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6-8세 천식 환아에서 △FVC(메타콜린 PC<sub>20</sub>에서의 강제폐활량의 감소율)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의 관계

        서동인,유진호,유영,김도균,강희,고영률,Suh, Dong In,Yu, Jinho,Yoo Young,Kim, Do Kyun,Kang, Hee,Koh, Young Yul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0

        목 적 : 기관지 과반응성은 천식의 주된 특징이다. 또한 천식 환자에서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의 농도가 증가되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의 농도와, 기관지 과반응성의 대표적 지표인 메타콜린 $PC_{20}$과의 관계에 대해서 결과가 다소 상반되는 여러 보고가 있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의 농도와 기관지 과반응성의 또다른 지표로서 최대 기도 반응을 반영하는 ${\Delta}FVC$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 6-8세 천식 환아 109명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 및 메타콜린 기관지 흡입 유발 시험을 시행하였다. 개개의 환자로부터 메타콜린 용량 반응 곡선에서 ${\Delta}FVC$ 및 $PC_{20}$을 계산하였다. 이들의 혈액 내 총 호산구 수 및 혈청 ECP 농도를 측정하여 ${\Delta}FVC$ 및 $PC_{20}$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혈청 ECP는 ${\Delta}FVC$(r=0.217, P=0.023) 및 $PC_{20}$(r=-0.208, P=0.030)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혈액 내 총 호산구 수는 ${\Delta}FVC$(r=0.085, P=0.378) 및 $PC_{20}$(r=-0.148, P=0.125)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Delta}FVC$는 $PC_{20}$과도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079, P=0.417). 결 론 : 6-8세 천식 환아에서 기관지 과반응성이, 민감성 증가뿐만 아니라 최대반응의 증가라는 측면에서도 호산구성 염증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 Purpose :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BHR) is considered a hallmark of asthma. Increased level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have been identified in serum of asthma patient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ECP and bronchial responsiveness, expressed as methacholine $PC_{20}$ in asthmatic patients, with conflicting result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ECP and ${\Delta}FVC$, another index of bronchial responsiveness, which reflects increased maximal airway response. Methods : Six to 8-year-old children with asthma(n=109) underwent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ing. The $PC_{20}$ dose of methacholine and ${\Delta}FVC$ were calculated for each individual from the methacholine dose response curves. Serum ECP levels and blood total eosinophil counts were also measured. Results : Serum ECP correlated with ${\Delta}FVC$(r=0.217, P=0.023), as well as $PC_{20}$(r=-0.208, P=0.030). However, blood eosinophil counts failed to show any correlations with ${\Delta}FVC$(r=0.085, P=0.378) or $PC_{20}$(r=-0.148, P=0.125). ${\Delta}FVC$ did not correlate with $PC_{20}$(r=-0.079, P=0.417). Conclusion : Blood eosinophil activation is associated with both components of BHR including increased sensitivity and increased maximal response in 6-8 year old children with asthma.

      • KCI등재
      • 천식 소아에서 아토피 유무가 기관지확장제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동인 ( Dong In Suh ),이의준 ( Eui Jun Lee ),이지원 ( Ji Won Lee ),이주경 ( Ju Kyung Lee ),고영률 ( Young Yull K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1

        목적: 천식 소아에서 진단 및 천식 상태 평가의 도구로 사용되는 기관지확장제 반응이 아토피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보이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천식을 확진 받은 6-16세의 환자 207명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천식 진단을 위해 자세한 병력청취와 혈액검사, 피부단자시험, 기관지 유발시험을 시행받았고, 이후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측정받았다. 피부단자시험 결과로 판정한 아토피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누어 천식 진단시 시행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값을 비교했으며,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호산구 염증 지표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 검정하였다. 결과: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FEV1은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아토피성 천식군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이 비아토피성 천식군보다 더 크게 관찰되었다(9.12±5.69 % vs. 6.93±3.80%, P=0.03). 또한 천식 환자 전체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은 혈청 총 IgE (r=0.192, P=0.01), 호산구 수(r=0.192, P=0.01) 및 호산구 양이온 단백(r=0.200, P<0.01)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천식 소아는 진단 초기 안정상태에서 기도가역성 평가시 아토피 유무에 따라 기관지확장제 반응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진단 초기 천식 소아에서 천식 상태의 평가 및 대처방안 결정에 있어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참고할 경우 아토피 여부에 대한 고려가 함께 필요하다. Purpose: The bronchodilator response (BDR) is frequently measured to assess the severity of asthma and to help facilitate therapeutic decisions, as well as to confirm the diagnosis. Few reports are available on the impact of atopy, one of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childhood asthma, on the BDR.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07 asthmatic children (174 with atopic asthma and 33 with non-atopic asthm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t the time of asthma diagnosis, the subjects underwent blood tests, bronchial provocation tests, and spirometry before and 15 minutes after inhalation of 4 puffs of salbutamol. We compared the mean BDR levels between the children with atopic and non-atopic asthma, then deter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DR and serum markers of eosinophilic inflammation. Results: While the mean pre-bronchodilator FEV1 was not different between children with atopic and non-atopic asthma, atopic asthmatics had a higher mean BDR than non-atopic asthmatics (9.12±5.69% vs. 6.93±3.80%, P=0.03). There were weak,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BDR and the serum markers of eosinophilic inflammation (total immunoglobulin E, r=0.192, P=0.01; total eosinophil count, r=0.192, P=0.01; eosinophil cationic protein, r=0.200, P<0.01). Conclusion: Asthmatic children had different mean levels of BDR based on atopic status at the time of asthma diagnosis. When the BDR was assessed to aid therapeutic decisions, the presence of atop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children with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39-46]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의 심리적 친밀도

        서동인(Dong In Suh),유영주(Young Ju Yoo) 한국아동학회 1991 兒童學會誌 Vol.12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closeness between grandmothers and their grandchildren and functional aspects of grandmothers in the Korean family. 219 grandchildren,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of 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grandmothers in Korea are categorized in an institutional role characterized by status and role performance. Among social role theory, resource theory and system views, the social role theory best explained psychological closeness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 알레르기비염과 천식 소아에서의 기관지확장제 반응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

        서동인 ( Dong In Suh ),이주경 ( Ju Kyung Lee ),이진희 ( Jin Hee Lee ),고영률 ( Young Yull K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1

        목적: 기도폐쇄와 그 가역성은 천식의 주요 특징으로서 기관지확장제 반응 검사로 평가한다. 소아의 경우 기관지확장제 반응에 대한 적절한 양성 기준치가 제시되지 않아 임상적 활용에 많은 제약이 있고, 기관지과민성과의 상관관계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알레르기비염 환자에서도 하부기도의 기능장애가 관찰됨이 보고되고 있는데, 알레르기비염 소아의 기관지확장제 반응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방법: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알레르기 클리닉에 내원한 천식 환아 170명, 알레르기비염 환아 80명, 정상 대조군 59명을 대상으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시험과 기관지확장제 반응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의 95 백분위 수를 기준으로 기관지확장제 반응 양성 기준치(Cut-off value)를 설정하고 세 군의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천식 환아 및 알레르기비염 환아에서 각각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메타콜린 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20% fall in FEV1 (PC20) 그리고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1초간 강제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FEV1)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소아들의 기관지확장제 양성 기준치는 7.53%이었다. 천식환아와 알레르기비염 환아는 정상 대조군보다 높은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나타내었다. 천식환아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 메타콜린 PC20,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FEV1사이에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알레르기비염 환아에서는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FEV1사이에 연관성이 관찰되었으나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메타콜린 PC20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양성치를 제시하고, 알레르기비염 환아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정도 및 기관지과민성 지표와의 연관성을 천식환아의 경우와 대조하여 고찰하였다. 알레르기비염이 상부기도뿐만 아니라 하부기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기도기능의 한 지표인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Bronchial impairment has been observed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R) as well as asthma. Few reports exist on bronchodilator response (BDR) and its relationship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in children with AR. Methods: A total of 309 children (170 asthmatic children, 80 children with AR and 59 control subjects) were included. After conducting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and BDR tests, we compared the mean of BDR between the 3 group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DR, prebronchodilato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20% fall in FEV1 (PC20) in both AR and asthmatic patients. Results: Asthmatic children showed a higher mean BDR than those with AR or control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DR, PC20 and prebronchodilator FEV1 in asthmatic children. Children with AR also showed a higher BDR than control subjects. Though AR children with elevated BDR had lower prebronchodilator FEV1, they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DR and PC20. Conclusion: Children with AR as well as asthma demonstrated an elevated BDR a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BDR and BHR in AR subjects was not so remarkable as in asthmatic children, the elevated BDR was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airway caliber in AR patients. These results may reflect the lower airway impairment in children with AR, which suggests a close link between AR and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0;20:59-67]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편모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가족자원 및 심리적 적응

        정현숙(Hyun Sook Chung),서동인(Dong In Suh) 한국아동학회 1997 아동학회지 Vol.18 No.2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75 adolescent children of widowed or divorced single mother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oping resources, including individual, financial, social, and mother-child relational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se adolescents. After controlling background variables of the family, higher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was associated with low grade point average, mother`s high exposure to negative experiences after loss of father, low attachment to mother, and low sense of self-control. Furthermore, higher grade point average, strong attachment to mother, and high self-control in problem solving were factors predicting higher self-esteem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 resources were not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s. Discussion includ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arent-child relations were discussed with a view to enhancing family functioning of adolescents in single-mother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