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체성 정치와 국제 안보의 재구성: 이론, 실제 그리고 시사점

        서보혁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2

        본 연구는 탈냉전기 국제관계에서 정체성 정치의 구조와 동학을 살펴보고, 북한문제 등 대안적 국제안보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성주의는 정체성과 같은 문화적 변수를 독립변수로 부각시키고 있다. 정체성 정치는 대내적 동일시 작업과 대외적 구별짓기로 요약할 수 있는데, 국제관계에서 경계와 배제의 논리에 입각하여 주권국가의 불완전성을 만회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권력에 의한 정체성 정치는 개인 및 집단의 정체성을 억압하고 대외적 위협을 의도적으로 재생산한다. 정체성 정치는 무정부하에서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하나의 형태로 볼 수 있지만 국가, 군사안보, 남성 중심의 전통적 안보논의와 질적인 차별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정체성 정치가 권력정치와 배타적이지 않다는 점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포괄적 인간안보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정치를 약화시킬 수 있는 소통 합리성과 민주적 글로벌 정치가 요구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문제’의 해결도 당사국간 정체성 정치의 지양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안보 범주의 확대와 다양한 외교적 접근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identity politics in Post-Cold Wa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rie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alternative international security. Constructivist approach considers ident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dentity politics, which can be summarized to the identification in domestic and differentiation abroad, retrieves the imperfection of national sovereignty based on boundary and exclusion. And, identity politics which is conducted by political power oppresses individual and group identities, and reproduces external threats intentionally. While identity politics is said to be a different form from power politics in pursuit of state interests in anarchy, it is the same with traditional security discourse concentrated to the state, military issues, and muscularity. This means that identity politics is not distinguished from power politics qualitatively. Therefore,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democratic global politics are required to weaken identity politics and, ultimately, to build comprehensive human security. In this vein, also in ‘North Korean problem,'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ategory of security and to diversify diplomatic approach.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인권교육의 당위성 고찰

        서보혁,정상우,김윤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A)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 unique perspective on human rights, through the process of defecting to and settling in South Korea. Their formation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is affected by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While settling in the South, these defectors often need reassurance that they have human rights, help for integrating into the society, and assistance in becoming a member of a community that can contribute to unification in the long run. The first step in assisting defectors can be human rights educ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human rights education is essential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considered three perspectives: a focus on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human rights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ions and the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the necessity of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integration into South Korea society. Each North Korean defection is a separate cas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each def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iew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held in North Korea since the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held in South Korea.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during the process of defection, and in settling in South Korea, has an effect on their human rights consciousness. Human rights violations occur during this process. Therefore, human rights education for defectors m ust necessarily be based on these experience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consciousnes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amicable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to South Korean society. 북한이탈주민은 탈북과정에서부터 한국 사회에 정착하기까지 인권과 관련한 여러 가지 특수한 경험을 한다. 이 때문에 인권의식 형성에 있어서 특별한 배경과 경험을 갖게 되고, 한국 사회 적응에 있어서도 차별과 인권침해라는 일정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면서 인권을 보장받고 사회에 통합되며, 장기적으로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공동체 구성원이 되는데 도움이 필요하다. 인권교육이 그러한 도움의 첫 출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권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논증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인권의식의 형성 배경, 탈북과 남한 정착 과정에서의 인권침해 경험, 남한에서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의 필요성이라는 세 가지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은 탈북 시기에 따라 다른 점은 있지만, 어느 경우에든지 북한에서는 한국과 다른 인권교육을 받았거나 인권의식을 형성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북한의 인권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탈북과 한국 사회의 적응과정에서 인권침해가 인권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아 인권침해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인권교육의 당위성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원활한 한국사회 통합을 위해 남북한 인권의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Is Another Peace Possible? A Pacifist Perspective of the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서보혁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2017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7 No.2

        In the situation that the risk of war has grown increasingly high on the Korean Peninsula, dreaming a pacifist future appears to be foolish. This study is to raise a pacifist alternative by not only criticizing the problems of a series of traditional security-oriented policy options, but also by proposing a fully denuclearized society in the South Korean civil movements. The pacifist alternatives in the paper are treated as a competing policy option in realizing sustainable peace on the peninsula.

      • 미국 대선 이후 남북미 관계 전망

        서보혁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2004 북한연구 Vol.7 No.-

        탈냉전기 들어 남북미 삼각관계는 상호 예측가능한 규칙이나 공유하고 있는 규범이 부재한 상태에서 대립과 협력의 극단을 오가는 불규칙적인 양상을 보이며 전개되어왔다. 이 구도는 적대적 북미관계와 협력적 한미관계, 그리고 그 양자 사이에서 이중적인 남북관계를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남북미 삼각관계에서 세 행위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최선의 길은 세 양자관계가 모두 협력관계를 갖는 것이다. 그런데 2001년 부시행정부의 집권은 이후 새롭게 나타날 수 있는 삼각관계를 북미관계 경색, 남북관계 정체, 한미관계 재조정 등 과도적 양상을 띠게 하였다. 다만, 북핵사태에 대한 미국의 정책적 비중 제고와 다자적 접근, 그리고 한미간 긴밀한 협의와 남북관계 개선의 제도적 발전이 결합한다면 낙관적인 전망을 포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요컨대, 향후 남북미 삼각구도는 첫째, 북한과 미국이 상대방으로부터 취하고자 하는 이익을 절대적으로 간주하느냐 아니면 상대적으로 간주하느냐, 둘째, 그 과정에서 남한이 북한 및 미국과의 관계를 여하히 조화시키느냐에 따라 그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불안정하고 견제와 갈등을 특징으로 하는 현 남북미 삼각구도가 세 양자관계를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양자관계는 각기 상이한 양상을 띠고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삼각구도가 세 양자관계를 구성요소로 한다고 할 때, 북미관계의 미래가 삼각구도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6자회담이 지속된다면 그것이 삼각구도의 변화를 촉진 혹은 제약하는 매개작용을 할 것이다.

      • KCI등재

        Resolving the Korean Conflict through a Combination of Human Rights and Human Security

        서보혁 한국국제정치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4 No.1

        Why has the division-armistice system lasted over 70 years in the Korean Peninsula? It could be said that the system has been sustained by the existence of forces that still remain to support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by reproducing distrust and a sense of animosity. For instance, the continuing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over human rights between the two Koreas are remnants of the Cold War. Exploiting peace and security issues for political gains by the two division powers also demonstrates the continuation of the division-armistice system. How can the protracted conflict under this system be overcome?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racted conflic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xplores alternatives from a macro-critical perspective. The author attempts to answer this research ques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synergistic effects of human rights and security. The politicization of human rights and continuing militarism are manifestations of the negative synergistic effects of the norms under the division-armistice system. Including security in human rights and embracing human rights in peace are essential for transforming these negative synergistic effects into positive effects toward developing a sustainable peace. Human security and the right to peace are proposed here as alternatives for creating positive synergistic effects. In resolving the Korean conflic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make efforts in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promoting peaceful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North Korea, and increasing civilian control of the military in all countries concerned.

      • KCI등재

        이익균형론을 이용한 한반도 평화체제 재론

        서보혁 통일연구원 2010 統一 政策 硏究 Vol.19 No.1

        Denucleariz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s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The relationship is shown by the discussion on the priority between them.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by reflecting all aspects including related issues and interests of the countries involved. This is the reason this paper explores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using the term “balance of interests.”Section Ⅱ will introduce the term and its usefulness for the topic of this paper. Using “balance of interests.” section Ⅲ will analyze the positions of the countries related with the peace regime in the peninsula and the existing agreements in the context of both bilateral and multilateral frameworks. Section Ⅳ afterward will suggest a strategy for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coinciding interests, mutually exclusive interests and their interconnectedness.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discus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policy, especially stressing the primary role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importance of “balance of interests” strategy. 한반도 비핵화는 평화체제 구축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그 둘의 우선순위에 대한 관련 당사국들의 입장 차이도 두 문제 간의 상관성을 말해주고 있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논의는 관련이슈들과 당사국간의 이해관계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접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글이 이익균형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논의를 전개하려는 것도 그런 시도의 일환이다. Ⅱ장에서는 이익균형 개념을 소개하고 그것이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를 전개하는 데에 유용함을 밝힐 것이다. Ⅲ장에서는 이익균형 개념을 적용하여 평화체제와 관련된 국가들의 입장과 기존 합의 사항을 분석 평가하고, Ⅳ장에서는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평화체제 논의에 투영된 상호 일치하는 이익과 배타적 이익을 구분한 후 이들의 상호관계에 근거하여 평화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논의를 요약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생각해볼 것이다. 특히 남북한 당사자 원칙을 관련국들로부터 인정받는 것과 그것을 이용한 이익균형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