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貊)의 기원과 전승에 관한 초보연구

        복기대 ( Gi Dae B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1 선도문화 Vol.11 No.-

        고구려는 『후한서』 「동이전」에 맥(貊)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고구려인들은 맥을 토템으로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구체적으로 고구려인들이 ``맥``인이라는 것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들의 조상과 후예들도 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맥의 실체에 대하여 곰, 기린, 산양, 돼지 등과 같이 여러 짐승들로 상상하고 많은 의견이 있는 이유는 맥이라는 뜻이 불특정한 짐승을 뜻하고 기록자의 관점에 따라 달리 기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해치``라는 외뿔달린 짐승이 고대에는 ``맥``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으며 ``용``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맥과 해치의 계통을 확인해 본 결과 한국의 맥은 이미 6500년경전에 만들어졌으며 후기 신석기,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그리고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전승되는 과정에서 몸체는 다양하게 변화하지만 정수리 부분의 외뿔은 그 원형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1,500년 전부터 맥이라는 짐승이 신격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중국에서는 1,600년전부터 황하 이북지역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긴 세월동안 전승되어온 맥은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 고유의 토템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맥과 용을 비교해 본 결과 두 짐승은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것을 알 수 있으며 지금까지 용으로 인식되어 왔던 맥은 재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을 상징하는 용이 사방에 널리 퍼진 것으로 보는 중국학자들의 생각과 지금까지 머리에 뿔이 나 있는 것은 모두 용이라고 하였던 것을 분명하게 재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세월동안 전승되어온 맥은 현재는 중국, 몽골, 러시아에서는 전승되지 않고 한국만이 유일하게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 즉 외래문화와 합쳐진 것과 독자적인 것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맥을 단순히 짐승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속에 함의되어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Dong yi Liezhuan`` of Hou Han Shu(後漢書) describes that Goguryoe indicates Maeg(貊) because the Maeg(貊)is their totem, it means that their ancestors and descendants quite relate to the Maeg.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opinions about what the Maeg is because people imagine the Maeg might be a bear, a Kylin, an antelope, a pig and so on and the different point of view of recording history. However, in this paper, it examines ``Haechi`` which has single horn animal might be the Maeg and the Maeg is not a drag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Maeg and Haechi, firstly, in the case of Korea, the Maeg has been connecting historically before 6500 years ago; from the late Neolithic era, the Bronze age, the Three Kingdoms, Koryo Dynasty, Joseon Dynasty to nowadays, interestingly, the body has been changing in a variety of styles but a single horn on the crown of the head has been remained until now. Secondly, in Japan, this Maeg has been regarding as a sacred animal before 1500 years ago and in China, on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Yellow River could be found it before 1600 years ago. Therefor, geographically, this Maeg should be a totem animal in the Northeast Asia area. Moreover, the result of comparing between Maeg and dragon, these two animals have different characters so the recognition which is about a dragon points to Maeg should be reconsidered, and also the situation that many Chinese scholars still think every animal which has single horn is all dragon should be reanalyzed clearly. Historically, the Maeg has been connect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ow only in Korea, we could see a variety of styles of the Maeg in a different parts of area; the case of combining foreign culture and own culture, not in China, Mongolia and Russia. So this Maeg is not just simply an animal, we should reconsider what the Maeg implies for us.

      • KCI등재후보

        遼西지역의 고대 검에 관하여

        복기대(Bok, Gi-Dae) 백산학회 2007 白山學報 Vol.- No.78

        필자는 본 글에서 적봉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가점상층문화지역과 조양 지역을 중심으로 한 릉하문화지역의 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두 지역에서 확인된 검을 볼 때 문화양상이 큰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가점상층문화의 특징은 검뿐만 아니라 다른 기물에서도 다양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 문화는 문화의 다양성을 말해주는 것이고 동시에 다양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릉하문화지역은 비교적 단순한 문화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유동성이 많지 않았던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정치적으로도 안정된 지역이었을 가능성 높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 두 문화가 와해된 이후는 어떤 문화와 어떤 문화들이 있었는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필자는 두 지역의 문화가운데 하가점상층문화는 기원전 7세기 무렵에 와해된 것으로 보았고, 릉하문화는 기원전 4세기 무렵에 와해된 것으로 보았다. 이 두 문화가 동시에 와해가 된 것은 아니지만 기원전 4세기 무렵에는 새로운 유형의 문화요소가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검의 분포도 다르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문화의 틀이 바뀌는 곳을 볼 수 있다. 문화 양상이 바뀌는 양상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하가점상층문화지역에는 유목계통인 흉노와 동호문화가 발전하다가 연나라에 의해 와해되었다. 이와는 달리 릉하문화지역은 직접적으로 연나라의 공격으로 고조선의 서방 2천리가 잠식되면서 고조선계통의 문화대신 일시적이나마 연나라의 영향권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면서 이 지역은 새로운 문화와 정치체제가 들어서는 것을 볼 수 있다. I mention about the swords of Lower xia jia dian culture area around Chi feng area and Ling he culture area that center is Chao yang area in this writing. There was a big culture gap in the confirmed swords of two areas. The feature of Lower xia jia dian culture is not only in swords but also variety in other ruins. It means variety features of culture and there were lots of cultural exchange. Unlike this, Ling he culture area had a comparatively simple culture aspect and that means there was few coming and going. That means it has a possibility there was a stabilized area. We have a question what cultures were existed after two cultures were broke up. I think Lower xia jia dian culture’s downfall was about the 7th century B.C. and Ling he culture was ruined about the 4th century B.C.. These two cultures were not ruined at the same time but there was a new type culture factors since the 4th century B.C.. Because of these circumstances, distribution of the swords was different and culture’s style was generally changed in many places. Changing of culture’s aspect was regionally different, Xing Nu and Dong Hu cultures of a nomadic tribes style were developed and ruined by Yan Empire in Lower xia jia dian culture area. Unlike this, two thousand ri to the west of the old Joseon was encroached by Yan Empire’s direct invasion in the Ling he culture area so it was temporarily in Yan Empire’s control instead of the Old Joseon culture in my opinion. And then a new culture and political structure was established in this area.

      • KCI등재

        小河沿文化에 관하여

        복기대(Bok Gi-Dae) 고조선단군학회 2009 고조선단군학 Vol.21 No.-

        In the era of Xiao He yan culture is between the progress of Hong San culture and Under Xia Jia Dian culture. Although the elements of the Xiao He yan culture were identified in the early 1900's, it has not been studied actively due to the result of the high attention of the Hong San culture and the Under Xia Jia Dian culture, and a lack of remains and relics. However,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is culture more and more from 1970's, In the past, the origin of the Xiao He yan culture was simply believed Da Wen Kou culture or the Hong San culture,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uthor's research, it was influenced by the Hong San culture and Miao Zi Gou culture with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form of tombs and the potteries, so it should be reconsidered.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opinions of a range of the Xiao He yan culture. For example, simply, one is a large region included Liao Xi and Peking, and another is only a region of Liao Xi. Importantly, the first opinion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the elements of the Miao Zi Gou culture might be largely distributed. The Under Xia Jia Dian culture is the main culture which connect to the Xiao He yan culture among the other cultures and the fastest Northeast Asia culture in the Bronze Age. The comparisons with these cultures show many similar parts each other.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tombs, the potteries and the patterns indicate inherited culture clearly, and the same gene of the people in these cultures, which is very important point because the cause of connecting culture to culture is by people. Moreover the Xiao He yan culture is the biggest culture to influence for Gao Tai San culture. As it shows that the Xiao He yan culture is the powerful culture to the formative period of the late Neolithic era and the early Bronze era, but unfortunately, the study of the Xiao He yan culture is difficult because the remains have not been excavated yet a lot, which is very regretful point.

      • KCI등재

        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 -요서 지역 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복기대 ( Gi Dae B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6 No.-

        세계 어느 나라를 역사를 보더라도 고대사를 연구하는 것은 쉬운 과정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기록없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고학이라는 학문을 응용한다. 고고학이라는 학문의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사연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아니 한국은 고대사를 연구하는데 고고학이 더 중요한 나라이다. 그렇지만 어떻게 응용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한국사의 연구출발점을 어디서 시작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마냥 중국이나 일본학자들이 해석해주는 것을 그대로 받을 것인지 아니면 우리 스스로 해석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방법대로 중국 사서를 처음 출발지를 삼을 것인지, 아니면 한국 사료로 출발할 것인지부터 결정을 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에 고고학 자료를 응용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도 결정을 해야 한다. 이렇게 먼저 출발점을 정해놓고 시작을 하면 출발지에 따라 결과는 전혀 다른 것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글쓴이는 한국 사료로 출발을 하고 한국인의 눈으로 유물을 해석 하였다. 그 결과 요서 지역의 고대문화는 한국 상고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지역은 최근 중국학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두는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행스러운 것이다. 만약 중국이 연구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어쩔 수 없는 상황인데 중국이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공동으로 연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왕의 중국연구를 응용해본다면 한국사에서 가장 중요한 고조선 건국신화도 해석이 가능할 유적들이 발견조사 되었다. 이것은 고고학을 통한 한국고조선 역사를 찾을 수 있다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중국은 하, 상, 주단대공정이라는 것을 하였다. 현실적으로 정치나 경제적으로 결코 큰일은 아니다. 아니 아주 작은 미세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이 가져온 결과는 너무나 의외였다. 중국인들의 자존심을 또 한 번 살려준 중국현대사의 쾌거였다. 중국은 이 공정을 하면서 오로지 그들만의 그들의 역사 연구결과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철저한 고고학을 통한 연구를 통하여 하, 상, 주3대에 대한 시기구분을 한 것이다. 어쩌면 하상주단대공정은 고고학이라는 학문이 개발된 이후 가장 큰 효용성을 입증한 것이고, 또 중국인의 자존심을 세우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한국도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To investigating ancient history is a very complex process with insufficient records in any other world history, however, the solution for this is archaeology in this kind of situation. Even though the history of academic archaeology is not long, it plays very important role to study of ancient history. In the case of Korea, archaeology is the most important part to research into Korea ancient history. However, there are two important problems of applying archaeology. One is how apply archaeology for the Korea ancient history, for example, whether it should be accepted the interpretation of Korea history by Chinese or Japanese or Korean should analysis it by themselves. Another is whether the starting point of the history of Korea should be decided by Chinese records traditionally or Korean historical materials. If the starting point for investigating history is determined at first, the outcome will be entirely different.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interpretation of relics through Korean historical materials and a Korean point of view, antiquities in Liao Xi area have an affinity with Korea ancient history. Fortunately, in resent years, Chinese archaeology scholars are interested in this area and study, therefore Korean scholars can invest jointly. Unfortunately, if China does not concern to this study, Korea can do anything in this academic area. For example, as the research from China, some ancient ruins was found which have the keys to interpretate possibly as the birth myth of nation of GoJose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Korea history. This is a signal to find the history of Gojoseon through archaeology. In fact, it is not a big thing in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even it could be a tiny point, however, the outcome of this was surprisingly unexpected because it became a heroic deed for Chinese in modern Chinese history. This distortion project started from on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ir history and divided the period of Xia, Shang, Zhou through the exhaustive archaeolocal research. Perhaps Xia Shang Zhou Chronology Project provide the worth of archaeology greatly, since archaeology has been studied. Threrfore, it could be thought that Korea has great potential materials to prove Korea ancient history by Korean.

      • KCI등재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

        복기대 ( Bok Gi-d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5 No.-

        동북아시아 학계 고대사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접점은 단연 낙랑군의 위치이다. 이 낙랑군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그 당시의 역사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매우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런 기본입장에서 한군현 설치 당시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군현 관련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사료를 근거로 하여 한군현 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한군현의 설치 초기에는 당시 패수가 있었던 현재 중국의 동북지역인 하북성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가 차이나계의 세력이 점점 커지면서 한군현 역시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패수의 위치가 바뀌면서 한군현의 위치도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현재 난하는 고대의 패수였고 북위시기에 이 패수라는 강 이름이 없어졌는데 6세기경 당시 지리학자였던 북위의 역도원이 고구려 평양성이 패수의 북쪽에 있다는 말을 듣고 이 패수를 근거로 하여 낙랑군을 현재 중국 요녕성 요양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이때 낙랑군과 평양의 등치관계가 설정되었으며, 그 후 명나라시기에 현재 한반도에 평양이라는 지명이 보편화되면서 낙랑군도 이 지역으로 옮겨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변화는 원래 한군현이 설치된 지역에서 시작하여 강 이름과 지명을 따라 오늘날 한반도 평양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런 것을 증명하듯이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한반도 어디에도 한군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 한반도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것은 14세기 이후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변화과정을 알려주는 사료들은 매우 많은데 그동안 학계에서 이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학계에서 현재 한반도 평양지역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단선적인 주장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의견들은 1920년대 단선적으로 한반도로 고정되면서 오늘날까지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학계에서 더욱더 치밀한 보완 연구를 통하여 한군현을 제자리에 놓고 한국 고대사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hotspo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Northeastern Asian academia is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is due to the differentiation in historic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t. It is very natural to see heated discussions about this problem. After many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from its birth to modern era, author have earned the following results. If we organize the problem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based on artifacts, we can find out that at its power widening by growth of Chinese region powers from its previous location in Hebei Sheng of northeast China. Especially on relocation of Paesu, we could also see the change in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Current Luán he was ancient Paesu, and on time of Northern Wei, the river name Paesu disappeared. By 6 century, a geographer named Li Daoyuan heard that Pyeongyangseong of Goguryeo was north of Paesu and shifted Lelanggun to current China Liáoníng Sheng Liaoyang region, and this is when the equal state of Lelanggun and Pyeongyang was set, and afterwards, the region name of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became commonly known to people, and this is why Lelanggun moved here as well. This difference started from original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following the names of rivers and regions, all the way down to current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No records of four commanderies of Han in Korean Peninsula in the book of 『Samguksagi』 proves it. So saying that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Korean Peninsula starts after 14th century. There are plenty of artifacts telling these process of change, but the history academia did not take close observation on them. There must have been other calls than this simple insistence of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se various opinions were standardized into Korean Peninsula on 1920s, and is continued until today. Therefore, more elaborate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by history academia to put four commanderies of Han in its original location and to study ancient history of Korea.

      • KCI등재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검토

        복기대(Bok Gi-Dae)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2 No.-

        For the research into a certain country’s history, the study on the seat of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seat of government is the center of everything, it i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a countr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on the location of Ko-gu-ryu’s seat of govern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Because, as most of Korean history research including history of Ko-gu-ryu, has begun by Japanese rather than by Koreans. As everybody know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on Korean history by Japanese was to make logical base of their ruling Korea. That’s why there are so many points in dispute. The writer felt that there are many questions while reading papers studied on the seat of government of Ko-gu-ryu by Japanese. Above all things, Hwan-in or Jib-an was not the seat of government of Ko-gu-ryu at the beginning part of Ko-gu-ryu as Japanese asserted. They are of middle part. In addition, Pyung-yang which King Jangsoo transferred to was not Pyung-yang of North Korea of today but I confirmed that it was Pyung-yang of Yo-yang city, Yo-nyung sung, China. At the same time, I got to know that Yo-yang was a place where there were Nak-rang kun and Hyun-do kun of Han. This is a record which is a very important base of not only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gu-ryu but also of Korean ancient history. Then, what happened to Pyung-yang of today? It is proven to be true that that had transfered during the King Pyung-won of Ko-gu-ryu. Just like this, as the seats of government of Ko-gu-ryu of middle part are newly proven, it will affect deeply those studies had been done on Ko-gu-ryu, relevant Bu-yeo and Ko-cho-sun. Nevertheless, there are other not-yet-ascertained seats of government of Ko-gu-ryu of the beginning part. This is the time when the efforts of the academic world is necessary for these ascertainments.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국내성 및 환도성 위치 연구

        복기대(Bok, Gi-D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1900년대 초반 일본 역사학자들이 한국과 만주 지역의 고대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고구려의 두 번째 도읍지 국내성을 지금의 중국 길림성 집안시로 비정하였다. 집안이 고구려 두 번째 도읍이라는 근거는 국내성이 압록강 가에 있다는 것이었다. 집안의 동쪽에 압록강이 있기 때문에 집안이 국내성이라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첫 번째 도읍지도 정해졌다. 이후 고구려 역사는 이를 바탕으로 연구되는데 이 과정에서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많은 문제가 쌓여갔다. 그렇지만 뚜렷한 대안이 없어 문제들을 덮어두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고구려 국내성 관련 자료들을 다시 분석하고, 고고학 관련 자료들도 살펴본 결과 국내성은 길림성 집안시가 아니라 중국 요녕성 철령시 일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시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자료들을 중심으로 한 결과이다. 뿐만 아니라 일본 학자들이 가장 중요한 근거로 제시하였던 압록강이 고구려 시대와 현재는 같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문헌 기록과 자연 지형지물이 일치하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국내성 위치 확인은 고구려 세 번째 도읍지인 환도의 확인도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즉 세 번째 도읍인 환도는 두 번째 도읍지인 국내성에서 멀지 않은 곳임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더 정밀한 연구를 진행 해야겠지만 문헌 기록과 자연 지형지물을 비교연구 했을 때는 큰 오류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다면 앞으로 이 결과들을 활용하여 고구려사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고 연구 결과들이 합리적이라면 그 결과들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In the early 1900s, Japanese historians studied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Manchuria, and the second capital of Goguryeo was the ji an of Jilin Province in China. The foundation, which was the second capital of Goguryeo, was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located near the Yalu River, which flows east of the family. Based on these historical facts, the first map of the capital was also established, and later Goguryeo history was studied based on it. However, based on this historical fact, many issues were raised that were not logically correct in the course of studying Goguryeo history. Then, after reanalysis of Goguryeo"s family-related data and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was not Ji An of Jilin Province, but the city of Cheolryeong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 results are based on data handed down later. Furtherm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Yalu River in the Goguryeo period, which Japanese scholars presented as the most important evidence, is different from the Yalu River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Yalu River in Goguryeo was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records and natural geography. The location of the fortress was even located in Huando, the third largest capital of Goguryeo. In other words, Hwando, the third capital, is confirmed not far from the second capital, Guk naeseong. More precis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but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no major error in comparing literary records with natural topographical features. If so, these results need to be used to study Goguryeo history in the future and should be respected if they produce reasonable results.

      • KCI등재

        高台山文化에 대하여

        복기대(Bok, Gi-dae) 백산학회 2003 白山學報 Vol.- No.65

        The culture of Mt. Gotae is the culture of Bronze Age that developed in the lower area of Liahoe River. This culture is transformed into the culture that represented an earthenware with three leg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ter Neolithic Age and the Bronze Age in the western area of the Liahoe River. Also, this culture lasted from the 19th century B.C. to the 15th century B.C. It is suggested that this culture i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olithic Culture and the Bronze Culture. Then, the study on this culture still has not advanced in comparison with the culture around this area.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the south Manchuria through this culture. Also, this culture appear to be connected with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e character of this culture was located between the flatland typed culture in the western area of the Liahoe River and the mountain typed culture in the eastern area of the Liahoe River,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communicate both cultures. Considering all data, it is impossible to compare both areas. Because we can not systematically reorganize the culture in the western area of the Liahoe River. But if we secure many data about the Neolithic Age and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area of the Liahoe Ri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elation of both cultu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