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재 돌봄 사업의 전문화 방향

        서승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재 돌봄 사업의 운영 실태를 통해 운영의 문제점을 살 펴보고, 한계 극복을 통해 문화재 돌봄 사업의 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 다. 지난 2010년부터 3년간의 시범 사업을 통해 점차 확대된 돌봄 사업은 2013년 이후 빠르게 전국화 되어 성장하였으며, 전국적으로 정착화 되었다. 2014년도부 터는 시•도지정문화재까지 관리대상이 확대되어 대부분의 문화재가 문화재 돌봄 사업단의 관리 대상 문화재로 선정 되었으며, 문화재 돌봄 사업단의 전문화와 고 도화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재 돌봄 사업의 운영 한계를 총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 았다. 먼저, 문화재 돌봄 사업은 조직의 제도 및 인력 구성에서 그 한계를 찾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와 비효율적인 조직 운영 구성 등은 문화재 돌 봄 사업의 전문화를 방해하고 있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예산 및 실적 을 들 수 있다. 낮은 인건비 책정과 일상관리 위주의 실적으로 인해 문화재 돌봄 사업단은 전문성을 지적받고 있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을 들 수 있다. 현 재 문화재 돌봄 지원 센터를 통해 교육을 받고 있으나 그 실적이 미미하다. 문화재 돌봄 사업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사업추진 단체의 노력 말고도 문화재 청, 지방 자치 단체 등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먼저 문화재청에서는 사업의 운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 조직 구성 등에 힘써야 할 것이며 보고 서 양식 등을 재검토 하여 좀 더 전문성 있는 결과물이 나올 수 있게 개편 작업 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업 추진 단체의 어려움인 인력 채용 문제에 적극 적으로 나서 전문 인력 채용, 자격증 소지자 채용 등에 힘써야 할 것이다. 문화재 돌봄 지원 센터는 높은 교육비, 낮은 접근성 등으로 인한 교육 참가율 저조를 극복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교육 장소 및 기자재 장기 임대 등으로 교육 비를 낮춰야 할 것이며, 지방 소재 단체를 위해 적절한 교육 장소를 섭외해야 할 것이다. 또한 터마트랙 등 고가의 장비를 지원하고 추진 단체 간 세미나 등을 위 한 장소 지원에서 힘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방 자치 단체 및 사업 추진 단체는 돌봄 사업의 단독 운영 및 독 립화, 추진 기관의 안정화 등 운영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하며 돌봄 지원 센터에서 개최하는 교육 외에도 몇 가지 필수 교육 항목을 개설해 문화재 돌봄 사업 추진 인력의 전문화를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문화재는 한번 훼손되면 다시 원형 상태로 돌이킬 수 없다. 문화재 훼손을 사 전에 방지하기 위해 추진된 문화재 돌봄 사업은 그 추진 목적에 맞춰 문화재 훼손을 사전에 방지하고 경미한 사항은 신속히 수리하는 활동을 통해 문화재 훼손 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재화로 가치를 따질 수 없는 문화재는 후손을 위해 그대로 보존해야 할 소중 한 유산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돌보는 문화재 돌봄 사업은 추진 단체 및 기타 단 체들의 공동의 노력으로 인해 전문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전문화의 방향을 검토하고 한계를 극복 해 후속 연구를 진행하면서 문화재 돌봄 사업단의 전문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issues through the presence of cultural properties business and finding the way of specializing the program by overcoming the confines. Since 2010,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business was extended by three-years-demonstration project, rapidly developed and then stabilized throughout the nation. From 2014, it is extended to the management register for the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of cities or provinces and almost all of the properties are selected for the managed object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group. Naturally, the issue of specialization and enhancement of this group comes to the fore. This essay divides the limits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business into total three parts. First of all, the limit is found in the system of the organ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resources. Comparatively low income and in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are considered as the fact of impediment of specialization of the protection business. Next, the revenue and result of it can be pointed out as well. Due to the lower arrangement of personnel expenses and routine-oriented results, business's specialty becomes suspicious. Last but not least, the education may be the limit. Currently, personnel are trained by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supporting center, but their actual result is insignificant. For the specialization of this business, mutual endeavors from the business promotion organizations as well a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Above all, also,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group strives to overcome the low participation rate in education such as high training cost and low accessability. By renting education place and equipment, we can reduce the education cost and have to find the appropriate place to be held. Also, we should provide the equipment like Termatrac and support the place for seminars between the related organizations. Lastly, local governments and business promotion groups carefully consider the administration such as the stabilization of those promotion groups. They also try to open new classes which are the prerequisite for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professionals. Once cultural properties damaged, they canno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beforehand, this business should focus on its purpose; fix the slight problem as soon as possible so that cultural properties can remain the same. Cultural properties are not the assets that can be labeled with their price and must be protected without any damage for our offsprings. Therefore, protection business should be specialized through the mutual endeavors from organization and other related group. Key Words : Cultural Properties, Cultural Properties Business, Specializing

      • 윤흥길의 분단소설 연구 : 체험의 서사에서 모색의 서사로

        서승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reality on how the author’s original experiences have been reproduced in Yoon Heung Gil’s division novels and find out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Yoon Heung Gil transformed from narrative of experience into narrative of search through the process and nature as division novels. The Korean War and the tragedy of division are Korea’s own special historical events. Based on the experiences he directly experienced as a boy during the Korean War, Yoon Heung Gil reproduced the violence and tragedy of war and discussed the aftermath. Also, recognizing the division reality that has not been terminated yet, we carried out a literary attempt about a critical mind and solutions according to the tragedy of the partition and division aftermath. The literary reorganization of this social structure is the feature revealed the most clearly in Yoon Heung Gil’s division novels and the Korean War and war aftermath, aspects and solutions of division contradictions were reviewed by using sociology of literature as th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is. First, in the second chapter, we addressed the homogeny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revealed the fact that Yoon Heung Gil created novels by reflecting his childhood experiences. In addition, we analyzed his works that disclosed loss of ethics·morals due to reproduction of war tragedy and transition of violence in contrast to naiveness of childhood. In the third chapter, we reviewed Yoon Heung Gil’s division novels on the aftereffects of war and examined how Yoon Heung Gil reorganized war tragedy in his novels while addressing physical and mental trauma due to the family breakdown phenomenon through poverty and experience of war violence. In the fourth chapter, we analyzed the tragedy of a fratricidal war, loss of hometown and separation shown in Yoon Heung Gil’s division novels and found out that division tragedy caused by such division contradictions affects even future generations as untreatable trauma. In the fifth chapter, we discussed Yoon Heung Gil’s solutions trying to overcome the tragedy of division through his division novels. Homogeneity recovery is presented as a countermeasure of division contradictions and realistic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were revealed while classifying these measures into solutions through maternal instinct and direction of understanding the mistakes of a father and analyzing them. As shown above, Yoon Heung Gil’s division novels disclosed the violence and aftereffects of the Korean War and division problem through a critical view and are of significance in terms of raising that the division situation is a social problem leading to the present. Through his experience of division, Yoon Heung Gil reorganized division novels while reflecting personal experience to many people’s experience. In that the background is a special situation called the Korean War, reproduction of this experience reveals that historical events and literature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this verifies the homogeny of literature and society while it can be identified that transforming aspects of author’s consciousness are revealed in the works on behalf of the people's consciousness. In addition, changing the direction of division novels focusing on experience to that of search, Yoon Heung Gil points out that the divided social structure became the remnants not resolved after all and are transmitted to the descendants. Yoon Heung Gil discussed even solutions in his division novels not limited to social reality disclosure and did a literary attempt allowing readers to approach the division problem through the open end. These aspects show that Yoon Heung Gil’s division novels are moving forward from narrative of experience to narrative of search.

      • 빛을 통해 형성된 그림자의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승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was a light in the beginning of the world. The light creates images in the deep dark. The light exist as many kinds of significances or shapes in human life. And it inspires many artists till now. With the light, there is a shadow which is another form of the light. The light and the images made from the light which are approaching formations of shadow could be different from depending on individual research, observation or field. For example, maybe mathematicians will take a scientific way to analyze the shadow. Scholars who are interested in psychology will also take their own way. Nowadays, the light and the shadow are represented from molding both Oriental and Occidental paintings, but tradition Oriental and Occidental draw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expressing of the light. In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it is hard to find the shadow, because it expresses the light indirectly. But traditional Occidental paintings try to express the light and the shadow directly according to their own studies. And they use these things as a manner of painting representation. H. R. Rembrandt (1606-1669) made the light as a representation method of human mind. And C. Monet (1840-1926) wanted to express the natural light itself. Different from C. Monet, the light expression of M. Caravaggio (1573-1610) had the strong impression of the light, so it created dramatic moods on his paintings. And G. Chirico (1888-1978) spurred the spectator's sensibility for using a metaphor of the shadow which was another kind of the light. Therefore, according to these researches, I want to re-examine the light and the shadow which is studied up on various experiences and the inner rapport as a slice of life in my works. Color, colors being piled up one another and diverse formations of the images covers with the canvases are being one way to express the light. Thus, I have studied the shadow which is expressed as the psychological expressions, the impressions of the light and the metaphoric images. First, this study analyses and studies my works profoundly through the artists and their masterpieces which molded the light. And secondly, I want to find out the way of development as an artist who draws the light. 인류 태초에 빛이 있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빛은 이미지를 만든다. 빛은 다양한 의미와 형태들로 우리의 삶 속에 존재하며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있다. 빛이 있는 곳에 빛의 또 다른 형태인 그림자도 존재한다. 그림자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도 시대를 지나오면서 바뀌었다. 빛과 빛을 통해 형성된 이미지, 곧 그림자에 대한 접근 형태는 개인의 연구와 관찰, 그 영역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학자는 과학적으로 접근할 것이고 심리현상에 관심이 있는 학자는 심리적으로 접근해 나가겠지만 예술가들은 삶 속에서 얻어지는 교감 등을 통해 신이 빛을 만든 것처럼 예술을 창조해 나간다. 오늘날에는 동·서양 할 것 없이 회화에서 빛과 그림자가 조형요소로 표현되고 있지만 동양과 서양의 전통 회화에서는 빛 표현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낸다. 동양의 전통 회화에서는 그림자를 찾기 힘들며 빛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서양의 전통 회화는 빛과 그림자를 탐구하여 직접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으며 그림자를 회화표현의 매체로서 사용하고 있다. 렘브란트(Harmenszoon van Rijn Rembrandt, 1606~1669)는 인간심리표현의 매체로서 빛을 창조하였고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자연의 순수한 빛을 보이는 그대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모네와 달리 인공광을 선호한 카라바조(Michelangelo de Caravaggio, 1573~1610)의 빛은 극렬한 인상을 주어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키리코(Giorgio de Chirico, 1888~1978)는 빛의 또 다른 형태인 그림자의 은유적 표현을 통해 관람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본인의 회화에서 다양한 경험과 내적 교감 등을 통해 바라 본 빛과 그림자를 삶의 한 모습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화면을 덮고 있는 색과 색의 중첩, 이미지의 다양한 형태는 빛을 표현해내는 하나의 방법이 되었으며 심리적, 빛의 표현, 혹은 은유적 이미지로서 표현된 그림자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본인의 작품 세계를 빛을 조형해낸 작가와 작품 을 통해 보다 심도있게 분석하고 연구하여 빛을 ‘그리는’ 작가로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여대생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신체 만족도와 체형관리행동 분석

        서승희 光州女子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행선도력에 따른 여대생들의 체형관리 행동을 조사함으로써 최근 외모 관련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여대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소비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대생의 체형관리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고 신체 만족도와 체형관리 행동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여대생들이 체형관리에 대한 올바른 방법을 익혀 아름다운 체형 유지와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행선도력에 관한 전체 문항의 평균값은 3.38점으로 나타났다. 유행선도록에 대한 설문 문항 중 ‘나는 계절이 바뀌면 뭔가 새로운 옷을 시도하려 한다.’라는 문항에 대한 평균값이 3.6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나는 유행을 제일 나중에 따르는 사람 중 하나다.’라는 문항에 대한 평균값이 2.6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신체만족도에 관한 전체 문항의 평균값은 2.94점으로 나타났다. 신체 만족도에 대한 설문 문항 중 ‘머리색’에 대한 평균값이 3.6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허벅지’에 대한 평균값이 2.47점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체형관리행동에 관한 문항 전체의 평균값은 1.69점으로 나타났다. 체형관리행동에 대한 설문 문항 중 ‘나는 체형관리를 위해서 음식 조절을 한다.’라는 문항의 평균값이 2.4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는 체형관리를 위해 비만클리닉(양방)에 다닌다’라는 문항의 평균값이 1.35점으로 가장 낮았다. 유행선도력에 따른 신체만족도의 차이 분석 결과 혁신적 전달자의 평균이 3.22점으로 신체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비선도자의 평균이 2.78점으로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행선도력이 높을수록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유행선도력에 따른 체형관리행동 분석 결과 유행혁신자의 평균이 1.79점으로 체형관리 행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선도자의 평균이 1.50점으로 체형관리 행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행선도력에 따른 체형관리 행동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유행선도력과 신체만족도, 체형관리행동과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 유행선도력과 신체만족도(r=0.248, p<0.001)와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나타났다. 그러나 체형관리행동, 신체만족도와 체형관리행동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유행선도력은 여대생들의 신체만족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외적인 이미지와 유행을 선도하는 능력에 있어 신체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러나 여대생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체형관리행동은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대상자가 여대생으로 경제적 여유가 부족하여 체형관리행동에 대한 비용부담이 크게 작용하여 쉽게 접근하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여대생들이 경제적 부담이 적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형관리행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 성경적 관점에서 본 알코올 중독의 영적 측면 연구와 AA자조집단 평가

        서승희 총신대학교 상담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알코올 중독이 영적인 측면과 관련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출발하여 알코올 중독의 일반 치료법과 영성을 다룬 치료법을 살펴보았다. 그 중 인간의 영성을 다루며 많은 성공적인 알코올 중독 치료법으로 알려진 AA모임의 성과와 또한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AA의 한계점을 논하였다. 먼저 일반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연이어 AA의 기본 정신과 신념과 성과 및 한계를 제시하였고 그 한계의 대안으로서 성경적 상담을 소개하였다. 또한 알코올 중독의 원인으로서 일반적인 원인과 영적인 원인들을 살펴보았다. 결론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대부분이 영적으로 갈증을 느끼고 그 해갈을 알코올에서 찾아 중독이 된다는 것이다.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는 성경적 상담의 치료 모델과 정신을 논문에 담았다. 많은 알코올 중독에 대한 연구가 있겠지만 성경적 상담이 알코올 중독에 적용되어 치료되는 사례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과 알코올 중독을 다른 각도로 볼 수 있는 연구의 장이 이 논문이 되었으면 한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사고의 매개효과

        서승희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지역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69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CPIC), 한국판 우울 척도(CES-D), 부적응적 사고 척도(MTS-A)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부적응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적응적 사고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여 청소년의 부적응적 사고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사고 총점, 내면화, 외현화, 그리고 하위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부적응적 사고보다 내면화 부적응적 사고가 우울증상에 대해 더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 과 우울증상의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부적응적 사고의 원인론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adolescent maladaptive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693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 scale (CES-D) and The Maladaptive Thoughts Scale for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variables was calculated. The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ries : Pearson’s vicariate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1986) model.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s; First, the Parents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Second, the Parents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ladaptive thoughts. Third, the maladaptive thoughts of adolesc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Forth, as a result of verifying mediation effect among the total score of maladaptive thoughts,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mediation effects of subvariabl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arents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 and depressive symptom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among them and the internalizing maladaptive thoughts had higher affactive power about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externalizing maladaptive thought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e significance effects of the adolescent's maladaptive though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s conflict and depressive symptoms.

      • 고려시대 양광도 지역 도기 가마 연구

        서승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늘날 경기도 일부와 충청도 일대인 양광도 지역에서 확인되는 요지 28개소 가마 70기를 연구대상으로 고려시대 도기 가마의 시기별 특징과 변천배경을 파악하고, 가마의 구조적 특징과 함께 가마 기 수, 출토 유물, 요지 주변의 추정 소비지를 종합하여 고려시대 도기 가마의 생산방식과 운영주체를 보고자 하였다. 도기 편년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보고서에 제시된 절대연대측정치를 교차 확인한 결과, 도기 가마의 시기상을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편년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견이 없다고 판단하여 형식 분류 전에, 고려 전 시기를 3 단계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마의 구조적 속성을 검토하였다. 속성 검토는 가마 외· 내부의 속성 모두를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과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속성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동시에 빈도순서배열법으로 시기별 변화 양상이 비교적 뚜렷한 속성을 보았다. 이를 종합한 결과, 유의미한 속성은 배수시설 유무·단 유무·소성부 계단 유무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형식을 IAa부터 IIBb까지 8가지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IBb식과 IBa식을 제외한 6가지 형식을 통해 시기별 가마 구조의 변화상을 볼 수 있었다. 형식에 사용된 속성 외에, 장단비를 근거로 도출한 평면 형태와 소성부 규모는 상자그림 상에서 시기별 변화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형식 분류에서 제외하였다. 이 두 가지 속성은 시기 차이보다는 주변 소비지의 수요량, 가마의 1회 생산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형식을 설정하기 위한 속성으로 고려하기보다는 시기별 경향성으로 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양광도 도기 가마의 시기별 변천과 특징은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대부분 I기의 형식이 II기까지 지속되지만 배수시설이 포함된 형식은 사라지거나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II기에는 I기에 비해 단과 계단이 시설된 형식이 급증하여 동시에 나타나거나 혹은 따로 나타나기도 한다. 단벽과 계단시설은 음성 오궁리와 당진 대운산리 유적의 예와 같이 I기에 일부 나타나기도 하지만 II·III기와 비교해 볼 때 그 비율이 확연히 낮다. III기에는 배수시설이 존재하는 가마가 완전히 사라짐과 동시에 이전보다 단과 계단이 각각 또는 동시에 설치된 예의 비율이 증가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세 시기 통틀어 배수시설, 단, 계단시설이 모두 설치되지 않은 IIAa식의 비율이 가장 크기 때문에, 이 형식이 당시에 가장 보편적인 도기 가마였음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과도기인 II기(12세기 중심)를 거치면서 배수시설의 유→무, 단의 무→유, 계단시설의 무→유로 변화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형식 외에 시기별 차이를 보여주는 속성인 장단비(평면형태)와 소성부 규모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른 시기에는 장단비가 비교적 큰 초세장타와 세장타원형이 주를 이룬다. 상자 그림 상에서도 I~II기의 장단비 중위수가 가장 높으나(2.49 및 2.885) III기로 가면서 그 수치가 감소하여(2.34) 장단비가 작은 타원형 중심의 가마가 축조된다. 소성부 규모 또한 III기로 갈수록 중위수가 감소한다(8.16→3.96). 이러한 양상에 대해, 먼저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II기를 기점으로 II~III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축조 기술의 변화(단과 계단의 설치)는 소성과정을 좀 더 안정적·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선택일 가능성이 있다. 10세기 후반~11세기 초반의 거란과의 전쟁(3차)와 11세기 후반~12세기 초의 여진과의 전쟁을 겪으며 이를 기점으로 복구 과정에서 이전보다 더 효율적인 시설을 가마에 도입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계단시설은 소수의 가마에서 시설되었던 것이 II기에서 가장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공주 계실리 1·2호(고지자기 측정치는 각각 1175±30과 1210±30)를 거쳐 II~III기 전 지역으로 확산되어 본격적으로 시설된 것이다. 또한 거란·여진과의 전쟁과 이후, 13세기 몽고의 6차례 침입으로 파괴된 가마는 개축 혹은 보축 과정을 통해 새로운 요소를 계속적으로 수용하였을 것이다. 규모 변화에 대한 요인으로는 6차례에 걸친 여몽전쟁과 12세기부터 시작된 사회경제적 모순의 심화를 들 수 있다. 13세기 약 40여 년간의 전쟁 기간 중, 파괴-복구가 빈번해지면서 도기의 수요량이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다수의 소규모 가마를 운영함으로써 수비-성형-건조-소성-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줄여 생산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일 것이다. 몽고군의 침입로를 보면 주요 항전지인 처인현과 광주목, 충주목이 모두 양광도에 속하는 속현 혹은 읍치인 것은 여-몽 전쟁 동안에 양광도의 피해가 컸음을 보여주는 근거이다. 또는 권력자의 수탈로 대표되는 무신정권기의 모순으로 인해 군현민과 소민들의 유망이 가속화되었고 이에 따라 수공업품을 생산하는 관영 장인들 또한 본거지를 옮겨 다니며 개인(소수의 사람)이 운영할 수 있는 소규모 사요를 운영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고려시대 도기 가마의 생산방식과 운영주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요지의 가마 군집도를 근거로 생산방식을 소~대규모군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 가마군>중규모 가마군>대규모 가마군 순으로 점유 비율이 높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중 소규모군은 전체의 68%를 차지하여 가장 보편적인 생산방식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중규모, 대규모군 가마는 각각 24.5%, 4.5%를 차지하여 소규모군에 비해 운영 빈도가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마군을 가마의 위치와 출토 유물, 주변의 추정 소비지의 존재 유무로 생산 주체와 성격을 추정한 결과, 세 가지 생산방식은 모두 민영 수공업(가내 수공업 및 사찰 수공업 포함), 관영 수공업 성격을 띠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군집별로 민영 수공업(가내 및 사찰수공업) 혹은 관영 수공업임을 단정할 수 없지만 군집군이 클수록, 특수 기종의 유물이 확인될수록, 가마 기 수가 많을수록 개인 도공에 의한 가내수공업보다는 민영수공업 중에서의 사찰수공업 또는 관청수공업과 관련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 신경인지장애(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에 대한 딸의 경험

        서승희 선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매증상으로 어머니가 요양보호시설에 입소하게 된 기혼 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현대의 변화되는 효 가치관이 개인의 삶 속에서 심리적으로 어떻게 갈등하며 수용되는가를 이해하여 가족상담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에 대한 딸의 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탐색함으로서 치매어머니를 부양하는 딸의 상황과 심리·정서적 변화를 수용하고 딸들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들을 표현하며 심리적 안정 및 가족 간의 갈등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에서 딸들이 치매 어머니 및 요양보호시설에 대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는가? 가정에서 치매부모를 간병하며 느끼는 좌절과 정서적 한계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요양보호시설에 어머니를 모시며 가지게 되는 심리적 고통과 이러한 고통이 회복되어가는 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치매부모를 부양하는 자녀에 대한 가족상담의 필요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탐구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Colaizzi 연구 분석 절차를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기혼 중년층으로, 어머니가 치매로 요양보호시설에 입소한 자녀 8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연구 참여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약속하고, 연구동의서를 작성한 후 2~3회에 걸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97개의 의미가 구성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59개의 주제와 16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어 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요양보호시설 입소 경험은 ‘치매 발병 전 경험’, ‘발병과 간병을 경험’, ‘요양보호시설 입소와 선택 경험’, ‘요양보호시설의 적응 경험’, ‘가족관계의 변화’, ‘안정적인 선택 및 성찰’ 등의 6단계 과정으로 경험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요양보호시설 입소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신적·심리적인 어려움이 있었고 그러한 어려움은 가족 관계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둘째,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에서 모녀관계의 역할이 역전되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입소 이전에는 어머니에게 사랑을 받고 의지를 하며 도움을 받는 관계였으나 치매증상으로 인해 더 이상 자신에게 애정을 표현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한 어머니가 아니라는 것을 수용하는 과정이 있었다. 어머니의 입소 이후에는 어머니를 돌보지 못한다는 자책감과 더 이상 의지할 어머니가 부재하다는 슬픔과 무기력, 우울과 불안 등을 느끼며 힘들었으나 점차 변화된 관계를 수용하고 어머니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더 보살펴드리고자 노력하며 어머니를 딸처럼 보살피는 관계를 수용하고 새로운 모녀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셋째,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에서 요양보호시설에 대한 인식과 가족관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요양보호시설에 대해 도저히 안 될 때 보내는 곳으로 인식하고 학대가 있을 수도 있는데도 어머니를 가두고 버렸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입소 후 엄마의 신체 건강이 좋아지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아 원가족 형제 및 현 가족에서도 관계가 개선되자 점차 안전하게 어머니를 보호하는 곳으로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을 경험하였다. 넷째, 치매어머니의 자녀에게 요양보호시설 입소경험은 안정적 선택을 의미하였다. 요양보호시설 입소 전에는 요양보호시설이란 ‘불효’, ‘유기’ 등으로 의미되었지만 입소과정을 경험하면서 요양보호시설 입소는 주체적인 선택이며 안전한 대안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도 치매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자식들에게 부양부담을 주지 않기 위하여 자신의 미래를 주체적으로 대비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매어머니를 요양보호시설에 입소시킨 딸들이 자신들의 선택을 수용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들을 건강하게 수행하며 자신의 삶을 보다 더 적극적으로 살 수 있도록 입소자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상담 및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요양보호시설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인식 제고를 통해 가족들에게 안전한 대안으로 제안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령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 국민적으로 요양보호시설 입소를 현실적으로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자신도 치매에 걸릴 수 있고 요양보호시설에 입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여 적극적인 대비와 주체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가족상담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와 제품 유형, 감정강도가 제품 소유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승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consumers are using various devices for online shopp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interface used for online shopping has increased. Prior research that studied the difference between touch and non-touch interfaces has found that touchscreens generated increased psychological ownership, endowment effect(Brasel & Gips, 2014), engagement, purchase intention(Chung et al., 2018), and shopping enjoyment(de Vries et al., 2018) when compared to mice. Moreover, touchscreens elicited more positive affective response than mice(Chung et al., 2018). Also, prior research has found that product haptic importa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uch interfac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endowment effect, and arousal(김지호, 신지연, 2016; Brasel & Gips, 2014). Therefore the product is categorized by the importance of haptic in evaluating the products. The product with high haptic importance as haptic product, the product with low haptic importance as non-haptic produ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ouch interface and affect in online shopping contexts. First, do people with higher affect intensity create higher psychological ownership for products when using touchsreens than when using mice? Second, does this effect happen only for products with high haptic importance, and not for products with low haptic importance? This study shows how different interfaces used in online shopping, affect intensity of the online shopper, and the haptic importance of the product which is shopped influence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product. A mixed model ANCOVA using interface(touchscreen/mouse) and affect intensity(high/low)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product(haptic/non-haptic) as the repeated measure, psychological ownershi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need for touch as the covariate showed two important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interface by affect intensity. People with high affect intensity showed higher psychological ownership for the product when they used the touchscreen than when they used the mouse.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low affect intens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using the touchscreen or mouse. Second, there was marginally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of interface by product by affect intensity. However, to test the hypothesis, further analysis was performed. As predicted, people with high affect intensity showed higher psychological ownership—only on the haptic product—when they used the touchscreen compared to when they used the mouse. In contrast, people with low affect intens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sychological ownership for the haptic product when they used the mouse compared to when they used the touchscreen. 최근 다양한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면서,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에 사용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터치 인터페이스(터치스크린)와 비-터치 인터페이스(마우스)를 비교하는 선행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 상황이나 제품을 단순히 선택하는 상황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을 때,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보다 제품에 대해 더 높은 소유의식과 보유효과(Brasel & Gips, 2014), 그리고 구매의도(Chung, Kramer, & Wong, 2018) 등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일관적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더 많은 긍정적 감정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Chung et al., 20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에서 터치스크린 사용과 감정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인터페이스 연구에서는 다루어진 적 없었던 감정강도(affect intensity)에 따른 인터페이스 효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감정강도가 높은 개인들은 감정을 더 강하고 다양하게 경험하며, 긍정적인 자극에 대한 선호를 보인다. 따라서 감정강도의 개인차에 따라, 특히 감정강도가 높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 따른 제품 소유의식(psychological ownership)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라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품의 촉각 중요성에 따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 따른 소유의식과 보유효과, 그리고 각성에서 효과 차이가 나타났다(김지호, 신지연, 2016; Brasel & Gips,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 평가에 있어 촉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제품 유형을 햅틱 제품과 비햅틱 제품으로 나누어,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와 제품 유형, 그리고 감정강도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유의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페이스와 감정강도에 따른 결과이다. 감정강도가 높은 사람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했을 때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보다 제품에 대한 소유의식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감정강도가 낮은 사람은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 따른 제품 소유의식에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와 제품 유형, 그리고 감정강도에 따른 결과이다. 우선 감정강도가 높은 사람은 예상했던 대로 햅틱 제품에서만 터치스크린을 사용했을 때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보다 제품 소유의식이 높았다. 반면에 감정강도가 낮은 사람은 햅틱 제품에서 오히려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 터치스크린을 사용했을 때보다 제품 소유의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자면, 감정강도가 높은 사람은 긍정적 감정 유발형 자극에 해당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면 더욱 긍정적인 감정 반응을 일으켜, 상대적으로 감정 반응을 유발시키지 않는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보다 제품에 대한 소유의식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특히 햅틱 제품의 지각된 터치 가능성이 심적 시뮬레이션의 용이성을 증가시켜 터치스크린을 사용했을 때 제품을 소유했다는 느낌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 것이며(Schlosser, 2003), 이는 김지호와 신지연(2016)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반대로 감정강도가 낮은 사람들은 각성을 덜 필요로 하며, 정서 자극을 덜 선호한다. 따라서 감정을 유발하는 자극인 터치스크린보다 감정 반응을 유발시키지 않는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 오히려 제품에 대한 소유의식을 더 높게 형성하였으며, 특히 심적 시뮬레이션의 용이성이 높은 햅틱 제품에서만 이러한 양상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인터페이스 비교 연구에서 개인차 변수로 한정적으로 다루었던 접촉욕구에서 벗어나 감정강도를 통해 터치스크린과 감정에 대한 연구를 검증하고, 확장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제품 유형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햅틱 혹은 비햅틱 제품에 따른 양상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감정강도가 낮은 사람에게서는 오히려 마우스를 사용했을 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긍정적인 효과에 치우쳤던 인터페이스 비교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