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청구권에 의한 민법의 체계

        서봉석 ( Bong Seock Seo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08 영산법률논총 Vol.5 No.1

        Im BGB-Rechtsystem befinden sich fuenf verschiedenen Ansprueche. Die sind maemlich vertraegliche Ansprueche, quasi vertraegliche Ansprueche, dingliche Ansprueche, deliktische Ansprueche und Ansprueche aus ungerechtfertigter Bereicherung. Diese fuenf verschiedenen Ansprueche dienen zum besseren Verstaendnis des BGB-Rechtsystem. Man kann durch die Ausuebung der Ansprueche zum BGB-Endziel und -Endzweck erreichen, weil der gem. §194 I BGB das Recht darstellt, von einem anderen ein Tun oder ein Unterlassen zu verlangen. Es ist da von ausgehen, dass der BGB-Rechtsystem seine Aufgabe durch die fuenf verschiedenen Ansprueche erfuellen will. Daher kann man BGB-Strucktur durch die fuenf verschiedenen Ansprueche noch klarer und deutlicher verstehen. Es ist zweckmaessig, wenn eine bestimmte Reichenfolge der Pruefung von Anspruchsnormen einhaltet wird. Es soll vermeiden werden, dass Fragen aus dem Bereich einer Anspruchsnorm weithin zu Vorfragen fuer eine andere werden, so dass sich die Pruefung versachtelt. Die Eroerterung soll moeglichst unbelastet von Vorfragen bleiben. Dieser Zweckmaessigkeitsgesichtspunkt ergibt fuer die Reichenfolge bei der Pruefung der Anspruchsnormen folgendes: An erster Stelle sind vertragliche Ansprueche zu pruefen. Denn der Vertrag, der ihre Grundlage bildet, kann auf alle anderen Anspruchnormen einwirken. Nach den Vertragaanspruechen soll die Ansprueche aus culpa in contrahendo behandelt werden. Am drittens kommen die dinglichen Ansprueche. Der letzte Stelle stehen die Ansprueche aus Delikt und aus ungerechtfertigter Bereicherung.

      • 한국 민법의 체계

        서봉석 ( Bong Seock Seo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5 영산법률논총 Vol.12 No.1

        법률 체계의 완성도는 논리의 명료성, 구체성 및 경제성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다. 이를 체계화라고 하며 학문의 본질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법학은 구체적으로 체계화된 언어논리를 통해서 보다 경제적으로 법률관계를 규율한다는 목적을 가진다. 민법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우리 민법의 구성체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한국 민법이 권리중심체계라는 점, 특히 독일 민법보다 권리의 법적 본질을 좀 더 실질적이며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였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독일법에 따르면 대리, 점유 그리고 구상권 등은 단지 형식적, 추상적 또는 개방적인 정의로 권리의 법적 본질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본다. 반면에 한국 민법은 이러한 권리들에 부여된 정의를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정의로 받아들이고 이다. 따라서 권리의 정의에 해당되는 전제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모두 권리라고 인정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다면 한국 민법은 독일 민법에 비교하여 좀 더 진전된 권리중심체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민법이 사적자치이념을 그 중심체계로 한다는 점에서 법률행위의 법적본질을 이해하고 법률규정들과의 관계를 이해하여야 한다. 한국 민법이 사인들에게 법률관계를 규율하기 위해서 고안한 법적 장치가 법률행위(法律行爲)와 권리(權利)라는 것을 이해한다. 이는 각 사인들에게 법률효과발생을 위한 행위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고, 그 법률효과의 실현도구로 권리를 부여하여 이를 자유롭게 실행하게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우리 민법이 권리의 본질 및 내용 그리고 그 역할을 기술하는 구성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권리의 분류방식으로 ‘존재로써의 권리’, ‘실행도구로써의 권리’, ‘권리변동으로써의 권리’로 구성되어 있다. 끝으로 우리민법은 물권적 법률행위와 채권적 법률행위는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가 상정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도록 구성된다는 무인원칙(Abstraktionsprinzip)을 체계상의 기본구성원칙이 되고 있다는 점 이해하여야 한다. Vervollstandigung des Rechtssystem ist durch die Klarheit, die Genauigkeit und die Wirtschaftlichkeit der Logik zu erreichen. Dies ist das Wesensgehalt des Systematisierung. So hat das Recht den Zweck fuer den Losung von Rechtsverhaltnisse durch spezial systematisierte Logik erreichen. Um die Vollstandigkeit des Burgerlichen Gesetzbuches zu verbessern, sollte es die Konfigurationssystem unserer Zivilgesetz klar zu verstehen. Somit muss es genau verstanden werden, dass das koreanische BGB-System ein auf subjektiven Rechten basierendes System darstellt. Hierin liegt ein wesentlicher Unterschied zum System des deutschen BGB. Im deutschen Recht wird die Rechtsnatur der Vollmacht, Besitz und Regress nicht als ein subjektives Recht anerkannt, weil ihnen die einheitliche Vollstandigkeit fehlt. Dagegen wird im koreanischen Recht die Rechtsnatur des Vollmacht, Besitz und Regress als ein subjektives Recht anerkannt. Die Definition des subjektiven Rechts ist in beiden Laendern identisch. Die koreanische h.M. definiert es als eine dem Einzelnen zur Befriedigung seines Interesses von der Rechtsordnung verliehene Willensmacht. Jedoch ist das subjektive Recht in Korea kein offener Begriff oder Rahmenbegriff wie in Deutschland, sondern vielmehr ein materieller Begriff. Und muss es auch genau verstanden werden, dass das Zentralsystem des koreanischen BGB wird mit den Rechtsgeschafte und subjektiven Rechte als Rechtsinstrument konfiguriert. Klassifizierung der subjektiven Rechte ist wie folgt: Chegwon und dingliches Recht als Wert-Existenz-Recht, Anspuruche als Ausfurungsinstrument und Gestaltungsrecht wie Ruckgriff als Anderungsrechte. Schließlich muss es genau verstanden werden, dass das Abstraktionsprinzip die Zentralprinzip des koreanische BGB-System ist.

      • 비전형담보에 있어서 담보계약과 담보물권의 법적 지위

        서봉석 ( Bong Seock Seo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1 영산법률논총 Vol.8 No.1

        우리민법상 법률행위제도는 채권계약과 물권계약이라는 양대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채권계약과 물권계약이 때로는 독립적으로 또 때로는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사적거래질서를 담당하고 있다. 그런데 채권계약은 채권, 채무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고 물권계약은 물권변동의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독자적인 특성을 가자고 있다. 따라서 민법체계상 법률행위제도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개의 계약형태를 명확히 구분하고 그 특성과 역할의 상호작용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계약의 복합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법률행위가 바로 비전형담보제도에서 나타나는 담보계약이 될 것이다. 즉 이 담보계약은 채권계약과 물권계약의 복합적인 계약이다. 각 담보의 내용과 형식에 따라 채권계약과 물권계약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목적물의 소유권을 유보하고 채무변제를 하지 않을 경우 소유권이 채권자에게 이전되는 형식의 담보계약의 형태를 보여주는 순방향 담보계약과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외관상 담보로 제공한 목적물의 소유권을 이전한 형식을 취하고 자신이 그 목적물에 대한 담보물권을 보유하여 채무변제 시 소유권을 다시 반환 받거나 또는 그 소유권이 실효되는 형식의 계약형태의 역방향 형태의 담보계약의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담보계약은 당사자가 의도하는 채권담보의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순방향 담보계약은 채권자가 동산의 계속적인 사용을 원할 때 적합한 담보계약 형태인 반년에, 역방향 담보계약은 채무자가 동산의 사용을 원할 때 적합한 담보계약 형태이다. 이러한 담보계약의 특성과 구성형식을 명확히 이해 할 때 비전형담보제도가 우리민법체계에 합리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Ein Kreditsicherungsvertrag ist ein Vertrag zur Sicherung einer Forderung duch ein dingliches Recht, das im koreanischen BGB-Rechtssystem nicht als typische Art anerkannt wird. Die Sicherungsvertrag wird mit dem schuldrechtlichen Vertrag und sachenrechtlichen Vertrag begruendet. Der sachenrechtliche Vertrag, der ein Teil der wesentlichen Element des Sicherungsvertrags ist, kann ein eigenartiges dinglichen Recht ableiten bzw. die typische dingliche Rechte des KBGB aendern. Diese wird als dingliches Anwartschaftsrecht und das dingliche Recht aus der Rechtsinstitution der Eigentumsvorbehalt und Sicherungsuebereignung genannt. Der Kreditsicherungsvertrag kann auf verschiedene Art und Weise geschlossen werden. Zunaechst wird der Kreditsicherungsvertrag unterteilt. Zum einen koennte der Darlehensgeber durch das dingliche Recht eigener Art seinen auf den Kreditsicherungsvertrag beruhenden Anspuruch sichern (positives Kreditsicherungsgeschaeft) und zum anderen koennte der Schuldner dem Darlehensgeber das Eigentum an der Sache unter schldrechtlichem Rueckuebertragungsvorbehalt uebertragen und somit den Rueckerwerbsanspruch durch das dingliche Recht eigener Art sichern (negatives Kreditsicherungsgeschaeft). Das positive Kreditsicherungsgeschaeft koennte fuer den Eigentumsvorbehaltskauf angewendet werden. Und das negative Kreditsicherungsgeschaeft koennte fuer den Geschaeft einer Sicherungsuebereignung angewendet werden.

      • KCI등재

        고의·과실의 함수관계론(函數關係論)

        서봉석 ( Seo Bong-seoc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1

        고의란 결과발생에 대한 인식과 이 결과발생에 대한 의도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발생에 대한 인식과 결과발생에 대한 의도의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결여되어 있을 경우는 과실이라고 정의한다. 즉 고의는 인간의 내면적 인식요소와 의도요소의 결합형태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존 법학은 모든 법률개념을 규명함에 있어서 단언 명제적 개념정의의 방법을 택하고 있다. 이는 추상적 관념화 된 언어논리를 법체계구성의 도구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법률개념을 언어 명제적으로 개념정의화 하는 방법은 단지 행위의 특징을 표현하는 상징적 개념을 도출 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명제적 개념정의의 방법을 통해서 무한히 존재하는 모든 형태의 추상적 고의의 법률개념을 모두 규명할 수 없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인 함수관계성의 방법론을 도입하여야 한다. 고의란 결과발생에 대한 인식요소의 증감관계(增減關係)에 따라 의도요소의 증감관계가 함수(函數)관계적으로 존재한다는 개념접근을 통해서 훨씬 구체적으로 규명될 수 있다. 인식요소가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의도요소는 감소하여도 고의가 인정된다는 증감함수의 논리구성체계를 이룬다. 또한 인식요소의 상승 정도에 의도요소가 산술적(算術的)으로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기하학(幾何學)적으로 감소하는 관계를 이룬다. 즉 y=1/x 라는 2차증감함수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2차증감함수의 도입을 통해서 고의개념의 추상성을 이론적 지표화(指標化) 또는 계량화(計量化)가 가능하게 되어 고의개념의 언어 명제적 개념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Intention is defined as the recognition for occurrence of results and to wish for the occurrence of results. In addition, the absence of any of the elements of the recognition for occurrence of results and to wish for the occurrence of results is regarded as a negligence. In other words, intention is a combination of human's inner cognitive and intentional elements. In this way, the current law academy is taking the method of linguistic declarative definition in clarifying all legal concepts. This is because abstract language logic is used as a tool for constituting the legal system. However, since the method of defining a legal concept as a linguistic proposition is only to derive a symbolic concept that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an action, all forms of abstract legal concepts that exist infinitely cannot be identified. As a way to overcome this, the functional relationship should be introduced as a new paradigm methodology. Intentionality can be more specifically identified through the conceptual approach that the increase/decrease relationship of the intentional factor exists in a func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crease/decrease relationship of the recognition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a result. It is the logical construction of the increase/decrease function that if the recognition factor increases, the intention factor decreases relatively. In addition, the degree of rise of the recognition factor has a relationship that the intention factor does not decrease arithmetically but decreases geometrically. That is, i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quadratic increase/decrease function y=1/x.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increase/decrease function,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abstractive concepts of intention according to the average reason of the common pers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linguistic declarative definition of the intentional concept.

      • KCI등재

        리스계약의 계약법적 법리구조에 대한 고찰

        서봉석 ( Bong Seock Seo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1 No.2

        Die meisten Theorie der koreanischen Rechtslehre betrachtet das Finanzierung- sleasing als ein spezielles Mietvertrag oder ein atypisches speziales Vertrag. Das koreanische Recht hat uber die Rechtsnatur und Rechtsstruktur des Leasingvertrags nicht direkt definiert, sondern nur die Rechtsverhaltnisses zwischen Lieferant, Leasinggeber und Leasingnehmer in §168 Abs.2 ff. koreanisches HGB mittelbar erklart. Um die Rechtsstruktur des Leasingvertrags mehr eindeutig zu erklaren, wird er in Hinsicht auf den Vertragsabschluss und auf die Vertragserfullung getrennt analysiert. Der Leasingvertrag, der zu eines Kernelements der Leasinggeschaft gehort, wird durch ‘Dreiecksverhatnis des Vertrages’ und ‘Ersetzung oder Austausch zwei Mangelhaftungen von Miet- und Kaufvertrag’ gekennzeichnnet. Aufgrund dieser Dreiecksbeziehung des Leasingvertrags wird die Konstruktion des Rechtsverhaltnisses und ihrer begleitenden Rechtswirkung sehr kompliziert. Gemaß der Konfiguration- slogik ist es moglich, dass der Leasingvertrag auch in der Form von ‘Drei Parteien Vertrag’, ‘Drittpartei einbezoger Vertrag’ und ‘Vertrag zum Schutz von Dritten’ dargestellt wird. Aber in allgemeinem Geschaftsverkehr wird er durch eine Forderungsabtretung in Rechtsverhaltnis von ‘2 Form von Zwei-Parteien-Vertrag’ dargestellt. Zum Vergleich mit dem Eigentumsvorbehalt im Ratenzahlungsverkauf, der ein dingliche Anwartschaftsrecht vorbehaltet, ist das Leasinggeschaft das schuldrechtliche Vertrag darstellt, der ein Recht zum Vertragsabschluss vorbehaltet. Daruber hinaus wurden die Unterschiede zwischen Operating-Leasing und Finanzierungs-Leasing nach deutschem und koreanischem Recht grundsatzlich verglichen. Im Fall des deutschen Rechts in der Leasinggeschaft wird die Zurechnung des wirtschaftlichen Eigentums auf dem Prinzip von 40-90% fur die gewoehnliche Nutzungsdauer des Leasingsobjekts abgestellt wird. Nach dieser Regel wird das wirtschaftliche Eigentum dem Leasinggeber zugerechnet, wenn er die Nutzung des Leasingsobjekts in Zeitraum von 40-90% ausubt. Auf der anderen Seiten wird das wirtschaftliche Eigentum dem Leasingnehmer zugerechnet, wenn er die Nutzung des Leasingsobjekts weniger als 40% oder mehr als 90% ausubt. Das Konzept und der Inhalt des koreanischen Leasingvertrags ist grundsatzlich nicht von deutschem Recht abgewichen. Allerdings ist die Verstandnis der koreanischen Rechtslehre uber Leasingvertrag von deutschen Rechte abgewichen, indem die Finanzierungs-Leasing deutlich im engen Sinn verstanden hat. Die koreanische Rechtslehre hat nur die deutlich langfristige Leasingvertrag als Finanzierungs-Leasing anerkannt. Alle anderen Leasingverhaltnisse werden als Operatings-Leasing behandelt. Allerdings soll die Unterscheidung zwischen Operatings-Leasing und Finanzierungs-Leasing von Verwendungszweck der Parteien bestimmt werden. Wenn die Parteien uber das Leasing ein Finanzierungszweck hat, wird es als ein Finanzierungs-Leasing, Dagegen wird das Leasing als ein Operatings-Leasing klassifiziert werden, wenn die Parteien die Vermietungszwecke hat. Die Klassifikation der koreanischen Lehre ist im Vergleich zu der logischen Grundlage der deutschen Lehre schlecht argumentiert.

      • KCI등재
      • KCI등재

        장래에 확정될 법률행위효력제도의 유형 비교

        서봉석(Seo, Bong-Seoc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2

        우리민법체계상 법률행위에는 그 효력이 장래에 확정되도록 하는 제도가 존재한다. 이러한 법률행위효력제도로는 조건부 법률행위, 기한부 법률행위와 예약 제도가 있다. 이 제도들은 당사자들이 현재 법률행위를 행하나 그 효력은 장래에 발생할 특정한 사실에 결부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조건부 법률행위는 미래의 불확정한 사실에, 기한부 법률행위는 미래의 확정적인 사실에 그 효력발생을 결부시키고 있고, 예약의 경우에는 법률행위 당사자 중 일방의 의사표시에 그 효력확정을 결부시키고 있다. 우리민법체계는 이러한 장래에 확정될 법률행위를 규율함에 있어서 일반규정의 형식을 택하고 있다. 이는 장래에 확정될 법률행위가 원칙적으로 모든 법률행위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래에 확정될 법률행위들에서는 각 법률행위의 특성과 내용에 따라 법논리적 타당성과 실제적 효용성에 차이점이 발생한다. 채권행위는 일반적으로 장래에 확정될 법률행위와 친화적이지만, 물권행위의 경우에는 많은 경우에 법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되거나 실제적 효용성이 부족하여 이러한 법률행위와 친화적이지 않다는 점이 부각된다. 특히 예약의 경우에는 법 논리적인 차원에서 물권행위에 결부시킬 수 있겠으나 실제적 효용성이 현저히 결여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우리민법상 존재하는 제도들의 유기적인 구성과 체계성확보를 위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분류 적용하여 본다면 각 법률행위가 가지는 특성과 내용을 좀 더 명확히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물권행위와 채권행위가 갖는 서로 다른 특성과 독립성을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분류작업을 통해서 민법상 존재하는 각각의 단위제도(Rechtsinstitution)들이 우리민법의 전체적인 체계(Rechtssystem)와의 유기적인 조화와 논리적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게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Bedingung, Befristung und Option haben gemeinsam, dass die Wirkung des Rechtsgeschaefts von einem zukuenftigen Ereignis abhaengig gemacht wird. Bei der Befristung ist es ein nach dem Termin bekanntes, gewisses Ereignis, bei der Bedingung ist es ein ungewisses Ereignis. Bei der Optionsvertag kann der Berechtigte durch die einseitige willenserklaerung einen Vertrag zustande bringen. Also die drei Rechtsinstitute handeln sich um die Wirkung des Rechtsgeschaefts von einem zukuenftigen Ereignis. Die Wirkungen der drei Rechtsinstitute unterscheiden sich durch die schuldrechtlichen und dinglichen Rechtsgeschaefte. Zwar bei der schuldrechtlichen Rechtsgeschaefte sind die Anwendungen alle Rechtsinstitute grundsaetzlich zulaessig, aber bei der dinglichen Rechtsgeschaefte sind die Anwendungen der Rechtsinstitute unterschiedlich. Die aufschiebende und aufloesende Bedingung und die Befristung mit einem Anfangstermin sind bei der dinglichen Rechtsgeschaefte problemlos anwenden. In dieser Faelle sind die Zwischenverfuegungen waehrend der Schwebezeit zulaessig. Der bedingt Berechtigte und Berechtigte mit der Befristung haben gemeinsam waehrend der Schwebezeit ein Anwartschaftsrecht. Eine Anwartschaft ist die rechtlich gesicherte Vorstufe zum Erwerb eines Vollrechts. Von dem rechtlich mehrstufigten Entstehungstatbestand ist bereits ein erheblicher Teil verwirklicht. Der Veraeusserer kann die bereits erlangte Rechtsposition des Erwerbers nicht mehr einseitig zerstoeren. Waehrend des Schwebezustands beim bedingten und befristungsrechtsgeschaeft sind beide Vertragspartner einander nicht nur aus dem Verplichtungsgeschaeft, sondern auch aus der dinglichen Rechtslage heraus zur gegenseitigen Ruecksichtnahme verpflichtet. Befristung mit einem Endtermin ist nicht zulaessig zu der dinglichen Rechtsgeschaefte anzuwenden, weil sie das essentiale Element der Dinglichkeit zerstoert. Und der Optionsvertrag ist auch nicht zulaessig zu der dinglichen Rechtsgeschaefte anzuwenden. Die dinglichen Rechte sind absolute Rechte. Die einseitge Verfuegungsbefugnis beim Optionsvertrag die absolute Element des dinglichen Rechts zerstoert. Bedingungsfeindlich ist grundsaetzlich die Ausuebung von Gestaltungsrechten, etwa der Ruecktritt, die Kuendigung und Anfechtung. Hier soll der Erklaerungsempfaenger vor der Unsicherheit geschuetzt werden, die durch eine bedingte Gestaltungserklaerung entstanden wuerde.

      • KCI등재

        일반논문 : 민법상 타인을 위한 행위 제도의 비교 - 대리, 위임, 사무관리 -

        서봉석 ( Bong Seock Se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2

        우리 민법체계상 사인들 간의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행위를 함에 있어서 자신을 위한 행위를 하는 것 이외에도 직접적, 간접적으로 타인에게 법률효과가 발생하게 하는 법률적행위(법률행위 및 사실행위)가 있다. 이러한 타인을 위한 행위제도로 민법 제114조 이하의 대리제도, 제680조 이하의 위임제도, 제734조 이하의 사무관리제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행위제도들의 법적 본질과 내용 그리고 행위들의 특성과 유형 특히 민법 체계상의 역할과 효력의 귀속효과 등을 비교분석하여 보면, 대리제도에 있어서는 ‘형성권의 특성을 갖는 대리권’을 사용하여 타인을 위한 행위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위임제도의 경우에는 위임계약이라는 채권계약에서 발생한 ‘채권’이 그 도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무관리 제도에서는 채권을 그 도구로 하고 있으나, 이는 채권계약에 의하여 발생한 채권이 아니라 ‘법률에 의하여 부여된 채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하에서 타인을 위한 행위를 할 수 있는 권원적 차원에서의 핵심적 본질은 ‘일방적 법률행위’, ‘채권계약’, ‘법률’ 이라는 차이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각기 다른 민법상의 단위제도 (Rechtsinstitut)들을 민법 전체체계(Rechtssystem)내에서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점을 분류하여 그 고유의 역할을 이해한다면 각제도의 유기적인 활용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각각의 타인을 위한 법률적 행위제도들이 각자의 고유기능이 있고 또 서로 보완작용을 한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 할 수 있다. The system of the legal act in the Korean Civil Code System has three different legal institutions : ``The Law of agency`` under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114, the ``mandate contract`` under Korean Civil Code article 680, and ‘management without delegation’ under Korean Civil Code article 734. The right of agency indicates the legal act of an agent, who conducts an action on behalf of a client, and than the client accepts immediately the effects and legal consequences of the action. Under the permission for representation, an agent may only act for the cli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gal nature of representation between the Korean Legal system and the German one. While the right of representation is not considered a subjective right according to the German law, it is considered as a subjective right under the Korean law, as the Korean Civil Code has clearly identified it as a subjective right. Mandate means agency for others. Through this, the agent is obliged to carry out the business which is transmitted to him from the client. Mandate is an obligative contract. Therefore it has to follow the general regulations of obligation contract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Korean Civil Code 734, the ``management without delegation`` is that someone(agent) leads a business for another(client) without receiving the permission or the authority. All legal institutions of ‘The Law of agency’, ‘The mandate contract’, and ‘The management without delegation’ are distinguished by the legal nature. The legal nature of the performing rights of agency presented itself as ``a subjective right``. The legal nature of the mandate presented itself as ``a obligatory contract``. And the legal nature of the management without delegation presented itself as ``authorization by legal provisions``. All legal institutions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legal effects. The rights of agency by legal act, in which a declaration is unilaterally made and successfully delivered, is to be strictly distinguished from the mandate contract. The mandate contract is an intra-relationship between the delegator and the mandatary, mandatary is obligated an activity for other. The rights of agency has an external-relationship with a third party, entitles the representative to act on behalf of the client`s name. While the management without delegation is justified as statutory obligation, the mandate contract is an obligatory contract, in which the reimbursement of expenses can be claimed according to article 688 Korean Civil Code. If we understand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legal nature and the legal system of three institutions described above, we can understand the functions of each legal institutions of legal action for others better.

      • KCI등재

        블록체인과 비트코인(가상화폐)의 법적 문제

        서봉석(Bong seock Seo) 은행법학회 2018 은행법연구 Vol.11 No.1

        Bitcoin(BTC), a virtual currency or also referred to as digital currency, is rapidly growing in its use and influence. Bitcoin was originally designed as the first successful digital currency or cryptocurrency. Digital currency or cryptocurrency is a new conceptual property that has not been accounted for in our existing legal system. In spite of the current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of bitcoin, there is no legal system to regulate it. Now the emergence of virtual currency like bitcoin is no longer negligible. At present in private law, the concept of rights is mainly focused on representing concepts of object , human ability and service . Through this existing legal system,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legal identity of bitcoin in both private law and public law can be established and how the judical structure can be applied in real transaction. The existing legal system cannot give bitcoin the legal status of a currency. In addition, the legal status as a good is also subject to the dual legal standards of non-recognition through jurisprudence of private law and recognition through jurisprudence of public law. This dual status leads to the unreasonable consequence that the bitcoin owner receives legal protection but does not bear the obligation. In order to resolve this irrationality, an active legal system will be needed. Such an active legal system would include methods of extension of the concept of rights and methods of regulation specifically for bitcoins. The simplest solution to expand the concept of rights could be by adding a provision that recognizes the bitcoin as a virtual currency or a potential good and gives it rights. In this case, the value as a good will be based on the market price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 within the blockchain. As a method of establishing special regulations, the concept of bitcoin and blockchain transaction should be presented, and the bitcoin value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legal questioncreated by its transaction method should be defined. However, even if the legal status of bitcoin as a good is acknowledged through these regulations,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he money laundering laws and foreign exchange control laws that were created for real currency. This problem can only be solved by introducing the legal status of money to bitcoin. Therefore, it will be suggested to recognize the concept of an alternative currency within another ledger (the blockchain) besides of the legal tender. Bitcoin was proposed as a means of payment and if it functions as one,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its legal status as money by evaluating the market price in the blockchain. However, since bitcoin currently functions as a measure of value inadequately, its legal status as money can only be recognized after its value sufficiently stablizes. Unlike a system managed by a central server, the blockchain system ensures transparency because data is stored in all nodes, making it difficult to be hacked, falsified or tampered with.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ransfer processing speed is high and the other administrative processing costs are reduced by directly transferring data between individuals. The emergence of bitcoin is an indispensable and indisputable reali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provides a digital economic environment through new IT. It should even be encouraged based on the trend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lobalization. However, there is an arising question whether the governmental authority can be exerted onto an economic society, in which individuals can form their own blocks on their personal computers and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eer-to-peer network). In order to do this, there needs to be a careful legal policy consideration to balance social justice and individual freedom. 비트코인(Bitcoin, BTC)은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로 또는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로 현재 그 활용도나 영향력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원래 최초의 성공적인 디지털 통화 또는 암호화폐(crypto currency)로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통화 혹은 암호화폐는 우리의 기존 법체계에서 예정하지 못했던 새로운 개념의 재화이다. 그런데 현재 이러한 비트코인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이를 규율할 수 있는 법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제 이러한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의 출현에 대하여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현재 우리의 사법상의 법체계는 ‘물건’과 ‘사람의 능력’ 그리고 ‘용역’ 등에 권리의 개념을 표창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 법체계를 통하여 비트코인의 법적 정체성에 대한 사법상의,공법상의 권리개념을 도입 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실제 거래에서 어떠한 법리 구성이 가능한 가를 검토해야 한다. 기존의 법률체계로는 비트코인에 대하여 화폐로서의 법적 지위를 부여 할 수는 없다. 또한 재화로서의 법적 지위에 대해서도 사법상의 법리를 통한 불인정과 헌법상의 법리를 통한 인정이라는 2중적 법률 기준이 적용된다. 이러한 이중적 법적 지위는 결국 비트코인 보유자에 대하여 법체계상 이익만 얻고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는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법제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적극적 법제로는 권리개념의 확대 도입의 방법과 비트코인에 대한 특별법 규정의 방법이 있을 것이다. 권리개념을 확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비트코인을 하나의 가상의 또는 잠재적 재화로(Virtual currency) 인정하여 권리성을 부여한다는 규정을 추가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재화로서의 가치는 블록체인 내에서 거래 당시의 시장가격에 의하면 될 것이다. 특별규정을 제정하는 방법으로는 비트코인과 블록체인거래 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트코인의 가치결정방식과 그 거래방식에서 발생하는 법률문제를 규정하여 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규정을 통하여 비트코인의 재화로서 법적 지위를 인정한다 할지라도 화폐를 중심으로 규정된 자금세탁관련 법규, 외국환관리법 등을 적용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비트코인에 대하여 화폐개념을 도입하여야 가능하다. 따라서 법정화폐 이외에 또 다른 블록체인 내에서의 자율화폐 개념을 인정하는 방법이 제기된다. 비트코인이 하나의 지불수단으로 제안된 것이고 그 기능을 한다면 블록체인내의 시장가격을 환산하는 방법으로 화폐로서의 법적 지위를 인정 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재의 비트코인은 가치척도의 기능을 상실하였으므로 이를 보완하여 야 화폐의 법적 지위를 인정 할 수 있을 것이다. 블록체인기술은 중앙서버관리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가 모든 너드(Nodes)들에 저장되기 때문에 투명성이 보장되고, 해킹이나 데이터 위조 또는 변조가 어렵다. 또한 개인들 간에 직접 데이터를 이체하는 방법으로 그 전송처리속도가 빠르며 다른 행정처리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비트코인의 출현은 새로운 IT기술을 통한 디지털 경제 환경을 제공하는 4차문명의 필수불가결한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기술혁신이나 세계화의 추세에 입각하여 이는 오히려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단 개인들이 개인 컴퓨터를 통한 자신들만의 블록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서 각자가 직접 소통하는(Peer-to-Peer- Netzwerk) 경제사회를 통제하기 위하여 국가 공권력을 투입 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정의와 개인의 자유를 균형 있게 통제한다는 법 정책적인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