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帝下 大規模 綿紡織工場의 高級技術者 硏究

        Moon Seok Seo(徐文錫) 한국경영사학회 2003 經營史學 Vol.30 No.-

        This article discussed the Technicians of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ies during the 1910’s-1930’s. This Factories are Kyungsong Spinning Company. Chosun Spinning and Weaving Company, Oriental Spinning Company(Inchon & Kyungsong), Ganebo Spinning Company(Chonnam & Kyungsong). The total number of Technicians were 43. Among these only 16 technicians were Korean and 27 technicians were Japanese. The number of Korean technicians who graduated school in Korea were 9. The number of Korean technicians who graduated school in Japan were 7. The number of Japanese technicians who graduated school in Japan were 26. The number of Technicians who majored in textile field were 29. The number of Technicians who majored in mechanical engineering were 9. The number of Technicians who majored in applied chemistry were 2. The half of Technicians graduated Kyeongseong Higher Industrial School(京城高等工業學校) and Tokyo Industrial College(東京工業大學). Kyeongseong Higher Industrial School was the only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that educated high quality textile technici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The most of Technicians graduated in 1920’s-1930’s. There were 5-7 Technicians worked in each large factories.

      • KCI등재

        1950년대 대규모 면방직공장의 기술인력 연구

        서문석(Moon-seok Seo)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6 No.-

        본 논문에서는 해방 이후 1950년대의 대규모 면방직공장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활동했던 기술인력, 그 중에서도 숙련공들을 중심으로 하는 기능공들의 존재양태와 활동상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다다랐다. 첫째, 해방 직후 섬유산업은 공업 전체의 종사자 중에서 가장 많은 29.7%의 종사자가 있었던 부문이었으며 여성종사자의 비중이 72.5%에 이를 정도로 높았던 부문이었다. 면방직공업에서도 여성종사자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으며 전체 남성 재적인원의 67~68%, 여성 재적인원의 95~97%는 실제 작업현장에서 생산을 담당하는 직공이었다. 둘째, 한국전쟁 이후에 대규모 면방직공장에서 근무하던 남성기능공들은 전체의 62.3%가 30대이며, 대부분이 국민학교 졸업자이고, 66%가 10~19년 사이의 경력자들었다. 셋째, 일제강점기에 한국인 기술인력들만 활동했던 경성방직은 해방 이후 귀속 면방직공장들에 기술인력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귀속 면방직공장들이 기술공백을 극복하고 생산을 재개할 수 있었다. 넷째,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서 경성방직의 기술인력들은 숙련공들을 중심으로 전재설비(戰災設備)들을 복구하였다. 불에 탄 설비들을 재생하는 불가능에 가까웠던 전후복구에 성공함으로써 전후 공급부족 상황의 경제상황을 활용해 공장을 정상화시킬 수 있었다. 결국 이런 기술인력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1960년대 면방직공업의 수출산업화에 결정적인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한국경제성장의 내생적 요인이 된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existence and activity of the technicians in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y in 1950’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Liberation, textile industry had the biggest portion, 29.7%, of total labor force and female participation covered as much as 72.5%. Cotton textile industry also had absolutely more female workers than male ones. And 67~68% of male workers and 95~97% of female workers worked in production lines. Second, in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y after the Korean war, 62.3% of male workers were in the age of thirties, mostly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66% of them had 10~19 years of career. Third, Kyungseong Spinning Company that employed only korean worker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ovided skilled workers to vested cotton textile factories after the Liberation. As the result, vested cotton textile factories could overcome the technical blank and resume production. Fourth, led by skilled workers, Kyungseong Spinning Company reestablished the plant ruined by the war. By succeeding in recycling damaged equipments and due to the after-war shortage, they could normalize the factory. In conclusion, workers’ devotion was a decisive foundation of export industrialization of cotton textile industry in the 1960 s and an endogenous factor of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n.

      • KCI등재

        1950년대 전반 조선방직 부산공장의 기술인력 연구

        서문석(Seo, Moon-Seok)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본 연구는 한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대규모 면방직공장인 조선방직 부산공장의 1950년대 전반 기술인력의 상황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를 통해 6.25전쟁을 겪으면서 급변했던 조선방직의 내부적 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조선방직 기술인력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紡織技術者및 技能者名簿?에 수록된 139명의 조선방직 기술인력은 평균 39.1세였으며 학력은 79.1%가 국민학교 졸업자였고, 경력은 평균 14.9년이었다. 이들의 평균연령과 경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학력수준은 낮았다. 둘째, 조선방직의 기술자들은 제품 생산에 직결되는 기술자보다 이를 가공하거나 일반적으로 공장에 필요한 기술자의 비중이 높았으며 경력도 상대적으로 짧았다. 셋째, 조선방직은 설비 등의 다른 요인들은 큰 변화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기술인력은 6.25전쟁을 겪으면서 크게 늘어났다. 이상의 연구는 귀속기업체의 불하나 특혜, 전시특수 등 외부의 긍정적인 요인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기업이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기술적 역량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Chosun Textile Co.(Pusan) the first established large cotton textile factory in the Korea and explores the labor situation for the skilled technical manpower in the 1950s to show that how the internal production capacity had dramatically changed since the Korean War. “A Register of Textile Engineers and Technicians,” published by the Korean Textile Association in 1954 is used to analyse the properties for the skilled technical manpower. The main findings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gister” contains 139 people working for Chosun Textile Co.. Their average age was 39.1 years and the 79.1 percent of them graduated elementary school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14.9 years. The average age and working experience were relatively higher, but their education levels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technicians. Second, since the Korea’s independence in 1945, the proportion of Chosun Textile Co.’s technicians in charge of textile production had become smaller and their work experience had decreased, but the number of general-purpose technicians had increased. Third, there had been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technicians since the Korean War, even though there had been little change in other main factors such as production facilities, equipment, etc.

      • KCI등재

        일제하 대규모 면방직 공장의 조선인 고급기술자 연구

        Moon Seok Seo (徐文錫) 한국경영사학회 2003 經營史學 Vol.32 No.-

        This article studied about the Korean Technicians of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ies the period from 1910s to 1950s. This Factories were Kyungsong Spinning Company, Chosun Spinning and Weaving Company, Oriental Spinning Company(Inchon & Kyungsong), and Ganebo Spinning Company(Chonnam & Kyungsong). The total number of the Korean Technicians were 16. Out of these people 13 technicians majored in textile field. And most of the Korean Technicians graduated their schools from 1920s to 1930s. The number of Korean Technicians who graduated from Higher Industrial School(高等工業學校). The number of Korean Technicians who graduated from Industrial Co11ege(工科大學) was 3 and in the case of University(大學) it was 3. The Korean Technicians worked in same factories(4), different factories(2), association(2), Political & official fie1d(2), and academic field(l) after Liberation. They were the subject in vested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ies. And They are adapted to new circumstances and operated a system.

      • KCI등재후보

        해방 이후 한국 면방직산업의 수출체제 형성

        서문석(Moon seok Seo) 한국경영사학회 2009 經營史學 Vol.50 No.-

        1950년대 후반 전후 복구를 끝내고 원조중심의 경제운용이 한계를 드러내었다. 이에 수출을 통한 지속적 발전을 구상함으로써 한국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의 출발점이 되었던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당시 전후 복구과정, 대외원조 수혜 측면에서 가장 대표적인 산업이었던 면방직업계가 축적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 제시 이전에 이미 대외수출을 모색하고 이를 실현함으로써 1960년대 본격적인 섬유수출의 기반을 형성했던 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1950년대에 일부 업종에서 스스로 수출체제를 형성하여 수출주도형 성장정책을 견인해 내었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한국 경제발전의 자생성(自生性)을 드러내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모형은 1950년대에 이미 자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국내의 산업적 연관보다는 원조국의 필요에 의해 과잉 확대된 면방직산업 같은 분야에서 먼저 발생되었다. 둘째,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모형은 위로부터 일방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상호교류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다. 지금까지의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모형은 정부의 기획과 강력한 집행에 의해 강제된 것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더 직접적으로는 업계의 실제적인 이해관계에 의해 형성되었고 이것이 정부에 전달되면서 구체화되었으며 이것을 다시 업계가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전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셋째, 지금까지 소위 ‘불임의 시대’라고 불리던 1950년대 한국경제의 역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50년대의 한국경제는 1960년대 경제성장의 前史로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전쟁의 폐허위에서 원조경제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본격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걸음을 내딛고 있었던 시대였던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formation of exports in cotton textile industry in Korea after the liberalization in 194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 export-led development started to proceed spontaneously in some industries in the 1950s. The establishment of a spontaneous export-led development is attributed to the excess production of cotton textile beyond the size of domestic market. Due to economic aid, especially, the excessive expansion of production capacity happened significantly in such an industry, rather to meet the aid countries’ need than to enhance domestic industrial association. Second, the export-led growth in Korea was established not only by unilateral governmental drive, but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It has been emphasized that the export-led growth of Korea was due to governmental planning and strong enforcement. However,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exports established for realistic business interests, the government responded with relevant policies, and then firms used them to promote further. Finally, this study confirms dynamics of Korean economy in the 1950’s which has been called ‘era of sterility’. The decade was not merely a period preceding the growth miracle in the 1960’s, but an era in which Korean economy took a substantial step toward economic growth while tiding over limits of aid-receiving economy in the ruins of the Korean war.

      • KCI등재

        1960년대 대표적 귀속기업체, 조선방직 부산공장의 몰락

        서문석(Moon-Seok Seo) 한국경영사학회 2011 經營史學 Vol.59 No.-

        본 논문은 한국의 경제성장과정에서 불하된 귀속기업체의 의미를 대표적인 귀속기업체인 조선방직 부산공장을 통해 검토한 것이다. 즉 불하된 귀속기업체가 한국경제성장에 직접적인 기반이 되었다는 기존의 논의가 과연 타당한 것이었는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조선방직 부산공장의 해방 이후 변화과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방직의 관리는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강일매에게 불하되는 과정과 그 이후에 나타났던 여러 가지 문제는 조선방직의 기업 내부적 역량을 크게 훼손하는 것이었다. 셋째, 생산현장에서는 식민지기에 제작된 노후설비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생산성이 하락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식민지기의 모습을 가장 완벽하게 유지하고 있던 조선방직 부산공장은 한국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끼치지 못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일제에 의한 식민지 경험이 귀속기업체의 존속과 불하라는 과정을 통해 한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끼쳤다는 주장에 대한 하나의 反例이다. 귀속기업체도 환경 변화에 대한 적절한 혁신이 필요하며 이에 실패할 경우에는 몰락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생존의 조건이 된다는 것을 귀속기업체의 경우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귀속기업체의 존재와 불하를 한국의 경제성장과 직접 연관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vested companies which are sold from the government in process of Korean economic growth with Chosun Spinning Co. (Busan). According to previous opinion, those vested companies served as direct foundation of Korean economic growth. This paper prove the validity of this opin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osun Spinning Co. seems to be under relatively good management. Second, several problems happened in the process of and after the disposal to Il-Mae Kang damaged severely the internal power of Chosun Spinning Co. Third, the use of worn-out facilities from colonial period in Chosun Spinning Co. is attributed to the decline in productivity of the factory.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s that Chosun Spinning Co. which maintained its colonial state did not exert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korean economic growth. It is a counterexample to assertion that colonial experience under Japanese rule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upon the korean economic growth through the process of subsistence and disposal of vested companies. Vested companies also need for proper innovation in facing changing situation. But if they fail, they were forced to fall. Therefore, proper management of changing situation is confirmed as a condition for survival. The subsistence and disposal of vested companies must not be taken as positive influence on Korean economic growth.

      • KCI등재

        美軍政期 綿紡織産業의 發展

        서문석(Moon-Seok Seo) 한국경영사학회 2021 經營史學 Vol.97 No.-

        본 연구는 해방 직후 미군정기 면방직산업의 발전 상황을 검토하여 식민지경제체제가 와해된 직후 미군정의 산업정책과 업계의 활동이 산업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1945년 8월 15일 식민지경제체제가 와해되면서 남한에서는 원료와 부품의 수입이 단절되었고,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군정은 시장경제질서를 중심으로 하는 미국식자본주의경제체제를 구축하여 경제적인 안정을 달성하려고 했다. 미군정은 면방직산업을 관리할 조직으로 공업국 방직과를 설치하고 섬유관련업무 전반을 관장하도록 했다. 그리고 면제품의 공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부품 및 기료품과 원료를 수입했다. 또한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가격 및 생산을 통제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면방업계에서는 생산의 재개를 위해서 노력했다. 수입된 원면으로 원료 부족문제를 해결하였고, 일본에서 수입된 부품과 기료품으로 설비를 정비하여 설비규모를 늘리고 가동률도 높였다. 원면과 부품, 석탄과 전력 등의 반복되는 부족에도 불구하고 불구하고 생산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이렇듯 미군정기 면방직산업은 미군정의 관리조직 구성과 면제품시장 형성에 힘입어 재건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설비를 정비하여 생산을 확대하려는 업계의 노력에 의해 발전의 기반을 구축했다. 물론 미군정의 정책은 점령지역의 원활한 통치를 위해 단기적으로 경제적 안정을 추구한 정책이었으며, 면방직업계의 노력은 미군정의 정책을 활용하여 자본을 축적하고자 하는 민간의 대응에 불과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미군정과 업계의 대응과정에서 면방직산업은 일정수준의 재건을 할 수 있었고 한국전쟁 이후 시기 발전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otton textile industry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regim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o understand how the industrial policie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activitie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fluenced industrial development. The U.S. military government imported parts and raw cotton to supply more cotton products. In addition, the U.S. military-controlled prices and quantities to stabilize the market. Cotton textile industries also made efforts to effectively utilize raw cotton and parts. As such, the U.S. Military Government’s cotton fabric industry laid the foundation for reconstruction thanks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s organiz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cotton fabric market. In addition, the cotton textile industry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attempting to resume production through facility reorganization. Of course,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a policy that pursued economic stability for smooth governance, and the cotton textile industry’s efforts were merely private efforts to utilize the U.S. military government’s policies. However,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such government and industry, the cotton textile industry was able to rebuild to a certain level and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after the Korean War.

      • KCI등재

        1960년대 이전 면방직공장의 기능자 양성과정 연구

        서문석(Moon-Seok Seo) 韓國經營史學會 2014 經營史學 Vol.71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the skilled cotton textile technicians listed on the “A Register of Textile Engineers and Technicians,” published by the Korean Textile Association in 1954. The main findings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gister” consists of 643 male workers. 584 workers of them can be classified into the skilled labors, The average age of the skilled workers is 37.7 years old,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is 15.7 years. 74.1 percent of them ar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85 percent of them are between 30 and 49 years old and 51 percent had started to make their career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econd, 68 technicians had received regular school education before entering the factories, and 58 of them graduated or dropped out the technical school.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enrolled in “Government Kyung Sung Technical School” or “Kyung Sung Public Technical School”. Their curriculum provided rudimentary technical education centered on the hands-on training. Finally, 516 people, or 88 percent of total 643 male workers in the “Register”, had been trained as the technical labor after joining their factories. They mainly took charge of assisting operation, organizing and cleaning work place, repairing and assisting maintenance for facilities. Carrying out their duties, they had been nourished as the skilled labor through the implicit knowledge passing down. These results of the paper show that the implicit knowledge transfer and training programs in the working site had been playing important roles in nourishing the skilled labor. In particular, these methods for cultivating the skilled workers were more important in the cotton textile industry because the general-purpose skills and skilled labor were mainly needed in this industry. Therefor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in 1960s, instead of the implicit knowledge passing down and imformal training programs,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nourishing skilled labor had been seriously required to achieve economic growth by developing new technology and moving into new industries. 본 논문에서는 방직기술자 및 기능자 명부 에 수록된 기능인력을 통해 1960년대 이전 면방직 공장에서 활동하던 기능인력의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부에 수록된 643명의 남성 중에서 기능인력으로 분류될 수 있는 584명의 평균 연령은 37.7세이며 평균경력은 15.7년, 학력은 전체의 74.1%가 국민학교 졸업이었다. 이들의 85%는 30대와 40대였으며, 51%가 제2차 세계대전 기간부터 경력을 쌓았다. 둘째, 입사 이전에 공업관련 정규교육을 받은 68명의 기능인력 중에서 58명이 공업학교 졸업이나 중퇴 학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官立京城工業學校’나 ‘京城公立工業學校’를 졸업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교과과정은 주로 실습 위주의 기초적인 공업교육에 한정되었다. 셋째, 643명의 남성기능인력 중에서 입사 이후에 기능인력으로 양성된 경우가 전체의 88%를 차지하는 516명이었다. 이들은 입사 이후에 주로 설비를 담당하는 부서에서 보조, 청소, 수리 보 조, 수리 등의 업무를 맡으면서 암묵적 지식의 전수를 통해 숙련인력으로 양성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확인한 시사점은 첫째, 1960년대 이전 현장에서는 입사 이후에 이루어진 암묵적 지식의 전수와 이를 통한 숙련화 과정이 기능인력 양성의 중요한 경로가 되었다. 범용기술과 숙련노동을 위주로 하는 면방직공업에서는 이런 현상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신기술과 신산업부문 진출을 통하여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암묵적 지식의 전달과 기능의 숙련을 넘어설 수 있는 기능인력의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양성이 절실 했다. 뿐만 아니라 교육제도 개편 등을 통한 기능인력의 양적 확대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 KCI등재

        口述資料로 본 1950年代 綿紡織工場의 技能者 硏究

        서문석(Moon-Seok Seo) 韓國經營史學會 2014 經營史學 Vol.69 No.-

        본 연구는 1950년대 면방직공장의 생산현장에서 설비를 가동하며 생산을 주도했던 기능자들의 작업장 내에서의 환경과 생산과정에서의 활동상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기능자들은 주로 기계 설비를 유지하고 보수하는 부서에 배치되었으며 실습, 연고, 추천 등을 통해 공장에 입사하였다. 둘째, 기능자들은 출근 후 조회에서 작업지시를 받았으며 별도의 내부교육 없이 청소, 보조, 수리, 설치 등의 업무를 담당하면서 숙련공으로 양성되었다. 셋째, 기능자들은 외부의 도움 없이 6.25전쟁의 피해설비를 해체하여 정비하고 설비를 재생하여 생산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기능자들은 오전, 오후에 각각 10분씩에 불과한 휴식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자신이 준비해 온 점심을 먹으며 12시간 노동을 견디어야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확인한 시사점은 첫째, 1950년대 기능자들이 형성했던 기술체계는 기술인력의 공백상태를 해소하면서 자립적으로 공장을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의 기반이 되었다. 둘째, 기능자들은 전후 복구 과정에서 공장의 설비를 부설하고 가동시키는 등 기본적인 기술 수준을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기능자들은 생산현장의 경험을 기반으로 기술을 축적했으며 이런 과정에서 한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역량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echnicians who were actually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site of inside the factory,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the environments in the workplace and activities in the produc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 technicians were assigned to the department, where they were usually to maintain and repair plant and machinery. Among workers with technical education, on-the-job training gave them mor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Others were hired through their connections or recommendations. Second, looking at the technicians’ activities, because most of them worked from 6 am to 6 pm, they reported to work at 5:30, put on their working clothes, and took work order in a morning meeting. Since there was no any special in-company education, they took charge of cleaning, helping, fixing, installing, etc., they became high level skilled worker. Third, After Korean War, they played leading role in recovering the destroyed equipment. They disassembled and repaired the damaged and installed them in order to restore the production facility. Technicians are highly skilled technical manpower which repair and operate plant and machinery in production sites. Following orders from engineers, at the working place they virtually maintain, repair, and operate plant and equipment. Therefore, as the skilled technicians, they play a vital role in the production procedure in the cotton textile industry.

      • KCI등재후보

        현암 김종희의 창업과 한화그룹의 형성

        서문석(Moon seok Seo) 한국경영사학회 2009 經營史學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기업을 창업하고 발전시킴으로써 한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기업과 기업가의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 대상으로 한화그룹의 창업자 현암 김종희를 중심으로 한화그룹의 창업과 그룹으로의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암 김종희는 한국화약주식회사를 창업함으로써 자신이 속했던 분야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전문화했다. 둘째, 현암 김종희는 한국화약산업 발전에 대한 신념과 책임감을 가지고 한국화약산업의 발전을 주도했다. 셋째, 현암 김종희는 국가의 기간산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다각화하여 자신의 ‘사업보국’이라는 경영철학을 실현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현암 김종희는 해방과 한국전쟁의 어려움 속에서 기업을 창업하고 성장시켜 한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적극적으로 기여했던 한국의 대표적인 창업자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주어진 환경을 활용하여 경제성장에 기여했던 한국의 기업가들이 한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을 설명할 수 있는 내생적 요인의 일면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case of the private entrepreneur and business which had led economic growth of South Korea since Korea was freed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Korean War.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hong-Hee Kim who was a founder of Hanwha business group and assess his business achievement. Especially I focus on his commencement and a process of formation as a business group. I find that: (i) Chong-Hee Kim’s establishment for Korea Explosives Co. is a classic case of specialization in his field of industry with continuous concern; (ii) it can be said that Chong-Hee Kim had led the growth of Korean chemical and gunpowder industry with a great convic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conomy; (iii) Chong-Hee Kim believed that his business had to dedicate to the national economy and he achieved this philosophy on management by business diversification based on basic industries. From this research, I find that Chong-Hee Kim was one of the distinguished representative entrepreneurs in South Korea. Although he started his business under the worst of economic condition after independence and the Korean War, he had prospered in his business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rapid economic growth. In conclusion, rapid growth of Korean economy can be partly explained by entrepreneurs who commenced and successfully developed his own business under the severe economic condition.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ese entrepreneurs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endogenous factors for economic growth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