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과 정치의 길항관계

        서세림(Seo Se rim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3

        본 연구는 작가 손소희의 장편소설 『南風』에 나타난 사랑과 정치의 길항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손소희의 『南風』은 기본적으로 ‘진세영’과 ‘최남희’라는 두 남녀 인물들의 사랑과 이별 및 재결합에 이르는 서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 작품은 함경도 북촌과 만주, 신경, 장춘, 동경, 서울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대한 공간적 요소들을 활용하면서 일제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 한국전쟁 발발과 1ㆍ4 후퇴 등에 이르는 폭넓은 시간적 요소들과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적인 현실 인식을 보여준다. 식민과 해방, 전쟁이라는 한국의 현대사를 총체적으로 거치면서 사랑과 함께 인물들의 정치적 입장도 변화한다. 총력전의 시대에 접어든 현실에서 사랑이 지니는 힘과 함께 사랑과 정치가 상응하면서 나타나는 인물들의 의식이 다각도로 표출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손소희의 장편소설 『南風』에 대하여 심도 있는 분석을 행함으로써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 연결되는 작가의 현실 인식의 복합적 의미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진지한 성찰의 대상에서 상대적으로 비껴 있었던 손소희의 작품 세계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월남 여성 지식인으로서의 한국 사회에서의 작가의 면모에 대하여 탐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소희의 『南風』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사랑과 정치의 길항관계가 의미하는 지점을 중점적으로 탐구하여, 정치와 사랑이 조우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파열음이 내포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 relation between love and politics in Son So-hee’s novel 『南風(Nam Pung; South Wind)』. Son So-hee’s novel 『南風(Nam Pung; South Wind)』 is basically progress about love and parting between man named Jin Se-young and girl named Choi Nam-hee. This novel covered very wide background both space and time. in the spatial background include Hamgyong, Manchuria, Tokyo, Seoul, and in the temporal background from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independence, Korean war, January-Fourth Retreat. In the progress, writer reveals many ways of recognize how reality compromised, and also transition and contention of love and political opinion through the Korean history like colonization, independence, and the war. In other words, we can examine people’s consciousness in all-out war. So, try to understand deeply about the writer who relatively not serious subject as studying, in spite of she is refugee women intellectuals.

      • KCI등재

        망명자의 정치 감각과 피난의 기억

        서세림(Se Rim Seo)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현대소설연구 Vol.- No.58

        Many researchers have been paying attention for a long time, for works of Choi In-hoon which one of most important writers of the Korean postwar novel history. In this paper, on the other hand, analyze “Seo Yu Gi (Journey to the West)” in especially he``s political sense aspect, which not so many researched for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analyze reason. After liberation, North Korea was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as deepening. As the writer who have been through forced migrate and refuge, these writer``s consciousness w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and subject for expressed by his work. For understand he, as the most intellectual and problematic writer in postwar Korean society and his works, political sense of men-who-standing-boundary is necessary. Therefore in this paper reveals point of creation fantasies of “Seo Yu Gi”, which act for integrate political sense, and furthermore contemplating origin that causes these sense. Use these method, explore meaning of fantastic journey and look squarely his hardships in experiential world and reality. It offers comprehensive clue of understand his world of works.

      • KCI등재

        짝패들을 통한 예술가의 자기 복제 과정과 후일담-최인훈의 「하늘의 다리」 연구-

        서세림 ( Se Rim Seo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본 연구는 최인훈의 「하늘의 다리」에 나타난 예술가의 자기 복제 과정을 분석하고그것을 통해 작가 최인훈의 예술관과 예술가 의식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1970년에 발표된 중편소설 「하늘의 다리」는 작가의 대표작 『광장』이나 『회색인』 등에 비해 많이 주목받지는 못하였으나, 최인훈의 예술관을 살펴볼 수 있는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작품에서는 작가의 예술관과현실관이 맞부딪히는 지점이 드러난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1960년대를 보내고 새로운 한 시대를 맞이하는 정신적 문제까지 나타나 있다. 그것은 주인공 김준구 라는 인물을 통하여, 예술가로서의 삶과 새로운 시대의 열림이라는 주제를 지속적으로 교차시켜 가는 형태로 드러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을 통하여 나타나는 예술과 예술가의 존재에 대한 인식은, 최인훈 문학의 한 지점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하늘의 다리」에서는 몇몇 짝패들과의 만남을형상화함으로써, 예술가로서의 자신의 내면을 다양한 방식으로 상상하면서 그것을 예술의 실현 가능성과 결합시켜 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이 예술가라는 인식과 함께, 어떠한 예술의 길로 향해 갈 수 있는가에대한 성찰이다. 그것은 짝패들에게서 자기 복제의 다양한 양상과 자신의 복합적내면을 투사해 나가는 인물이, 환각의 나라에서 발견하는 예술의 의미를 스스로인식해가는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작품에 나타난 예술가로서의 자기 인식의 과정에 주목하여, 그것이 짝패들과의 조우를 통한 내적 복제 과정을 통한 자기 정위(定位)로 나아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Choi In hun’s 「A leg of sky」 is a short novel published at year 1970. It was not quiet received many attention compare to his major work such as 『The Square』 or 『The Gray Man』, though this novel has much valuable points, since it is most exposes his view of art. Even writer himself also said this novel is his most favorite work of all the time. Therefore some of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is novel, especially how to understand his view of art through this novel. In the novel, there is a friction point between his view of art and view of reality. And also there are spiritual problems living 60s and greet the new era. Through protagonist Kim Jun gu , his journey keep cross against the life as artist and the opening new era. Particularly the protagonist met some important mates. Writer uses the meets figuratively, protagonist imagines his inside various ways and head toward to possibility of art. So he can aware that one’s own self as the artist, and set the way of art can be proceed. Protagonist keep projects himself and self clone to the mates, aware his own meaning of the art. In this study focused on process of aware oneself as the artist, through self cloning process with the mates and the journey to the nominal position.

      • KCI등재

        이호철 소설과 일본

        서세림(Seo, Se-rim)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본고는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일본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월남작가로서 고향상실의 개인적 체험은 이호철의 주요한 창작 동인이었다. 여기에 더해 1970년대 이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며 이호철의 작품세계는 새로운 탄력을 받게 된다. 특히 그는 1974년 문인 간첩단 사건에 휘말려 수감 생활을 했는데, 일본에서 조총련계 잡지에 정부비판 글을 기고했다는 것이 주요 죄목이었다. 그것은 그의 작가 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한 영향의 중심에는 ‘일본’을 통해 우리의 식민지 과거와 분단 현실에 대해 성찰하는 과정이 있었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이호철의 작품세계에서 일본의 영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우리의 분단체제와 식민 역사를 총체적으로 가늠하기 위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작업이었다. 일본과의 관계를 통해 한반도의 분단체제 문제에 대해 성찰하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로는 『逆旅』(1978), 『물은 흘러서 江』(1983), 『門』(1989) 등의 장편소설들이 있다. 이 작품들에서 일본은 기억의 매개로서 기능한다. 일본은 과거의 ‘자기’를 만나게 되는 계기가 된다. 동시에, 일본은 ‘자본’의 가치와 맞닥뜨릴 수 있는 곳이라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이 작품들에서는 자본의 힘으로 한국과 일본의 새로운 관계 정립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을 예리하게 드러내고 있다. 일본이라는 타자의 존재를 통해 성찰해보는 분단체제의 문제는 1970년대 이후 이호철 소설의 중요한 한 성과로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분단체제와 한일관계의 연속성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of Japan appearing in Lee Ho-cheol"s novels. Lee Ho-cheol, who made his debut in 1955 with the story Escaping Home, actively and continuously wrote novels for over 50 years. As a writer who had come from North Korea, he wrote his individual experiences on loss of his home. While participating in democracy movement from the 1970s, his world of artwork gradually changed. In particular, he was embroiled in the Writers Spy Case that occurred in 1974 and imprisoned. His major charge was that he had contributed an article criticising the government to a Jochongnyeon(the pro-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magazine. Such experience of his greatly affected his life as a writer. In particular, such experience led him to reflecting on the colonialization of Korea by Japan and the reality of division of Korea. That Lee Ho-cheol discussed the influence by Japan from the late 1970s in his world of artwork is very meaningful in estimating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history of colonization on the whole. His representative novels that reflect on the issues of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relationship with Japan include Yeokryeo, Water Flows to Become a River, and The Door. In these works, Japan functions as a medium of memory and at the same time is where one faces the values of capital. In the works, the actual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attempted by the power of capital are sharply described. That the issue of the divided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reflected on through other of Japan was dealt with is a crucial achievement of Lee Ho-cheol"s novels from the 1970s.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divided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Korea-Japan Relationship appearing in Lee Ho-cheol"s novels.

      • KCI등재

        월남문학의 유형

        서세림(Seo, Se-rim)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북에서의 삶의 근거를 포기하고 남한에 이주하여 작가활동을 펼쳐온 월남작가들은 전후 한국문학사에서 풍성한 생산물들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월남 소설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던 ‘고향’의 개념과 의미가 변용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월남문학의 유형을 탐색해 보았다. 해방 이후 급격한 변화와 갈등을 겪은 남북의 상황 하에서 강제적 이동을 경험한 월남민, 피난민으로서의 작가 의식은 많은 월남작가들에게 있어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들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경계인으로서의 현실 및 그들만이 견지할 수 있던 정치 감각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진행형인 분단의 사회에서, 월남작가들의 작품은 여전히 유효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전후에 등장해서 1950년대 우리 문학을 일구었던 작가들 중에 월남작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전후 문학장의 이해에 있어 그들을 빼놓고 논의할 수 없다. 창조적 경계인으로서 남한 문학계에 특별한 성과를 내놓은 월남문인들의 독특한 시각은 우리사회의 특수성과 문학사적 의미 획득에 있어 중요한 지점임이 분명하다. 남한의 문학사는 월남작가들의 적극적 활동으로 인해 더욱 풍성해졌고, 다양한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월남작가들의 소설 작품에 나타난 성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전후 한국 문학사에서 이들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분단 현실에서 이들의 문학 활동이 지니는 의미를 탐구해 보았다. 이를 통해 월남작가들의 소설에서 형상화되는 고향이라는 맥락이 지니는 의미를 재구성하고, ‘고향’의 의미가 변용되어 가는 과정과 궤적을 살펴보며 월남작가들의 소설에 나타난 몇 가지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경계인’으로서의 독특한 정체성 속에서 생산된 이들의 작품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서 이해해보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Many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as the refugee have experienced deportation in political conflict, continuously expose these fact to their works. For understanding these works therefore, must need to understand how they felt politics and expressed a view of the world. In this paper, contemplates what causes functioning those origin of political sense, especially transformation the word "hometown" in their novel. Divisions are deepen and firmed after 60"s, and of course realities so are. People who live in the south at first also realize relation with divisio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works. Society of division still present progressive therefore their works still have full vitality and cannot discussion without their works. Particular point of view from creativities which who live in the boundary of division, makes important point for uniqu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소설과 재일조선인 귀국사업 - 체제의 의도와 주체의 의지 사이 -

        서세림 ( Seo Se-r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7

        본고는 한국소설에서 재일조선인 귀국사업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재일조선인 귀국 문제는 한반도의 식민 역사 및 분단 현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재일조선인 2차 귀국사업과 북한에서의 귀국자들의 삶을 다루고 있는 이성아의 『가마우지는 왜 바다로 갔을까』 (2015)는 한국에서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형상화한 첫 작품이다. 본고는 이성아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일조선인 귀국사업의 형상화와 그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1971년 이후의 2차 재일조선인 귀국사업을 그리고 있다. 사전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된 1959년 이래의 1차 귀국사업과, 1971년 재개된 2차 귀국사업은 그 상황이 다르다. 하지만 조총련 활동가들은 북한의 상황과 상관없이 계속하여 이상주의적 주장만 펼쳤고, 그것은 작품 속 인물 ‘화자’도 마찬가지였다. 반면 북한으로 귀국한 ‘소라’의 삶은 환상의 종말 그 자체를 보여준다. 차별 없는 사회를 꿈꾸며 북으로 간 소라와 가족이지만, 그곳에서도 귀국자를 인간적으로 대우해주지 않으며 개인의 의지를 드러내지 못하는 체제라는 것을 알게 된다. 주체로서의 개인은 체제와 대결하는 구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해야만 한다. 그 과정에서 체제에 대한 의심이 드러나면 개인의 존재는 위기에 처한다. 따라서 모든 과정은 개인의 비밀 기록으로만 남게 되었다.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한국인 소설가 ‘준’은 관찰자로서 소라와 화자가 남긴 기록을 읽는다. 소라와 가족들은 현실로의 귀향이 아닌 꿈으로의 귀향을 선택한 사람들이었고, 그 결말은 결국 비극으로 끝난다. 소라와 화자의 기록은 재일조선인 ‘미오’와 한국인 ‘준’에게 전달되어, 국적, 민족, 분단 디아스포라에 대한 성찰로 이어진다. 이 작품에서는 화자가 ‘한국’ 국적의 ‘소설가’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록을 남기는 행위의 의미에 대해 평생 고민해 온 한국인 소설가 준을 통해, 이야기를 남기는 행위와 이야기를 전달받는 행위의 접점이 형성된다. 준이 그것을 읽어나가면서 재일조선인 귀국자 소라와, 조총련 활동가 화자의 기록은 의미를 지니게 된다.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한국인 소설가의 관찰이 기록자들의 위치와 연관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귀국사업과 관련하여 한국의 입장은 북송 반대와 반일, 반공으로 일관하였다. 한국에서 중요했던 것은 정치권력을 위해 재일조선인들을 이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이지, 그들의 현실 자체는 아니었다. 한국의 입장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철저히 타자화된 대상이었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관찰자이자 화자로 기능하는 한국인 소설가 ‘준’을 통해 그러한 역사적 과정 속에 휘말린 많은 개인들의 삶에 대한 의미화가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how South Korean novels dealt with homecoming projects by Koreans in Japan. Why did the cormorants go to the sea? by Lee Seong-Ah is the first South Korean novel that earnestly portrayed the issue of homecoming among Koreans in Jap an. In this novel, a Korean novelist examines the lives of Koreans in Japan by taking and reading the record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returned home and Jochongnyeon(the pro-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activists. Between three countries of Japa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novelist’s observations are linked to the recorders’ locations. This novel focuses on the second homecoming project of Koreans in Japan since 1971. Different situations are found between the first homecoming project in 1959 when information on North Korea was definitely lacking and the second homecoming project since 1971. However, Jochon gnyeon activists still made idealistic claims and the “Hwa-ja” does the same. On the other hand, the life of “Sora” who returned to North Korea shows the end of fantasy. Although Sora’s family left for North Korea dreaming of a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North Korea also does not treat them humanely. The North Korean system does not allow individuals to live according to their own will, and the self should instead recon firm their own identity while constantly confronting the system. In this process, individuals whose doubts about the system are revealed are end angered. Therefore, this process remains only secret record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e South Korean novelist Jun realizes that South Kor ea is not irrelevant to these observed individuals. Sora and her family c hose homecoming to their dream, not to the reality, and the conclusion of their choice eventually ends in tragedy. The records of Sora and the narrator are delivered to Mio and Jun, which leads to the awareness of n ationality, ethnicity, division, and diaspora. South Korea’s position in relation to homecoming projects by Koreans in Japan continued to be opposition to repatriation to North Korea, anti- Japanese, and anti-communist. An important matter in South Korea was whether Koreans in Japan can be used for political power, but not their reality itself. Koreans in Japan were completely otherized objects. In this literary work, “Jun”, who is a narrator as well as an observer, symbolic ally shows this South Korean attitude and leads to a self-examination on historical recognition.

      • KCI등재

        이범선 장편소설 『흰 까마귀의 수기』에 나타난 월남작가의 자기반영적 글쓰기

        서세림(Seo, Se-rim)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0

        이범선은 1946년 북한 토지개혁 직후 월남하여 1955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기존 연구에서는 이범선의 단편소설에 주목하여 리리시즘 및 사회 고발의 성격 등을 주로 논해 왔다. 그러나 사실 이범선은 15편에 달하는 장편소설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의 이범선 문학연구에서 이들 장편소설에 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절제된 묘사와 서정적 성격이 강조된 중단편과는 달리, 그의 장편에서는 전쟁의 비극과 분단문제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범선의 장편소설에 대한 논의의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1978년부터 18개월에 걸쳐 『현대문학』에 연재하여 연재가 끝나던 1979년에 바로 단행본으로 출간된 『흰 까마귀의 手記』(1979)는 이범선이 그의 생애 마지막으로 완성한 장편소설로, 자전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이 작품에서 월남작가 이범선은 월남 이후 30년에 이르는 시기의 내면의 변화를 세밀히 형상화해내고 있다. 북한의 토지개혁 직후 평안남도의 고향을 떠나 월남해 온 남자가 ‘흰 까마귀의 手記’라는 노트를 남기고 사라지는데, 이러한 수기 형식을 빌려 월남민 스스로가 남한에서의 30년 삶을 성찰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완벽히 적응한 것으로 보였던 그의 삶은, 사실 스스로를 보통의 존재가 아닌 ‘흰 까마귀’로 인식하며 살아온 고통의 내면으로 가득 차 있었음이 드러난다. 이범선의 자전적 소설인 『흰 까마귀의 手記』를 통해 파편화된 삶을 스스로의 힘으로 재해석하고 있는 글쓰기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월남작가 이범선의 작품 세계를 새롭게 판단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내부 텍스트의 연대기적 질서 속에 감춰져 있는 것은 더없이 강력한 자기 정당화에의 욕망이다. 그리고 국가 및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이 여기에 수반된다. 회고와 전망이 동시에 드러나는 수기의 형식 속에서 자기인식의 과정은 결국 자기 정당화의 욕구 및 증언 욕구와 합치되며 열린 텍스트로 나아간다. 이는 작가가 삶을 비극적인 차원으로 고양시키는 과정에 글쓰기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The writer Lee Beom-seon defected in year 1946, right after north korean land reform. he start his career since 1955. Academic studies usually his short novel, about lyricism and prosecution of society. Actually he also announce 15 full-length novels. Nonetheless until now research about his works lean on short and medium. Meanwhile short and medium works of his comes to moderation and lyrical nature, his full-lengths exposes tragedy of war and issues about the divis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expand about discuss his full-length novel. Especially “Memoirs of White Crow(1979)” is last his full-length and strongly appeal autobiographic. This work imagery 30 years of defected period as refugee. Protagonists leave his hometown Pyeongannam-do right after North Korean land reform like writer himself, left a note that names Memoirs of White Crow, and disappear. What interesting point is, it introspects refugees life by quotes the form of memoirs. Outwardly his life as refugee looks like perfectly adapted, but actually in pain as he describe himself as “white crow” - the irregular thing. In this work, what hidden in chronological order of internal text is strong desire of self justification. Especially over 30 years, anger that growths by betrayed from his family, friends and system makes accelerate. Even criticism of nation and politic occupy the first place. His will of self justification and testimony combined self awareness in form of memoirs, remembrance and prospect at the same time. For this reason, the writer uses his writing for uplifting the life.

      • KCI등재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 연구

        서세림(Seo, Se-Ri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탈북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한국문학에서도 탈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탈북을 주요 소재로 형상화한 한국기성작가들뿐만 아니라, 탈북자 출신 작가들의 창작 활동도 활발해졌다. 탈북작가들은 소설, 수기, 자서전, 시집 등 다양한 장르의 출판물들을 발표하였다. 특히 2012년 장편소설 『청춘연가』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등장한 탈북작가 김유경은 이전의 기록 · 증언 서사에서 한발 더 나아간 문학적 성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4년 후 발표한 두 번째 장편소설 『인간모독소』에서는, 탈북자의 자기 정위(定位)를 위한 고통스러운 탐색의 작업이 정치범 수용소라는 특수한 소재와 맞물리며 독특한 문학적 성과를 보였다. 목숨을 건 탈북 과정과 중국 불법 체류 등의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이 탈북자 스스로를 어떻게 성찰시키는가를 고민하게 되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탈북 작가들에 대한 새로운 문학사적 이해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990년대 중후반 이후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로 흩어져 새로운 터전을 탐색하고 있는 탈북자들의 모습은 현대적 디아스포라로서의 의미를 내재하고 있으며, 김유경의 소설에서도 그러한 탈북자들의 디아스포라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탈북 작가 김유경의 소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탈북자의 의식 성장과 탈북의 영향 관계를 살핌으로써 탈북자들의 디아스포라 인식과 정치의식의 변모 과정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탈북작가들의 문학적 형상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소명 의식과 폭력적 제도의 상충 문제 등과 함께 사랑과 욕망 등의 내적 사유들에 대해서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defectors from North Korea in the Korean society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the interest in escaping North Korea has been growing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Along with works from the older Korean writers whose main topic is defecting from North Korea, there have been active creative activity from writers who are defectors themselves. Defector-novelists have introduced works from a variety of genres, ranging from novels, memoirs, autobiographies and poetry, and are giving substance to their voices. Particularly, the defector-novelist Kim Yu-gyeong, who presented the novel 〈Love Song of the Young〉 in 2012 in her first appearance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has demonstrated her literary advancement from her previous depiction-testimonial style narration. Moreover, in her subsequent novel, 〈Element of Human Degeneration〉, she has shown a unique style of literary advancement as the painful process of identityseeking by North Korean defectors meets the topic of political prison camps. It is meaningful that Kim’s novel ponders on how the defectors themselves reflect on themselves, beyond the painful but much-repeated narrative of defection by risking one’s life and being an illegal alien in China. Moreover, new attempts in literature in understanding the new potential of North Korean defector-novelists can be made through such efforts. Moreover, the image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seeking their new homes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around the world is deeply meaningful as a type of modern diaspora. Kim’s novel presents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perception of diaspora by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novel by the defector-novelist Kim Yu-gyeong,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influence of defection, and explor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efector perception of diaspora as well as their political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exercise is to explore the internal drivers of the sense of political calling, the contradiction of a violent regime, as well as love and lust, which provide for important milestones in the literary visual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novelists.

      • KCI등재

        1950년대 김수영 시의 공간 인식과 후각의 관련성

        서세림 ( Seo¸ Se-r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3

        본고에서는 공간과 후각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어 1950년대 김수영 시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과 상실의 냄새에 대한 시 「더러운 향로」, 「사무실」, 「국립도서관」 등의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김수영이 살았던 한국 현대사의 질곡과 그의 시에 나타난 공간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김수영 시에 나타난 공간 인식의 문제는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감각의 관계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시각과 청각의 감각에 집중해 왔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시각적 체제에 대한 집중에서 나아가 후각의 체계가 공간 인식과 맺고 있는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간은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생활의 범위에 의거한 감각의 산물이다. 현대의 시각체제는 보는 행위가 물질적 배치에 의해 공간을 사회문화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시각체제가 대상을 바르게 보는 유일한 견해로 여겨졌다. 이때 발생하는 문제가 후각 등에 대한 감각의 통제이다. 인간이 서점, 다방, 식당, 도서관, 방, 마당, 거리 등 특정한 공간에 들어섰을 때, 불시에 닥쳐오는 것이 공간의 냄새이다. 그것은 공간의 정체를 제대로 파악하기 전에 인식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냄새가 나지 않는 시적 대상은 그 실재성을 결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후각이라는 감각과 그것을 통한 공간 인식의 과정은, 시인이 시대의 현실을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매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사회의 의미 있는 여러 공간들을 방문한 시적 화자가 그러한 냄새가 촉발한 후각적 인식에 대하여 성찰하는 과정은 김수영의 작품들에서 독특한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김수영 시에서 냄새에 대한 이미지가 형상화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그가 보여준 첨예한 공간 인식 방법으로서의 후각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Kim Soo-young's poems in the 1950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olfactory sense. For that reason, the study examines poems about space for memorialize histories and smell of losses, like 'Dirty Incense Burner', 'Office', and 'National Library'. Kim Soo-young who was born in the colonial era wandered from places to place and finally began creative activities after the liberation of South Korea from Japan as he returned to his homeland. After he went through the Korean War, Kim Soo-young published a number of poems in the 1950s from the experience of having worked in the culture desk of magazine and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In the 1960, Kim Soo-young published a series of poems and essays on poetry that criticize the revolution and reality as he experienced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May 16 Military Coup. The places that appear in Kim's poems are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various aspects of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that Kim lived through. Currently, studies on the spatial perception of Kim's poems are under active progress. Space is a product of sense based on the bounds of living that is actually realized. The modern scopic regime refers to the socio-cultural structuralization of a space, which is caused by the physical allocation that the action of watching applies. In general, scopic regime has been regarded as the only opinion that looks at a subject in correct perspective. However, a problem of controlling senses occurs. When someone enters a certain place, such as bookstore, coffee shop, restaurant, library, room, garden, or street, the person is overtaken by the smell of the space. It can be perceived even before the person properly understands the identity of the place. This paper examined how image about smell is embodied in Kim Soo-young's poems in the 1950s and discuss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olfactory sense, which is used by Kim as a means of sharply perceiving the places.

      • KCI등재

        탈북 작가들의 시에 나타난 ‘먹는 행위’의 의미 연구

        서세림 ( Seo Se-rim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4 No.-

        본고에서는 탈북 작가들의 시에 나타난 ‘먹는 행위’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탈북 작가들의 시에서 ‘밥’은 중요한 제재이며, 무언가를 ‘먹는 행위’는 다층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것을 살펴보는 것은 탈북 시 연구의 우선적인 과제이다. 2000년대 이후 탈북과 탈북자들을 주제로 하는 한국 작가들의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와 함께 탈북자 출신 작가들의 창작도 이어지고 있는데, 특히 탈북작가들의 경우 여러 장르들 중에서도 ‘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시를 통해 북한에서 겪었던 자신의 고통과 울분을 일차적으로 드러내고 그 해소 이후의 작업으로 나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탈북 작가들의 시에서는 북한에서의 삶과 탈북 과정의 고통, 인권 문제 등이 주로 나타난다. 그 과정에서 강력한 트라우마와 고통의 기억은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고통의 형상화가 시 창작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감정의 극대화를 통해 경제적 궁핍과 정치적 고난을 표현한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고통의 표현 과정에서 경제적 현실 인식과 정치적 의식 변모를 살폈다. 이를 통해 과거 북한에서의 삶과 탈북 이후의 현재적 삶의 경계에서 ‘먹는 행위’로 상징되는 생존의 문제가 어떻게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탈북 작가들의 시에서 ‘먹는 행위’는 이주와 경계의 상징이다. 탈북 디아스포라를 경험한 그들에게는 과거의 북한과 현재의 한국이 분절적으로 존재하는 가운데, ‘먹는 행위’는 결절점 그 자체를 상징하는 것이다. 따라서 탈북자 출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분단의 현재적 상황과 의미를 이해해 보는 과정에서 ‘먹는 행위’를 통해 형상화되는 현실 문제와 경제적·정치적 인식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탈북 작가들의 시에 나타난 ‘먹는 행위’의 의미를 분석하여, 탈북 시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 정리하고 향후 탈북 시의 지향점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The ‘Meal’ is a significant topic in the poem of North Korean refugee writer, and ‘The eating action’ of something has multi-layer meaning. North Korean refugee writer perceives two lives : The past of North Korea and the present of South Korea. In this point, ‘The eating action’ become intersecting point that awareness of economical reality and transfigure of political consciousness. North Korean refugee writer expresses anger and anguish in their awful experience in there, like suffer while refuge, human rights - through poem. Intensive trauma and horrible memory influences commonly in that process. In this study analyzed how survival matter that symbolized as ‘The eating action’ consistently affects influence, at the intersection of between the past life in the North Korea, and the present life in the South Korea. By extension, puts together outcomes of poem of refugee writers and discuss targeting points and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