostly a linguistic method of psychological evaluation is being used to evaluate scenery thus far. However some errors occur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materializing this. Therefore along with a method of experiment a way to directly observe the visual responses of testee and applying them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cognition in observing landscape have a mutually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the cognition process of scenery and that they ultimately affect the visual preference as responses to the cognition. Thirteen spots with a beautiful view designated by Seoul City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irst an analysis of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ye movement path and the gazing point characteristics through eye movement pursuit. Afterwards the visual preference of scenery image were examined by conducting a survey. A series of analytical proces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cognition should be seen not as separate results but one integrated analytical process and the pursuit of eye movement could provide a more persuasive basis on the result of psychologica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