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반드로네이트 주사제의 6개월 및 12개월 지속성 -예비 연구부분

        이은실 ( Eun Sil Lee ),서석교 ( Seok Kyo Seo ),이병석 ( Byung Seok Lee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이반드로네이트 정맥 주사제를 투여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지속성을 관찰하고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8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산부인과 골다공증 클리닉과 연세대학교 강남 세브란스병원 골다공증 클리닉을 방문하여 ibandronate 주사제를 투여 받은 136명의 골감소증 혹은 골다공증이 있는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6개월 및 12개월 지속성을 관찰하였고 chart review,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ibandronate투여 동기, 과거 복용약, 약제투여의 부작용, 투여를 중지한 이유, 약물 투여 중단 이후 다른 치료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이반드로네이트 주사제에 대한 6개월 persistence는 88.1%였고, 12개월 persistence는 82.8%였다. 대상군은 3개월에 한번 맞아도 되는 편리성, 위장장애, 경구 복용약의 번거로움, 복용약이 너무 많은 점을 이유로 이반드로네이트 주사제를 선택하였다. 투여 중단 이유는 부작용이 가장 많았고, 3개월에 한번씩 병원을 직접 방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문제로 투여를 중단하였다. 급성 염증성 반응은 비지속군에서 유의하게 많았고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복용력이 급성염증성 반응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이반드로네이트 주사제는 3개월에 한번 맞아도 되는 편리성과 위장장애의 부작용이 없는 장점으로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대치하여 이용되며 골다공증 치료제에 대한 지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rsistence of quarterly intravenous injection of ibandronate and factors relative to persistence.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36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rosis who received injections of ibandronate between August 2007 and October 2008 were evaluated for persistence to intravenous ibandronate, reasons for their choice of ibandronate, reasons for stopping medication, acute inflammatory reaction, and other medications after stopping ibandronate by chart review,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 Results: Persistence at 6 months and 12 months was 88.1% and 82.8%, respectively. Patients chose ibandronate for reasons of convenience of a quarterly injection, GI trouble, and the inconvenience of oral bisphosphonates, and other medications. Reasons for stopping ibandronate included adverse effects, inconvenience of a direct visit to the hospital at quarterly intervals, cost, and so on. Acute inflammatory reactions were more noticeable in the non-persistent group than in the persistent group, and a previous history of oral bisphosphonate did not affect occurrence of acute inflammatory reactions. Conclusion: Intravenous ibandronate is a good alternative to oral osteoporosis medications due to the convenience for quarterly injection and no GI trouble, and may increase persistence of osteoporosis medication.

      • KCI등재후보

        조기 난소 부전의 임상 양상에 관한 연구

        허지수 ( Ji Su Huh ),서석교 ( Seok Kyo Seo ),김미란 ( Mee Ran Kim ),정혜원 ( Hye Won Chung ),윤병구 ( Byung Koo Yoon ),이병석 ( Byung Seok Lee ),강병문 ( Byung Moon Kang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ung Moo Park ),김정구 ( Jun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3

        연구목적: 조기 난소 부전은 40세 이전에 무월경, 고성선 자극 호르몬증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기난소 부전의 임상적인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일차성 무월경과 이차성 무월경으로 나누어 임상 양상을 비교해 보고자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8개 대학병원에서 시행한 후향성 다기관 연구로 262명의 조기 난소 부전 환자를 68명의 일차성 무월경과 194명의 이차성 무월경으로 나누어 내분비학적 소견과 혈청 검사 소견, 임신율과 배란 유도제에 따른 임신율, 내분비학적 소견에 따른 임신율,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Estradiol 2치는 일차성 무월경에서 유의하게 이차성 무월경보다 낮았으며 진단 전 임신율은 이차성 무월경에서 43.3%로 일차성 무월경의 0% 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치료후의 임신율은 일차성 무월경에서 5.9%, 이차성 무월경에서 1.5%였다. 호르몬 치료후의 임신율은 일차성 무월경에서 8.3%, 이차성 무월경에서 2.8%였으며 임신이 성공한 9 케이스에서 7 케이스는 estrogen-progestin (EP), 1 케이스는 clomiphene citrate (CC), 1 케이스는 EP/human menopausal gonodotropin (EP/hMG)로 치료받았다. 또한 9 케이스의 임신 성공 중 6 케이스에서 난자 공여로 성공하였으며 다른 내분비학적 소견에 따라 임신율의 차이는 없었다. 골밀도는 일차성 무월경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결론: 조기 난소 부전은 젊은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빠른 진단과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호르몬 보충 요법과 골다공증과 같은 장기간 영향을 미치는 질환에 대비한 적절한 약물 요법이 필요하며 난자 공여와 같은 생식 보조술도 고려하여야 한다. Objectives: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is a syndrome defined as the cessation of ovarian function before the age of 40 years that is characterized by amenorrhoea associated with elevated gonadotropin leve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manifestation of primary amenorrhea and secondary amenorrhea group.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f 262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Sixty eight women with primary amenorrhea and 194 women with secondary amenorrhea were evaluated and hormonal level,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and pregnancy rates were compared. Results: The estradiol level was markedly lower in primary amenorrhea than secondary amenorrhea. The pregnancy rate of 43.3% before the diagnosis in secondary amenorrhea was markedly higher than the rate of 0% in primary amenorrhea. The pregnancy rates after treatment was 5.9% in primary amenorrhea, but 1.0% after diagnosis and 2.8% after treatment in secondary amenorrhea. The pregnancy rate after hormonal treatment was 3.7% in total, 8.3% in primary amenorrhea, and 2.8% in secondary amenorrhea. In nine cases of pregnancy, seven cases were after estrogen-progestin (EP), one case was after clomiphene citrate and one case was after EP/human menopausal gonodotropin (hMG). And In nine cases of pregnancy, six cases resulted from oocyte donation. The prevalence of osteopenia/osteoporosis was markedly higher in primary amenorrhea than in secondary amenorrhea. Conclusion: Premature ovarian failure has negative influences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young patients. Effective management should include earlier diagnosis and intensive medical intervention to relieve symptoms of estrogen deficiency and to treat long-term disease such as osteoporosis and in assisted pregnancy by oocyte donation.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60-165)

      • KCI등재

        클로미펜에 얇은 자궁내막을 보이는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시 클로미펜과 레트로졸의 임상적 효용성

        이은주,박현종,양효인,이경은,서석교,김혜연,조시현,최영식,이병석,박기현,조동제,Lee, Eun-Joo,Park, Hyun-Jong,Yang, Hyo-In,Lee, Kyung-Eun,Seo, Seok-Kyo,Kim, Hye-Yeon,Cho, Si-Hyun,Choi, Young-Sik,Lee, Byung-Seok,Park, Ki-Hyun,Cho, Dong-Ja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2

        목 적: 클로미펜을 사용한 배란유도시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환자들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클로미펜 또는 레트로졸을 병합 투여하는 과배란유도 방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전의 클로미펜을 사용한 배란유도 주기에서 8 mm 미만의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불임 환자들에서 시행된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인공수정 51주기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월경주기 제3일째부터 5일 동안 클로미펜+성선자극호르몬 군은 일일 클로미펜 100 mg을 투여하였고 (n=26) 레트로졸+성선자극호르몬 군은 일일 레트로졸 2.5 mg 또는 5 mg을 투여하였다 (n=25). 양 군에서 월경주기 제5~7일째부터 우성난포의 크기가 18 mm 이상에 도달할 때까지 이틀에 한 번씩 성선자극호르몬은 75~150 IU를 투여하였다. 양 군에서 성선자극호르몬 총 사용량, 자궁내막의 두께, 자궁내막의 형태, hCG 투여일의 14 mm 이상 난포의 수, hCG 투여일, 임신율, 다태 임신율을 비교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Mann-Whitney U test or Fisher's exact test 등을 이용하였다. 결 과: 연령, 불임기간, 이전 인공수정 횟수, 기저 혈중 LH, FSH, $E_2$ 농도, 불임의 원인 등의 임상적 특성은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시 배란전 자궁내막의 두께는 이전의 클로미펜을 사용한 주기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성선자극호르몬 총 사용량, hCG 투여일, 자궁내막의 삼중선 비율, 임신율 및 다태 임신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클로미펜+성선자극호르몬 군에 비하여 레트로졸+성선자극호르몬 군에서 14 mm 이상 난포의 개수는 유의하게 적었고 ($3.7{\pm}1.7$ vs. $2.8{\pm}1.7$, p=0.03). 배란 전 자궁내막 두께는 유의하게 두꺼웠다 ($7.7{\pm}1.5\;mm$ vs. $9.1{\pm}1.7\;mm$, p<0.05). 결 론: 배란유도를 위하여 클로미펜 사용시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환자들에서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시클로미펜 또는 레트로졸을 성선자극호르몬과 병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클로미펜의 자궁내막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를 피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적절한 자궁내막의 발달 및 적절한 난포의 성장 측면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레트로졸을 병합하는 과배란유도 방법이 클로미펜을 병합하는 방법에 비하여 더 유용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of clomiphene citrate (CC) and letrozo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in patients with CC-induced thin endometrium Methods: Fifty-one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s performed in patients who previously had a thin endometrium (<8 mm) to ovulation induction using C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CC 100 mg/day (CC+gonadotropin group, n=26) or letrozole 2.5 or 5 mg/day (letrozole+gonadotropin group, n=25) was administered on day 3~7 of the menstrual cyc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at dose 75~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7. We compared total dose of gonadotropin used, endometrial thickness, endometrial pattern, number of follicles ${\geq}14\;mm$ on hCG day, pregnancy rat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ann-Whitney U test or Fisher's exact test, where appropriat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duration of infertility, number of previous IUI cycles, basal serum hormone levels and cause of infertil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groups, the endometrium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previous ovulation induction cycles using CC.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dose of gonadotropin used, day of hCG administration, the rate of triple endometrium and pregnancy rate. The number of follicles ${\geq}14\;mm$ was significantly lower ($3.7{\pm}1.7$ vs. $2.8{\pm}1.7$, p=0.03) and the endometrium on hCG day was significantly thicker ($7.7{\pm}1.5$ vs. $9.1{\pm}1.7$, p=0.001) in letrozole+gonadotropin group compared to CC+gonadotropin group. Conclusion: The clomiphene citrate and letrozo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appear to avoid the undesirable effects on the endometrium frequently seen with CC for ovulation induction. However, in terms of adequate endometrial development or optimal follicular growth, letrozole may be more beneficial than CC for gonadotropin-combined COS in patients with CC-induced thin endometrium.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in a larger scale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our findings.

      • KCI등재

        임신 1/3분기에 태아 기형 진단을 위한 경복벽 배태아경술 6예

        이국 ( Kook Lee ),김청미 ( Cheong Mee Kim ),서석교 ( Seok Kyo Seo ),조시현 ( Si Hyun Cho ),이현준 ( Hyun Jun Lee ),조한별 ( Han Byoul Cho ),채용현 ( Yong Hyun Chai ),이상희 ( Sang Hee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지속되는 임신에서 임신 1/3분기 배태아경술에 의한 조기 산전 진단의 효용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태아의 외부 구조적 결손을 가진 중증 유전 증후군 기왕력 2예, 토순/구개파열을 가진 임신부 본인과 태아를 출산한 기왕력 각각 1예, 합지증과 다지증 각각 1예의 가족력을 가진 총 6예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 하에 임신 12(+6)-14(+6)주에 경복벽 배태아경술을 시행하였다. 직경 1㎜의 내시경을 자궁 내에 넣고 태아의 외부 구조 Objective :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first trimester embryofetoscopy for prenatal diagnosis of congenital anomalies in continuing pregnancies. Methods : Under ultrasound guidance, six patients at 12(+6)-14(+6) weeks of gestation underwent endoscopic

      • KCI등재

        월경성 기흉 2예

        최영식 ( Young Sik Choi ),정연수 ( Yeon Soo Jung ),서석교 ( Seok Kyo Seo ),김정현 ( Jeong Hyeon Kim ),정찬경 ( Chan Kyung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2

        Endometriosis is usually found in pelvic cavity such as in ovary. But, endometriosis has been described in other organs, although rare, such as intestine, kidney, lung, liver, gall bladder, and pancreas. Catamenial pneumothorax is defined as a recurrent pneumothorax within 72 hours of onset of menstruation and it is a rare cause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e, hereby, report two cases of successfully treated catamenial pneumothorax by gonadotrophin releasing hormone agonist with progestin or oral pill after surgical treatment.

      • KCI등재

        자궁에서 발생한 혈관주위 상피모양세포종양

        이유빈 ( Yu Bin Lee ),이유진 ( Yoo Jin Lee ),최명식 ( Young Sik Choi ),서석교 ( Seok Kyo Se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6

        Perivascular epithelioid cell tumor (PEComa) is a family of rare mesenchymal tumors that include angiomyolipoma, lymphangiomyomatosis and clear cell ``sugar`` tumor of the lung, with distinctive hist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They can originate in any visceral organ such as kidney, lung, breast, urinary bladder, pancreas, prostate and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re are few reports of uterine PEComa. Histopathologically, the tumor consisted of nests or sheets of epithelioid cells with eosinophilic cytoplasm and positivity for melanocytic markers (especially HMB-45)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of this tumor. Due to their rarity and varied sites and presentation, the biological behavior of PEComa has not yet been documented. We report a case of uterine PEComa confi rm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