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거주후평가 개선을 위한 품질기능전개의 응용에 관한 연구

        서경화 아주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모든 제품에서의 품질이란 결국 소비자, 즉 고객에 의해 결정된다. 좋은 제품일수록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잘 수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결국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이 요구를 얼마나 잘 수용하여 제품에 반영하는 가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관건이 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좋은 제품’의 생산을 위한 일차적 선결과제는 주변환경 변화에 따른 고객의 요구를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통한 실무 적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 하겠다. 건설산업 주택분야의 생산품으로서 공동주택은 우리 나라에서는 90년대 중반이후부터 이미 과반수를 넘는 주된 주거유형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따라서 사회적으로도 이 공동주택의 품질수준을 제고시키는 것은 그 의미가 크며 인간의 ‘주거’라는 행위가 미치는 모든 영향을 고려한다면 여타의 다른 산업분야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보다 품질향상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크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공동주택에 대한 품질 향상을 위한 고객의 요구가 어떻게 업계에서 수용되고 다시 제품에 반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일이며 끊임없이 지속되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는 거주자의 요구(住要求)를 반영하기 위한 업계의 노력에도 효율적이고 타당한 시스템의 구축이 절대적이라 할 것이다. 건설업 분야 공동주택 설계 공정에서는 이러한 주변환경에 대응하고자 고객의 요구를 수렴하는 여러 기법, 공정들 중의 하나로서, 공동주택 거주자의 요구(住要求)를 파악하는 과정으로 대표되는 거주후평가(POE, Post-Occupancy Evaluation)라는 기법이 범용되고 있다. 이 평가의 결과는 설계 공정의 품질향상에, 그리고 그 최종 생산품인 ‘공동주택’의 상품적 가치(품질수준) 제고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실제 이 평가 기법의 시행 결과가 설계 및 기획 실무자들에게 있어 주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거주후평가는 그 동안 고객의 요구사항(요구품질, VOC, Voice of Customer)들이 실무자들에게 품질특성(EC, Engineering Characteristics)으로 연계되지 못하는 예가 많아 그 실무 적용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온 것이 사실이며 아직까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거주후평가의 기능을 개선하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실제 실무에서의 활용에 있어 고객의 요구사항들과 품질특성간의 연계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들의 실적용을 유도하고 이의 품질향상 정도를 관리할 수 있는 보완 도구가 필요하며 또한 국내 건설업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이 보완 도구를 응용하여 실무 적용성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6 시그마(Six Sigma)의 개념과 일부 기법 중 품질기능 전개를 응용하여 거주후평가의 개선을 통한 실무의 적용성 제고를 도모 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한 일차적인 방법으로서 본 연구는 요구품질과 품질특성간의 연계 정도를 산정하는 방식을 통해 실무자가 조사된 요구품질을 품질특성으로 적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의도하였다. 그 도구로서, 품질기능전개(QFD, Quality Funcion Deployment)를 거주후평가 과정에 적용하여 실무 적용성 제고 정도를 시험하였고, 통상 이루어지는 초기 고객 의견 조사과정에는 사회과학분야에서의 조사방법으로서 발전된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발전시켜, 적용하였다. 또한 고객 만족도를 시그마(표준편차, Sigma, σ)값으로 환산하는 방식을 통해 품질개선정도 및 관리척도를 정량화, 객관화 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품질기능전개를 시행함에 있어서 국내 건설업의 특성에 따라 많은 요건 관계자가 존재하므로 품질기능전개를 시행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것 역시 고객지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품질기능전개 방식을 발전시켜 작업 속도 및 다 자간의 요건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안(3 Axes Matrix, Seo's Matrix라 지칭함)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및 실무적용을 위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주목적으로서 거주후평가의 개선을 통한 실무 적용성 제고를 다루었으며, 이 개선을 위한 도구로서 품질기능전개와 그 응용안을 거주후평가 과정에 적용하여 시험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요구사항 추출을 보완하기 위한 내용분석법과 품질수준을 정량화하기 위해 이를 표준편차 (시그마, σ)값으로 나타내는 방식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내용,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연구는 6 시그마 개념의 활용근거와 거주후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하며, 시험자료의 선정이유 등 연구의 범위를 약술하였고 건설공정 중에서 다루어질 범위 및 내용을 제한하고 있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은 거주후평가(POE)의 개념, 내용분석법 및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6 시그마 기법들과 이중 품질기능전개(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이하 품질기능전개) 및 시그마 값의 활용개념 및 각 내용의 선행 연구 사례 등을 중점으로 약술하였다. 주요 내용은 개선된 거주후평가의 체계 및 과정을 정립하기 위한 품질기능전개 및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 등 도구(Tool)들의 적용개념 소개를 위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다루어질 요구(住要求) 예측기능을 위해 거주후평가(장기적 평가)시 주요항목으로 사용되어질 시각적 가치에 대한 활용개념도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제 3 장에서는 연구의 방법과 과정을 전개할 모델을 제시한다. 이 장에서 소개된 방법들을 통해 연구의 내용이 진행되며, 6 시그마 기법에서 품질기능전개의 적용과 용용에 대한 방법, 초기 설문조사시 사용되는 내용분석볍 등이 소개되었다. 또한 각 적용 방법을 이용한 선행연구사례를 소개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이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방식과 타당함을 검토하였다. 제 4 장에서는 품질기능전개의 적용과 응용에 대한 내용을 시험적용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품질기능전개를 이용한 거주후평가 요소의 구성에서는 먼저 선정된 시험자료를 이용한 내용분석을 통해 요구품질을 추출하게 된다. 내용분석 상의 오류를 저감시키기 위한 주(主), 부(副)항목의 개념이 서술되었고, 품질기능전개의 방식에 의한 요구품질항목 중요도 산정과 품질특성 추출 등이 이루어졌다. 이 품질특성의 추출에서는 설계 실무자의 의견을 참조하여 실무에서의 요건들이 조사, 분석되었다. 이들을 통해 품질의 집을 구성하고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참여자들의 평가를 통해 실무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실제 설계에 적용된 개선 사례를 소개하였다. 개선안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거주후평가(품질기능전개를 포함한) 결과 분석에 있어 초기 고객의 평가를 통해 산출된 표준편차(시그마, σ, Sigma) 값과 개선안에 대한 표준편차 값의 비교를 통해 품질의 향상 정도를 알 수 있었으며, 시험적용에 참여한 설무자들의 의견을 통해 품질기능전개를 통한 고객의 요구(VOC)와 품질특성(EC)간의 연계가 실무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부가적인 연구로서, 건설분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품질기능전개(QFD)의 품질의 집(HOQ)을 발전시켜(Seo's Matrix) 시험적용을 하였고, 나타난 품질기능전개의 편의성 향상 정도 및 실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품질의 집은 기존 양 방향 상관도(2 Axes Matrix)를 삼 방향 상관도(3 Axes Matrix, 즉 Seo's Matrix)로 발전시킨 것으로서 다양한 관계자간의 요구, 요건들에 대한 상관정도가 동시에 도출되므로 품질의 집을 작성하는데 있어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단 이 내용은 품질기능전개 자체의 개선만을 목적하고 있으므로 그 실 사례만을 보여주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국한하였다. 또한 각 시험적용의 결과로서 시험 적용된 원자료(Raw Data)의 분석결과와 유사연구에서의 결과자료를 정리하였고 품질기능전개(QFD)를 적용한 거주후평가가 기존의 거주후평가와 다른 점들을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진행된 연구를 통한 거주후평가의 개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제 5 장에서는 결론 및 활용방안에서는 표준편차(시그마) 값을 이용한 품질관리와 품질기능전개를 이용한 거주후평가 성능의 개선 효과를 정리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로서 요구(住要求) 예측가능성을 검토하였고 Seo's matrix의 다양한 적용 방식에 대한 고려와 6 시그마 기법의 건설 공정 적용을 위한 개선 방안 등에 대해 향후 연구가 제시되었다. Recently, the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has been emphasized much more than ever. This has been caused by various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Those users, i.e. the occupants, seemed very sensitive to any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Therefore, many producers (ie. construction companies) need to concentrate on the occupant's needs, and as much as possible try and apply those needs to their design. The product of construction field could be a house, bridge, dam and so on. These products are designed and produced from the design and planning process which is followed strategic planning process. Therefore, to enhance the quality of product, the construction company tries to obtain the occupants needs as accurate as possible. Such investigation can say that we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 earnings of the company. To investigate the requirement of the customer in such context to construction companies, POE(Post-Occupancy Evaluation) is often executed. This POE is giving the design of the apartment many influences. Therefore, the try to make a product to various form appears. The companies accept varied needs of occupants through the result of such assessment. This is understood countermove of the industry. However many of the former investigations were achieved by subjective intention of the investigator. This results some difficulties to gain much accurate occupants needs for its structure of questionair categories(or items). The occupants can answer only for those questions which are asked. Moreover, those ans:vers(occupants needs) are hard to be connected to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The relation of the occupants needs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seemed to be weak. There is the thing to point out such problem at leading researches about POE. However, for organizing this assessment item, they dont have the general frame or process yet.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model of POE(Post-Occupancy Evaluation) categorization methodology with 6 Sigma techniques and QFD application. Therefore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performed to produce tailored needs for occupants as a transformation of technically processed values. For this purpose, categories were experimented with a pilot project of POE. As a result, it showed the possibility and need of accuracy and maturity for the design of POE in its categorization. Moreover, the quality level has been presented as Sigma value through the process as this study examined. This is to obtain a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for more convenient quality management. In a further study, a 3 axes matrix of QFD is suggested. This seems helpful for the complexity among the stakeholders in construction industry field of Korea. At the stage of obtaining the occupants needs, the content analysis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to estimate occupants needs. This content analysis is also expected for the further study of this current research. At this stage, these POE categories are attempting to include the social environment and aesthetical values. As a results, the EC items and VOC items were presented with the relationship matrix(HOQ, House of Quality) which is a mostly used matrix of QFD, in considering wit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designers review and literature review. This is also limited to design process of Apartment, as this study purpose. The importance rate of EC items is presented which arranged as level 2. In general, POE results are shown in varied size of Apartment. However, this pilot study is just presenting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size, because this study is aiming to focus on making the system of POE. This study also contains the results of Relationship Matrix in between VOC and EC, in used of 5 point scale. This study has been tried to suggest an application of QFD to POE with content analysis which is used to obtain VOC and EC, and to make a relation matrix to each other. Through this effort, study has tried to solve the gap in between VOC and EC, which is often found in the former POE. As a final evaluation of the people(on this QFD applied POE) who participated for this study, it is that this method of QFD application is useful, and helpful to find a proper design guides. Therefore we thought this effort to apply QFD to POE, is reasonable to excuted for field evaluation in addition to an ordinary POE. In construction area, there are several people are involved. They are the contractor, stakeholder, architect, resident, sub-contractor, and so on. In application with general HOQ(2 axes matrix), it seemed hard to analyse and relate to each kind of items. Three axes matrix is aiming to make it simpler with its 3 axes. For each axes, several kinds of people could be allocated. The evaluation from the users who maintained the case study of QFD construction was satisfied for its convenience and the shorter processing time.

      •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 육성방안 : 「서울공연예술제」를 중심으로

        서경화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로서, 전 세계적으로 문화적 상징성을 앞세우며 국가브랜드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국가브랜드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힘보다도 문화의 힘이 우위에 있어야 한다고 많은 석학들은 강조하고 있다. 이에 문화를 압축하고 도시 혹은 나라를 상징할 수 있는 문화로서 축제를 전면에 부각할 수 있음은 해외의 유수한 축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 육성방안 연구』로 진행되었고 결과적으로 공연예술축제를 통해 서울의 문화적 상징성을 앞세우며 더 나아가 국가브랜드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문화재단은 이미 「하이 서울페스티벌」외 3개의 축제를 서울의 대표 축제로 선정하여 도시마케팅과 서울을 세계적으로 알리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그러나 '서울의 4대 축제'로 지정되었다하여, 이 선정자체로 인해 「하이 서울페스티벌」외 3개의 축제가 서울을 대표하고 문화적 상징성을 앞세우는 축제가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에 '서울의 4대 축제' 중 본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서울공연예술축제」와 맥락을 함께 하고 있는 「서울공연예술제」를 사례 연구대상으로 하여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의 육성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육성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공연예술제」가 그 동안 축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조직 및 운영, 프로그램, 재원조성 중심으로 각각 살폈다. 그리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 외적으로 성공한 축제를 살폈다. 그리하여 「서울공연예술축제, 에 대한 조직 및 운영, 프로그램, 재원조성 중심으로 육성방안을 제시 하였다. 육성방안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운영적인 측면에서는 법인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법인화 체제를 갖추므로 전문인력의 확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축제의 노하우가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사회에는 기업관련 인사 및 축제를 위해 실질적으로 연구하고 고민할 수 있는 이들로 구성해야 한다. 공연예술축제의 성격을 충분히 담보해 내기 위하여 예술감독 중심의 체제로 운영이 되고, 예술감독은 행정직인 안목까지도 갖추고 있는 인물로 선임하여 임기보장 등 축제에 대하여 책임을 갖게 해야 한다. 또, 조직의 슬림(Slim)화를 꾀하고, 조직 내에서 실질적으로 재원조성에 집중할 수 있는 후원 관련 팀과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 수 있는 프로그램 기획 운영팀이 필요하다. 다음,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세계 공연의 흐름을 리드하는 작품을 공식으로 초청해야 하며, 공동작품제작을 시도하고 아시아 작품에 문을 개방해야 한다. 또한 대안문화와 실험성이 높은 「서울프린지페스티벌」과 공동 진행하여 아트마켓의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재원조성 측면에서는 「서울공연예술축제」를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로, 더 나아가 서울을 대표함은 물론 대한민국의 브랜드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축제로 육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문화관광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메세나 및 기업을 통한 후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 및 로또복권 수익금을 통한 재원조성을 비롯하여 투명한 결산을 매해 공표해야 한다. 상기 제안 사항이 모두 해결된다고 하여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가 가능하지 만은 않을 것이다. 제시하는 육성방안에서 오류도 있을 수 있고 간과되었던 부분도 분명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요로운 문화적 소양을 제공하며 개인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해 줄 수 있는 것이 공연예술이며, 축제라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또, 축제로 인해 파생되는 문화적인 힘은 세계화 속에서 보이지 않는 헤게모니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이에 서울을 문화적 도시로 전면에 부각할 수 있도록 「공연예술축제」에 집중적인 지원과 육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향후,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가 공고하게 자리 잡아 세계적으로 유수한 축제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경제강국에서 문화강국으로서 거듭나야 할 것이다. It seems to be common that the 21st century would be 'a century of culture', and thus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cepting the concept of national brand, focusing on their cultural representation. To promote the national brand of a country, many scholars argue that cultural power should be strong, rather than economic power. Therefore, we could witness, through the well - known overseas festivals, that festivals would be stood for the culture which could compress their culture and represent cities or states. In that way,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a performance arts festival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s national brand, with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Seoul.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wed already its firm will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 and enforce city marketing for the purpose of making Seoul well known in the world, designating 3 festivals excepting 'Hi Seoul Festival'.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present 4 festivals of Seoul represent the city itself and cultural aspects in Seoul. With regard to this discourse, it is examined that how the past festivals were held mainly about their managing organization, programmes, and funding, with the case study on 'Seoul Performance Arts Festival' which is in the similar context of my suggestion. Seoul performance arts festivals. Additionally, a group of national and foreign successful festivals are examined to find the solutions. Then, it is suggested a developing plan which has focus on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programmes, and funding as followings. With respect to managing the organization, it could be suggested to establish the system of foundation, and its general arts directors would be designated in the way of considering their ability of administration. With regard to funding, there would be a team to deal with sponsoring or support substantially and personnel in the executive board who are related to external companies. Moreover, it could be claimed that its programmes leading the world trend should be invited to the festival, attempted to establish cooperation system, and opened to Asian works. Furthermore, it seems to be necessary for the festival to work together with 'Seoul Fringe Festival', which represents alternative culture and progressiveness, providing the role of art market. Lastly, informs of funding, as a leading performance art festival in Seoul, the full support of Seoul government and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re required to realise its possibility of not only improving national brand image but also representing Seoul and Korea. Additionally, it is emphasised to establish funding system whose aims are to bring Mecenat's and companies'sponsor to the festival, to create new funding source through Korean Foundation and Lotto lottery system, and to announce the festival's clear accounting. Despite solving these all problems, it could not be said that Seoul Art Festivals can represent Seoul. It must be true that there are still predicaments and also something missing in my suggestions above. However, there is no doubt in arguing it is performance art festival or festivals that could provide plentiful cultural attainments and enrich individual life. Moreover, the power stemming from festivals could work as invisible hegemony, in this globalization period. In this globalization period. In that way, it is inevitable to support and develop performing art festivals which would be a dominant element to represent Seoul as a cultural city. After that, a performing art festival which is representative for Seoul would be stabilized and rank with other famous overseas festivals, and then Korea should be converted from an economic power to a cultural one in the world.

      • 성공적인 병원정보시스템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도입 요인에 관한 분석

        서경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환경 속에서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신속·정확한 의사결정 뿐 아니라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을 개발·구축하는 데 경제적, 시간적 비용의 지출 및 인력관리의 어려움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측면에서 정보시스템을 외주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정보시스템 외주의 새로운 형태로 ASP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여러 분야에서의 ASP 도입에 관한 사례 연구 및 실증적 연구가 점차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데 비해 의료분야에서의 ASP 도입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병원정보시스템 ASP 도입을 위한 고려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ASP의 의미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성을 명확히 규명한 후, ASP 특성 및 도입 영향요인과 ASP 도입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성공적인 병원정보시스템 ASP 도입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병원과 IT업체 측면에서 조사도구를 각각 개발하였고, 정보시스템 및 ASP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산(정보)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2007년 5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101부의 설문결과를 최종 분석하였고, SAS version 9.1을 이용하였다. 개인 특성에 대해서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ASP 특성 및 도입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들과 ASP 도입에 대한 태도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ASP 특성으로 효율성, 유용성, 대응성, 보안성, 저항성의 5개 요인이 있었고, ASP 도입 영향요인으로 서비스 품질, 정보화에 대한 CEO 및 전산(정보) 인력의 태도, 사용환경, 사용자 태도를 포함한 4가지 요인이 있었다. 그 중 병원정보시스템 ASP 도입의 적절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ASP 특성 중 효율성, 유용성, 보안성, 저항성의 4개 요인과 도입 영향요인 중 서비스 품질, 사용환경, 사용자 태도의 3개 요인이 있었고, 이 중 저항성과 서비스 품질을 제외한 5개의 요인이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 9개의 하위시스템에 따라 도입 요인에 차이를 보였다. 성공적인 병원정보시스템 ASP 도입에 관한 본 연구는 각 산업별 정보화 현황을 파악하고 병원정보시스템 ASP에 대한 견해를 사용자와 제공자의 두 입장에서 평가한 것으로 향후 병원정보시스템 ASP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information-oriented era, every company needs information systems to raise their competition. Using information systems they can do decision-making quickly and work efficiently. But when the systems are developed and built, there are problems related to cos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maintenance of systems. Many companies tend to outsource their inform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network,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also has been a new paradigm as a another type of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As ASP is one field which has much potentiality, related studies progresses actively. But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on ASP of HIS(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what factors have effect on ASP adoption in hospital. Therefor the goal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o understand each industrial information-oriented status, (2)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SP and influential factors of ASP adoption, (3)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ASP adoption in HIS. After considering each industrial attribute, two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surveyed for hospitals and IT companies, respectively. Total 10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AS version 9.1. Statistical methods for respondents' characteristics wa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deriving factors from ASP characteristics or influential elements of ASP adoption. And regression analysis can enable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and attitude toward ASP adoption. As a result, there were 9 factors: 5 factors were ASP characteristics and 4factors were influential elements of ASP adoption. All 9 factors were following: efficiency, availability, responsiveness, security, resistancy, service quality, attitude toward information-oriented work of CEO or IT experts, use environment and user attitude. Among these factors 7 factors except two factors(responsiveness, attitude toward information-oriented work of CEO or IT experts) impacted on adoption of ASP in hospital. Especially security and user attitude had negative effect on ASP adoption.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each systems. In conclusion, when hospitals or IT companies think of ASP they have to consider security and user attitude primarily. By evaluating each industrial information-oriented status, it can make understand two points of view about HI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hospitals and IT companies.

      • 의사인력 수급 거버넌스와 추계방법 비교연구 : 5개국을 중심으로

        서경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건의료체계의 효과적, 효율적 운영에 있어서 의사인력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의사인력의 수급 문제에 정책적 관심 역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적정한 의사인력의 수급은 복잡한 추계분석 및 의사결정과정을 거쳐야 하며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이해관계자들 간 많은 의견충돌을 야기한다. 우리나라 역시 의사인력의 수급 문제와 관련하여 이해당사자들간 비생산적·소모적인 논쟁이 지속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수급 추계의 논란 및 방법의 적정성과 관련하여 심층적인 분석이 진행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주요 5개국(한국, 일본, 미국, 네덜란드, 호주)의 의사인력 수급 거버넌스를 비롯하여 추계접근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에 주는 시사점과 교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이들 국가들의 수급 조절 정책결정 과정이나 절차와 관련하여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조정하는 벤치마킹 정보를 탐색하고 정책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의사인력 수급 거버넌스와 추계모형에 관한 연구의 틀을 구성하였다. 거버넌스는 의사인력 수급 의사결정체계에 관여하는 주요 조직과 구성 그리고 운영방식 등을 포괄하는 운영체계에 관한 주요 요소들을 기준으로 각국의 거버넌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였고, 추계모형에 관해서는 가장 최근 발표된 선행의 연구에서 제안한 ‘통합적 추계접근법’을 분석적 틀로 채택하여 각국의 추계접근법들에서 활용하는 변수와 시나리오 등을 중점적으로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수행에 사용된 자료는 대다수 2차에 의존하였으며, 의사인력의 추계 및 거버넌스에 중점을 둔 연구를 위주로 온라인 검색과 더불어 각국의 정부기관 또는 연구기관 등의 홈페이지에서 추가 정보를 획득하였다. 5개국의 비교분석결과, 의사인력 수급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사인력의 계획에 대한 체계적인 거버넌스 구조와 현실성을 반영하면서도 보편타당성을 갖춘 추계모형을 갖추는 것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네덜란드의 사례는 ACMMP와 더불어 추계접근법의 근간이 되는 추계모형과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 왔을 뿐 아니라, 보편타당한 모형을 갖추기까지 단계별 연구를 수행해 왔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먼저 의사인력 수급 거버넌스 측면에서 1) 의사인력 수급 조절 관계부처, 2) 추계연구 수행 전담조직 현황, 3) 이해단체 의견수렴기구의 현황, 4) 추계결과 검토방식/ 검토주기, 5) 결과에 대한 공개여부에 관한 사항을 고찰한 결과, 네덜란드는 기본적으로 5가지 항목이 모두 적절한 수준으로 잘 갖추어져 있는 반면, 한국은 전담조직과 이해단체 의견수렴기구가 부재할 뿐 아니라, 인력 추계 연구가 정부 산하 연구기관을 통해 수행되고 있지만, 그 결과를 토대로 수급 정책은 정부 주도로 수립 및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관련 연구보고서나 논의과정에 대한 과정과 결과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지 않아 네덜란드의 수준과는 다소 많은 차이가 있었다. 추계접근법에 대해서는 각국에서 활용하는 변수의 다양성과 더불어 환경변화를 반영하는 정도를 고찰한 결과, 수요추계에서 미국은 의료서비스 수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의 다양성을 가장 많이 고려한 국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의료서비스의 이용률 패턴 속성에 포함되는 일부지표만 활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마저도 분석 틀에서 제시한 변수와 일치하지 않아 대리지표를 이용하고 있었다. 공급추계에서 5개국이 주로 활용하는 변수들은 훈련과 생산성에 관한 지표들에 집중되어 있었다. 훈련 변수군의 경우 공급추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유입-유출’ 모형의 기본 원리와 연계되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국가에서는 공통적으로 의사인력 수급 추계 분석 시 다양한 환경변화 요소들을 고려하여 변수 및 관련 지표들을 채택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3개국에서는 잠재 수요와 실질 수요에 관여하는 변수를 비롯하여 공급 측면에서 생산성과 기술다양성 등 환경변화를 대변하는 요소까지 모두 고려함에 따라 통합적 추계접근법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의사인력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고유의 의료제도 및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국가수준에서 이루어진 의사인력에 관한 통계지표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정확한 근거 데이터 확보를 위해 전담조직의 설치해야 한다. 둘째, 정부 주도로 진행되어 온 의사결정체계를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의료계단체들이 포함된 이해관계자 중심의 논의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의사결정과정의 투명성과 그 결과에 대한 책임공유가 이루어지는 거버넌스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전통적인 추계접근법에 대한 갱신이 필요한 가운데, 시대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시나리오의 설정과 투입 변수들에 대해 전담조직 및 이해관계자들 간 합의가 이루어진 후, 이를 적용한 보편타당한 추계접근법의 개선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사인력의 수급을 조절하기 위한 정책논의 및 추계분석 업무는 주기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기간을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각 시점별로 회의를 개최하거나 불확실성이 높은 변화들이 등장할 것을 감안하여 주기적으로 논의와 추계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의료인력계획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의사수급 거버넌스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하고, 최신의 이론적 분석틀을 도입하여 추계접근법을 국가별로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자료의 부족으로 의사인력 수급정책 전반에 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지 못한 점과 의료체계가 상이한 5개국을 비교하는 데 다소 제약이 있었다는 점은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한국의 현재 수준과 문제점을 명확하게 관찰하고, 모범적인 다른 국가의 사례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의사인력 수급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개선해야할 사항들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큰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보건당국에서 의사인력 수급 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접근법과 더불어 체계적인 거버넌스를 확립하는 데 있어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many countries, policy maker and related professions in healthcare sector are confronted with physician workforce imbalances. To address imbalance problem is important but not an simple task because of uncertainty and complex relationships with stakeholder. In Korea, the demand and supply of physician has been a debated issue for a long time. But there’s not much detailed reports or researches for in-depth analysis about decision-making process and appropriate projection models of physician demand/ supply. This study aimed 1) to draw key lessons and policy implications to Korea by analyzing governance and projection models of physician demand/supply among five countries and 2) to seek for policy alternatives by exploring best practice for other countries’ policy-making process or stakeholder participation procedures in addressing physician workforce issu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research framework focusing on ‘Governance’ and ‘Projection models’of physician demand/supply and builds on secondary data principally. A purpo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PubMed and Google Scholar with key search terms related to physician workforce demand /supply. And it was complimented with hand searching of key organizations and conference abstracts to identify open access literature available in Korean or English on governance and projection models of physician. However this literature search has not intended to be systematic. The content of ‘Governance’ was analyzed the whether and how the physician workforce related policy-making process or procedures was framed well and treated in each country. In terms of ‘Projection models’, integrated model proposed by recent advanced research was adopted as a analytical standards and examines all of the variables in that model compared with five countries. According to analyzing the components of framework, Netherlands has a best practice in the perspective of the governance for policy-making in physician demand/supply issue. They have an transparent, accountable decision-making structure with an independent agency and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stakeholder to deal with reasonable physician workforce planning. However there’s more wasteful debate than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dure because of absence of governance system(independent agency or advisory committee) in Korea. Except Korea and Japan, all three countries considere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on physician demand and supply including productivity or skill -mix. Korea has been used traditional approach without taking various changes into consideration in forecasting physician demand/supply, while US’s projection model is the most closest integrated approach with diversity of applied variables and also considered innovation after Obama’s care. To make better policy establishment in controling physician workforce, four policy suggestions will be considered and reviewed positively. First, national-level statistical indicator of database should be constructed by establishing independent agency to provide exact and reliable evidence. Two, structure of policy discourse should be changed from government- to stakeholder-centered governance and make sure of transparency, accountability on policy-making with close cooperation of stakeholder. Three, a variety variables like productivity or skill-mix reflecting environmental changes in health care sector should be applied in projection model. Lastly, analyzing or discussion the issues related to physician demand/supply should be carried out periodically, given the sudden changes or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 시와 음악의 관계를 통한 Hugo Wolf의 가곡연구

        서경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휴고 볼프(Hugo Philipp Jakob Wolf, 1860-1903)는 250여곡의 가곡작품을 작곡했으며, 이 가곡작품들은 그의 음악의 핵심으로서 19세기 독일 낭만파 가곡의 정점을 이루었다. 그는 초기에는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와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독일 전통 가곡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적으로 바그너(Richard Wagner, 1813 -1883)의 음악적 이념과 이론에 심취하여 자신의 가곡에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리하여 시와 음악의 융합이라는 바그너의 이상을 가곡 분야에서 실현하였다. 볼프의 가곡들은 총 11편의 가곡집으로 출판 되었으며, 대부분의 가곡들은 1888년에서 1891년까지 창조적 활동이 왕성했던 5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작곡되었다. 그 중 본 논문에서 다룰 뫼리케(Eduard Morike, 1804-1875)의 시에 의한 ‘Der Verlassen Magdelein’ 아이헨도르프(Joseph Freiherr von Eihendorff, 1788-1857)의 시에 의한 ‘Das Standchen’, 괴테(Johann Wolfgang Goethe, 1749-1832)의 시에 의한 ‘Mignon 1: Kennst du das Land?’, 가이벨(Emanuel von Geibel, 1815-1884)과 하이제(Paul Johann Ludwig von Heyse, 1830-1914)가 스페인시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쓴『스페인 가곡집(Spanisches LiederBuch)중 ‘Geh', Geliebter, geh‘ jetzt!’, 하이제가 이태리어를 번역한 시에 의한 『이탈리아 가곡집(Italienisches LiederBuch)』중 ‘Auch Kleine Dinge’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는 작품들이다. 이들은 가사의 흐름과 단어의 이미지 또한 배경에 깔려있는 심리적 상태에까지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Wort)와 음(Ton)의 완전한 일치를 추구하고 있다. 또 선율에 있어서도 선율 그 자체보다는 시의 내면적 의미에 더 초점을 두어 낭창적(declamatory)인 선율을 많이 사용하였다. 리듬에 있어서는 폭넓은 리듬적 모티브와 함께 리듬을 통한 곡의 전체적인 조화로운 통일성을 추구하였으며, 시적인 인상을 유도하기 위해 당김음과 휴지부를 적절히 사용하였다. 화성에서는 불협화음과 반음계, 변화화음 등 음색적이고 표현적인 화음들과 잦은 전조를 통하여 20세기를 내다보는 혁신적인 새로운 음향세계를 보여주었다. 또 형식에 있어서는 통절형식을 선호하였으며, 바그너의 유도동기의 영향으로 리듬적, 선율적 모티브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반주부를 살펴보면 단순한 반주의 기능을 넘어서 시를 극적으로 표현하며 성악부와 동등한 관계에서 독립성을 갖고 있으나 곡의 완전함을 위해 성악성부와 상호 작용을 하며 융합되어 있다. 그 외에도 볼프는 악상의 구체적인 지시를 통해 성악가에게 악상을 섬세하게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볼프의 가곡들은 위에서 언급한 모든 음악적 장치들을 통하여 시(Wort)와 음(Ton)의 완전한 일치를 추구하며 독일 예술가곡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Hugo Wolf(1860-1903) was one of representative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Romantic movement, composed more than 250 art songs, which reached the peak of the Romantic lied in 19th century Germany. Earlier, he was affected by traditional German art songs that have been descending since Schubert and Schumann. Later, he changed his attitude because he was moved by Wagner's musical idea and theory, and then succeeded in unifying poetry and music for his songs. Wolf's songs were published in 11 lieder books, most of them were created between 1888 and 1891, he was the most creative during this period. This thesis focuses on ‘Der Verlassen Magdelein' by Morike's poem, ‘Mignon 1: Kennst du das Land?' by Goethe's poem, ‘Geh', Geliebter, geh'jetzt!' of 『Spanisches Lieder Buch』 from German translation by Geibel and Heyse of Spanish poetry, ‘Auch Kleine Dinge' of 『Italian songs book (Italienisches Lieder Buch)』, all of them are familiar to people. These songs have lyric passage, image of words and even psychologic background, pursue perfect coincidence of Word and Tone. As for their melodies, more focusing on implied meanings than melody itself, have plenty of declamatory sound. Also, they tend to pursue unification through wide range of rhythmic motif, have syncopation and rest note. And moreover, they show innovative and advanced accords looking ahead of 20th century by having dissonances, chromatic scales and frequent modulations. These songs commonly use through-composed from, in addition to, rhythmic motif affected by Wagner's Leitmotiv . Accompaniments express dramatic poetry, independent and equivalent to vocal line. Besides them, Wolf urge a singer to express themes delicately with concrete instructions. Consequently, Wolf's songs harmonize word with tone by various devices mentioned above, pursue perfect coincidence and show German lieder's self

      • 합창활동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99-2011)

        서경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교육대학원 및 일반대학원을 대상으로 합창활동 관련 석사학위 논문 324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합창활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창활동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학생이나 전공자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여러 가지 합창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TV를 포함한 각종 매체에서도 합창활동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합창활동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도 제법 풍부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그 동안 합창활동이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어 왔는지 그 경향성과 성과를 점검하여, 향후 합창활동 관련 연구를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과거에도 각각 1992년과 1999년에 합창활동 관련 논문들의 경향성을 분석한 연구가 있었으나, 교육대학원생이 연구한 논문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학교 내에서 행해지는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의 경향성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시기적으로 1999년 이후 현재까지 13년간 발표된 합창활동에 대한 모든 석사학위 논문들을 분석하여, 학교 및 우리 사회 전반에서 실시되는 합창활동의 최근 연구 경향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연구자 및 교사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합창의 정의, 기원, 기능 그리고 의의를 살펴보고, 음악 교육에서 연구 동향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한 뒤, 전국 모든 대학원의 합창활동 관련 석사학위논문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국회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합창활동 관련 논문 324편을 수집하고 연도별, 합창연구의 대상별, 전공별, 주제별, 연구방법별 분류를 통해 그간의 연구경향을 분류·분석하였다. 나아가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합창활동 관련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합창활동 관련 학위논문을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별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조사기간 중 첫해인 1999년에는 14편의 합창활동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3년도부터는 2006년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25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2011년도는 10월 기준으로 18편이 제출되어 있어서, 하반기 발표되는 논문까지 포함하면 최근의 논문 수의 증가세는 충분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합창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연구의 수도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창연구의 대상별 연구경향에서는 학교 내에서의 합창활동의 대상이 학교 외 기관에서의 합창활동의 대상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 사회의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가 학교 내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음을 의미하며, 합창활동에 관한 연구의 다양화를 위해 학교 외 기관에서의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자의 전공별 연구경향을 살피면, 교육대학원생의 논문이 비교육대학원의 논문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 중에서도 음악교육전공자가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대학원에서는 합창지도에 관한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였고, 음악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서는 합창활동 관련 실태조사 및 활성화에 관한 논문을 주로 발표하였다. 세부 분석을 통해 전공에 따른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주제별 연구경향에서는 합창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실태조사 및 활성화, 기타 주제, 합창활동이 미치는 영향, 합창제재곡의 분석 및 재구성의 순으로 많은 수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대부분의 연구가 합창지도방안과 실태조사 및 활성화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다보니 중복되는 내용의 논문이 많았다. 연구방법별 연구경향에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시도되었고, 그 다음으로 조사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실험연구, 준실험연구, 관찰연구, 역사연구는 사용 빈도가 낮았다. 연구방법의 다양화 및 검증을 위해 관찰연구나 실험연구등의 확대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합창활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합창에 참여하는 다양한 대상에 대한 균형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합창활동 연구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교육대학원생은 교육적 목적의 연구에 집중하고, 그 외 대학원에서는 각자의 전공분야의 관점을 적용하여 전문성이 높은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검증과 평가결과가 포함된 객관적인 합창지도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연구논문의 제목과 실제 연구 내용을 일치시켜서 연구의 경향성 분석이나 자료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복된 주제를 피하고 창의적이고 특색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study on chorus by analyzing the trend of 324 master's to the researchers who study chorus. Many people including chorus are joining chorus in our society, also the broadcast media including TV deal with chorus significantly. For this reason, we can see lots of research related with chorus. At this point, it is needed to analyze trend and result of study about chorus, to attempt chorus study to proceed to organized and progressive direction. Similar studies to investigate trend of chorus were tried in 1992 and 1999, however they just dealt with studi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it is possible to see the trend of chorus only in school. In this study, all theses about chorus would be included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9. By this, I would like to supply data to teachers and researchers for future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I have identified the meaning, origin, function and value of chorus, and then seen the necessities of trend analysis in music education, lastly I arranged all the master's theses about chorus. Collected 324 master's theses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Korea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Servi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ritten years, objects, majors, subject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trend of study about years, just 14 theses were presented in 1999, more than 25 theses have been being published except 2006 since 2003. In 2011, just 18 theses have been published until now, current increasing trend would be not changed. It means that interest is increased about chorus, also increase the number of study. Regarding objects, the studies on students are much more than them on ordinary people. It means the studies about chorus is focused on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 terms of majo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much more than non-graduate schoo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education was most. Chorus education was the most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act finding survey and vitalization was the most in the non-graduate school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subjects in the theses was chorus education, fact finding survey and vitalization, the effects of chorus, analysis and arrangement of chorus songs in order of percentage. Because most of studies were focused on only chorus education and fact finding and vitalization, many of them tend to be overlapped. As for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next was survey. Experimental research, quasi-experimental research, observation research, historic research were used very little. To diversify research method and prove the result, observation research or experimental research should be tried more. The suggestions for study of chorus are stated as below. Research objects should be diversified. Researchers need to study many chorus conducted out of school. Study should be specialized based on the major. It is required Chorus education to includ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result. The title of study should be matched with subjects. It is necessary to be presented creative and unique research.

      • 영아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

        서경화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the light on the lives of infant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infant care, based on their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 in teaching infant classes. The rewarding experiences of the infant teachers are expected to result in joyful experiences of the infants in their care. For this,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do infant teachers find rewarding and enjoyable?'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faced by infant teachers?' Third, 'What is desired by infant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s, in-depth interviews with 30 teachers in charge of the infant classes at 19 day care centers located in K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conducted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aspects that infant teachers find rewarding and enjoyable, there were four types of rewarding feelings: the first rewarding feeling felt in relationship with infants, that is to say, a rewarding feeling when observing the positive changes in the infants, a sense of satisfaction from developing a stable bond and attachment with the infants, and the second rewarding feeling felt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that is to say, a rewarding feeling when developing a cooperative ties with the parents, and the third rewarding feeling felt in a working condition, that is to say, a sense of joy resulting from an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a rewarding feeling resulting from goo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the fourth rewarding feeling felt in personal living, that is to say, a sense of satisfaction from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as an infant teacher, a sense of joy through growth as a teacher. Second, the interviewees were found to face the following four types of difficulties: the first type of difficulties felt as infants teacher, that is to say,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infants in their care and instructing the infants in class, a sense of burden felt when giving safety instructions, and the second type of difficulties felt in parents relationship, that is to say, unreasonable demand and mistrust of parents, and the third type of difficulties felt in a working environment, that is to say, the physical challenges of a care-provider, a sense of burden in trying to handle multiple situations occurring simultaneously, lack of social awareness, and the fourth type of difficulties felt in the personal life, that is to say, difficulties as an unmarried female teacher, and difficulties from their individual situations. Third, there were four desires indicated by the interviewees: educational support to enhance their teaching expertise, adjustment of teacher-infant ratio,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working hours, wages, welfare) and a change in the public perception of teachers as a specialized prof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need for institutions and society to provide various types of support and cooperation to the teachers, and a ne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teacher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establish a value system. Also, it was found necessary to change the public perception to ensure that the infant teachers' role as care-providers is regarded as that of a professional, and that it is essential for infant teachers to feel a sense of vocation and value as the rewarding and joyful experience of the teachers arise from a sense of duty. The findings also showed hardships were present along with the rewarding and joyful feeling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infant teachers with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occupation compared to the past, when many assumed that teaching infants was a tough job. This is regarded to have resulted from a combination of policy support and the active efforts made by the infant teachers themselv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the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has gradually been improving through policy changes, there are still many areas requiring improve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ew policies.

      •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 권정생 작품을 중심으로

        서경화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교육의 목적은 삶과 신앙의 목표를 예수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으로 삼아, 그것을 이루어 가기 위해 끊임없이 교육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 교회교육은 성장의 둔화 현상과 함께 침체기에 접어든 지 오래되었다. 침체되어 있는 교회교육을 회복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바람직한 신앙 양육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본질과 핵심의 주요한 원리인 교리를 가르쳐야 한다. 교회는 전문적인 교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교회학교에서 교리교육에 대한 부정적 이해와 시간의 부족과 빈약한 교육 자료 등 현실적인 상황에 의해 교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교리교육 부재의 상황으로 인해 모든 성도들이 기독교 교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합리적인 사고가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생기를 잃어가는 교회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교리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림책은 교리교육을 위한 교수 미디어로써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로서 접근성이나 사용성이 용이하고, 효율적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그림책을 교육에 활용하는 것에 유익한 점은 단순히 말로만 설명할 수 없는 내용을 이야기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효과적인 흥미를 유발시키고, 독자들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기에 상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그림책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림책은 시각자료의 형태에 속한다. 따라서 내용을 이미 알고 있거나 반복해서 보게 될 경우 흥미가 떨어져 학습동기가 상실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존 켈러(John M. Keller)의 학습동기 모형을 토대로 교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그의 ARCS 모형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시켜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교리교육이라고 하면 내용과 방법이 딱딱하고 어려워서, 재미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교리 내용만을 전달하게 되면 가르치는 자나 배우는 자에게 흥미가 유발되지 않기에, 교회에서 교리교육을 따로 진행하기가 어려웠다. 더욱이 세례 교육을 위한 청소년 이상을 대상으로 교리교육이 이루어졌을 뿐 어린이를 위한 교리교육의 인식과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짧은 교회교육 시간을 가지고 효과적인 교리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에 참여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동기가 유지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하기에, ARCS 모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하여 ARCS 모형에 기초한 교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기독교 교리 중 가장 근본적이고 전체 내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독론에 대한 것이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상징과 이야기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권정생의 그림책 『강아지똥』과 『황소 아저씨』, 『엄마 까투리』를 선정하여, 미취학 아동과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하나의 프로그램은 그림책을 활용하여 해당 교리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지도안(1차시)과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연계활동지도안(2차 시)으로 구성하였다. 교회교육의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은 통합적으로(학습 및 연계활동) 혹은 개별적으로(학습, 연계활동) 진행할 수 있다. 교리교육 프로그램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는 교회교육 현장 사역자들(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교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어려운 교회교육 상황 가운데 그림책이라는 교수 미디어로 쉽고 친근하게 교리를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여겨졌다. 또한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형식으로 교리를 전달하고,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은 교리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교회교육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현장 사역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또한 부족한 교회교육 시간과 교리교육의 부재를 통해 어려워지고 있는 기독교교육에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이라는 방법을 제시하여 교리교육에 대한 시도와 적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회마다 교육 현장이 다르기에 여러 가지 수정보완을 통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것과 그분의 가르침을 따라 행할 수 있게 하는 지식과 실천을 배우고 행하게 한다. 그로 인해 바른 신앙을 확립하며, 삶의 방향과 목적을 예수 그리스도로 삼아 그의 명령에 따라 참된 제자도의 길을 갈 수 있는 그리스도인으로 세워져 갈 수 있다. 앞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를 기점으로 다양한 교리 주제에 대한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할당표본추출의 디자인 성질에 관한 연구 : 디자인 편의와 분산추정을 중심으로

        서경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표본조사(sample survey)를 실시하는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얻어진 표본을 통해 파악한 정보를 이용하여 우리의 관심대상인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확률표집의 대표적인 방법인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을 실시함에 있어서 기존추정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모집단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추정량 및 분산추정량을 제시하였다. ‘2006년 청년패널 스크린 조사 자료’에서 성별, 연령대에 대한 정보를 할당변수로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할당표본을 추출하고, 사후층화추정량 및 분산추정량의 성질을 살펴보았다. 또한 할당표본추출을 이용하여 재통화를 실시하는 경우와 모든 할당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에 적절한 추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