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백성’ 신학에 관한 연구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두고 라너(K. Rahner)는 “교회에 관한 교회의 공의회”라 말한다. 이는 교회 역사상 어떤 공의회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처럼 교회를 전체적 주제로 삼지 않았고, 교회의 개념을 그 구성원의 상호결합으로 부터 시작하여 인류 전체로 발전시키지 않았으며, 엄격한 의미에서 사목적 행위를 교의적 진술의 원리로 삼지 않았다는 말과 부합한다. 이러한 교회에 관한 총체적 숙고를 거쳐 이 공의회가 새롭게 인식한 교회상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이다. 이 ‘하느님의 백성’ 개념은 무엇보다 교회의 모든 구성원, 교계제도와 평신도가 각각 고유한 은사와 임무를 지니고 진정한 평등성 속에 전체로서의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다고 이해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L.-J. Suenens)이라 칭할만큼 획기적인 교회상인 이 ‘하느님의 백성’은 종전까지 교회가 얼마나 엄격한 신분구조와 제도적 개념에 묶여있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교회 구성원의 평등성은 교회가 지향하는 목표의 시발점이어야지 결코 종착점이어서는 안 된다. 하느님의 백성의 본질을 이루는 것은 이 백성이 새로운 메시아의 백성이라는 것이다. 곧 그리스도로부터 불리어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지고 그리스도로부터 파견되어 그리스도를 좇으며 그리스도를 살아가는 무리이다. 그런 까닭에 이 공동체의 생성과 발전과 실존의 원리는 그리스도의 직무이며, 그리스도의 직무(왕직, 사제직, 예언직)에의 참여와 실행이 ‘하느님의 백성’ 개념의 본질이며 핵심이다. 본고는 ‘교회는 하느님의 백성’이라는 말의 본질을 오늘날 제대로 이해하며 살고 있는지를 반성하며, ‘하느님의 백성’에서 참 교회와 인간 실존의 구상과 전망을 발견하고, 그 실현이 구체적으로 하느님, 인간, 세상에 봉사하는 그리스도의 직무 실행에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이 직무의 실행에서 교회의 교의와 사목이 상호침투 되어야 하는 것도 중요하게 살핀다. 결국 교회가 지향하는 ‘하느님과의 깊은 결합과 모든 인간의 일치’ 안에 하느님의 백성은 구원의 성사로서 존재하고, 그 안에 인간의 진정한 인간화의 길 또한 들어있다. “The People of God” is the kernel concep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ecclesiology and the broadest idea concerning the church. It means this council that is called “the Council of the Church about the Church”(K. Rahner), has a new understanding of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he church, the identity and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he mission and the aim of the church through the general consideration for the church. Thus the People of God is a newly conceived image of the church in this Council. Primarily, this Council regards all the members in the church as parts of the whole, each having his own gifts and duties and being equal to one another under this concept, “the People of God.”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the People of God, namely one church as the whole that is comprised of the hierarchy and the laity in true equality. That “the People of God” was an epoch-making image of the church that wa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L.-J. Suenens) shows clearly the church was tied to the strict constitutions of ranks and institutional notions. However, this equality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should be the starting-point of the aim of the church, never the aim itself. In the essence of the People of God, there is the concept that this people are the new Messianic people. That is, a group of people that is called by Christ, is founded by Christ, is sent from Christ, follows Christ and lives for Christ. Therefore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the development an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is the Offices of Christ. The Offices of Christ are the duties of this people and th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of the three Offices of Christ i.e. Prophet, Priest and King are the quintessence and kernel concept of the People of God. This treatise reflects on whether people correctly understand and perform the word, the “Church is the People of God” that is so well known today that it almost sounds banal, and then finds the concept and the prospect of the tru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of the human being in the People of God, and lastly clarifies that the realization of them depends on execution of the Offices of Christ which serve God,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is paper also examines that the mutual penetration of Dogma and Pastoral of the church is very important in the performance of these Offices. Finally, the People of God exist as the sacrament of salvation in “a very closely knit union with God and of the unity of the whole human race”, namely, the aim of the church, and the way of the tru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s also to be found in it.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 안에 여성적 관점이 있는가?: 공의회 그리스도론 안의 페미니즘과 휴머니즘의 상보성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4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이전의 공의회들과 다른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인간과 세상을 향한 교회의 개방과 인간과 세상을 위한 교회의 실존이라 할 수 있다. 곧 오늘날의 세상과 인간들이 처한 상황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과 대화하며 교회의 소명과 과제를 인식하고자 한 것이다. 그렇다면 공의회의 이러한 의도는 자연히 그리스도교가 세상과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또 이해해야 하는지와 직결된다. 그런데 이 세상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바로 인간이다. 인간, 남자와 여자인 것이다. 인간은 본래 이렇게 남자와 여자 둘로서, 이미 복수 형태로 다원적 관점과 역사적 관련 안에 놓인 존재이다. 그리고 그 인간은 바로 하느님에 의해 하느님의 모습으로 창조되었다. 따라서 양성 모두 하느님의 모상성을 온전하게 지니고 있다. 이는 그 자체로 남성과 여성 모두가 하느님의 모상성을 기초로 동등한 인간적 품위와 존엄성, 동등한 권리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이다. 문제는 이 원초적 진리가 교회와 세상 안에서 그대로 받아들여져 실행되고 있는가이다. 곧 교회가 ‘성별의 새로운 질서’와 관련하여 성찰, 숙고하고 그리하여 기본 원칙을 세우는 일은 언제든 필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제기를 시발점으로 하여, 바로 이러한 성별(性別) 문제를 바탕으로 발전한 공의회 그리스도론을 토대로, 공의회의 여성에 대한 이해와 인간 양성(兩性)에 대한 입장을 페미니즘과 휴머니즘과 관련하여 탐구한다. 공의회는 성의 새로운 질서에 관한 숙고를 단순히 양성의 동등성의 차원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全)인간적 실존과 인간의 자기완성과 관련하여 총체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결국 이 연구의 관건은 (페미니즘 옹호가 아니라) 인간의 전체성의 실현 또는 전인간적 자기실현에는 양성의 관점이 모두 들어가 있다는 것, 따라서 그동안 인류사와 교회사 그리고 신학 안에서 배제되어 있던, 또는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여성적 관점이 회복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인간의 온전한 자기실현의 필연적 토대임을 밝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공의회 그리스도론은 여성적 관점을 담고 있으면서, 페미니즘과 휴머니즘의 상보성을 통해, 새 인간 예수 그리스도가 실제 삶으로써 보여준 새로운 휴머니즘, 모든 인간의 참인간화의 과정을 바로 인식하여 그것을 교회와 세상 안에서 살아가도록 돕고 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th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differs from the previous councils is the openness of the church to human beings and the world and the existence of the church for human beings and for the world. In other words, it attempt to pay attention to today’s world and the situation that human beings are facing, to communicate with them, and to recognize the vocation and task of the church. Then, this intention of the Council is naturally directly related to how Christianity understands and should understand the world and humanity. However, it is humans that form the basis of this world. It’s a human being, a man and a woman. Humans are originally two, man and woman, already placed in plural form within plural perspectives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And the human being were created by God in the image of God. Therefore, both sexes have completely the image of God. This in itself means that both man and woman have equal human dignity and equal rights on the basis of their creation in the image of God.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original truth is accepted and practiced as it is in the church and in the world. So reflection on the ‘new order of gender’ and the establishment of basic principles are becoming a necessary task of the church. This treatise explores the Council’s understanding of women and its position on the humanity of both sexes in relation to feminism and humanism, based on the Council"s christology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se gender issues, taking this issue as a starting point. The Council does not simply confine the consideration of the new order of sex to the dimension of gender equality, but looks into the whole human existence and the self-completion of the human being. Finally, the key to this study is to clarifies that the realization of human totality or all-human self-realization (not the advocacy of feminism) contains both perspectives of both sexes, therefore the feminine perspective, that has been excluded in human history, church history and theology, or that was not yet recognized, must be restored, and that it is the inevitable basis for the full self-realization of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he christology of the Council contains a feminine perspective, and through the complementarity of feminism and humanism, it recognizes the new humanism that the new human being, Jesus Christ showed through his real life, the process of real humanization of all human beings, and helps them live in the church and the world.

      • KCI등재

        하느님의 육화와 인간의 인간화: 그리스도인의 성탄절 이해와 실존에 관한 연구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9

        하느님의 육화는 그리스도교의 중심 교의이다. 그것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전제이자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인 계시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말씀,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그 계시의 내용이며 중개자이고 완성이기 때문이다. 이 예수 그리스도,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탄생을 축하하고 기리는 축제가 바로 성탄절이다. 이 축제의 중심에는 인간을 구원하기 위하여, 하느님이 인간이 되셨다는 신앙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육화의 축제에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곧 우리가 신앙하는 현실의 중심이 있다. 왜냐하면 이 육화의 축제에서만 하느님의 신비가 인간에게 열리고, 인간이 신적인 본성에 참여하는 구원의 신비가 인간에게 약속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2000년 전,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그 가난한 아기가 (인간이 되신) 하느님이며 우리를 구원할 구세주라는 성탄 메시지를 오늘의 그리스도인이 순전히 교리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체험하는가이다. 본고는 이에 따라 특별히 현대 일반 사회에서도 주목할 만한 중요한 축제인 성탄(절)의 신비와 의미는 본래 무엇인지, 그것이 복음서와 교회의 교의와 의식 속에 어떻게 나타나고, 그것을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여 자신의 삶 속에서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국 성탄절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결정적 의미는 인간의 인간됨의 축제인 것에 있음을 밝힌다. 곧 성탄 축제의 중심에 있는 하느님의 인간됨이 인간의 인간화의 원형(原形)이 되는 것이다. 바로 성탄절에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이 인간이 되신 그 삶을 기뻐하고 축하하며, 그리스도인 자신도 기꺼이 그 삶을 살아갈 것을 메시지로 듣는다. 하느님이 인간이 되신 것을 우리가 축하하는 이유는 하느님이 인간이 되심으로써 참되고 완전한 인간 모습의 원형을 알게 됨과 동시에, 그렇게 하느님이 실제로 살고 보여 주신 바로 그 인간에 이를 때 비로소 우리가 구원에 이르게됨을 깨닫고, 삶의 방향을 바로 찾게 되는 것에 있다. 결국 하느님의 육화는 동시에 인간의 참인간화의 표상이다. 그런 점에서 오로지 그것, ‘인간의 인간화’가 성탄절에 하느님의 육화 안에서 그 원천에서부터 인식되고 실행되어야 할, 그리스도인의 지상(至上) 과제이자 목표일 것이다. The Incarnation of God is the central dogma of Christianity. It is also the basis of the revelation which is the premise of Christian faith and the foundation of Christian theology. This is because the Word of God who became a human being, Jesus Christ, is the content, the intermediary and the completion of revelation. Christmas is the feast that celebrates and honors the birth of Jesus Christ, God who became human. At the heart of this feast is the belief that God became human in order to save humanity. Therefore, in this feast of the Incarnation, there is the center of the reality in which we live as Christians. Only on the feast of the Incarnation God’s mystery is opened to human, and the mystery of salvation, in which man participates in the divine nature, is promised to human. The question is whether today’s Christians who know the doctrine about the Incarnation but do they actually experience the Christmas message that the poor baby who was born in Bethlehem 2,000 years ago, is God (who has become human) and the savior who will save u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mystery of Christmas, which is an important festival that is especially noteworthy in modern general society. We look at how it appears in the Gospels, dogmas and rituals of the church, and how Christians can understand and recognize it and actually realize it in their own lives. And through this process, it finally clarifies that the most decisive meaning that Christmas gives us is that it is a feast of th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n other words, the Incarnation of God is at the center of the Christmas Feast and it becomes the original form of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On Christmas Day, Christians rejoice and celebrate God becoming human and they hear the message they themselves are willing to live that life. The reason why we celebrate the Incarnation is that we become aware of the true and complete archetype of the human being and at the same time, we realize that we will be saved, when we reach the very human being who God actually lived and showed us, and to find the right direction of our life. Finally, the Incarnation of God is at the same time a symbol of the tru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n that respect, th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will be the supreme task and goal of the Christian, which should be recognized and implemented from the source of the Incarnation of God, which the christians celebrate at Christmas.

      • KCI등재

        가난과 정의와 복음화에 대한 기초신학적 고찰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4

        교회의 정체성의 실현은 세상의 복음화에 있다. 세상 안에서 하느님 나라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를 이루어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의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그러면 현재 세계 도처에 실재하며 간과할 수 없는 다수(인류의 3분의 2)의 생존을 특징짓는 가난과, 그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의가 단순히 사회적, 정치적 문제인지, 아니면 그 이상의 신학적, 인간학적 문제이며 나아가 교회 존재의 의미와도 직결되는지 숙고하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교회와 신학에서 가난은 성서적 권고와 가르침(마태 19,21 참조), 그리고 그리스도론적 숙고(참조: 필리 2,6-7; 2코린 8,9)를 근거로 모든 시대를 관통하여 중요한 주제이며 비판적 물음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현시대에 어쩌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 가난과 정의가 올바른 사회의 공동선에 관한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교가 지향하는 인간의 해방(구원) 곧 인간화와 함께 복음화의 근간이 되는 문제이자 요구임을 기초신학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가난과 정의는 무엇보다도 교회의 임무와 파견 그리고 본질과 관계하는 것이며, 그것의 근거는 바로 교회 창립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정의에 있다. 결국 가난과 정의를 바탕으로 한 복음화는 우리가 신앙하는 나자렛의 가난한 이, 예수의 삶과 존재 자체에 근거를 둔 것이기에 그것의 실행 역시 예수가 실제로 행한 것을 따르는 것 외에 다른 길은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가난과 정의의 실행은 그것에 관심 있는 여느 개인이나 단체의 일이 아니라, 교회 본연의 소명이자 본질이고 의무이다. 곧 그리스도인 모두가 참여해야 하는, 그리스도인 실존에 해당한다. 따라서 복음화의 진정한 의미에서 예수와 그리스도인의 가난과 정의는 복음화의 필수요소이다. The realization of the church’s identity can be found in its mission of evangelizing the world, which means to achiev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If so, we have to reflect on what it means to achiev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and to do so, most of all, we need to face the reality of the world where human live. Only with that reflection done, it becomes possible to question if the poverty that exists in all parts of the world today and characterizes the existence of the majority of the people(at least 2/3 of mankind) and the justic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it are mere social-political problems or, more deeply, th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at question, we could find the way how the church and Christians should act. In fact, poverty has long been the important issue that needs critical inquiry within the church and theology through all the generations with biblical admonitions and instructions(Mt 19:21 cf.) and christological reflections(Phil 2:6-7; 2Cor 8:9 cf.). This treatise fundamental theologically clarifies that poverty and justice, which can be said to have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re not an issue that is limited to the sphere of the common good of the right society but an issue that is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liberation(salvation) of human being that Christianity aims, namely humanization and evangelization. Poverty and justice are related to the duty, mission and essence of the church and the basis of which can be found in the poverty and justice of Jesus Christ, the founder of the church. After all, since the evangelization which should be based on poverty and justice is after the life and existence of Jesus, himself a poor man from Nazareth, in whom we believe, the performance of it should be based on no other than the doing of Jesus.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poverty and justice is not a task of an individual or a group that is interested in it, but is the calling, the essence and the duty of the church. That is, it concerns the existence of Christians, in which all Christians should take part. Thus, in the true sense of evangelization, the poverty and the justice of Jesus and Christians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evangelization.

      • KCI등재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유학생의 비교

        서명옥(Seo Myungok),강윤심(Kang Yunsim),최보영(Choi, B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유학생간의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282명과 해외 대학에 재학중인 한국인 해외유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12월에 걸쳐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조사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유학생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지지, 자기격려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관계를, 학업소진과 우울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국내 대학생은 자기격려가 한국인 해외유학생은 사회적지지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고, 우울과 학업소진은 두 집단에서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학업소진, 우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terms of social support, self-encouragement, depression, academic burnout,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address the goal, 282 Korean college students and 161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completed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019 to December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college adapta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nd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whereas academic exhaustion and depress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self-encouragement is found to exert a positive correla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hile social support has the same effect on that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Depression and academic burnout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both group 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results implies a necessity for developing a new program that helps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 KCI등재

        인간의 실존과 계시

        서명옥(Seo, My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6

        계시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전제이자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이다. 이는 그리스도교가 근본적으로 어떤 신화적 사상이나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계시에 의해 생성된 종교라는 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람이 된 하느님의 말씀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그 계시의 내용이며 중개자이고 완성임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자신을 그리스계시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전제이자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이다. 이는 그리스도교가 근본적으로 어떤 신화적 사상이나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계시에 의해 생성된 종교라는 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람이 된 하느님의 말씀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그 계시의 내용이며 중개자이고 완성임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자신을 그리스도인이라 고백하는 이는 누구나 이 계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게 된다. 계시 자체인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삶의 현실에서 이러한 계시와 인간의 실존과의 밀접한 관계를 체험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인간 실존의 내용과 계시 신앙의 내용 사이에 괴리와 단층이 존재한다면, 계시가 비록 인간의 구원을 위해 주어진 것이라 해도 인간을 겉도는 공허한 교의(Dogma)에만 머물러 있다는 말이 된다. 이는 당연히 계시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이해가 가져온 결과다. 본고는 이런 문제 제기를 시발점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 개념을 바탕으로 한 계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계시가 바로 그리스도인의 일상의 삶에서 일어나는 구체적 사건이며, 인간 실존의 내용이자 의미가 되는 사건임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을 바탕으로 밝힌다. 계시는 우선 가르침이 아니라 사건이다. 곧 인간이 통상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초자연적 진리에 대한 신적 가르침이나 교의가 아니라,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실제적이고 인격적인 자기 전달로서 인간이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 하게 되는 한 사건이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적 출현, 말씀의 육화 안에서 더할 나위 없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예수의 전 현존, 그가 말과 행위로써 보여준 모든 것이 바로 하느님 나라이며 그것은 정확히 인간의 구원을 위한 하느님의 계획이다. 곧 이 육화 사건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초월성)과 인간(의 내재성)이 서로 중개되는(K. Rahner), 하느님의 인간화와 인간의 신화(神化), 하느님의 계시와 인간의 계시가 일어나는, 하느님과 인간의 일치 사건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육화, 그리스도의 파견은 하느님의 말씀인 그를 믿으며 응답하는 인간에게 도착할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그리스도의 육화는 끊임없이 온갖 다양한 삶의 조건과 영역에서 인간 각자에게 일어나고 또 일어나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일상에서 일어나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인간의 계시 실행이요, 계시의 삶이다. Revelation is the premise of faith and the foundation of Christian theology. Firstly, it is a statement that Christianity did not naturally emerge from an innate religious disposition of human beings, but is a religion based on the revelation of an external, transcendental God. Above all, this signifies an acceptance of the Incarnate Word of God, Jesus Christ, as the substance, mediator and completion of revelation. Therefore, whoever professes to be a Christian evidently has an inseparable connection to this revelation, as salvation is found in Christ who is the revelation itself. Even for Christians, however, revelation still remains foreign and ambiguous, and can even become a cautious, difficult and unapproachable subject at times. Faced with such a dilemma, this treatise offers a correct understanding of revelation, through the the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at revelation is a concrete event which happens in the ordinary life of Christians, and is the substance and meaning of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Primarily, Revelation is an event, rather than a teaching. This is not some unapproachable divine instruction concerning supernatural truths or dogmas but a real, personal communication of God’s self to humanity which, consequently, is an event of human participation in God’s nature. The appearance of Jesus Christ as a man, the event of his Incarnation, is a specific manifestation of this reality. As a whole, the existence of Jesus together with his words and actions is an image of the Kingdom of God. Precisely, it is the manifestation of God’s divine plan for the salvation of humanity. Therefore the Incarnation signifies both the humanisation of God and an invitation for the divinisation of the human being. It is in the unity-event of God and the human being in which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the immanence of human being in Jesus Christ are really mediated(K. Rahner), and the Revelation of God and the revelation of the human being coincide. Therefore the Incarnation of Christ can be realized only after it reaches the human being who believes in Christ and responds to him, the Word of God. From this viewpoint, the Incarnation of Christ happens and must happen to all human beings constantly and in all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life. That is the performance of the revelation of the human being in Christ, which happens in the daily life.

      • KCI등재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 실존의 두 기초, 교의와 사목의 필연적-실제적 상관성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8

        그리스도교의 교회 실존의 원리는 예수 그리스도다. 곧 그리스도교는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사람들 가운데 사시는(요한 1,14 참조) 예수 그리스도를 신앙하고 그를 주님으로 고백하며 추종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는 계시 종교다. 이 예수가 자신의 전체 삶을 통해, 말과 행위로써 하느님을 드러내고 구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는 계시의 중개자일 뿐 아니라 계시의 내용이며 계시 자체이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가 그 교회의 실존 원리임은 자명하고, 교회 실존의 기초 또한 예수의 실제 삶, 곧 그의 말과 행위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 역시 명백하다. 그런데 이 예수 그리스도의 말과 행위 자체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새롭게 인식한 계시 개념과도 통한다. 곧 공의회 이전의 말(言) 중심의 계시 이해와 달리 계시에는 말(교의)뿐 아니라 행위(사목)가 함께 포함되고, 말과 행위가 밀접한 관련 속에 서로를 설명한다고 이해한다. 이 같은 계시의 역사성과 육화에 대한 심화된 이해는 결국 이 공의회에 자의식을 찾게 하면서 공의회의 포괄적인 신학적 인식 원리와 그리스도교적 행동 원리가 된다. 본고의 단초는 이러한 교의와 사목의 밀접한 관계가 교회의 사목 일선과 신학의 배움터에서 올바로 이해되고 실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반성과 함께 양자의 불가분의 필연적 상관성을 바로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성찰이다. 이에 본고는 교회 실존의 두 기초인 교의와 사목의 긴밀한 관계를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이 공의회의 계시 이해와 관련하여, 이 공의회의 총체적 실행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 그리고 인간의 실존을 바탕으로 고찰하면서 교의와 사목의 필연적-실제적 상관성을 밝힌다. 결국 교회가 그 기원을 예수 그리스도에 두고 있고, 교회의 실현 역시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위에 기초한 그리스도의 직무(왕직, 사제직, 예언직)에의 참여와 실행을 통해 일어난다는 것이 이 공의회 교회론의 근간이라면, 그것은 교회의 가르침(교의)과 인간의 구체적 실존의 내용(사목)의 불가분성을 다시금 드러내는 것이다.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in Christianity is Jesus Christ. That is, Christianity is the revelatory religion that is based on belief in Jesus Christ, confessing he is our Lord, and following him who is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among us(the human beings)”(Jn 1:14). On the ground that Jesus revealed God and indicated the salvation through his whole life, namely his words and deeds, he is not only the mediator of the revelation but also the content of it and the revelation itself. Therefore it is self-evident that Jesus Christ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in Christianity and it is also obvious that the foundations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re based on the real life of Jesus, viz. his words and deeds. And the words and the deeds of Jesus Chris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newed perception on the concept of the revela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at is, unlike the old understanding of the revelation centered on the words, this Council interprets that the revelation holds not only the words(Dogma) but also the deeds(Pastoral) and the words and the deeds explains each other in a close connection. Such historicality of the revelation an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carnation become the principal of the comprehensive theological recognition and the principal of the christian action by making the Council find self-consciousness. The motivations of this study are the reflection on whether this close relation between Dogma and Pastoral can be correctly understood and performed in pastoral fields of the church and in schools of theology, and the consideration on whether people correctly understand the necessary interrelationship of the two aspects. Therefore this treatise examines the close relation between Dogma and Pastoral as the two foundations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in connec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revela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at is founded on the words and deeds of Jesus Christ, and clarifies the necessary-real interrelationship between Dogma and Pastoral through an examination focused on the life of Jesus Christ as the center of the whole execution of Vatican Ⅱ, and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Finally, if the bases of the ecclesiology of the Council are these, namely Jesus Christ is the origin of church and the existence of church happens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offices of Christ(Prophet, Priest, King), it manifests again the inseparability between the doctrines of the church(Dogma) and the contents of the concret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Pastoral).

      • KCI등재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론’과 복음화의 상관성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90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여러 칭호(하느님의 아들, 메시아, 주님, 다윗의 자손 등) 가운데 오직 예수만이 사용하고 거론한 칭호가 있으니 곧 ‘사람의 아들’이다. 이는 예수만이 사람의 아들이 누구인지 알고 있으며, 그가 ‘사람의 아들’로 무언가를 드러내고, 알리고, 강조하고자 했음을 유추하게 한다. 우선 ‘사람의 아들’이 아람어적 기본의미로는 단순히 ‘사람’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이 칭호는 일반적으로 예수의 인간성을 주제로 이끌어 낸다. 이른바 인간적 본성만이 아니라, 하늘과 땅, 하느님과 세상,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포괄하는 인간적 실존을 주제로 만든다. 따라서 이 인간적 실존은 전체적 의미를 담고 있고, 또한 그것이 예수가 자신과 사람들을 동일시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예수가 이 칭호로 사람들과 연대하고 일치하여 실현하고자 한 것이 하느님 나라이며, 사실 그 나라를 이룰 하느님 백성의 집결과 하느님 나라의 건설, 곧 복음화가 예수 삶의 유일한 목표였다. 그렇다면 그것을 가능케 하는 사상적 토대는 무엇일까? 바로 역사상 실재한 예수의 삶 자체가 신앙의 그리스도의 근본이 됨을 밝히는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론’일 것이다. ‘사람의 아들은 섬기러 왔고, 모든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마르 10,45 참조). 곧 모든 이들의 해방과 구원을 위해 사람의 아들은 왔고, 그것을 위한 몸값을 자기 목숨으로 지불했다. 복음화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를 통한 모든 이들의 해방과 구원을 향한 것이라고 할 때,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론과 복음화의 밀접한 상관성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본고는 이 함축적 칭호, 예수의 ‘사람의 아들’에 대해 주목하며, 사람의 아들과 인간과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사람의 아들 예수와 사람들과의 연대와 일치를 기반으로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론과 인간의 인간적 실존과 복음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결국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론은 예수 스스로 사람의 아들의 길을 감으로 해서 우리에게도 예수의 메시지를 실행할 힘을 부여하며 동시에 제자로서의 실존가능성을 열어준다. 따라서 복음화의 길은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실존이며, 삶 그 자체이어야 할 것이다. Jesus Christ is known by many titles. For example, he is the Son of God, the Messiah, the Lord, and the Son of David, the King of Israel, the King of Jews, the prophet. Among them, however, is one that only Jesus uses and makes a subject of discussion. That title is the Son of Man. We guess that only Jesus knows who the “Son of Man” is and Jesus wanted to prove, communicate, and emphasize something by using this title. First, the “Son of Man” simply indicates ‘man’(human being) in Aramaic. This title makes the human existence of Jesus not only human nature, but also the human existence that comprises heaven and earth. God and the worl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major themes. This human existence encompasses everything and enables Jesus to identify himself with human beings. By using this title Jesus hoped to join and unite himself with people (human beings) and realize the kingdom of God together with them. Gathering the people of God, who will form this kingdom, and building this kingdom through evangelization were the only aims of Jesus. Then, what is the foundation of this thought that can realize this evangelization? It will be the Son of Man-Christology which is relevant to the notion that the life of the historical Jesus leads to the Christ of faith. “For the Son of Man also came not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of all.”(Mk 10:45 cf.). In other words, the Son of Man came for the liberation and salvation of all and he paid this ransom with his own life. When evangelization is for the liberation and salvation of all,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n of Man-Christology and evangelization becomes self-evident. This treatise looks at the title “Son of Man” and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 of Man, Jesus, and people (human being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n of Man-Christology, human existence, and evangelization on the basis of solidarity and unity between Jesus and people. Finally, the Son of Man-Christology empowers us to put into practice the message of Jesus and to live our existence as his disciples, since Jesus, himself, goes the way of the Son of Man. The way of evangelization should be the life and purpose of existence for those who follow Christ.

      • KCI등재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상담자 소진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조절효과 : Moderationg Effect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Counselor Burnout

        이연(Yeon Ok, Lee),김옥진(Ok Jin, Kim),서명옥(Myong Ok, Seo),최보영(Bo Young, Choi)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1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이 상담자 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담자 241명을 대상으로 수퍼바이저의 지지, 상담자 소진, 역전이 관리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상담자 소진 및 역전이 관리능력과 상담자 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은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의 상호작용 효과는 상담자 소진에 유의하였다. 즉, 역전이 관리능력이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upervisor s suppor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ffect counselor burnout, and to verify whether the effect of supervisor s support on counselor burnout is controlled by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41 counselors nationwide about supervisor s support, counselor burnou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The main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pervisor s support and counselor burnout were negatively correlated. Also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counselor burnout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supervisor s suppor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have a static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supervisor s suppor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for counselor burnout was significant. Thus, it was verify that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counselor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guent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