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학당악가와 국민국가 만들기

        서승임 ( Seung Im Seo ) 한국음악학학회 2015 음악학 Vol.23 No.2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서양음악 수용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창가(唱歌, school song) 문화 중 중국의 사례를 들여다보기 위한 시도이다. 학당악가는 창가의 중국식 표현으로, 학당은 청나라 말기에 설립되기 시작한 신식 교육기관, 악가는 학당에서 가르쳤던 음악 교과목을 일컫는다. 학당악가 문화는 반식민지로 전락한 중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민 국가(nation state)라는 근대적 정치 공동체를 형성하려 노력한 지식인층의 운동과 맞물린다. 무술변법 운동 실패 직후, 일본으로 유학 간 지식인들은 1900년대 초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일본 창가를 배우기 시작했고, 귀국 후 신식 학당이 밀집해 있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학당에서 악가 과목의 교편을 맡으면서 교육용 악보집을 출판했다. 본 논문에서는 청일전쟁 패배 직후 지식인들이 구국(救國) 활동의 일환으로 일본 창가를 유입한 배경과 1905년에서 1909년 사이 출판되었던 다섯 권의 악보집을 통해 일본식 창가가 점차 중국식 근대 교육의 틀에 맞춰져 가는 양상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유신파 지식인 량치차오의 “신민설”(新民說)에 의거해 해당 악보집에 수록된 학당악가의 내용을 분석해볼 것이다. “신민설”은 국민 국가 건설의 핵심을 국가사상을 갖춘 국민의 양성이라고 상정한 량치차오가 신민의 요건에 대해 정리한 글이다. 그가 제시한 신민의 3요소인 민지, 민덕, 민체는 당시 교육 개혁의 핵심 요소였기 때문에 학당악가의 주제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서양음악 수용 연구가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라는 초국가적 단위로까지 확대되어 가는 양상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한국과 일본에 비해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일본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기존 창가 연구에 중국이라는 나라의 투입은 동아시아 근대 창가 문화를 비롯한 서양음악 문화를 보다 다각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Chinese school songs and nation building in the modern era. School songs are typical in the music culture of East Asia, having accepted Western music and its cultures into the region. In late Qing(淸) Dynasty, Chinese school songs, which are called xuetangyuege (學堂樂歌) in Chinese, were sung in the music classes(樂歌) of newly modernized schools(學堂). After the failure of the Hundred Days’Reform in 1898, many intelligentsias fled to Tokyo, Japan, studied Japanese school songs and started to write similar songs in a Chinese version. By virtue of experiencing school songs in Japan, they could make their own and teach them at schools in China as well as publish the music scores by the middle of the 1900s. In this paper, I examine Chinese school song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process of accepting Japanese school songs after the China-Japan War in 1894. I regarded this as a reform movement by the intelligentsias against the old structure to save the Qing dynasty. Second, analyzing five different music scores published from 1905 to 1909, I examine how Japanese school songs became utilized in China. Lastly, as Chinese school songs are interconnected with a save-the-nation movement by the intelligentsia who tried to build a nation-state to overcome a semi-colonial situation, a text analysis of the songs based on “On the New Citizen”(新民說) by Liang Qi-chao(梁啓超), a powerful reformist in modern era, is conducted. He insisted that knowledge(知), morality(德), and a healthy body(體) is positively necessary to build a nation. I classified songs according to these three keywords to study particular features of Chinese school song. Notwithstanding that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in East Asia has begun to emerge,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Chinese music compared to Korea and Japan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Therefore, this study fills an important gap in academic studies and brings China into a field of studying school songs in East Asia.

      • KCI등재

        전문 음악가와 가정의 경계에서: 한국 초기 여성 음악가의 출현과 대중잡지에 재현된 그들의 표상

        서승임 ( Seung Im Seo ) 한국음악학학회 2021 음악학 Vol.29 No.2

        이 논문은 한국 근현대 음악사 서술에서 여성 주체를 가시화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여성 음악가의 출현 배경인 고등 음악 교육의 성격과 공론장인 인쇄 매체에 여성 음악가가 재현된 표상을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1910년대 말부터 서양음악을 전공한 여성 음악가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미국 감리교 선교단체에서 설립한 이화학당(이후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의 음악 교육과 일제강점기 일본 고등음악학교로의 유학은 초기 여성 음악가 출현에 중요한 배경이다. 성격이 다른 두 제국이 교차하는 식민지 한국에서 서양음악을 전공한 여성들은 1920년대초부터 신문, 잡지와 같은 인쇄 매체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여성 음악가들은 이전 한국 사회에 없었던 새로운 유형의 여성상으로서 당시 주요 대중매체의 조명을 받았다. 1장에서는 한국 근현대 음악사 서술에서 젠더사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한 후, 2장에서는 한국의 초기 여성 음악가 활동을 연구한 이복선의 “여성음악 사십년기”(1958)를 참조하여 여성 음악가 출현에 주요 배경이 되는 고등 음악 교육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화 출신'과 ‘일본 유학 출신'이라는 두 트랙을 대표하는 김메리와 김원복을 예로 들어 음악회, 학교, 교회 및 그 외 음악 단체 등의 공적 영역에서 여성 음악가로서 종사했던 다양한 직업적 경력들을 탐색하여 초기 여성음악가들의 활동 양상을 재조명한다. 3장에서는 여성 음악가들을 주요 소재로 한 잡지 기사로 초점을 이동한다. 그들이 대중매체에 재현된 특징을 크게 신여성(new woman), 주관성(subjectivity), 가정성(domesticity)으로 구분하여 초기 여성 음악가들을 둘러싼 음악 담론이 가진 젠더적 경향성을 읽어낸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한국의 초기 서양음악 문화 구축 과정에서 서양음악을 전공한 여성전문 직업군의 탄생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재사유하고, 한국 근현대 음악사 서술에서 여성 음악가 혹은 여성음악 관련 담론의 비가시성이 초기 여성 음악가를 둘러싼 담론의 젠더성과 무관하지 않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Western music field in the early 20th-century colonial Korea witnessed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women musicians. Beginning with the music education for schoolgirls at Christian missionary school, Ewha and studying music abroad in Japa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birth of musical women as a career. In the case of Korea, women musicians first appeared in the public sphere in the early 1920s, a perio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fter that, approximately fifty women worked in the western music field as performers, music teachers, and a member of the musical groups before the Liberation in 1945. Although women musicians actively contributed to constructing the early western music culture in colonial Korean society, their emergence and participation have not been considered seriously under the view of androcentric nationalism which emphasizes the collective, social, and national way of music. To attempt to bring up the perspective of gendered history in colonial Korean music culture, this paper explores the published magazine articles written by several professional women musicians. Concurrently with the emergence of expert musical women, their writings and interviews began to be actively published in the form of public magazine articles since the middle of the 1920s. The magazine articles provide in detail the vivid life condition that colonial Korean women musicians experience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educational background for the birth of a new type of musical woman and illustrates the different kinds of musical careers they engaged in the public sphere: a concert, a school, a church, and associations. Later, it focuses on their magazine articles which take on the character of personal anecdotes to understand the life and experience of women musicians. By examining the articles, I attempt to analyze the gendered aspects of women musicians’ writings in common; new woman, subjectivity, and domesticity. Through this paper, I argue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gendered characteristics in not only constructing the early Korean musical culture but also emerging a new specific model of musical woman, which affects Korean society until now.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 대만(臺灣) 관립 고등여학교의 음악 교육: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台北第三高等女學校) 사례를 중심으로

        서승임 ( Seo Seung Im ) 한국음악학학회 2020 음악학 Vol.28 No.2

        1895년 청일전쟁 직후 일본의 첫 번째 식민지가 된 대만(臺灣)에서 서양식 음악 문화가 근대성을 상징하면서 다수의 대만인들과 관계하기 시작한 역사는 일본 제국의 근대 교육 체제와 긴밀하게 관계한다. 특히 식민지 대만의 대표적인 여자 중등 교육 기관인 타이베이주립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台北州立台北第三高等女學校)는 전국의 고등여학교 중 대만 여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로, 이 학교의 음악 교육은 일본의 식민 교육 체제하에서 다수의 대만 여학생들이 근대적인 음악 활동을 연행할 수 있었던 중요한 현장이다. 이 논문은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1920년대 식민지 대만의 관립 고등여학교 음악 교육이 활성화된 경위와 구체적인 음악 활동에 대해 탐색한다. 1922년 식민 지 대만의 교육령이 개정되면서 교내 음악 교육에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1923년 일본 황태자 히로히토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여학생들의 창가 연행을 목도하는 등 대만총독부의 동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고, 학교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교내 규율을 위한 훈련 차원뿐만 아니라 대만여성 교육의 수준을 공개적으로 선전하는 용도로 이용하기에 이른다. 여기서 음악 연행을 직접 실행했던 대만 여학생들은 동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대만 여성을 대표하여 음악적으로 진보되어야 한다는 기대와 끊임없이 협상해야 했다.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음악 경험에 관한 글과 인터뷰는 교내 음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개인적인 열정과 일본의 동화 압력 사이의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단서들을 던져준다. 식민지 대만의 관립 고등 여학교 음악 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동시대 식민지 조선의 음악 교육의 일면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고, 근대 음악 교육 연구에 있어 식민 구도 외에 젠더, 계급 등의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cultivation of Western styled music in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allowed Taiwanese to participate regularly in music activities. Under the radical social changes triggered by the colonial order, Western music emerged as a new medium for inter-regional, inter-ethnic mobility, especially in the education sector. The Taipei Municipal Third Girls School (台北州立台北第三高等女學校), one of the secondary school for girls students with the highest rate of Taiwanese out of other High Girls Schools (高等女學校) in Taiwan was a significant locale in which many Taiwanese girls engaged in musical activities in a “civilized” way by the Japanese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takes the Third Girls School’s music education as a research subject. A drastic change of music education in the Third Girls School occurred in the early 1920s by the revised second education ordinance in 1922, followed by His Imperial Highness of Japan’s visit to the school in 1923. A chain of political events performed by the Governor-General of Taiwan entailed a shift in using music at the Third Girls School not only as a tool of discipline but also as a demonstration to show off the “level” of Taiwanese women's education in public. Here, Taiwanese girl students located as principal musical agencies who carried out various musical activities and constantly negotiated themselves with inevitably confronted the pressure of being “advanced” musically. The historical documents regarding musical experiences of two students, Chen Zhao-zhi and Zhou Hong-long, provide significant clues to understand a subtle nuance between their ardor for practicing music and “the pressure of assimilation.”

      • KCI등재후보

        만성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성재규(Jae Kyu Seong),서승원(Seung Weon Seo),양현웅(Hyeon Woong Yang),이상우(Sang Woo Lee),이승민(Seung Min Lee),이경태(Kyeong Tae Lee),이병석(Byung Seok Lee),임의혁(Euyi Hyeog Im),김남재(Nam Jae Kim),정현용(Hyun Yong Jeong) 대한내과학회 2000 대한내과학회지 Vol.59 No.6

        N/A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symptom, sign and laboratory findings among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s such as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and tuberculous colitis in Korea. Methods : We studie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0 to December, 1998. Seventy-eight cases of ulcerative colitis, fifteen cases of Crohn's disease, and thirty-nine cases of tuberculous colitis were analyzed in terms of age, sex, symptomatology, laboratory findings, radiologic findings and consequence of treatment. Results : The sex ratio of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and tuberculous colitis were 1.17:1, 1.14:1, and 1.29:1, respectively, and the mean age were 39.3, 26.5 and 36.0 years,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symptoms of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and tuberculous colitis were bloody stool, diarrhea, and abdominal pain, respectively. In terms of symptoms and signs, we foun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bloody stool, diarrhea, and weight loss. Patients with tuberculosis colitis revealed significantly high rate of tuberculous lesion on chest X-ray. Among them, 14(35.9%) of the cases showed active tuberculous lesions. In terms of anatomical distribution of the lesion,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sites of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and tuberculous colitis were rectosigmoid colon. descending colon, and ileocecal valve, respectively. Conclusion :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and tuberculous colitis, we should consider clinical findings, laboratory findings, colonoscopic appearance, histologic assessment, anatomical distribution of the lesions, and treatment course.(Korean J Med 59:618-625, 2000)

      • SCOPUSKCI등재

        Salmonella Typhi 감염에 의한 비결석성 급성 담낭염과 급성 간염이 병발된 1예

        이상우,김남재,이승민,이병석,성재규,이현영,이경태,임의혁,서승,양현웅 대한간학회 1999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5 No.2

        Salmonella infection is an acute systemic disease that can lead to diffuse organ involvement with septicemia and cause clinically a variety of complications. But 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nd acute hepatitis with jaundice due to Salmonella typhi occurred rarely. A 42 years old female was admitted with fever, chilling sensation and abdominal pain. On admission, the blood, stool, bile acid and bone marrow cultures were positive for Salmonella typhi. The patient had subsequently developed 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nd acute hepatitis with jaundice. Her symptoms and signs resolved after cholecystostomy, parenteral antibiotic (ciprofloxacin) and supportive treatment. We report a case of 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nd acute hepatitis with jaundice in a 42-year-old female, whose conditions were recovered completely after cholecystostomy and administration of ciprofloxacin, with reviewing the literatures. (Korean J Hepatol 1999;5:148-1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