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년 대졸자의 대학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분석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봉언 ( Bong Eon Seo ),박명희 ( Myung Hee Park ),김경식 ( Kyung Sik Ki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3 교육학논총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졸자들이 지각한 대학교육 만족, 취업준비행동, 직무 만족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나아가 2007년, 2008년, 2009년 대학 졸업자들에게 있어 그 관계의 영향력 추이 정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만족스러운 대학교육을 경험한 사람일수록 취업준비를 많이 하고, 직무만족이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다집단 분석의 결과 졸업 집단에 따른 구조 모델 요인들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집단 모두가 교육만족이 직무만족과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2007년, 2008년 대졸자 집단들은 취업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2009년 대졸자 집단은 취업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시간의 흐름 따라 사교육에 치중된 취업준비행동보다는 학교의 전공교육내용이나 전공의 수업 질 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더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job preparation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 is also analyzed among university graduates groups in 2007, 2008, and 2009. According to the findings,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uccessfully in university education would have possibility to do more job preparation activities and b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e detai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 on both job preparation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in all three graduates groups. Second, job preparation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2007 and 2008 graduates group except 2009. Taken together,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would have much mor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n job preparation activities.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 폭력 관련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서봉언 ( Seo Bong-eo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최근 청소년의 사이버 폭력의 양상이 심각해짐에 따라 학문적 관심이 늘고 있으며, 또한 청소년 사이버 폭력을 예방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도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에 청소년 사이버 폭력 관련 최근 연구물들을 수집하여 사이버 폭력 관련 변인을 탐색해봄으로써 이를 선도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우선 사이버 폭력관련 변인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사이버 폭력 유형별 관련 변인을 분석하였다. 본 분석에 앞서 수집한 연구물 26개 자료(k=440)의 출판편향을 확인한 결과, 출판 편향을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포함된 청소년 샘플수는 22,544명이다. 우선 사이버 폭력을 하위유형을 나누지 않고, 관련 요인별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요인이 339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효과크기도 .319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135로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 억제요인은 -.096로 매우 미미한 효과크기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사이버폭력 유형별 메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하위유형으로 나누어지지 않거나 사이버 폭력의 단일지표로 연구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이버폭력과 관계를 보면 위험요인, 억제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순으로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사이버 폭력에 관한 국내 연구물들을 수집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factors for juvenile cyber violence in Korea. In this meta-analysis of articles, 440 effect sizes from 26 studies were included, representing the testing of 22,544 adolesc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risk factors was .319, which shows the medium effect, and that of social demographic factors was .135, which is a small effect size; however, the effect size of restraints was marginal at -.096. This suggests that many recent studies of cyber violence have focused on risk factors more so than on other factors, thus showing those medium effect sizes. Second, in the analysis of cyber violence types, many studies have not categorized cyber violence or divided it into subtypes. As a result, many of them reported a single measurement of cyber violence. Cyber violence was highly related to risk factors such as cyber violence experiences, depression, and stress. In the findings, the restraints were related and social demographic factors were lowest. To sum up,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collect and synthesize results of juvenile cyber violence, and ultimately offer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extend understanding of juvenile cyber violence,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 관련 요인 탐색

        서봉언(Bong-Eon Seo),조현미(Hyun-Mi Jo),김민영(Min-Young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9

        최근 다문화 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는 자라나는 세대로서 청소년들이 소수집단에 대한 인식 및 수용 태도가 우리 사회의 통합을 유도하는 데 필수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하였다. 한편 최근 다문화 수용성을 일차원적인 변수가 아니라 하위 차원을 가진 변수로 객관적인 사회적 거리에 의한 개념으로 봄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을 이웃 수용과 결혼 수용이라는 두 하위 변수를 상정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웃 수용과 결혼 수용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수용성은 공공선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와 관련이 깊다는 선행연구와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즉 다양한 민족과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모여 있는 사회에서 공동체 의식은 서로의 결속을 다지고 상호책임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에 있어 그 수준을 나누어 이웃 수용이라는 소극적 수준과 결혼 수용이라는 적극적 수준의 차이를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공동체 의식이 청소년 다문화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수용과 공동체 의식 간 관계를 파악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The rapid increase of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few decades has prompted greater emphasis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long two categorical lines: neighbor acceptance and marriage acceptance,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with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key factor influencing both neighbor and marriage acceptance was ‘sense of community’. This result showed that multicultural acceptance is deeply related to sense of community which pursues the common good and helps integrate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empirical attempt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study’s limitation is in its not exploring many variables such as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language ability and mass media.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 직무일치, 임금 및 업무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종학력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서봉언 ( Bong Eon Seo ),박명희 ( Myung Hee Park ),김경식 ( Kyung Sik Ki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1

        연구의 목적은 청년 상용직 근로자들의 직무일치, 임금만족 및 업무만족이 전 반적인 직장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졸, 4년제 대졸, 석사학위 이 상 집단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2년 청년패널조사 (Youth Panel 2007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먼저, 전반적인 직장만족에 주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임금만족, 업무내용 만 족, 업무의 권한 만족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 집단에 따라 미묘한 차이는 있었으 나 대체로 만족변인들이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4년제 대졸과 석사학위이상 집단의 경우 업무내용 만족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 로 확인되었으며, 전문대졸의 경우 임금만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석사학위이상 집단의 경우 업무내용만족이 다른 만족변인에 비해 월등히 큰 영향력을 보이고, 4년제 대졸 집단에서는 업무내용만족이 임금만족에 비해 높은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한편, 전문 대졸 집단에서 보이는 임금만족의 영향력은 다른 만족변인들에 비해 영향력이 뚜 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졸업자 이상 상용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보면,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업무내용 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 고, 전문대졸업자들은 임금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학력이 낮을수록 직장만족을 결정짓는 요인이 경제적인 가치 및 보상과 관련된 요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직무일치와 관련하여 전문대졸, 4년제 대졸, 석사학위이상 집단 간 차이 가 나타나고 있었다. 전문대졸의 경우 교육수준일치가 직장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집단과 대별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4년제 대졸 집 단에서는 다른 집단과 달리 기술일치에 대한 변인이 직장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꾸준히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졸업자 상용직 청년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일치, 임금 및 업무만족이 직장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를 전문대졸, 4년제졸, 석사학위이상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그 러나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 전공내지는 직무유형 등 조 절변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income, work satisfaction and job match on job satisfaction, using the data, Youth Panel 2007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difference is also analyzed among education level.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variables affect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re income satisfaction, work content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work control. In addition, there are a delicate difference among education groups. Interestingly, the work content satisfaction would be the most powerful factor affecting job satisfaction to the workers who graduated from 4-year-course universities and have more than Master degrees. Income factor, however, would be the main variable to job satisfaction for 2-year-course college graduates.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ould be different among education level. Taken together,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would have a delicate difference on job satisfaction. We should consider variable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mong education level.

      • KCI등재

        남녀 집단에서 살펴본청소년 비행과 부모감독의 종단관계 연구

        서봉언(Bong Eon Seo),김경식(Kyung Sik Kim)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5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41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parental monitoring across gender groups by utilizing data from a Korea Youth Panel Survey. Wit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e explored two ideas: 1) th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parental monitoring and delinquent behaviors, and 2) the difference in these effects among gender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utoregressive effects of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and parental monitoring appeared stable. However, cross-lagged effects between delinquent behaviors among juveniles and parental monitoring in female and male groups were different. In the female group, parental monitoring had a stronger influence on reducing delinquent behaviors than in the male group. In conclusion, parental monitoring is shown to be an influential factor in preventing delinquent behaviors, especially among femal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스마트폰 의존도 및 우울 간의 관계: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하나(Ha Na Yoon),서봉언(Bong Eon Seo)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학교 패널을 활용하여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 의존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스마트폰 의존유형을 일상생활 방해유형과 과의존으로 나누어 스마트폰 의존도의 경중을 다루었으며, 자아존중감을 통제변수로 두고, 성별을 투입하여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방해모형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높여, 우울감을 높이는 완전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시간과 성별의 상호작용도 스마트폰 의존과 우울감에 모두 유의하였는데, 흥미로운 결과는 남학생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둘째, 과의존 모형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스마트폰의 과의존을 높이고, 이를 통해 우울감을 높이는 부분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의존 모형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성별의 상호작용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고, 우울감에만 유의하였으며,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방해모형과 마찬가지로 우울감에 미치는 성별의 주효과는 음의 부호로 나타났지만, 사용시간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양의 부호로 나타나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우울감을 높이는 효과가 뚜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생이 스마트폰을 사용할수록 스마트폰의 의존을 높이고, 이는 우울감을 높이는 역학이 존재하였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을 사용할수록 우울감이 커질 수 있는 개연성이 크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여학생에게 더 큰 타격을 준다는 연구결과는 디지털 활용 교육 및 학생들의 정서적 지원 시 남녀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 정책, 개입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e and dependence on depression by analyz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tudy classified smartphone dependence into two types: daily life interference and over-dependence,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depression. The study found that in the interference model, the effect of smartphone use on depression was fully mediated by smartphone dependence that interfered with daily life. The interaction between smartphone use and gender was significant for both smartphone dependence and depression, with a steeper increase in depression observed in female students. In the over-dependence model, smartphon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depression.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smartphone use and gender on smartphone dependence was not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on depression.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depression was negative, but the interaction between usage time and gender was positive, with a stronger effect on increasing depression observed among female students. In summary, the study suggests that increased smartphone use leads to greater smartphone dependence, which in tur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epression. The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female students.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gender-specific educational policies and interventions to promote healthy digital usage and provide emotional support to student.

      • KCI등재후보

        부모 소득 및 학력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태도와 교사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명희 ( Myung Hee Park ),서봉언 ( Bong Eon Seo ),김민영 ( Min Young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5 아동복지연구 Vol.13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income and education level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focusing on parent and teacher attitudes. Using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t KICC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nthly income, parents` education, teachers` efficac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study involved 1,703 respondents; the average age of the group being 51.89 months-ol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background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no direct effect o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However, parents`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mediated by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ers` attitudes. That is, parents` factors had no direct or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development, but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ers` attitudes would be mediating factors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abilities. Second,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d only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but teacher attitudes improved both their pro-social behavior and language cognitive ability considerably. More importantly, these findings have shown that teachers play a role as “significant others” to childre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