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順菴 安鼎福의 〈天學設問〉과 〈天學考〉·〈天學問答〉에 관한 연구

        서종태(Seo, Jong-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3 敎會史硏究 Vol.0 No.41

        안정복은 〈천학설문〉을 1784년 겨울 동안인 11월 14일 이전의 초겨울에 저술하였다. 그러나 1784년 겨울부터 성호학파의 소장학자들이 천주교에 휩쓸리는 경향이 갈수록 더욱 심해짐에 따라 이를 막기 위하여 〈천학설문〉을 보다 체계적인 〈천학고〉와 〈천학혹문〉으로 개편하여 1785년 3월에 그 초고본을 완성하고 그해 12월에 그것을 수정 보완한 수정본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천학혹문〉의 제목을 바꾸는 것이 좋겠다는 남한조의 지적에 따라 1790년에서 1791년 7월 20일 사이에 그 제목을 〈天學問答〉으로 바꾸었다.〈천학설문〉은 안정복이 아직 천주교를 수용하지 않은 온건한 소장학자인 沈?의 천주교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가 천주교에 휩쓸리는 것을 막고자 저술하여 준 것이다. 또한 〈천학설문〉은 안정복의 제자인 권진도 필사해 갔는데, 스승을 도와 천주교가 성호학파의 소장학자들에게 널리 전파되는 것을 막는 하나의 지침서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권진의 경우로 보아 〈천학설문〉이나 이를 개편하여 저술한 〈천학고〉와 〈천학혹문〉(또는 〈천학문답〉)은 성호학파의 온건한 소장학자들에게 널리 전해져 천주교를 배척하는 지침서로 활용되었음을 미루어 알 수 있다. 한편 〈천학고〉와 〈천학혹문〉은 안정복의 문하에 드나들었던 남한조, 신치봉, 정종로, 이천섭 등에 의해 영남 지역에도 전해졌다. 특히 이상정의 제자인 남한조는 〈천학혹문〉을 보고 천주교를 배척한 〈안순암천학혹문변의〉를 저술하였고, 역시 이상정의 제자인 신체인은 안정복의 〈천학설문〉, 이헌경의 〈천학문답〉, 조술도의 〈운교문답〉을 보고 천주교를 배척한 〈천학종지도변〉을 저술하였다. 이로써 보아 안정복의 〈천학설문〉이나 〈천학고〉와 〈천학혹문〉은 영남의 유학자들이 邪學인 천주교를 배척하고 正學인 性理學을 수호하는 闢衛思想을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Bubugo(覆?稿) authored by Ahn Jeong-b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s his works on Catholicism : Cheonhakseolmun, Cheonhakgo and Cheonhakhokmun(天學或問). Cheonhakseolmun differentiated from Cheonhakgo or Cheonhakhokmun is rough and disorganized in content and contains excerpts from Cheonhakgo which describes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China and Korea and Cheonhakhokmun which presents a theoretical critique of Catholicism. This suggests that Cheonhakseolmun was written before the division between Cheonhakgo and Cheonhakhokmun. Ahn Jeong-bok authored Cheonhakseolmun during the winter of 1784 but before November 14 of the year. However, as young scholars of the Seongho Hakpa(星湖學派) had been getting swept away by Catholicism since the winter of 1784, Ahn reorganized Cheonhakseolmun into two more systematic versions, Cheonhakgo and Cheonhakhokmun, for prevention of such tendencies. He completed a draft of the work in March 1785 and its revised version in December of the same year. Cheonhakhokmun was retitled “Cheonhakmundap” between 1790 and July 20 of 1971, on the suggestion of Nam Han-jo(南漢朝) that the title should be changed. In response to questions about Catholicism from middle-of-the-road young scholar Sim Yu(沈?) who did not accept the religion yet, Ahn wrote Cheonhakseolmun for Sim in order to prevent him from being swept away by Catholicism. Furthermore, the book was transcribed by Kwon Jin(權), a disciple of Ahn Jeong-bok, who intended to use as a guide to stop Catholicism from spreading young scholars of the Seongho Hakpa. From the case of Kwon, it can be argued that Cheonhakseolmun and its rewritten versions, Cheonhakgo and Cheonhakhokmun, were widely distributed to young moderates of the school and used as guides against Catholicism. Meanwhile, Cheonhakgo and Cheonhakhokmun were also introduced to the Yeongnam(嶺南) region by Ahn’s followers including Nam Han-jo, Shin Chi-bong(申致鳳), Jeong Jong-ro(鄭宗魯) and Yi Cheon-seop(李天燮). Among others, Nam Han-jo who was a disciple of Yi Sang-jeong(李象靖) warned against Catholicism in Ahn Sunam Cheonhakhokmun-byeongui(安順菴天學或問辨疑) he authored after reading Cheonhakhokmun and Shin Che-in(申體仁) who also was a disciple of Yi Sang-jeong criticized Catholicism in Cheonhak-jongjidobyeon(天學宗旨圖辨) he wrote after reading Ahn Jeong-bok’s Cheonhakseolmun, Yi Heon-gyeong(李獻慶)’s Cheonhakmundap and Cho Sul-do(趙述道)’s Ungyomundap(雲橋問答).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Ahan’s Cheonhakseolmun, Cheonhakgo and Cheonhakhokmun greatly influenced the Confucian scholars in Yeongnam in forming byeokwi-sasang(闢衛思想), i.e., an idea that rejects Catholicism as “deviant learning” and upholds Confucianism as “correct learning”.

      • KCI등재

        1845년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에 관한 연구

        서종태 ( Seo Jong Tae ),변주승 ( Byeon Ju Seoung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7 No.-

        본 논문은 한국천주교회사나 지역사의 입장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1845년 페레올((Ferreol) 주교·다블뤼(Daveluy) 신부·김대건(안드레아)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우선 함께 입국했던 선교사들은 그들의 상륙 장소를 `강경 항구` 또는 `강경 포구에서 좀 떨어진 외딴 곳`으로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1874년 달레는 상륙 장소를 강경 포구로 이해하는 강경포설을 제기했다. 그러나 기해·병오 순교자 시복 재판 때 최선정(베드로)이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를 `강경 황산동네`로 증언한 기록을 토대로 1934년 피숑(Pichon) 신부는 상륙 장소를 강경포가 아니라 황산포로 이해하는 황산포설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황산포설은 상륙 장소를 `화산`으로 밝힌 나바위 본당의 기록을 자료로 활용하지 않은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한편 1882년 처음 형성된 나바위 공소 신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1953년 김후상 신부는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를 `화산`으로 밝혀 화산설을 제기했다. 그러나 나바위 본당의 기록에는 상륙 장소를 `강경포`나 `황산포`로 밝힌 부분도 있다. 하지만 그는 상륙 장소를 `강경 황산포 화산`으로 분명히 밝혔다. 그러므로 나바위 신앙 공동체의 기록에서 상륙 장소를 강경포로도 황산포로도 화산으로도 언급한 것은 상륙 장소인 `강경 황산포 화산`을 지명도에 따라 각기 다른 단위로 표현한 것으로서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따라서 김대건 신부 일행의 상륙 장소는 화산으로 보는 것이 옳다. 그리고 상륙 장소의 조건을 고려할 때 화산 중에서도 나암포 쪽이나 황산포 쪽에서도 보이지 않는 금강 쪽으로 쑥 내민 서쪽 자락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systemically investigated the disembarkation location of Bishop Ferreol, Fr. Daveluy and Fr. Andrew Kim Tae-gon(金大建) in 1845, which has a great historic significance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nd the local history. First of all, the missionaries who accompanied Fr. Andrew to Korea revealed that they disembarked at Ganggyeong(江景) Port or a remote place away from an entrance to Gyanggyeong Port. Based on the statement, Dallet suggested the theory of Gyanggyeong Port that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at Ganggyeong Port. However, St. Peter Choi Seon-Jeong(최선정) testified that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at Hwangsan(黃山) village in Ganggyeong in the beatification trial on the martyrs under persecution in the years of Gihae(己亥, 1839) and Byeongoh(丙午, 1846). Based on the testimony, Fr. Pichon proposed the theory of Hwangsan(華山) that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Hwangsan Port rather than Ganggyeong Port.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the theory of Hwangsan since it did not consider the records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which mentioned that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Hwasan. Meanwhile, Fr. Kim Hoo-sang suggested the theory of Hwasan in 1953 that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at Hwasan,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that was founded in 1882. However, some of the records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mentioned that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Ganggyeong Port or Hwangsan Port. However, he clearly revealed Hwasan of Hwangsan Port in Ganggyeong as the disembarkation location. Therefore, the terms `Ganggyeong Port`, `Hwangsan Port` or `Hwasan` in the records of the Nabawi Catholic Community we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since the disembarkation location was expressed in different units depending on the well-knownness of the area. Therefore, it is right to consider Hwasan as the location at which Fr. Andrew and his party disembarked. Given the conditions for disembark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xact location was on the western edge of Hwasan towards Geumgang River that was hardly seen from the side of Naam Port(羅巖浦) or Hwangsan Port(黃山浦). (Jeonju Universty Dept. of History and Culture Contens, seojong21@hanmail.net) (Jeonju Universty Dept. of History and Culture Contens, solyong2@hanmail.net)

      • KCI등재

        생체모방 발 메커니즘의 모델링 및 해석

        서종태,이병주,Seo, Jong-Tae,Yi, Byung-Ju 한국생산제조학회 2009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5 No.1

        In these days, biomimetic apprioach in the design and control of robotic system has drawn much attention. The human-being and mammals possess their own feet. Using the mobility of their feet, they are able to walk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plain land, desert, swamp, and so on. Previously developed biped robots and four-legged robots did not employ such adaptable foot. In this work, a biomimetic foot mechanism is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the foot structure of the human-being. This foot mechanism consists of a toe, an ankle, a heel, and some springs replacing the foot muscles and tendons. Using five toes and springs, this foot can adapt to various environments. A mathematical modeling for this foot mechanism was perform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 KCI등재

        徐有榘의 『林園經濟志』에 실려 있는 「팔도 물산」에 대한 연구

        서종태(Seo Jong T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3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의 마지막 편인 「예규지」에 「팔도 물산」이 실려 있다. 이 「팔도 물산」은 총론과 각 도의 토산물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팔도의 토산물을 도별로 총괄해 서술한 총론은 이익의 『성호사설』에 실려 있는 「생재(生財)」의 일부를 인용한 것으로, 그 말미에 『성호사설』이 인용서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총론은 서유구의 저술이 아니라 편찬물이다. 고을들의 토산물을 도별로 구분하여 서술한 각 도의 토산물 자료의 말미에는 『여지도서』가 인용서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팔도 물산」의 토산물 중 『여지도서』의 토산물과 중복되는 비율은 66.5%이고, 새로 추가된 비율은 34.0%이다. 이로써 보아 「팔도 물산」의 토산물은 『여지도서』의 토산물과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팔도 물산」의 토산물 자료는 서유구가 『여지도서』의 토산물을 참고하여 새롭게 저술한 것이다. 서유구가 「팔도 물산」의 토산물 자료를 저술한 목적은 지방의 장시를 중심으로 상업 활동에 종사하는 사대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이 토산물 자료에는 19세기 초엽 당시 지방의 장시에서 유통되던 총 330개 고을의 주요 토산물이 수록되어 있다. “Yegyu-Ji(倪圭志)”, the last chapter of The Encyclopedia of Rural Life(林園經濟志) written by Seo Yoo-gu(徐有榘), includes the section ‘Paldo-Moolsan’(八道物産: Products of the Whole Nation). ‘Paldo-Moolsan’ consists of the General Outline and information on local products of 8 Provinces of the Joseon Dynasty. The General Outline that summarizes the local products of 8 Provinces cites part of “Saeng-Jae”(生財: Increasing Wealth), a chapter of Seongho-Saseol(星湖僿說) authored by Yi Ik(李瀷). At the end of the General Outline Seongho-Saseol is cited as the source of information. The General Outline, therefore, is not a section originally written by Seo Yoo-goo, but a compilation. Yeo-Ji-Do-Seo(輿地圖書) is cited as the source at the end of information on the local products of each province, which describes the products of villages in different provinces. However, of the local products listed in ‘Paldo-Moolsan’, 66.0% overlap with those listed in Yeo-Ji-Do-Seo; and 34% are new additions. This confirms that the local products described in ‘Paldo-Moolsan’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oducts described in Yeo-Ji-Do-Seo. Therefore, the local products data recorded in ‘Paldo-Moolsan’ is a new contribution written by Seo Yoo-goo, after consulting the local products recorded in Yeo-Ji-Do-Seo. Seo Yoo-goo compiled the data of local products in ‘Paldo-Moolsan’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gentry classes who were engaged in commercial activities around regional markets. The local products data lists the main products of 330 villages throughout the country that were being distributed in the local markets during the early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輿地圖書』의 物産 조항 연구

        徐鍾泰(Seo Jong-tae)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에 수록되어 있는 토산물의 종류는 고을별로는 물론이고 도별로도 차이가 있다. 또한 각 고을의 물산 조항에 당시 생산되지 않는 토산물이 수록되어 있는 실상이나 물산 조항의 토산물에 산지 등이 밝혀져 있는 실상, 그리고 토산물을 기록하는 방식도 도별로 차이가 있다.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조항과 비교해본 결과 상당히 큰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전국적으로 볼 때, 『여지도서』 물산 조항의 토산물 76%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물과 겹치지만, 그 가운데의 6%에는 당시 생산되지 않는다는 표기가 붙어 있고, 24%는 새로 추가된 토산물이기 때문에, 이 물을 합친 30%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없는 새로운 내용이다. 토산물의 산지 등의 표기에서도 『여지도서』 물산 조항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적지 않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에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없는 각종 해산물, 약재, 과일, 조류, 짐승, 야채 등의 새로운 토산물이 상당히 많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은 대동법 실시 이후에 중앙정부에서 진상 물자를 책정하여 궁중에 상납하게 할 때, 그 책정 기준으로 삼았던 토산물의 자료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조항과 자료적 성격이 많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The kinds of local produce found in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Map and Geography of Korea) vary among districts as well as provinces. These provisions show where each of local products was produced and contain other local products that were not then produced, and they also take different ways of keeping records of such local products, according to producing provinces.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 appear to b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provisions concerning local produce in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Shinjeung tongguk y?ji s?ngnam). In terms of the whole country, 76% of the local products found in y?ji doseo are covered by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but in fact 30% of them are new things not contained in the latter book, since the former makes sure that 6% were not produced at that time and 24 % were newly added. Also in indicating where local products are produced,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the two books. Those provisions of y?ji doseo contain a wide variety of new local products including marine products, herbs, fruit, birds, beasts, and vegetables, most of which are not found in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 are thought to have provided reference documentation for local produces, based on which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Uniform Land Tax Law(taedongp?p) the central government identified local specialties of each district or province and ordered it to offer them as tribute to the royal court. In this respect,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 are significantly distinguished from those of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regarding local produce.

      • KCI등재
      • 천주교의 자발적 수용과 내포 지역 성호학파의 역할

        서종태(Jong-Tae Seo)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5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formation of the Seongho School in the Naeporegion and the role played by the school in the voluntary acceptance andspread of Catholicism in the region. The family of Seongho Lee Ik, whichis the Yeoju Lee clan, had repeatedly intermarried with the Yongin Lee clanliving in Byeollasan-ri, Gohyeonnae-myeon, Deoksan (currently Daecheon3-ri, Godeok-myeon, Yesan-gun) since Lee Ik’s ancestors’ time. Amongthem, his uncle Lee Myeong-jin, who married Lee Gap-jin’s daughter,moved to Jangcheon-ri, Gosan-myeon, Deoksan (currently Sangjang-ri,Godeok-myeon, Yesan-gun) in 1694 to become the first member of theYeoju Lee clan to enter Deoksan. Afterwards, the Yeoju Lee clan who settled in Jangcheon-ri went toCheomseong-ri, Gwangju (currently Ildong, Sangnok-gu, Ansan-si) tostudy, where Seongho Lee Ik was devoting himself to learning, and returnedto Jangcheon-ri to study and foster younger students. Lee Byeong-hyureturned to Jangcheon-ri in 1747 and Lee Cheol-hwan in 1762. In 1760,Hong Yu-han, a disciple of Seongho Lee Ik, moved to Hodong-ri, Yesan,near Jangcheon-ri. And from 1764 Lee Byeong-hyu played a leading rolein compiling the posthumous writings of Seongho Lee Ik, who had passedaway the year before, This led to Jangcheon-ri, Deoksan becoming a newbase for the Seongho School. In addition, following the teachings of Seongho, who emphasized self-realization, Lee Byeong-hyu encouraged young scholars to interpret scrip-tures in their own way. Accordingly, starting in 1761, talented youngscholars such as Lee Ki-yang, Kwon Cheol-sin, and Lee Byeok began tostudy under him. Hong Nak-min, who lived nearby, studied under HongYu-han and Lee Byeong-hyu. Hong Nak-gyo and Lee Jon-chang also studied under Hong Yu-han and Lee Ki-yang. As a result, Jangcheon-ri,Deoksan became a stronghold for scholars of the Seongho School whocriticized Neo-Confucianism and sought to overcome it through revalu-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Seongho, whoencouraged self-realization.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Seongho School in the Naepo region wasinherited by Kwon Cheol-sin, who was studying in Yanggeun, Gyeonggi-do, as Lee Byeong-hyu passed away in 1766 and Lee Ki-yang sought toenter the bureaucratic world. Young scholars such as including Lee Byeok,Hong Nak-min, Lee Jon-chang, and Lee Bang-eok became Kwon Cheol-sin’s disciples. Further, Kwon Il-sin, Jeong Yak-jeon, Kim Won-seong,Kwon Sang-hak, Kwon Sang-moon, Lee Yun-ha, and Yun Yu-il alsostudied under him. Lee Byeok, who studied under Lee Byeong-hyu andKwon Cheol-sin, interacted with the Bukhak School and explored Western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including books on Christianity. In 1783, hevoluntarily accepted Catholicism without being converted by a missionary,and together with Lee Seung-hoon, Jeong Yak-jeon, and Kwon Il-sin, hefounded the first Korean Catholic Church in Seoul in the winter of 1784. Subsequently, Catholicism spread widely to provincial areas, and Catholiccommunities were formed in areas such as Yanggeun, Gwangju, Yeoju,Pocheon, and Icheon in Gyeonggi-do, Naepo and Chungju in Chung-cheong-do, and Jeonju and Jinsan in Jeolla-do. The people who establish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took thelead in spreading Catholicism throughout Gyeonggi-do, Chungcheong-do,and Jeolla-do were those who inherited the academic tradition of LeeByeong-hyu, who led the Seongho School in the Naepo region. Therefore,Jangcheon-ri in Deoksan and Hodong-ri in Yesan in the Naepo region,where the Seongho School was active, can be regarded as the startingpoint of the voluntary acceptance and spread of Korean Catholicism. 이 논문은 내포 지역 성호학파의 형성 과정, 천주교의 자발적 수용과전파 과정에서 내포 지역 성호학파가 수행한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여주이씨인 성호 이익의 집안은 그의 선대에 덕산 고현내면 별라산리(현 예산군 고덕면 대천3리)에 사는 용인이씨와 거듭 통혼했다. 그중 이갑진의 딸과 혼인한 그의 숙부 이명진이 1694년에 덕산 고산면 장천리(현 예산군 고덕면 상장리)로 이주하여 여주이씨 덕산 입향조가 되었다. 이후 장천리에 장착한 여주이씨는 성호가 강학하던 광주 첨성리(현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가서 수학하고 장천리로 돌아와 학문을 연구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이병휴가 1747년에, 이철환이 1762년에 각각 장천리로 돌아왔고, 1760년에 성호의 문인 홍유한이 장천리에서 가까운 예산 호동리로 이주해 왔다. 그리고 1764년부터 이병휴가 전해에 타계한성호의 유고 정리를 주도하면서, 덕산 장천리는 성호학파의 새로운 거점이 되었다. 또한 이병휴가 자득을 중시하는 성호의 가르침에 따라 소장 학자들의 자주적인 경전 해석을 권장하자, 1761년부터 재주가 뛰어난 소장 학자들인 이기양, 권철신, 이벽 등이 그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을 닦았고, 인근에 사는 홍낙민도 홍유한과 이병휴의 문하에 드나들며 배웠고, 홍낙교와 이존창도 홍유한과 이기양 문하에 드나들며 공부했다. 그 결과 덕산 장천리는 자득을 권장한 성호의 가르침에 따라 경전을 자주적으로 해석하여 주자학을 비판·극복하고자 하는 성호학파 학자들의 본거지가 되었다. 이러한 내포 지역 성호학파의 학통은, 1766년 이병휴가 타계하고 이어 이기양이 관계 진출을 모색함에 따라, 경기도 양근에서 강학하던 권철신이 계승해 갔다. 이벽·홍낙민·이존창·이총억 등이 권철신 문하로 옮아갔고, 권일신·정약전·김원성·권상학·권상문·이윤하·윤유일 등이 그의 문하에 나아가 수학했다. 이렇게 이병휴와 권철신의 문하에서 수학한 이벽은 북학파와 교류하며 한문서학서를 탐구하다가 1783년에 선교사의 전도 없이 천주교를 자발적으로 수용하여 이승훈, 정약전, 권일신 등과 함께 1784년 겨울 서울에서 한국천주교회를 처음으로 설립했다. 이후 천주교는 지방으로도 널리 전파되어, 경기도의 양근·광주·여주·포천·이천 등의 지역, 충청도의 내포와 충주 등의 지역, 전라도의 전주와 진산 등의 지역에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이처럼 선교사의 전도 없이 한문서학서의 탐구를 통해 천주교를 자발적으로 수용하여 1784년 겨울에 서울에서 처음 한국천주교회를 설립하고, 이어 천주교를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각지로 전파하는 일을 주도한 사람들은 내포 지역 성호학파를 주도한 이병휴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들이었다. 그러므로 내포 지역 성호학파가 활동하던 덕산 장천리와 예산 호동리는 한국 천주교의 자발적 수용과 전파의 근원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서천지역 유생(儒生) 양재근(梁在根)의 천주교 입교와 선교 활동

        서종태 ( Seo Jong-ta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7

        본 논문은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儒生으로서 1901년 무렵 유학을 버리고 천주교에 입교한 뒤 月山公所의 초대 회장으로 활동하며 공소의 교세를 크게 성장시킨 梁在根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본관이 남원인 양재근의 家系는 17, 8세기 이후 서천군 화양면 월산리에 집단적으로 거주하였으며, 이후 그의 가계는 정치·사회적으로 몰락하여 鄕班으로 전락하고, 경제적으로 몰락하여 빈궁하게 되었다. 그러나 24世 유생 양재근이 유학에만 몰두하지 않고 실용적인 의술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 명의로 이름이 크게 나 다시 부유하게 되었다. 아울러 그는 1900년경에 평생 동안 자신이 천주교 신자임을 숨기고 몰래 신앙생활을 해 오던 어머니 김 바르바라의 유언을 받들어, 당시 향촌 사회에서 점차 권위를 잃어 가는 유학을 버리고 모두 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자매처럼 사랑하라고 가르치는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이어 1925년에 설립된 월산 공소의 회장으로 임명된 그는 주변 마을 사람들에게 복음을 널리 전파하면서 喪을 당한 가난한 교우들에게 장례비를 지원해 주고, 생계가 곤란한 교우들에게 먹고 살 방도를 마련해 주는 등 이웃 사랑을 실천하여 진정한 사랑의 공동체를 이룩하였다. 그 결과 교세가 크게 신장된 월산 공소는 1934년에 모범적인 공소로 교회의 잡지에 소개되었고, 1949년에 이르러서는 서천 지역에서 세 번째로 교세가 큰 공소로 성장하였다. 이로써 그는 향촌 사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물로 거듭나고, 그의 가계도 이전의 사회적 지위를 회복하게 되었다. This paper looked into Confucian scholar Yang Jae-geun in Seocheon, Chungcheongnam-do Province, who entered into Catholic after abandoning Confucianism in about 1901. Yang was the first president of Seocheon Wolsan Catholic Church (舒川月山公所), who expanded the congregation to a large extent. The Yang lineage (家系), originated from Namwon, had lived as a group in Wolsan-ri, Hwayang-myeon, Seocheon-gun, since the 17th and 18th centuries. Since then, his lineage turned into local elites (鄕班) as it politically and socially collapsed and became poor as it financially fell down. However, Confucian scholar Yang Jae-geun, aged 24, became better off again as he won a reputation as an excellent doctor by taking a deep interest into practical medical practice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ly on Confucianism. In addition, in pursuance of the will of his mother Barbara Kim, who hid herself as a Catholic and secretly led a religious life for the rest of her life, in about 1900 he entered into Catholic, which teaches to love people like brothers and sisters born from the same parents, after abandoning Confucianism that was losing its authority in the local society. After being appointed as the president of Wolsan Catholic Church that was founded in 1925, He spread the gospel to the neighbors and supported the poor congregation who were bereaved, and established a community of true love by practicing love of neighbor such as seeking the ways to survive for the congregation under the financial hardship. As a result, Wolsan Catholic Church, which expanded the congregation, was introduced by a Catholic magazine as an exemplary Catholic Church in 1934 and became one of the third largest Catholic churches in Seocheon in 1949. By doing so, he became one of the important figures who can bring influence to a certain extent in the local society, and his lineage restored its former social 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