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과 중국에서 재두루미의 이동 및 서식 전략

        빙기창,백운기,Onolragchaa Ganbold,신용운,이두표,박종철,김우열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1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migration trends, habitat use, and territorial sphere of white-naped cranes inhabiting Mongolia and China as a migration strategy in the East Asian Australasian Flyway pathway.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2016 to February 2018. Satellite tracker data and land cover map were used. GPS data of 2,784 recorded and analyses individuals were mainly used. White-naped cranes stayed near the Öndörkhaan in Mongolia between August 18 and September 10, 2016. On October 12 and 13, 2016, signals were detectded in Dolon Nor, China, confirming the movement during the autumn migration season. From January 27, 2017 to March 3, 2017, the individual stayed near Poyang Lake in China during the wintering period, started moving from March 3, and arrived in Dolon Nor on March 11. After a stopover in Dolon Nor for approximately 23 days from April 3, it started moving on April 4, arrived at Öndörkhaan on April 19, and spent 111 days I the breeding season until August 2017. From February 6, 2018 to February 25, 2018, it was recorded as staying in the winter season after moving south again to Lake Poyang in Chin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and cover types within the main habitat, it showed that herbaceous wetland (1,526.5 ha) and permanent water bodies (419.5 ha) were used as the main habitats in Poyang Lake, the wintering area, where they feed on cropland (637.3 ha).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Öndörkhaan and Dolon Nor, it was found that they primarily stayed for breeding in herbaceous vegetation (54.3 ha, 508.0 ha).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case study was confirmed to have a similar trend to the migration studies conducted in Mongolia and Chin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for various studies on white-naped cranes. 본 연구는 동아시아 대양주-이동경로 상 내 몽골과 중국에서 이동전략을 통해 서식하는 재두루미의 이동경향과 서식지 이용 및 세력권에 대한 사례 수집 연구이다. 연구시기는 2016년 8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성추적기 자료와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였다. GPS 자료는 2,784개 기록된 분석 가능한 개체를 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재두루미는 2016년 8월 18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몽골의 은드르항 주변에 머물렀고, 2016년 10월 12일과 13일에 중국의 둬룬 현에서 신호가 확인되어 가을철 이동 시기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7년 1월 27일부터 3월 3일 월동시기에 중국의 포양호 주변에서 머물며 3월 3일부터 움직이기 시작하였고, 3월 11일에 둬룬 현에 도착하였다. 둬룬 현에서 4월 3일까지 약 23일 동안 기착 후, 4월 4일부터 움직이기 시작, 4월 19일에 은드르항에 도착하여 2017년 8월까지 111일 동안 번식기를 지냈다. 이후, 2018년 2월 6일부터 2018년 2월 25일까지 중국의 포양호에 다시 남하 이동 후 월동시기에 머문 것으로 기록되었다. 주요 서식지 내 토지피복유형 분석결과 월동지 포양호에서는 초지형 습지(1,526.5 ha)와 수계(419.5 ha)를 주요 서식지로 이용하고, 경작지(637.3 ha)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번식시기 은드르항과 뒤룬 현에서는 각각 초지(54.3 ha, 508.0 ha)에서 번식을 위해 주로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들로 본 사례연구는 몽골, 중국 등에서 진행하는 이동연구와 비슷한 경향으로 확인되어 추후 재두루미의 다양한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중간기착지에서 조류 사인에 대한 고찰

        빙기창(Gi-Chang Bing),최창용(Chang-Yong Choi),남현영(Hyun-Young Nam),박종길(Jong-Gil Park),홍길표(Gil-Pyo Hong),김성진(Sung-Jin Kim),채희영(Hee-Young Chae),최영복(Young-Bok Choi)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동아시아지역을 이동하는 철새의 주요 중간기착지인 전남 신안군 홍도에서 2004년 10 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사체 인수된 조류 78종 256개체를 대상으로 사고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사인별로는 인공구조물에 의한 충돌이 89개체(34.8%)로 가장 많았으며, 고양이 공격 56개체(21.9%), 탈진 및 아사 54개체(21.1%), 원인불명 29개체(11.3%), 기타 19개체(7.4%), 천적 공격 7개체(2.7%), 교통사고 2개체(0.8%)순으로 나타났다. 원인불명을 제외하면 인위적인 요인이 165개체(64.5%)로 자연적인 요인 62개체(24.2%)보다 많았다.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종은 일부 특정 종에서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에서 노랑 턱멧새가 22개체(8.6%)로 가장 많았으며, 동박새 19개체(7.4%), 촉새 15개체(5.9%), 힝둥새 14개체(5.5%)순으로 나타나 이들 종이 사고위험에 높은 종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인위적인 요인이 자연적인 요인의 비율 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인위적인 요인을 줄여 나간다면 전체적인 사고비율도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며, 야생조류의 보호를 위해서는 사고저감 방안 연구와 더불어 사고요인에 대한 지속 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Monitoring causes of bird mortality on Hongdo Island, an important stopover site for migratory birds on the East-Asian flywa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4 to November 2007. A total of 256 individuals from 78 species was collected. Collision with windows or other artificial structures was the primary cause of bird mortality (89 individuals, 34.8%), followed by killed by cat (56 indiviuals, 21.9%) and exhaustion or starvation (54 individuals, 21.1%). Other causes of fatalities were; death from unknown causes (29 individuals, 11.3%), killed by anthropogenic causes (19 individuals, 7.4%), killed by natural predator (7 individuals, 2.7%) and traffic accident (2 individuals, 0.8%). Victims by anthropogenic factors (165 individuals, 64.5%) were more than by natural factors (62 individuals, 24.2%) regardless of considering unknown causes. Some bird species, such as Emberiza elegans (22 individuals; 8.6%), Zosterops japonicus (19 individuals; 7.4%), Emberiza spodocephala (15 individuals; 5.9%) and Anthus hodgsoni (14 individuals; 5.5%), were more vulnerable to collision with windows or other artificial structures and attack of feral cats. The result of the large impact of anthropogenic factors on bird mortality implies that the total cases of accident can be decreased in number when controlling anthropogenic threats are preceded. At the same time, we need more studies on other factors of bird mortality and management measures for effective protection of migratory birds at stopover sites.

      • 특정도서(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김우열,빙기창,최원석,이지용,이효선,성하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지역에 속해 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특정도서 (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를 대상으로 이 지역에서 관찰된 보호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 활용을 목적으로 조류의 번식시기(하계)와 이동 시기(춘계, 추계)에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 중 병풍도는 멸종위기 동물 매 및 슴새 서식이 지정사유를 포함하고 있고 탄항도와 남태기도는 천연기념 물 흑비둘기 서식이 지성 사유에 포함되어 있다. 이 지역 모두 지형․ 경관이 우수하고 상록 활엽수립 등 조류의 서식 처가 잘 발달되어 있어 식생이 우수한 지역이다. 조사결과 전체 조류는 최대개체수 기준 52종 765개체가 관찰되었고 이중 국내 보호조류는 전체 20종이 나타났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 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 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 (VU, Vulnerable) 1종이 기록되었다. 연구지역에서 확인된 국내․외적 보호종 수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에 기록된 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중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의 취약근접종은 3%, 취약종이 4%의 비율이며 특 정도서 5곳(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에서 기록된 비율은 취약근접종이 4%로 더 높은 비율을 보이며 취약종은 절반인 2%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지역은 보호조류의 번식과 서식처로서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전방안 마련 에 있어 보호조류의 번식 및 서식지 보존을 위해 지리적, 생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정도서에 방목되어 있는 염소구제 및 어로행위를 위한 불법입도 등 인간의 간섭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avifaun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유재평,빙기창,김완병,김인규,정지수,안승락,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2019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2 No.4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ive areas including Namsan district (21.00 ㎢), Tohamsan district (76.95㎢), Seoak district (4.30 ㎢), Hwarang district (3.90 ㎢), and Sogumgang district (6.8 ㎢) that are designatedas Gyeongju National Park. The bird population in the forests and surrounding areas was examinedthrough surveys performed three times in June, August, and January 2017. A total of 36 families, 88species, and 7,724 individuals of birds were observ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sser montanus(19.43%), Corvus frugilegus (10.97%), Anas poecilorhyncha (8.08%), Streptopelia orientalis (7.65%), Paradoxorniswebbianus (6.59%), and Microscelis amaurotis (5.80%). The number of bird species observedduring the survey was the highest in the spring with 60 species, 50 species in summer, and the lowest inthe winter with 45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population,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birds in Gyeongju National Park have been increasing compared with those observed 20 years ago.

      • KCI등재

        완도군 일대 특정도서에서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 Lutra lutra 배설지점의 특성 - 7개 도서(대칠기도, 중칠기도, 소칠기도, 소사도, 소다랑도, 대병풍도, 대마도)에 대하여 -

        김우열,빙기창,이지용,정성은,이창훈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otter habitats in a specific area through the survey of otter feces from July 28 to September 9, 2018,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is study. As a result, the point where the otter excrement was identified was the location of the otter excrement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seven specific islands (Daechilgido, Jungchilgido, Sochilgido, Sosado, Sodalangdo, Daebyeongpungdo, Daemado).As a result, the 14 points were located within 6/10 maximum height of the island from the bottom of the island. The 11 points were located below 2/10 points, the nine sites were located at 2/10 to 1/10 points. The slopes of 14 feces sites were distributed from 11.4° to 44.5° and the average was 24.6°.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rocks, the state of this otter feces is the most recent type of droppings with a deep black color, when the otter excretes, it is discharged as a hormone jelly scat, suggesting that activities as a force and boundary with nearby habitats are very active. As can be seen in this study, otter feces sites can be identified not in the forest where the vegetation is located, but on the boundary line and near the water. Therefore, even if humans are only approaching the coast of a few specific islands, as is evidenced by the surrounding area,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avoiding behavior due to the nature of the otter being strongly vigilant. Therefore, care should be taken not only for the size of a specific islands but also for access to it. Trail investigations of the otter feces islands is usually proposed two days prior to a visit and also depends on having no rain. The most recent activity area can be identified through recent excrement confirmation, and the nature of the specific islands is that the rock is not soaked in water to ensure the minimum safety of the investigator. In addition, the site selected as stool sample site with a slope angle of less than 30° at about 80% (11 out of 14 sites)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method to secure safety and the best results in a survey. 본 연구는 2018년 영간강유역환경청 ‘특정도서 정밀조사’의 과제로 2018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까지 수행된 수달 배설물 흔적 조사를 통해 특정도서 일대의 수달서식에 대한 보존 및 보호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수달배설물은 7개 특정도서(대칠기도, 중칠기도, 소칠기도, 소사도, 소다랑도, 대병풍도, 대마도)에서 14개 지점이 확인되었다. 수달배설물의 지점별 위치를 해발고도에 따라 10등분한 결과 14개의 지점 모두 섬의 아래부터 기준으로 봤을 때 최고높이 6/10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 중 11개의 지점이 2/10 지점에서 확인되어 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었고, 9개 지점은 2/10 ~1/10 지점에 위치하고 있었다. 14개 배설지점의 경사도는 11.4°∼ 44.5°에서 분포하였고 평균은 24.6°로 나타났다. 암석의 종류와 형태에 관계없이 금번 수달배설물의 상태는 검은색을 띈 최근 배설물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아 현재 완도군 일대의 특정도서지역에서 대부분 최근배설물이 확인되고, 수달이 배설할 때 호르몬(Jelly scat) 상태로 배출 하는 등 주변의 서식 개체들과 세력 및 경계로서의 활동도 매우 활발한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수달의 배설장소는 식생이 있는 산림 내부가 아니라 경계선 및 물과 가까운 암반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간이 특정도서의 연안에 접근만 하더라도 경계심이 강한 수달의 특성상 회피행동을 할 확률이 크다. 그러므로 특정도서의 입도 뿐 만 아니라 접근에 있어서도 신중한 제약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도서지역의 수달 배설물을 통한 흔적조사는 최소 비가 2일 이전에는 오지 않은 날을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최근배설물 확인을 통해 가장 최근 활동 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도서지역의 특성상 암반이 물에 젖지 않아야 조사자의 최소한 안전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또한, 약 80%(14지점 중 11지점)에서 경사각 30°미만인 지점을 배설장소로 선택한 것으로 급경사를 피해서 조사하는 것도 수달 배설물 흔적조사에서는 안전과 조사 수행시간 대비 최대한의 결과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