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KONOS 영상의 토지피복분류 방법에 관한 실증 연구

        사공호상,임정호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3

        이 연구는 기존의 분광특성에 의한 영상분류방법들이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어느 정도 적절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매개변수법과 비매개변수법을 혼합한 감독분류, 퍼지이론을 적용한 감독분류 그리고 무감독분류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실시하고 각 방법들의 적용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육안판독과 분광특성을 이용한 영상분류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각 방법 간 토지피복분류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반사값의 복잡성, 그림자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노이즈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무감독분류보다는 감독분류가 더 적절한 분석방법이며, 특히 퍼지이론을 적용한 감독분류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지피복분류결과의 전체 정확도가 76% 정도에 불과해 토지피복분류결과의 신뢰성이 낮았다. 또한 육안판독과 영상분류 결과를 서로 비교한 바 뚜렷한 경계와 넓은 면적을 갖는 농경지 등의 항목은 일치도가 높은 반면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는 초지 등의 항목은 일치도가 낮게 나타났다. 영상분류와 육안판독 간의 일치도는 79%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ppropriate the classification methods based on conventional spectral characteristics are for high resolution imagery. A supervised classification mix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rules, a method in which fuzzy theory is applied to such classification, and an unsupervised method were perform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for accuracy. In addition, comparing the result screen-digitized through interpretation to th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spect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conformity of both methods. Although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to which fuzzy theory was applied showed the best performance,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high resolution imagery had some limitations due to there being too much information unnecessary to classification, shadows, and a lack of spectral information. Consequently, more advanced techniques including integration with other advance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lidar, and application of filtering or template techniques, are required to classify land cover/use or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high resolution imagery.

      •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불투수지표면 분석방법에 관한 실증연구

        사공호상 한국공간정보학회 200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1 No.4

        Impervious surface affects urban climate, flood, and water pollution. With a higher paved rate, expanded heat containing capacity of buildings and roads raises atmospheric temperature, and increased quantity of the outflowed water brings flood during a heavy downpour. Moreover, increase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 is accountable for water pollution. In this regard, it is definitely important to research and keep monito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paved surface, which influences urban ecosystem, disaster and pollution. In fact, collecting information on urban paved surface, which requires the time and expense, is very difficult due to its complicate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o utilize satellite image data for efficient surve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paved surface. It analyzed the paved surface condition of Anyang-si by using IKONOS image and discusse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this method. 토양의 포장은 도시의 기후나 홍수 그리고 수질오염 등에 영향을 미친다. 토양의 포장률이 높아질수록 건물과 도로의 열 저장능력이 커져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며, 유출수가 증가하여 집중호우시 홍수를 유발한다. 아울러 비점오염의 부하량이 늘어나서 수질오염을 가중시킨다. 이와 같이 도시의 생태, 재해 그리고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포장현황을 파악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토양포장 상태는 복잡하며, 이를 조사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료를 얻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 하에서,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으로 불투수지표면을 조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로 IKONOS 영상을 이용하여 안양시의 불투수지표면(不透水地表面)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 방법의 유용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화지역 확산특성에 관한 연구

        사공호상 국토연구원 2004 국토연구 Vol.40 No.-

        This study shows how the urbaniz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SMR) has progressed for the last 30 years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So far, the urbanization of the SMR has been analyzed through societal and economic indicators or statistical data. Here, however, the urbanization of the SMR is analyzed in the aspect of urban planning that places more emphasis on the spatial rel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urbanization of the SMR from the land use changes, accompanying to the urbanization, and the spread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ized area. In order to analyze the dynamic urbanization process of the SMR effectively, here,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are used. The satellite images used are Landsat MSS and TM, which are a total of six from 1973 to 2000 for time series analysis. The urbanization of the SMR began to expand to the satellite cities adjacent to Seoul in 1980s. The rapid expansion of urbanization has reached a climax with the construction of five new cities in the SMR since 1990. Although the urbanized area seems to have no specific direction and pattern regionally, it has regular direction and pattern when it is seen as a whole of the SMR. The development dire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condition. If we understand this relationship, we can predict the development direction. This study shows how the urbaniz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SMR) has progressed for the last 30 years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So far, the urbanization of the SMR has been analyzed through societal and economic indicators or statistical data. Here, however, the urbanization of the SMR is analyzed in the aspect of urban planning that places more emphasis on the spatial rel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urbanization of the SMR from the land use changes, accompanying to the urbanization, and the spread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ized area. In order to analyze the dynamic urbanization process of the SMR effectively, here,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are used. The satellite images used are Landsat MSS and TM, which are a total of six from 1973 to 2000 for time series analysis. The urbanization of the SMR began to expand to the satellite cities adjacent to Seoul in 1980s. The rapid expansion of urbanization has reached a climax with the construction of five new cities in the SMR since 1990. Although the urbanized area seems to have no specific direction and pattern regionally, it has regular direction and pattern when it is seen as a whole of the SMR. The development dire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condition. If we understand this relationship, we can predict the development direction.

      • KCI등재후보

        북한지역 국토이용 DB 구축 연구

        사공호상,서기환,한선희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5 No.3

        Recently, the South and North Korea have collaborated in the economic cooperation. Success for the coope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has supported the basic and fundamental GIS data building for geographic information (GI) and the land-use of the North Korea. This North Korea GIS project is also vital to facilitate rebuilding and reconnecting socio-economic infrastructures such as reconnecting road and railway network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Thus,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fundamental issues of GIS data building in North Korea area and suggests GI and data establishment methods of the North Korea regions which has not been achieved in GIS research activities in Korea. As the basic GI and data in the North Korea, topographical maps, satellite imageries, and thematic map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surveying of territorial areas of the North Korea. The database of those dataset were built by scanning, image processing, and classifying land-use types. In addition, this paper exacted vector data from the database and included the vector data into the database as other basic GI dataset that enable to analyz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ritorial land use and development in the North Korea. 최근 들어 남북한은 경협을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도로철도 연결, 공단개발 등과 같은 남북한 협력사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북한지역의 지형지 물과 같은 물리적인 지리정보와 토지이용현황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구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 는 데이터베이스를 실험적으로 구축하고,이를 통하여 절차와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형도,위성영상,주제도 등 모 든 종류의 가용자료를 수집‧활용하였다.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스캐닝,위성영상처 리, 토지피복분류 등 적합한 처리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자료를 DB화 하는데 그치지 않고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벡터형태의 지리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정성적, 정량적인 북한지역 국토이용현황 조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북한지역 국토이용 DB 구축 연구

        사공호상,서기환,한선희,SaKong, Ho-Sang,Seo, Ki-Hwan,Han, Shun-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Recently, the South and North Korea have collaborated in the economic cooperation. Success for the coope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has supported the basic and fundamental GIS data building for geographic information (GI) and the land-use of the North Korea. This North Korea GIS project is also vital to facilitate rebuilding and reconnecting socio-economic infrastructures such as reconnecting road and railway network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Thus,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fundamental issues of GIS data building in North Korea area and suggests GI and data establishment methods of the North Korea regions which has not been achieved in GIS research activities in Korea. As the basic GI and data in the North Korea, topographical maps, satellite imageries, and thematic map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surveying of territorial areas of the North Korea. The database of those dataset were built by scanning, image processing, and classifying land-use types. In addition, this paper exacted vector data from the database and included the vector data into the database as other basic GI dataset that enable to analyz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ritorial land use and development in the North Korea. 최근 들어 남북한은 경협을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도로철도 연결, 공단개발 등과 같은 남북한 협력사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북한지역의 지형지물과 같은 물리적인 지리정보와 토지이용현황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구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실험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절차와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형도, 위성영상, 주제도 등 모든 종류의 가용자료를 수집 활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스캐닝, 위성영상처리, 토지피복분류 등 적합한 처리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자료를 DB화 하는데 그치지 않고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벡터형태의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정성적, 정량적인 북한지역 국토이용현황조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전략

        사공호상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The 'Hyper-connected society’in which all objects such as people, device, place are connected via networks and share information being realized.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nges, spatial information also faces a significant challenge.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to meet the social demand for spatial information that will bring 'Hyper-connectivity’such as autonomous vehicles, drones. Until now, however, it has only partially responded to urgent demand and has not prepared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In order to effectively and 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 for spatial information that is needed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a strategy that can lead to mid- to long-term fundamental change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ture demand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information confronted with a big paradigm shift called 'Hyper-connected society', and to search spatial information strategy that can cope with the demand of spatial information in future society. 사람과 사물, 장소 등 공간상의 모든 객체가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초연결 시대’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간정보도 중요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3차원 공간정보 등‘초연결’로 인한 공간정보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초연결 시대가 필요로 하는 공간정보의 수요에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초연결 시대’라는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한 공간정보의 미래 수요변화와 활용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사회의 공간정보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