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활용한 대학의 환경개선 연구 : 중국 남양공과대학교 1호관을 중심으로

        서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higher education in recent ten years, there have been a larger and larger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year by year. Many university buildings are too old to meet the current teaching needs, and the old buildings consume a great amount of energy. Despite many disadvantages, completely demolishing and reconstructing the buildings will result in a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t a high cost. Thus, it is very imperative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eaching buildings at universities. Based on the theory of sustainable design, this paper uses the design concept and technical method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clarifies the transformation goal, and puts forward the design strategy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in an attempt to address some problems in teaching buildings at universities, such as outdated design concept, the failure of hardware facilitie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modern teaching, low comfort and poor flexibility of classrooms. This paper specifically includes the following four parts: The first part involves the first and the second chapters. Firstly, the first chapter puts forward the research background, summarizes the basic concepts and literature, and analyzes the research purpose and significance; The second chapter elaborates on the basic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in detail. The second part covers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sustainable design of university buildings. Based on theories, this chapter analyzes and compares the teaching building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the third teaching building of Tsinghua University in China, and researches the design methods.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e strategies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teaching buildings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China and South Korea. The third part is the fifth chapter. This chapter selects the No.1 teaching building with the longest history in Nanyang Institute of Technology as the research object and conducts the sustainable desig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strategy that has been proposed above. The fourth part is the conclusion. This part concludes the content of the paper, and points out the research shortcomings, and provides a reflection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hina's existing sustainable architecture. 근 10년간, 중국의 고등교육이 빠르게 발전해 왔다. 이에 따라 대학교 재학생의 수량이 해마다 늘고 있지만, 대학교 건축물의 대부분이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현재의 교학 욕구에 만족시키지 못하며, 이런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이 거대한 편이다. 비록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건축물을 완전히 철거하는 것 또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하며, 경제적으로 비용이 크다. 그러므로 대학교 건축물에 대한 환경개선은 매우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이론에 기반을 두어, 대학교 건축물에 존재한 ‘디자인 이념의 오래됨, 장비 시설이 현대적 교학 요구를 만족하지 못함, 강의실의 쾌적성이 낮음’ 등과 같은 문제에 집중하여 지속가능한 건축의 디자인 이념과 기술 방법을 활용해 환경개선의 목표를 확립하고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 네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1장과 2장이다. 먼저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배경을 제출하여 논문에서 쓰이게 된 기초적인 개념과 문헌을 위주로 서술하며, 연구 목적과 의의를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초적 개념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3장과 4장이다. 3장에서는 대학교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론과 결합하여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 ECC와 중국의 칭화대학교 3호관을 사례로 삼아 분석을 통해 그들이 활용한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어 4장에서는 한중 사례를 구체적으로 비교분석을 통해 대학교 건축물의 환경개선 방안을 총괄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5장이다. 본 논문에서 중국의 남양공과대학교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1호관을 선택하고 환경개선의 목표 대상으로 삼았다. 주로 4장에서 제출한 환경개선 방안과 결합하여 1호관에 대해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부분은 본 논문의 결론이다. 논문을 재정리하고 연구의 부족한 점을 제출하며, 중국의 기존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환경개선에 대한 사고와 연구 전망을 서술하였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 국악영역을 중심으로

        서가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 is being put into acquiring concept through music of various era and raising composing abilities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leading to the music textbook containing music of various countries. Among them, the more our society develops, Gukak music is an area that is further necessary. With the 2009 amendment of the curriculum, 17 types of the amended Middle school's music textbook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Gukak contents of the textbook and Gukak learning activities in accordance to the curriculum with regards to expression, appreciation, and making it a way of life, which are all content systems of the curriculum. Through classification of area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address whether the textbook sufficiently reflects the target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o what extent Gukak has its place in the curriculum and the results as are below.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eviation of Gukak proportion in textbooks was significant. Second, compared to learning targets, the proportion of the appreciation area and making it a way of life was low, and in particular, making it a way of life was extremely minor. Third, folk song took up more than 60% of singing activities. Following such, the tune of exorcism (Gutgeori), Semachi tun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folk songs were contained significantly. Forth, in the 17 types of textbooks, Janggu and Samulnori instruments were contained the most. Furthermore, Gayageum and Haegum were newly introduced, allowing students to play various Korean instruments. Fifth, composing activities took up the least when compared to other areas. Sixth, classical pieces (Jeongakgok) were contained the most among appreciation songs, however, it was comprised in relatively similar ratio. With regards to appreciation pieces based on era, Akgok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music of today, as well, indicates that the newly composed Gukak improved greatly. In terms of instrument playing formats, instrumental music pieces were contained more than vocal music pieces, and among instrumental music pieces, a concerto which has various types of instruments took up the majority. Seventh, making it a way of life area took up the lowest proportion among all areas. In this area, Gukak area were not a lot. There were no various contents for Gukak area for activ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search this further. The 2009 amendment of the curriculum uses 1 music textbook for 3 years, so in order to carry a lot of contents, various learning contents must be contained. In addition, in the 21st Century South Korea, the society is rapidly moving towards globalization and open system, transforming itself towards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with the multi-cultural social background, it has led to the change of curriculum. If people accommodate multi-cultures, cultures and music of various countries are being contained in the textbooks, however, the priority task is to succeed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al among them. A systematic preservation and passing it down, re-creation of national cultural assets cannot be emphasized any further. However, the deviation of the proportion of Gukak music per textbooks was too big, and this problem has been caused as different schools use differently verified textbooks. If the music textbooks used in school music classes have a huge proportion deviation from the musical genre perspectively, it may lead to a deviation in the qualitative area of Gukak per school. Therefore, a music propor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student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y unifying the ratio between textbooks, the deviation per textbooks need to be narrowed.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으로 다양한 시대권의 음악을 통한 개념습득과 음악활동을 통한 창의성을 기르는 것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음악교과서에 여러 나라 음악이 수록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악교육은 다문화 사회로 발전할수록 더욱 필요한 영역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7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인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을 교육과정의 기준에 따라 교과서의 국악내용과 국악학습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가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고찰하고, 국악영역이 음악 교과서 안에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영역별 분류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간 국악의 비중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목표에 비해 감상영역과 생활화 영역의 비중이 적으며 특히 생활화 영역은 너무나 적은 비중을 갖고 있다. 셋째, 민요가 가창활동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민요에 자주 쓰이는 장단인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의 수도 많이 수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17종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수록한 악기는 장구와 사물놀이다. 또 새롭게 가야금과 해금을 수록하면서 학생들이 다양한 국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창작 활동은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여섯째, 감상곡 중 정악곡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다. 시대에 따른 감상곡은 조선후기부터 악곡이 많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오늘날의 현대 음악 또한 새로운 창작 국악이 많이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주형태는 성악곡 보다는 기악곡이 더 많이 수록되었으며 기악곡 중 다양한 연주형태가 있는 합주곡이 가장 많이 수록 되었다. 일곱째, 생활화 영역은 영역 중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생활화 영역 중 국악영역은 많지 않았다. 이렇게 국악영역으로 활동하기에 내용이 너무 다양하지 않았으며 더 연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중학교 3년 동안 한권의 음악교과서를 사용하게 되어 한권 안에 많은 내용을 담으려면 다양한 학습내용들이 들어 가야된다. 또한 21세기 한국 사회는 세계화, 개방화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진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적인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교육과정도 변화되고 있다. 이렇게 사람들은 다문화를 수용하면서 여러 나라 문화와 음악을 교과서에 수록하고 있지만 그 안에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일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이며 민족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과 전승, 재창조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별 국악영역 비중의 편차가 너무 컸으며 학교별로 각각 다른 인정교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 된다. 학교 음악 수업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교재인 음악교과서가 음악 장르의 비중 편차가 크다면 학교별 국악의 양적인 부분에서 격차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될 학생들의 중요한 학습매체에 음악 수록 비중을 정해놓고 교과서간의 비율을 비슷하게 함으로써 교과서별 편차를 줄여 나가야 한다.

      • 방재공원 계획기준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서도 방재기능을 할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여 2020년 2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제15조가 개정됨에 따라 주제공원에 방재공원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구체적인 계획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으며, 조성된 방재공원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고 새롭게 방재공원을 조성함에 있어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있다. 따라서, 방재공원에 구체적인 계획기준 정립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재공원 계획기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재공원에 대한 계획기준을 주제공원뿐만 아니라 기존 도시공원까지 범위로 하여 규모와 피난권역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유형화 한방재공원에 맞는 세부기준을 정립한 뒤, 대상지를 설정하고 정립한 기준을 적정성과 적합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통해 각 방재공원 유형별 모델을 제안하였고, 해당 모델이 대상지 피난민 수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방재공원을 국내 실정에 맞추어 소공원과 어린이공원을 ‘생활권 방재공원’으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과 도보권 근린공원을 ‘근린권 방재공원’으로, 도시 지역권 근린공원, 광역권 근린공원, 국가공원, 주제공원과 같은 대규모 공원을 ‘광역권 방재공원’으로, 완충·경관·연결 녹지는 ‘방재녹지’로 구분하였다. 재난 발생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방재공원의 역할을 각 유형별 규모 및 유치 거리에 따라 공원체계를 분석하여 유사시 방재공원 간 체계 연결이 원활하도록 정리하였다. 둘째, ‘생활권 방재공원’은 500∼1,500㎡의 규모로, 피난권역을 500m 이하로 설정하였다. 주로 인근 주민의 긴급 피난 장소로서 광역 피난지에 도달하기 위한 피난중계지로 계획하였다. ‘근린권 방재공원’은 1ha(10,000㎡) 이상의 규모로, 피난권역을 1km 이내로 설정하였다. 광역 피난지에 도달하기 위한 피난 중계지가 되는 긴급 피난 장소로, 광역 피난지로 이동이 어려운 경우 피난 인구가 일시 체류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광역권 방재공원’은 10ha(100,000㎡) 이상의 규모로, 방재 거점이자 피난 목적지로서 거리 제한을 두지 않았다. 광역 피난지로서 방재기능을 우선시하고, 재난 발생 시 구조 활동, 긴급 구호품 보급, 정보 수신 발신, 재난 종료후 복구 거점으로 활용될 수 있게 계획하였다. ‘방재녹지’는 폭 10m 이상, 피난권역 250m 이내로 설정하였다. 재난 발생 시 방재공원들을 연결하여 긴급 대피 및 일시적 피난 생활을 지원하는 피난 안전 통로로 계획하였다. 셋째, 유형화 별 계획기준을 정립한 것을 토대로 전남 순천시 오천지구 도시공원과 오천저류지공원을 대상지로 설정하고, 방재공원을 유형별로 계획기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계획기준의 적정성과 적합성 을 정립하여 계획하였다(1. 공원의 실질적 피난 면적을 기준으로 각 방재공원의 수용력을 추정하는 방법, 2. 공간계획에 필요한 항목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대상지 계획 시 반영하는 방법). 그 결과, 각 방재공원 유형별로 방재기능을 온전히 한다 는 전제하에, 해당 대상지 권역 내 시민들이 유사시 모두 대피할 수 있는 방재공원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방재공원 유형을 정리하여 기존 도시공원에 ‘생활권·근린권 방재공원 계획기준’과 주제공원으로서 ‘광역권 방재공원 계획기준’을 연구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틀을 제안한 점과 재해 발생 후 역할이 변화하는 방재공원의 기능을 유형 별로 역할체계를 구체화 시켰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In Korea, the importance of open spaces that can perform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has increased. As a result, in February 2020, Article 15 of th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t」was amended, and disaster prevention parks were added to the theme parks.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planning criteria or guidelines for establishing disaster prevention parks yet, and practically there are numerous limits including time and space in creating a new disaster prevention pa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planning criteria for disaster prevention parks that fit the situation in Korea.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disaster prevention park planning criteria. In this study, the planning criteria for disaster prevention park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size and evacuation distance targeted by not only the theme park but also the existing urban parks. Establishing detailed criteria for the typed disaster prevention park, a model for each type of disaster prevention park was proposed by setting the target site. And confirmed whether the model can accommodate the refugees in the target sit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is. First,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small parks and children's parks were defined as ‘Living Area Disaster Prevention Park(LADPP)’. Neighborhood parks and walking area neighborhood parks were defined as ‘Neighborhood District Disaster Prevention Park(NDDPP)’. Large-scale parks were defined as ‘Wide Area Disaster Prevention Park(WADPP)’ such as urban area neighborhood parks, national parks, and theme parks. Buffer, landscape, and connected green area were defined as ‘Disaster Prevention Green Area(DPGA)’. The role of disaster prevention parks that change over time after a disaster has been analyzed by the park system according to the size and evacuation distance of each type and organized so that the system connection between disaster prevention parks is smooth in case of emergency. Second, the scale of the LADPP is 500 to 1,500㎡, and the evacuation distance is within 500m. LADPP is mainly planned as an emergency evacuation site for nearby residents to reach a wide-area evacuation site. The scale of the NDDPP is more than 10,000㎡, and the evacuation distance is within 1km. NDDPP is an emergency evacuation site that serves as an evacuation relay station to reach a wide-area evacuation site. And NDDPP also needs to assume the difficult situation of movement to a wide-area evacuation site, thus, the evacuation population can stay temporarily were planned. The scale of the WADPP is more than 100,000㎡ and there is no distance restriction. As a disaster prevention base and wide-area refuge, WADPP prioritizes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activities such as rescue activities, emergency relief supplies, information delivery, and post-disaster recovery were planned. The scale of the DPGA is a width of more than 10m and the evacuation distance is 250m. DPGA is planned as an evacuation safety passage to support emergency evacuation and temporary refu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ir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planning standards for each type, the Ocheon District Urban Park and Ocheon Reservoir Park in Suncheon-si, Jeollanam-do were set as target sites, and the planning criteria model for each type of disaster prevention park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wo methods were used to establish and plan the adequacy and suitability of the planning criteria: First, a method of estimating the capacity of each disaster prevention park based on the actual evacuation area of the park. Second, a method of making a checklist of items necessary for spatial planning and reflecting it in planning the site. On the premise that each type of disaster prevention park has a complet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his study proposed a disaster prevention park model that can evacuate all citizens in the target sites in case of an emergenc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four types of disaster prevention parks. Second, it proposed the planning criteria for disaster prevention parks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Korea. Third, it specified the role system for each type of disaster prevention park. The criteria propos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a good means of planning a disaster prevention park.

      •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성격 형성에 관한 연구 : 작품 <Love>를 중심으로

        서가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Early in the design animated characters animation is a key part. Is the story of the role of facilitator, the audience is moved by artists, so the success of the animated character shape greatly influence the overall success of the animation. The vivid image of the animated character you want to be inseparable from the role of the character shape. The role of successful design should b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script theme. Role modeling which in turn contains the expression and the role of design clothing design. Facial expression design to visually reflect the most emotional part of the role of personality. Basically we change by a person's face that his mental activity. Clothing design not only increase the beauty of the animated character modeling also enhance the role of the character, and in addition they have a role in promoting the convergence of plot development. In shaping the character of the animated character, color is also occupies a very important role. People love the character, emotion, heart activity can pass out through the colors.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은 전기 중에 중요한 요소이다. 배역은 이야기 발전의 촉진자로, 그의 심리활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도 알 수 있다. 의상 디자인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조형미를 높여주고 캐릭터의 성격 특징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 연극의 줄거리를 촉진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관객을 감동시키는 연출자이기 때문에 캐릭터의 성공 여부에 있어서는 애니메이션 전체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캐릭터를 생동감 있게 연출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의 성격을 잘 만들어야 한다. 캐릭터를 성공적으로 만들고 싶다면 시나리오의 주제에 근거해야 한다. 그 중에는 캐릭터의 표정과 의상 디자인이 포함되어 있다. 표정 디자인 중 얼굴 표정은 캐릭터의 개성을 가장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부분, 우리는 한 사람의 얼굴의 변화를 통해서 그의 심리 활동을 알 수 있다. 의상 디자인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조형미를 높여주고 캐릭터의 성격 특징을 강화시켜 주며, 그 외에 극의 흐름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캐릭터의 성격을 만들 때 색채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람의 성격과 감정, 내심의 활동은 색채를 통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본인 작품 <Love>에 전기 제작에는 아래의 몇 가지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는 인물 형상이고, 둘째는 장면 모형이고, 셋째는 렌즈를 구분하고, 넷째는 원고 분할본이다. 전기 제작은 기타 작업 전개의 전제와 기초이며, 전기 제작의 합리성은 전체 제작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후기제작은 반드시 전기제작에 기초를 두고 인물과 장면이 확정되는 이후부터 후기제작을 진행한다. 제작할 때는 3DMax ,Maya등 전문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제작 과정에는 소재 스티커, 키 프레임 설치, 및 렌더링 출력이 포함되어 있다.

      • 중국소비자들이 한국모바일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中國消費者對于韓國移動電話的態度形成 所涉及要因的相關實證分析

        서가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과 중국 두 개 나라는 1992년 외교관계를 건립한 이래, 정치, 경제, 문화 등 영역에서 세계역사에서 보기 드문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중국은 미국다음으로 한국의 두 번째로 큰 투자국이고 한국도 중국의 네 번째로 큰 수출국이다. 두 나라의 교류가 날로 활발하게 진행됨과 동시에 한국의 이동전화기통신산업도 중국에서 매우 큰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모바일제품도 중국소비자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시장의 소비자들이 한국모바일폰에 대한 태도를 이론과 실증분석을 결부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동시에 본 연구는 중국모바일폰시장에서 가장 큰 활력을 나타내고 있는 삼성, 엘지전자의 관련 사례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과 전통적인 소비자태도형성이론을 기초로 인지된 품질, 유용성, 상표이미지, 지각된 위험, 국가이미지를 독립변수로 하고 소비자의 태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런 독립변수들이 소비자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연구를 기초로 아래와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1: 모바일폰에 대한 지각된 품질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호의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다. 가설2: 모바일폰에 대한 유용성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호의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다. 가설3: 모바일폰에 대한 상표이미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호의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다. 가설4: 모바일폰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비호의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다. 가설5: 모바일폰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호의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베이징, 남경, 상해 3개 곳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방식을 진행하여 설문지를 집중 회수하였고 이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이미 지각된 품질, 유용성, 상표이미지, 국가이미지는 지지되고 지각위험은 기각되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사례연구와 실증연구의 결과로부터 볼 수 있는바, 중국소비자는 한국모바일폰에 대해 양호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은 여전히 발전잠재력이 제일 큰 시장이고 R&D개발도 여전히 한국기업의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금후의 연구는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행위방면의 비교연구로 범위를 확장하여야 하며 이런 연구결과가 금후 한국이동통신기업의 중국시장진출전략에 더욱 유력하고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할 것이다. 키워드: 모바일폰, 소비자태도, 지각된 품질, 유용성, 지각된 위험, 국가이미지, 상표이미지 韓國和中國兩國自1992年建交以來,兩國在政治,經濟,文化等領域的交流與合作取得了世界外交史上前所未有的飛躍性發展。 中國是繼美國之後,韓國在本土外的第二大投資囯。韓國也是中國的第四大出口囯。隨著兩國的交流炙熱化發展,韓國的移動通信產業也在中國取得了蓬勃發展。韓國的移動電話產品也受到了中國消費者的青睞。 本研究是對中國市場的消費者,對於韓國移動電話的態度所作的一份理論性,實證性研究。並且,研究中也加入了在中國移動電話市場最爲活躍的三星,LG電子企業的相關事例。研究根據技術受用模型,傳統態度形成理論等相關為基礎,將已感知的品質,有用性,商標形象,知覺危險,國家形象作爲自變量,消費者的態度作爲因變量。考察這些變量對於消費者的態度,起到了怎樣的影響。 本研究以理論研究為基礎,推出了以下的假設: H1: 移動電話的已感知品質越高,消費者的反應也就越好。 H2: 移動電話的有用性越高,消費者的反應也就越好。 H3: 移動電話的商標形象越好,消費者的反應也就越好。 H4: 移動電話的知覺危險越高,消費者的反應也就越低。 H5: 移動電話的國家形象越高,消費者的反應也就越好。 本研究爲了撿証假設,進行了實證分析。研究的對象為中國北京,南京,上海三地的普通人為調查對象,通過問卷調查方式,並將問卷集中收回,進行多元回歸分析。得出了,已感知的品質,有用性,商標形象,國家形象為支持,知覺危險為拒絕的分析結果。由事例研究和實證研究的結果可以看出,中國消費者對韓國移動電話具有良好的態度,中國仍是最具發展潛力的市場,R&D開發仍是韓國企業的重要課題。 在今後的研究中,將擴張為韓國和中國消費者行動方面的比較性研究,期待將來的研究結果為韓國移動通信企業的中國事場進入戰略提供更有力的實質性貢獻。 核心語:移動電話,消費者態度,已感知的品質,有用性,危險知覺,國家形象,商標形象

      • Color Image Enhancement Algorithm using Multi-scale Gaussian Matrix

        徐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eyes, digital camera fails to capture the dynamic range of digital color images. Thus, under-exposure and over-exposure are the common problems in photographic fields. To enhance the contrast of the color image to improve its quality, thousands of image enhancement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decades. However, most of them have strong disadvantages such as slow, noise and color/ring artifacts. To solve these problems at the same time, a robust color image enhancement algorithm is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techniques.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novel color image enhancement algorithm using two gamma-rescaling curves and a multi-scale Gaussian matrix (MSGM). Histogram extension is adopted for each color channel respectively as a preprocessing step. After color to gray image conversion, two gamma-rescaling curves are applied to the intensity component for balancing the brightness of the original image. The multi-scale Gaussian matrix is used to estimate the reflectance image for the recovery of image detai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subjectively better visual quality than 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Noise are not amplified during the processing and there is no ring or color artifact in the final result. This promising algorithm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classic image enhancement techniques simplistically and efficiently.

      • 한국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효과

        서가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한국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효과 사회복지학과 서가람 지도교수 이상은 본 연구는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한 한국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효과에 대한 이중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효과는 근로시간과 연근로소득으로 보았다.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효과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프로그램 집단인 근로장려세제 수급자의 노동공급효과와, 비교집단의 노동공급효과를 근로장려세제 수급 이전과 이후 두 시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장려세제의 근로시간의 단순이중차이분석을 행한 결과 프로그램집단의 근로시간이 비교집단보다 평균 3.11시간 증가되었지만, 이중차이회귀분석에서는 근로시간이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다. 둘째 근로장려세제의 연근로시간의 단순이중차이분석을 행한 결과 프로그램집단이 비교집단의 연근로소득에 평균 300만원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중차이회귀분석에서는 프로그램집단이 비교집단의 연근로소득보다 증가하였고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근로장려세제가 목표하였던 근로유인과 소득보장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근로장려세제가 갖는 이러한 효과는 극빈층으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고 일을 통한 빈곤탈출을 지원함으로써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고 복지제도 의존현상을 완화하여 장기적으로 사회복지에 관한 재정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적 실효성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기대효과가 달성되기 위해서 근로장려세제가 지나치게 예비적 실험적 제고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넘어서 장기적으로 제도의 확대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근로장려세제, 이중차이 분석, 노동공급효과 ABSTRACT Labor Supply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in Korea SEO, KA-RA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aims for the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of labor supply effects of the earned tax credit in Korea using survey material. Labor supply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was seen by labor time and yearly labor incomes. To figure out the factor influencing labor supply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the program group of labor supply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pensioners and the comparative group of labor supply effects of before and after receiving earned income tax credit was comparatively analyzed at the two points.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abor time of the program group increased an average of 3.11 hour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which resulted from the first simple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of labor time of the earned tax credit. However, labor time in the Difference-In-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increase, but didn't show significant influence. Resulting from the simple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of yearly labor time of earned tax credit, the program group influences an average 3,000,000 static effect on the second yearly incom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this Difference-In-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the program group increased more than the yearly labor income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It can be evaluated that results like this show that the labor leading and income guarantee was reached to a point which the earned tax credit aimed. These effects that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has prevent from falling into the poorest grade and activates economic activities by supporting poverty escape. By relieving welfare policy depending phenomenon, it is expected to gain efficient effectiveness which decreases financial burden. To gain the expected effect, the limit that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which is excessively remaining in preliminary scientific improving should be overcome and expanding development of policies should be regularly conducted.

      • 전력변환효율 향상을 위한Liq/BCP전자 수송 이종 층을 사용한 유기태양전지

        서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 등 환경파괴 문제로 인해 청정 대체 에너지원의 확보가 국가적인 주요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태양 에너지는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 중에서 환경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이다. 그렇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끊임없는 연구들은 통해 태양전지 소자들의 성능이 꾸준히 향상되어 왔다. 이런 많은 연구를 통한 기술발전에서 간과하지 말이야 될 사항은 상용화를 위한 공정 가격이다. 아무리 성능이 뛰어나는 소자가 존재 하더라도 그 공정 가격이 매우 비싸다면 이는 사용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다. 이런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저가 공정뿐만이 아니라 휘어짐이 가능한 유기 태양전지는 가파를 추세로그 성장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 수송층이 낮은 전하 이동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Liq/BCP 이종 전자 수송층을 사용하는 태양전지(OPV CELL 또는 Organic Photovoltaic cell)를 게시하였다. Donor 역할의 P3HT와 Acceptor역할의 PCBM 나노 입자를 특정 용매에 녹여 ITO가 코팅된 glass가판 위에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황성층 위에 CVD 방식으로 Liq, BCP, Liq/BCP 를 증착하였다. 증착된 전자 수송층 시료에 따른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소자의 전류-전압 곡선 특성에서는 광 상태에서 다이오드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Liq/BCP bilayer를 사용하지 않는 소자의 I-V곡선과 비교한 결과 Liq/BCP bilayer를 사용하지 않는 소자가 불안정한 I-V 곡선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 Liq/BCP bilayer이 태양전지 I-V 곡선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absorption 광 흡수율을 통한 Liq/BCP bilayer를 사용한 OPV 소자의 여러 물성 측정을 통해 각각 다른 absorption 곡선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분자 물질의 간단한 스핀 코팅 공정과 CVD를 통해 박막 형태로 제작한 고분자 태양전지 소자가 차세대 태양전지 소자로써 활용이 가능하며, 간단하고 저가의 공정을 통해 공정 시간과 비용을 단축 할 수 있는 소자 제작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물성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태양전지 원리를 이해하여 유기 태양전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숯불 향의 식문화적 정체성 발현이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서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가정간편식 산업이 성장하면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향미 소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업계에서는 한식 고기 요리를 주제로 하는 가정간편식의 향미를 보완하는 숯불 향을 필요로 한다. 기존에는 훈액, 합성향, 반응향 등을 기반으로 제조한 숯불 향미 소재를 수입하여 사용하였으나, 최근 한식에 적합한 새로운 숯불 향미 소재를 반응향 기반으로 개발하여 한식 HMR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식 HMR을 타겟으로 개발된 반응향 기반 숯불 향미 소재가 식품에서 발현되는 감각 특성과 그에 대한 기호 반응을 규명하고, 특정한 식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둘째, 한식 HMR을 타겟으로 개발된 숯불 향미 소재를 한식 떡갈비 및 서구 음식인 햄버거 패티에 적용하였을 때 기호도 및 식문화적 정체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인과 서구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 문화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Study 1에서는 불고기에 숯불 향미 소재를 적용하여 소비자 기호도, 감각 지각, 친숙성, 조화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국인 검사 요원 78명을 대상으로 반응향 기반 소재 3종, 훈액 및 합성향 기반 소재 4종과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불고기 시료 총 8종을 평가하게 하였다. 소비자의 관점에서 시료의 감각 특성을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rate-all-that-apply test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반응향 기반 소재에 대해 나무와 연기 관련 특성이 약하며 간장, 파 마늘 등의 양념 향미가 강하다고 평가하였으며, 훈액과 합성향 기반 소재들은 나무와 연기 관련 특성을 강하게 평가하였다. 나무와 연기 관련 특성이 강한 시료들은 인공적이고 서구적이라고 느꼈으며, 덜 친숙하고 불고기와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았다. 반면 한식 HMR을 타겟으로 개발된 반응향 기반 향미 소재를 첨가한 경우 기호도가 더 높았으며 친숙도, 한국적 특성, 불고기와의 조화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향미 소재는 특정한 식문화적 정체성을 발현시키며, 향미 소재와 식품 시스템과의 조화 또는 합치성이 기호 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Study 2에서는 한국 및 서구권 식문화에서 대표하는 에스닉 푸드의 기호도에 미치는 요인으로 시료가 제시되는 형태(컨텍스트) 및 시료에 사용되는 재료(양념, 향미 소재)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Study 1의 결과에 기반하여 반응향 기반 한국식 향미 소재와 합성향 기반 서구식 향미 소재를 각각 선정하였으며, 컨텍스트로는 형태가 유사한 떡갈비(한국식 시스템)와 햄버거 패티(서구식 시스템)를 식품 시스템으로 선정하였다. 양념은 컨텍스트와 일치하는 떡갈비 양념(한국식 양념)과 햄버거 패티 양념(서구식 양념)을 사용하였다. 한국인 검사 요원 69명과 서구권 검사 요원 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떡갈비와 햄버거 패티의 두 가지 컨텍스트에 각각 4종의 양념과 향미 소재 조합을 적용하여(양념 2종×향미 소재 2종) 기호도, 친숙도, 숯불 향미 강도, 조화도, 구매 의향을 평가하였다. 향미 소재, 양념, 검사 요원의 국적은 기호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나, 향미 소재가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양념과 검사 요원의 국적이 미치는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컨텍스트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국인 검사 요원은 한국식 시스템/한국식 양념/한국식 향미 소재를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예상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서구권 검사 요원은 서구식 시스템/ 서구식 양념/서구식 향미 소재를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서구식 시스템/서구식 양념/서구식 향미 소재에 대한 기호도, 숯불 향미, 친숙도 및 조화도, 구매 의향 등을 한국식 시스템/한국식 양념/한국식 향미 소재와 유사하게 평가하여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 참여한 서구권 검사 요원이 국내에 거주하고 있어, 한식에 반복 노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검사 요원의 식문화적 배경과 일치하는 식문화적 정체성을 가지는 컨텍스트, 양념, 향미 소재의 조합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두 집단 모두 한국식 식품 시스템, 양념, 향미 소재를 선호하였다. 이에 두 집단 간 기호도에 따른 군집 형성의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서구권 소비자들을 각각 유사한 기호 반응을 가진 집단으로 군집화 하였다. 한국인 군집은 컨텍스트×양념×향미 소재 상호작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반면 서구권 군집은 단일 요인인 양념과 향미 소재에 의해 가장 많이 영향을 받았다. 이는 섭취 빈도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햄버거보다 한국인 검사 요원이 서구권 검사 요원보다 떡갈비를 유의적으로 더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떡갈비에 어울리는 양념 및 향미 소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검사 요원들은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한국식 숯불 향미 소재의 경우 한국인과 서구권 검사 요원 모두에게 긍정적인 기호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문화권 식품에 적용되었을 때도 특별히 기호도가 감소되지 않았다. 이는 산업적으로 한국식 숯불 향미 소재가 한식 HMR 뿐 아니라 서구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구권 식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나, 향후 한국 식품에 노출도가 적은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시 검증할 필요가 있다. 학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식품에 대한 이전 노출 경험이 향미 소재와 식품의 조화도 및 그에 따른 친숙도, 기호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향후 에스닉 식품의 기호도 형성 이해에 기여할 수 있다. As the market size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industry grows, the need for flavorings to satisfy consumers' diverse taste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industry needs chargrilled flavorings to complement the flavor of the Korean meat HMR dishes. Up until now, chargrilled flavorings commonly used are formulated using liquid smoke, synthetic flavors, and reaction flavors. In Korea, chargrilled flavorings imported from the international flavoring companies have been used, but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new chargrilled flavorings suitable for Korean foods based on reaction flavors. In this study, firstl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d liking for chargrilled flavorings formulated using reaction flavor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it was also identified whether a certain type of chargrilled flavoring could elicit ethnic identity of a specific country or a cultural group. Secondly, it was studied whether the chargrilled flavorings developed for Korean HMR differently influenced liking, ethnic identity, congruency, flavor intensity, and purchase intent depending on the food systems that it was applied to. In study 1, consumer acceptance, sensory attributes, familiarity, flavor congruency, and purchase intent of the chargrilled flavorings applied to a bulgogi system were investigated. Seventy-eight Korean panelists were asked to evaluate a control sample and seven bulgogi samples where three types of reaction flavorings, four types of liquid smoke and synthetic flavorings. A rate-all-that-apply test was conducted to profile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samples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Overall, the reaction flavorings had weak wood- and smoke-related attributes, and strong soy sauce flavor, green onion and garlic flavors. The liquid smoke and synthetic flavorings had strong wood- and smoke- related attributes, and were perceived as being artificial and Western-styled. Also they were less familiar and harmonious with bulgogi, so significantly less preferred to the reaction flavoring.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 of the reaction flavorings were significantly more preferred and rated as being more familiar, Korean-styled, and harmonious with bulgogi.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ertain flavorings could manifest certain ethnic identity, and that harmonization or congruency with flavorings and food system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iking. In the study 2, three factors, the context (the dish type to which samples were applied), seasoning, and flavoring were selected to understand how ethnic identity of these factors influenced liking, perceived ethnicity, familiarity, and congruency of the fo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1, reaction flavoring (K-style flavoring) and synthetic flavoring (W-style flavoring) were selected as they each represented Korean and Western ethnic identity. Tteokgalbi and hamburger patties were selected as the context, each representing Korean dish (K-style context) and Western dish (W-style context). Seasonings used for tteokgalbi (K-style seasoning) and hamburger patty (W-style seasoning) were used. Sixty-nine Korean and sixty-three Western panelists evaluated liking, familiarity, smoky flavor intensity, congruency, and purchase intent of the four different combinations of seasoning and flavoring (2 types of seasonings×2 types of flavorings) applied to tteokgalbi and hamburger patties. Flavoring, seasoning, and the nationality of the panelists significantly influenced acceptance, but the effect of the flavorings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the seasoning and the nationality of the panelists. The contex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liking. Korean panelists preferred the K-style context/seasoning/flavoring. It was assumed that the Western panelists would prefer the W-style context/seasoning/flavoring, but they rated their liking similarity to the K-style context/seasoning/flavor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Western participants have been familiarized with Korean foods since they have resided in Korea. It was initially expected that panelists would prefer a combination of context, seasoning, and flavoring with ethnic identity consistent with cultural background of the panelists, but both groups preferred K-style context/seasoning/flavoring. Therefore, Korean and Western panelists were clustered into groups with similar acceptance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of clusters according to the acceptance between Korean and Western groups. Korean cluster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teraction of context×seasoning×flavoring. On the other hand, Western clusters were most affected by a single factor of seasoning and flavoring. This is because Korean panelists significantly have consumed tteokgalbi more frequently than Western panelists, whereas consumption frequency of hamburger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Western panelists. It was assumed that Korean panelists might have had a clear standard for seasoning and flavoring for tteokgalbi, which had Korean panelists affected by more complex combinations of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K-style flavoring were liked by both Korean and Western panelists, and when applied to foods from other cultures, the acceptance level did not decrease. This means that K-style flavoring can be applied to foods from other cultures, but it needs to be confirmed using local consumers who are less exposed to Korean food in the future.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ethnic food acceptance by verifying the effects of previous exposure to food on liking for the flavoring applied to a food in relation with familiarity and congruency.

      • 한국어 ‘지나다’와 ‘지내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서가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本文的研究对象是韩国语中形态和意义相似的动词‘지나다’和‘지내다’,他们不仅仅是多义词,还是及物与不及物两用动词,作为黏着语的韩国语和作为孤立语的汉语,有着很大的差异。 首先论述了本文的研究目的和必要性,将相关的先行研究进行了分类、分析、概括。并交代了研究方法。 然后在第二章主要介绍在分析‘지나다’和‘지내다’时,所依据的理论背景。其中包括认知原型理论、隐喻、多义词等相关理论知识。第三章首先通过《标准》、《高丽》、《延世》、《서울대 임홍빈 교수의 한국어 사전》四本韩国语词典,将‘지나다’和‘지내다’记载的词意进行分析和整理。并以此为基础,从认知语言学的角度分析‘지나다’和‘지내다’的原型意和周边意,同时通过图片展示两个词汇的语义网。 第四章为了研究‘지나다’和‘지내다’的汉语对应样相,首先通过具有代表性的《韩中大》、《韩中》、《进明韩中》三本韩中词典,整理出‘지나다’和‘지내다’现存的中文对应表现,并将其经行分析和整理。韩中词典中记载的中文对应表现是一般书面的解释,所以本文还结合了实际的语言材料(韩中小说和语料库)中出现的例句进行分析。通过分析我们可以得知在实际语言材料中存在着许多韩中词典中没有记载的中文对应表现,这些表现有些可以归类为‘지나다’和‘지내다’新的直接对应表现,有些可以归类为间接对应表现。通过这些发现我们可以对韩中词典中缺少的词意解释进行补充或者是提出修改意见。 第五章结论部分对以上所述的研究内容做出了一个整体的概括并且得出结论,与此同时也指出了本研究存在的不足以及补充方向。 본 연구는 한국어 ‘지나다’와 ‘지내다’의 의미 구조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동시에 이에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 사전상의 뜻풀이에 따라 동사 ‘지나다’와 ‘지내다’를 정리하였고, 그것들을 다시 원형의미와 주변의미로 분류하여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정리한 뒤, 의미망을 제시하였다. 그 후 한국어 ‘지나다’와 ‘지내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제시하고 한·중 소설 작품을 통해 ‘지나다’와 ‘지내다’를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에서 '지나다'와 '지내다'의 중국어 간접 대응 표현을 찾았고 새로운 대응 표현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