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cating Narratives of Diasporas and/or Émigré Otherness in National Literatures: With Some Examples from Croatian, Serbian and Korean Émigré Fiction

        보리스 슈크보르쯔(Boris Š kvorc)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6

        이 논문은 민족문학과 이민자 문학에 대한 담화가 (그 국가에서) 어떻게 치부되며, 이론적 글쓰기에 의해 정의되는지, 그리고 국민문학으로서 또는 학문적, 정치적 패권에 의해 공표되는지에 대한 과정에 주안점을 둔다. 이 논문은 또한 관심의 중점에 있는 두 가지 사안을제시한다. 첫 번째는 해체주의와 포스트식민주의부터 다문화주의와 젠더 연구까지를 다룬 수많은 문학적, 그리고 문화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적 접근방식의 중심인 ‘다름(이질성)’에 대한 질문이다. 이 사안은 후기 푸코주의 이론의 담화, 권력의 분배, 그리고 소외된공간의 포함과 관련 있는 ‘이민자역사 재구성‘의 맥락에서 논의된다. 여기서, 소외된 공간의 의미는 이주된 글쓴이가 생활했던 타지를 말한다. 두 번째 사안은 자료집과 저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작가의 소외된 목소리(의견)의 발췌와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이민자 문학이 시간적인(시대적인) 양상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양상도 포함시킨다는 점에서 ‘시공간적인 차이에 대한 교량 역할’과도 관련되어 있다. 이는역동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국민 문학의 현재 상황을 재-시성(再-諡聖), 재평가 하는 과정에 대한 담화를 역사화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흔히 새로운 의미와 패러다임을 부여하는 모국의 패러다임과 반대되게 해석하는 것으로부터 생기는 ‘다 름’에 역사주의가 박혀있다고 주장한다. 담론적인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움직임은 활동적인 망각, 즉, ‘기억하려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반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은 ‘무언가를 대표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것에 대한 창조는 필연적으로 억압의 행위를 포함한다.”라는 주장을 내세우는 후기 니체주의, 그리고 후기 구조주의의 기조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는 발칸반도, 한반도와 같은 두반도라는 공통적 환경에서 겪는 (위에서 언급한)과정의 방식을 다루고 있다. 필자는 또 다른 두 번째 논문에서 개별적인 지역적으로, 또는 담론적으로 뚜렷하게 표시된 지역을 다루게 될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the procedures in which the ethnic and émigré literature discourses are considered and defined in theoretical writing and how are they evaluated in the process of canonization in national literatures, or within the circle of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hegemonic frames1. At the centre of attention will be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allied with the poststructuralist question of otherness which nowadays is still central to a number of post-structural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from deconstruction and post-colonial theory to multicultural and gender studies.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t-Foucauldian poststructuralist theories of discourse, in ideas about the distribution of power and in the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history of displaced others in relation to the now-alienated imaginary space of possible inclusion. By that I mean the original environment from which the émigré writer is physically excluded. The second question is concerned with the location of the displaced voice in both corpus and cannon, and with the bridging of a gap in time and space which in émigré literature is not only a temporal issue but also spatial. It often represents a poly-ethnic and dispersed discursive realm, rather than an ethno-centric and biased position hostile to the dominant hegemonic order. All this represents a dynamic interaction of fields and includes the process of historicizing discourse in a process of re-canonizing and re-evaluating the current strategies in rewriting national literatures’ histories and their dealings with their own others. I will argue that this process of diverting the traditional historicism of closed communal discourses into a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nvironment is embedded in the otherness that is produced as a reading against being positioned in a host nation’s paradigms. The fact is that host nations often try to impose new meanings and paradigms onto the foreign body of displaced émigré writing and to forcefully position them in their imagined historic progression. This, in return, becomes a process of reaffirming than postmodern, ideas. In these circumstances the strategies of national re-canonization stipulate the process of active forgetting, not remembering. Following this stream of thought, in this essay I emphasize the post-Nietzschean, poststructuralist thesis which states that the “(…) creation of the new, like representation, inevitably involves an act of repression”.2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actical modes of this complex process in the comparative environment of two peninsulas: Balkan and Korean. Therefore I will also discuss and interpret individual examples from both geographically and discursively diverse locations. Here, the first part of the essay is presented, and the second part will be published in the next issue of this jour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