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굴가(不屈歌)> 연구 현황과 시사적 의의

        변종현 ( Byun Jong Hy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21 加羅文化 Vol.30 No.-

        이 논문은 <불굴가>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불굴가> 관련 자료를 검토한 뒤, <불굴가>의 시사적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황패강의 <불굴가> 논문 발표 이후에 강전섭에 의해 반론이 제기되었으나, 학계에서는 대체로 대은의 <불굴가>를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문헌 기록이 후손들의 세보(世譜)에 기록되어 전하기는 하나, 전해지는 기록을 소중하게 여겨 <단심가>와 더불어 고려말 충절을 드러낸 장시조로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굴가>는 최초의 기록된 문헌이 1800년(정조 24)에 간행된 『경신보』잡록에 전하고 있다. 이 기록에는 <하여가>, <단심가>, <불굴가>를 다 함께 다루고 있다. 그러나 1617년(광해군 9) 심광세의『해동악부』에는 <하여가>와 <단심가>만 기록되어 있다. 포은이 순절 후 200여 년이 지난 후에 심광세가『해동악부』에 이방원과 정몽주가 시조로 자신의 의중을 드러내었다고 기록하였고, 다시 200여 년 뒤에『경신보』에 대은의 <불굴가>가 덧붙여진 채로 수록되어 있다.『경신보』에서는 성종 때 대은의 5세손 변희리의 <전가록>을 보고 기록했다고 하나 현재 <전가록>은 전하고 있지 않다. 만약 <전가록>이 나타난다면 대은과 포은의 사후 100여 년이 지난 후의 기록이기 때문에 세 시조 작품의 창작 배경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전하고 있는 시조들은 시조집에 전하는 대로 작자를 인정할 수 없는 작품들이 많다. 시조는 오래전부터 사대부 계층이나 기녀들에게 불려지다가 악부시집이나 시조집에 수록되었다. 이 과정에서 악부시집이나 시조 편찬자들은 구비전승되어 오던 시조의 작자를 수록하면서 오류를 범할 수 있고, 과거 역사에서 흥미 있는 이야기나 전해들은 이야기들을 재구성하여 수록하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김저 사건은 고문을 통해 조작된 것이지만, 김저를 고문한 행위는 <불굴가> 형성 과정과 깊은 상관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즉, 변안열을 고문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변안열도 김저가 당했던 가혹한 고문 못지않게 가혹한 고문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고, 그런 과정에서 자신의 변함없는 충성심을 <불굴가>로 표현하였으리라 여겨진다. 대은의 <불굴가>와 포은의 <단심가>는 두 작품의 작가로 두 사람이 인정된다고 여겨지나,『해동악부』에 수록된 내용이나『경신보』에 수록된 내용은 좀 더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대은의 <불굴가>는 비록 한역되어 전하기는 하지만 장시조 형태로 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존재만으로도 획기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불굴가>는 문학사에서 장시조의 효시 작품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포은의 <단심가>와 함께 문무충절가(文武忠節歌)의 대표적인 시조로 문학사에 자리매김하고 있다. 즉, <단심가>는 짧은 노래(단시조)로 충절을 드러내었다면, <불굴가>는 긴 노래(장시조)로 충절을 드러낸 시조라는 것이다. 앞으로 <불굴가>에 대한 연구는 최초의 기록이 실려 있다고 언급된 <전가록>을 발굴하고, 관련 문헌들을 더 찾아내어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더 보완하여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This paper looked at the existing discussion of "Boolgulga(不屈歌)", reviewed the data related to Boolgulga,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nvincible". After Hwang Pae-gang's thesis on Boolgulga, Kang Jeon-seop raised a counterargument, but it can be seen that academia generally recognizes Dae-eun's Boolgulga" Although the records of the literature are recorded in the Sebo of the descendants,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ed records are valued and recognized as Jang Sijo(長時調). who revealed loyalt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oolgulga is published in 1800 (the 24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in the first recorded literature of the book, Gyeongsinbo(庚申譜). More than 200 years after Poeun's death, Shim Kwang-se recorded that Yi Bang-won and Jeong Mong-ju revealed their intention as a poet in the Haedongakbu(海東樂府), and again, more than 200 years later, Eun's Boolgulga was added to Gyeongsinbo. According to the Gyeongsinbo, it was recorded after seeing the Jeon Ga-rok(傳家錄) of Byun Hee-ri, the fifth-generation descendant of Dae-eun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but the Jeon Ga-rok is not currently reported. If The Record of Jeon Ga-rok appears, it is the oldest record of the creation of the three sijo works because it is a record more than a hundred years after the death of Dae-eun and Po-eun. There are many works in which the author cannot be recognized as they are told in the collection of poems. Sijo has long been sung by the nobility and gisaengs, and has been included in Akbu poetry and sijo books. In this process, it is believed that the writers of Akbu poems and sijo compilers may make errors by containing the author of the old poem and reconstructing interesting stories and stories from past history. Dae-eun's Boolgulgal is believed to be a song sung by Byun An-yeol, who was involved in the Kimjeo incident, while being severely tortured. Dae-eun's Boolgulga and Po-eun's Dansimga(丹心歌) are considered to be recognized as two authors, bu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Hae-dongakbu shinbo are considered to require empirical research based on more data. Dae-eun's Boolgulga has a significant value in its existence alone, as it is said to be in the form of Jang Shi-jo it is translated into Korean. Boolgulga is mentioned as a work of the filial piety of Jang Sijo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has established itself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representative poet of Moon Moo-chungjeolga(文武忠節歌) along with Po-eun's Dansimga showed loyalty with a short song, Boolgulga is a poem that reveals loyalty with a long song.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Boolgulga remains to be explored, found more related literature, and supplemented further through empirical data, which is mentioned as the first record.

      • 최치원 한시의 미학적 특징과 화개동(花開洞)시 연구

        변종현 ( Byun Jong-hy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19 加羅文化 Vol.29 No.-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은 신라 문성왕 19년에 경주 사량부에서 최견일의 아들로 태어나, 12살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18세에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하였고, 20세 때에는 율수현에 임명되고 공직 생활 중 많은 글을 지어 『중산복궤집』을 남겼으나 전하지 않는다. 고운은 청소년기에 당나라에 들어가 문인으로 이름을 드높이고 신라로 돌아와서는 나름대로 정치적인 소신을 펴려고 하였지만 뜻을 이루지 못해 은거를 택하게 되었다. 고운의 시에 대한 선인들의 평가는 긍정과 부정의 엇갈린 시각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고운의 시는 아름다운 수사에 치중하였다는 평가가 많은데, 고운시의 이러한 특색이 고운시가 만당풍(晩唐風)을 띠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것 같다. 당시(唐詩)의 특징은 주정적(主情的)이며 여러 가지 제재를 동원하여 정감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고 한다. 고운은 재당시기의 향수와 귀국후의 실의로 말미암아 자기 정서를 읊은 시가 대부분 자기 비애, 자기 고독, 자기 한탄 등에 따른 정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런 감정들을 애절하게 호소하는 시들이 많다. 그런 가운데 <추야우중>은 최치원의 작품 중에서 작자의 상황 의식과 고독한 정서를 긴밀한 시상 구조로 읊어 내어 그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수작(秀作)으로 꼽히고 있다. 그리고 <여유당성증선왕악관>도 고운의 정감이 선왕의 악사에게까지 확산시켜 자기 자신만의 독백형으로 변용되어 애소조로 읊고 있다. 고운시의 ‘기려’한 풍격은 만당(晩唐)의 시풍을 본받아서 그러하기도 하지만, 개인적인 신분의 한계상황을 뛰어넘지 못해서 형성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고운의 이러한 시풍은 고려초에도 영향을 끼쳐, 정지상에 이르러 만개(滿開)하게 되었다. 고운이 화개동에서 쓴 여덟 수의 시는 나름대로 일정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1은 전체 수의 서장에 해당되며, 2는 봄, 3은 여름, 4는 봄과 가을을, 5와 6은 계절적 배경이 나타나 있지 않고 초저녁 달밤과 저녁 달밤을 노래하였다. 그리고 7은 단풍이 물든 가을, 8은 눈이 내란 겨울의 풍광을 노래하였다. 따라서 이 여덟 수의 한시는 화개동이 선경임을 묘사하면서 사계절의 아름다운 광경을 담아내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개동시는 우리 문학사에서 사시가(四時歌) 계통의 시 가운데 첫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후대 창작된 <전가사시>나 <강호사시가>에 구현된 전가나 강호는, 전가나 강호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살아가는 시적 주체의 삶을 그려내고 있는 것에 비해, 고운의 화개동시는 선계(仙界)와 같은 공간에서 시적 주체가 자연과 동화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잘 그려내었다. 그리고 화개동에서 쓴 여덟 수의 한시의 풍격은 대체로 ‘고고(高古)’한 풍격을 형성하고 있다. 즉, 화개동에서 쓴 시들은 화개동이 선경(仙境)임을 묘사하면서 시적 화자가 세속을 초월하여 고상하고 고풍스럽게 살아가고자 하는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특히 사계절의 대표적인 아름답고 맑은 계절적 분위기 속에서 자신도 자연과 동화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Choi Chi-won (857~?) was born in Gyeongju, in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seong of Silla, studied in the Tang Dynasty at age 12 and passed on to the Tang Dynasty's Bingonggoa(賓貢科) at age 18. At the age of 20, he was appointed to Yulsu County and wrote many writings during his official life. Goun entered the Tang Dynasty as a teenager and made his name known as a writer. When he returned to Silla, he tried to express his political beliefs, but he chose to live in seclusion because he could not fulfill his purpose. The previous people’s assessment of Goun’s poetry shows a mixed view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Many critics say that Goun's poem focused on beautiful investigations, and it seems that Goun's poems character is full-blown. It is sai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were mainly subjective and that various sanctions were used to express sentiment well. Goun's poems that recite his emotions due to nostalgia during the time of his return to Korea and his sorrows after his return to Korea have a passion based on self-pity, and there are many poems that mournfully appeal to such feelings. In the meantime, Chuyawujung(秋夜雨中) is considered a masterpiece of Choi’s works because he recites the author’s sense of situation and loneliness in a close-knit manner. And a poem given to a former king’musician (先王樂官), Goun’s affection spread to the king’s musician, translated into his own monologue and recited in a plaintive way. Goun’s "exciting" style is partly modeled after the style of Man-dang, but it can also be attributed to its failure to overcome the limits of personal status. This Goun’s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early Goryeo period, and in Jeongjisang,’s poem, The flowers bloomed at the top of the stop. The eight poems written by Goun in Hwagae-dong(花開洞) have their own structure. 1 is the total number of captains, 2 sang spring, 3 sang summer, 4 spring and fall, 5 and 6 sang early evening moon nights and evening moon nights with no seasonal background shown. And seven sang the autumn tinted with maple, and eight sang the snowy winter scenery. Thus, the eight poems was intended to capture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four seasons, describing Hwagaedong(花開洞) as Seongyeong(仙境). Therefore, Hwagae-dong poetry i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Jeonga(田家) and Gangho(江湖), embodied in later generations of "Jeongasasi(田家四時)” and "Kangho-sasi(江湖四時)," depicts the life of a poetic subject living on the basis of positive perceptions of jeonga and Gangho, while the Hwagae-dong poem of Goun portrays the life of a poetic subject assimilating with nature in a space such as Seongye(仙界). And the eight Chinese poems written in Hwagae-dong generally form a "high" landscape. In other words, poems written in Hwagae-dong depict Hwagae-dong as Seongyeong(仙境), and the poetic narrator trying to live a noble and antique life beyond the world. Especially, in the beautiful and clear seasonal atmosphere of the four seasons, he is assimilating with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한시 속에 담긴 역사의식과 문명의식

        변종현 ( Byun Jong-hyu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2 No.-

        한국 한시에는 시인 자신의 정감을 표현한 작품이 많지만, 때로는 역사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역사의식이나 문명의식을 시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우리 역사에서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는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배계층에 속했던 인물들의 주체적인 결단이 필요하던 시기였다. 고려후기는 원·명교체기로 역사와 문명에 대한 갈등이 치열했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이제현은 고문운동(古文運動)을 통하여 사대부문학이 나아갈길을 제시하였고, 영사시(詠史詩)를 통하여 역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의식이 담긴 시를 통해 우리가 본 받아야할 인물들과 반성해야 할 인물들을 잘 제시해 주었다. 이곡은 원의 수도인 대도(大都)에서 유학하며 아들인 이색에게도 대도에서 벼슬해야함을 권면하였다. 이색은원에서 유학을 한 뒤 원나라에서 벼슬을 하였지만 고려로 귀국한 뒤 친원(親元)과 친명(親明) 사이의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나라로 사행을 가며 쓴 시로 보이는 <즉사(卽事)>에 나타난 의식으로 보아 목은은 명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더 호감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겠다. 목은은 이후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김구용·정몽주·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유교문화를 심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고려 후기에 형성된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는 사대부들의 가치관으로 자리잡게 되어서, 이후 사대부계층들은 역사전환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영조와 정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특히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조선을 장악하기 위해 일어났던 전쟁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 역사 흐름 속에서 조선 문인들은 한시를 통하여 농민들의 참혹한 실상을 고발하기도 하고, 외세의 침탈에 강력하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정조 때 유득공은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43수를 지어 민족의 주체성을 살리려고 노력하였다. 이 시에서 유득공은 우리 역사의 지나간 모습, 즉 민족적 삶의 총체적 양상을 각국의 왕도(王都)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우리 것을 새롭게 인식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전봉준은 <절명시>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외세를 배격하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였지만 이루지못한 한을 잘 나타내었다. 구한말 황현은 서양세력이 조선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다. 1884년에 지은 <이충무공귀선가>에서는 서양세력의 침탈을 호랑이가 양 마을에 드는 형세라 하였고, 음독하기 전에 쓴 <절명시>에서는 국치일에 죽음으로 선비정신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진화와 정몽주의 시에서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이 뚜렷함을 보여주었고, 조선 후기에는 역관 신분이었던 이언진의 시와 박수의 사상에서 문명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진화는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문명의 주체가 고려임을 나타내었고, 정몽주는 한시를 통하여 중화적(中華的) 세계 질서 속에 있는 고려 민족의 자부심을 드러내었다. 즉, 고려 후기에 국제관계가 중국 명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질서를 인정하고, 그 질서 속에서 문화적 동질성을 확보하고 살아가는 자부심을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역관이었던 이언진의 시에서 자신의 신분과 사상에 대한 깊은 성찰이 나타나있다. 이언진의 시집에는 시인 자신이 겪은 고통과 분노의 언어로 채워져 있으면서, 유교 국가 너머 다양한 사상이 인정되고, 신분과 혈통이 아니라 능력으로 인정받는 세계를 꿈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한말 박수는 존화양이(尊華攘夷)의 진정한 의미를 논하면서 “주 나라가 이룬 제도와 문화를 갖추어 예를 지키고 인륜을 유지하여야 중화”라 하였다. 이러한 선인들의 시와 사상을 통해 볼 수 있는 역사의식과 문명의식은 오늘날 우리에게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자리를 잡아,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역사를 이룩해 나가고 새로운 문명을 창출해 가는 원동력이 되리라 여겨진다. What is the driving force which induces the cultural power of Korea which all over the world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force of the source can be found out from the cultural heritages which our ancestors have left to us. This paper focuses on humanistic imagination involved in Korean Chinese Poetry, based on historical and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In most of Korean Chinese Poetry, poets expressed their own emotions but sometimes they presented their historical or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Historically, some poets among writers in the late Koryeo and in the late Chosun Dynasty showed distinctly such a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can be examined in Yi Jehyeon' Youngsasi(詠史詩),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Koryeo, in Yu Deukgong'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and Jeon Bongjun's and Whang Hyeon's < Jeolmyoungsi(絶命詩) >,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late Koryeo, Yi Jehyeon reinterpreted and criticized Chinese historical figures by writing Youngsasi. Through the poems of historical figures, he presented what ones should emulate and reflect on. Besides, Yu Deukgong composed 43 poem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even though he had lived in poverty. Reading these poems, we can appreciate how our ancestors revealed their view of world and awareness of reality in their poetry, struggling against arrogance of the world. And in the late Koryeo, Jin Wha's and Jeong Mongju's poems showed obvious opinions for the subject of civiliz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Yi Eonjin, who was an interpreter, and Park Soo displayed clearly new view of civilization in their thoughts. Jin Wha dispatched to Jin as an envoy expressed that the subject of civilization was Koryeo. Jeong Mongju revealed the pride of Koryeo people even in Chinese world order of the time. In his poems, he expressed a pride that he lived ensuring cultural homogeneity in Ming-centric world order even though the world in the late Koryeo accepted such a world order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Yi Eonjin, an interpre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described keen reflection on his status and thought in his poetry. His anthology was filled with the words of agonies and rages which he had experienced. He was dreaming of the world that various thoughts would be accepted and people's abilities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ir status or blood even though he lived in a confucian count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Park Soo said, "Jungwha(the form of viewing China as the most advanced civilization in the world) is that courtesy should be observed and humanity should be kept, equipped with system and culture which Zhou Dynasty had established", disputing about what the real Jonwhayangi(Hua-yi distinction) was. It is considered that today the ancestors'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shown in their poems and thoughts will be the motive to build new cultural contents, to make desirable history and to create new civilization in future.

      • KCI등재

        <도산잡영>과 <도산십이곡>의 관련 양상 연구

        변종현 ( Byun Jong-hyun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0 No.-

        이 논문은 <도산잡영>과 <도산십이곡>의 관련양상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두 작품에는 도산서원을 배경으로 자연의 이치를 탐구하며 학문과 수양에 힘쓰고자 하는 퇴계의 정신세계가 잘 구현되어 있다. 특히 <도산십이곡>의 `언지 6`과 `언학 6`은 『중용(中庸)』 비은(費隱)장에 토대를 두고 있어서, <언지>와 <언학>의 내용이 다같이 군자의 도를 노래하는 통일성을 지니고 있다. 두 작품의 관련 양상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자연과 도학의 세계를 탐구한 측면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서록(西麓)>에서 퇴계는 서쪽 산기슭에 띠집을 짓고 살면서 구름과 노을을 벗하면서 살고자하는 뜻을 표현하였는데, <언지(言志) 1>에서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뜻을 뚜렷이 밝히고 있다. 그리고 <어촌>에서 퇴계는 순박하게 살아가는 백성들의 삶의 모습을 아름답게 그려내었는데, <언지 3>에서는 순박한 풍속이 죽었다고 하나 거짓말이고, 사람의 성품이 어질다 하니 옳은 말이라 하였다. <구저(鷗渚)>에서 퇴계는 모래톱의 갈매기를 바라보며 욕심없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뜻을 투영하였는데, <언지 5>에서는 산과 물을 배경으로 갈매기떼는 날아다니고 있기 때문에 백구맹(白鷗盟)을 하면서 자연과 친화할 수 있는데, 어찌하여 흰 망아지는 멀리 마음을 두고 있는가라고 묻고 있다. <구저>에 나오는 갈매기의 모습이나 <언지 5>에 나오는 떼 많은 갈매기는 모두 퇴계가 백구맹(白鷗盟)의 의지를 보여주는 내용들이다. <천연대(天淵臺)>에서 퇴계는 `연비어약(鳶飛魚躍)`의 이치를 음미하면서 하늘 이치의 유행과 활발발함을 확인하고 있다. <정초(庭草)>에서는 주돈이(周敦?)의 시구와 주희(朱熹)의 시구에 나타난 천기(天機)를 다시금 마음 속으로 체득해 보고 있다. <언지 6>에서 퇴계는 질서정연하게 반복 순환하는 자연의 이치를 관찰하면서 느끼는 감동을 노래하였다. 퇴계는 <언지 6>에서 사계절의 아름다운 흥취를 그려내면서, `어약연비(魚躍鳶飛)`, `운영천광(雲影天光)`의 반복 순환하는 이치를 모든 사람들이 함께 깨달아 알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다음으로 학문과 수양의 세계를 탐구한 측면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완락재(玩樂齋)>에서 퇴계는 자신이 추구하는 학문의 세계를 다 드러내고 있다. 주경(主敬)은 의(義)를 모으는 공부이니, 비망비조(非忘非助)하며 점차적으로 통달해야 한다고 하였다. <언학 1>에서 퇴계가 권유하는 학문과 수양의 방법은 만권생애를 통해 성인의 학문을 익히는 것과 왕래풍류를 통해 마음을 비우고 억지로 조장하지 않는 방법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암서헌(巖栖軒)>에서 퇴계는 증자나 안연처럼 박문약례에 힘을 기울이면서 매사에 조심하여 마치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고, 얇은 얼음을 밟듯이 신중하게 처신하며 살아가야함을 다짐하고 있다. <언학 3>에서 퇴계는 옛 성인들이 행했던 학문 수양의 방법을 따라서 자신도 학문과 수양에 몰두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반타석(盤陀石)>은 퇴계가 이상으로 여겼던 군자(君子)의 모습이며, 선비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물결이 혼탁하고 거세어도 그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반타석처럼 군자나 선비들은 학문과 수양에 힘을 써서 변함없는 마음가짐이나 처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반타석>에서 군자나 선비들은 변함없는 마음가짐으로 학문과 수양에 힘써야함을 노래하였는데, <언학 4>에서는 다른 곳에 마음을 두지 아니하고 학문과 수양에 몰두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시습재(時習齋)>, <관란헌(觀瀾軒)>>과 <언학 5>는 끊임없는 학문 수양 자세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성을 가진다 할 수 있다. <몽천(蒙泉)>에서는 몽괘의 “군자는 과단성 있는 행동으로 덕을 기른다”는 말을 기억하며 바름과 덕을 기르는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언학(言學) 6>에서 퇴계는 학문은 어리석은 사람도 알면서 실천할 수 있는 것이고, 성인도 못 다 하시는 것이니, 우부나성인 할 것 없이 끝없이 반복 실천하다 보면 나이가 들어가는 것도 잊은 채학문에 심취할 수가 있다고 하였다. 특히 <언학 6>에는 군자의 도를 끝없이 추구하며 살아가고자 하는 퇴계의 정신세계가 잘 구현되어 있다. 이처럼 <도산잡영>과 <도산십이곡>은 창작동기나 시 내면세계가 동일한 사상이나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창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tablished meaning and view on < Dosanjapyoung(陶山雜詠) > and < Dosanshibigog(陶山十二曲) > and studied an similar view on two pieces. < Dosanjapyoung > and < Dosanshibigog > are createed around the time when rationalism theory of Toegye(退溪) had been completed. Therefore, we can say that his rationlism theory is connentrated in these pieces. Therefore, his pieces are song of joy by nobleman about beauty of nature, and song of ethical understanding and the rule inside. First of all, let`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osanjapyeoung` and `Dosan Sibigok`. Two works show a world view of Toegye, an ethicist who had tried to understand an abstruse principle of Taegeukyeomgye(太極濂溪). They are connected deeply to each other. At first, Toegye created a chinese poem, `Dosanjabyeoung` to express his joy in Dosan and then he wrote `Dosan Sibigok`, which was written in Korean Sijo(時調), to depict his emotion which he couldn`t express with chinese letters. In the epilogue of `Dosan Sibigok`, he wrote that he had composed two `Dosan Yukoks` by imitating Yukga of farewell. One was `Eonji Yukok` and another was `Eonhak Yukok`. He also wrote that his work called `Dosan Yukok` was a style of Yukga. In this respect, `Eonji(言志)` and `Eonhak(言學)`. are well organized each other. Especially,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ir last stanza. Both of them are related to Gunjajido(君子之道), a way of man of virtue) of Bieunjang(費隱章)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hey sing `a way of nature` and `a way of human being` in common. In `Eonji Yukok`, he desired people to realize and pursue a way of man of virtue. In `Eonji 6`, the poet desired people to realize a reason why Eoyakyeonbi (魚躍鳶飛, a very active state) and Unyoungcheongwang(雲影天光, a harmonious state) were repeated and rotated, depicting the beauty of four seasons. Toegye wrote about an attitude, a mind and a way for study in the later Yukgok, calling `Eonhak`. In `Eonhak`, he insisted on keeping studying and cultivating mind, based on `gyoung`(敬, respect). In `Eonhak 5`, Toegye decided that people should keep studying and maintain self-discipline like everlasting nature. `Eonhak 6` also emphasizes on ceaseless study and self-discipline. Bieunjang(費隱章)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s recited in `Eonhak 6`, which is related closely to the contents expressed `Eonji 6`. As mentioned above, `Eonji` and `Eonhak` harmonizes with each other and has unity in various aspects. Two pieces have differences in poetic format but they are same for revealing the rationalism theory and development theory that are similar view through the pieces. Therefore, < Dosanjapyoung(陶山雜詠) > and < Dosanshibigog(陶山十二曲) > are based on same and shared view as they both sing the rule of nature and research of study and spirit.

      • 연구논문 : 진화시의 풍격 연구

        변종현 ( Jong Hyun By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12 加羅文化 Vol.24 No.-

        梅湖 陳화□는 고려 신종(1200년경) 때의 문인으로, <翰林別曲>에서 이규보와 함께 ``雙韻走筆``로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현존하는 그의 시는 59수에 불과하지만 선인들에 의해 시적인 성취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시에 대한 선인들의 평어는 ``淸警絶妙``·``淸雄華靡``,· ``淸新幻묘``·``淸麗``하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평어에 ``청(淸)``이라는 글자가 항상 붙어 다니는 것을 볼 때에, 진화의 시 내면세계의 분위기는 늘 맑고 투명한 이미지〔淸〕 를 가지고 있으면서 아름답고 고운〔華, 麗〕 색채를 띠고 있다고 논의되었다. 매호의 시 가운데 <春日和金秀才>에서는 봄날 어느 한 시점에 시적 주체는 정원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가만히 관찰하면서 봄날의 맑고 아름다운 광경을 잘 드러내었고, <春晩題山寺>에서는 산사에서 한 순간 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변화를 가만히 포착하여 읊으면서, 기·승구에서는 ``淸``의 심상을, 전·결구에서는 ``麗``의 심상을 잘 드러내었다. <野步>에서는 어느 봄날 아지랑이가 피어 오르는 들길을 걷다가 비를 만나 주막을 찾아간 시적 주체의 흥취를 잘 드러내었다. 특히 이 시는 작자의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드러내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하였는데, 이 시는 맑고 굳세고 새롭게 생동하는 봄날의 정취를 잘 그려내었다. <月溪寺晩眺>에서는 평소에는 잘 느낄 수 없었던 물상의 본질적인 면들을 환기시켜 주면서 월계사에서 바라 본 맑고 한가로운 경치를 불교 용어에 담아 그려내기도 하였고, <柳>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지켜본 버들의 생태를 인격화하면서 버들을 맑고 아름다운 궁녀의 자태로 그려내었다. <賞春亭玉예花>에서는 고고하고 아름다운 수선화의 자태를 아름다운 여인의 자태에 견주어 형용하여, 淸麗한 풍격으로 그려내었고, <松都>에서는 이 시는 화려한 수도에 대한 칭송과 임금님에 대한 경외심, 그리고 작가의 자부심을 표현한 작품으로, 전형적으로 맑고 아름다운 풍격을 드러내었다. <平沙落雁>에서는 그림 속의 풍광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었고, 그림 속에 나타나있지 않는 풍광까지도 상상을 통해 표현해냄으로써, 그림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그려내었다. 특히 이 그림은 너른 모래톱에 앉아 내리는 기러기들의 모습과 갈대밭에 앉아서 잠을 자려는 기러기들의 생태를 맑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잘 그려내었다. 그리고 <中秋雨後>에서는 비가 내린 뒤 맞은 한가위 보름달의 정취를 맑고 아름답게 그려내었다. 이처럼 진화시는 대체 시가 맑고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어서 ``淸麗`` 한 풍격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고 여겨진다. Jinwha called Maeho was a writer who lived in the era of Shinjon, Koryo (about 1200). He and Lee Gyubo were known as ``Ssanunjupil`` when they wrote <Hallimbyeolgok>. Even though he wrote a lot of poems with Lee Gyubo, Only 59 poems were handed down. Scholars of the day made comments on his poems as follows: ``Cheongyeongjeolmyo``(淸警絶妙), ``Cheongwoongwhami``(淸雄華靡), ``Cheongsinwhanmyo``(淸新幻묘) and ``Cheongnyeo‘(淸麗). Considering ``Cheong(淸)``, the first word of the commen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evaluated that his poet had clear and transparent images, and had beautiful and fine tones in its inner world. Among his poems, <Chunilwhakimsujae(春日和金秀才)> showed a poetic subject who examined the fresh and beautiful changes of spring days occurring at the spring garden. <Chunmanjesansa(春晩題山寺> recited the natural changes at a moment and at a space in a temple. In the poem, the first phase revealed the image of ``Cheong(淸)`` and the last phase the image of ``Ryeo(麗)``. <Yabo(野步)> showed the joy of the poetic subject who visited a tavern after he got caught in the rain on the hazy field. Especially, This poem helped the writer get a fame as a poet and it depicted the mood of clean, firm and vivid spring days. <Wolgyesamanzo(月溪寺晩조)> reminded of the intrinsic aspects of objects which couldn`t have been recognized in usual and with the Buddhist terms it expressed the peaceful views shown from Wolgyesa. <Yu(柳)> depicted a willow tree as a beautiful court lady by observing the ecology of the tree changing from spring to fall and by personifying it. <Sangchunjeongokyewha(賞春亭玉예花)> compared the lofty and beautify daffodil with a beautiful woman in the clear and fine style. <Songdo(松都)> praised the luxurious capital and showed the awe of the lord and the writer`s pride. It was written in the clear and gorgeous style. <Pyeongsanagan(平沙落雁> described realistically and firmly the scenery in a picture and expressed even scenes not to be shown in the picture through imagination. Especially, the picture showed clearly and beautifully the wild geese landing on the wide sand banks and trying to sleep on the reeds. And then <Jungchuwoohu(中秋雨後)> portrayed beautifully the Hangawi full-moon coming into sight after a rainy day. As shown above, it is regarded that Jinwhasi is expressed clearly and beautifully and that it is written mainly in the ``Cheongreoy(淸 麗) style.

      • KCI등재
      • KCI등재

        기획 주제 논문 :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변종현 ( Jong Hyun Byun ) 배달말학회 2010 배달말 Vol.47 No.-

        서동설화는 근본적으로 역사와 설화가 통합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텍스트로 바라보아야 설화의 의미가 잘 드러난다. 서동설화를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사실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삼국유사> 무왕조의 기록에서 무왕이 미륵사를 창건했다는 것은 역사 기록에서도 입증이 되고, 미륵사터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미륵사터가 습지였다는 것도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서동이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이 흙더미처럼 쌓여있다는 것도 역사적 사실에 가까운 기록이라 여겨진다. 즉, 익산과 인접한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는 채금하던 곳이 수십 곳이 남아있고, 지금도 금구면에서는 겨울철에 沙金을 채취하고 있다. 師子寺에 거주했다는 知命法師는 서동설화에서 주요한 인물로 등장하는데, 현재 미륵산(용화산) 정상 밑에 있는 獅子菴을 발굴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명법사가 거주했다는 師子寺와 같은 절임이 확인되었다. 서동설화에서 설화적 사실은 무왕의 탄생담과 무왕과 선화공주의 혼인, 지명법사의 신력 등을 들 수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武王은 法王의 아들로 되어 있지만 외아들이거나 후궁 출신 비에서 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후궁의 소생이라면 ‘어머니가 홀로 되어 못에 있는 용과 관계하여 낳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무왕이 용의 정기를 타고 태어났다는 것은 신화적 영웅들이 그러한 것처럼 신이한 출생담을 가지게 되었다. 무왕은 역사적 인물에서 민중들의 소망을 실현시켜줄 영웅적 인물로 새롭게 그려진 것이다. 서동설화는 미륵사 창건 연기설화이기 때문에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무왕은 아버지인 법왕의 불심에 감화를 받아 익산 지역에 왕흥사(미륵사)를 세우게 된다. 왕흥사는 창건한지 34년만인 634년에 완성되었고, 당시 백제인들이 작성한 사리봉안기에는, 미륵사는 무왕의 왕비인 佐平 沙탁積德의 따님이 창건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화공주는 설화적 인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무왕과 선화공주의 혼인은 입증하기 어려우며, 역사적으로 보아도 그 당시 신라에서 적대국가인 백제에 선화공주를 시집보냈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미륵사터인 연못을 知命법사가 하루밤 사이에 神力으로 메꾸었다는 사실도 역사적 사실과 불교적 영험이 결합되어 형성되었다. 즉 미륵사지는 발굴 과정에서 습지였다는 것이 밝혀져서, 결국 미륵사터는 연못을 메꾸어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겠고, 知命법사는 불교의 영험과 이적을 보여준 고승으로 그려져 있다. 서동요는 사뇌가 형식의 노래와는 다른 민요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노래이다. 초기 연구자들은 대체로 무왕이 창작한 노래로 보았으나, 후대 연구자들은 서동이라는 인물이 구비전승되던 동요에 서동과 선화공주를 넣어 개작하였다고 보았다. 이 노래를 서동설화 속에서 읽지 않고 노래 자체만을 가지고 부를 때에도 이 노래의 동요적 성격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이 노래는 현재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인 ‘얼레꼴레리’라는 노래와 비슷한 내용과 구조로 되어 있다. 서동요는 오랫동안 익산과 부여지방에서 구비전승되다가 일연스님에 의해 기록화되었는데, 노래말의 내용 가운데 ‘원乙’은 <삼국유사>의 같은 글자의 용례로 볼 때에 ‘알을’로 해독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서동요는 사랑의 주가나 사회 변혁을 예언하는 참요, 하층민들의 신분상승욕구가 반영된 노래로 바라보기도 하고, 이 노래를 불교적 성격을 가진 노래로 파악하여 선화를 미륵선화로, 서동을 미륵으로 이해하여 미륵하생 신앙을 표현한 노래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Seodong Seolwha is basically a mixture of history and folk tale, and its text reveals what a folk tale is. Seodong Seolwha can be considered from two viewpoints; a history and a folk tale. Samguk Yusa ( a collection of legends, folk tales, and historical accounts relating to Goguryeo, Baekje and Silla) recorded that King Mu(the thirtieth king of Baekje Dynasty) established Mireuksa(a Buddhist temple), whose site used to be a marsh. It was found out while the site was excavated. A historical story has been told that a great mass of gold had been piled up at the place where Seodong had digged out yams. Jimyoung, a buddhist monk, who had stayed at Sajasa (a temple), was a main character in Seodong Seolwha. While Sajaam around the top of Mt. Mireuk (Mt. Yongwha) was excav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le was the same place as Sajasa where he had stayed. Seodong Seolwha have some elements of folk tales;the birth story of King Mu, the marriage of King Mu and Princess Seonwha, and the divine power of Jimyoung monk. Even though Samkuk Sagi recorded that King Mu had been a son of King Beob, he might have been an only son or a son of royal concubine. If he had been a son of royal concubine, the story of Samkuk Sagi could be true. It says, `My mother was widowed and then she gave birth to me with a dragon living in a pond`. Like other mythical heroes, he also had supernatural birth story that he was born with the spirit of dragon. Seodong Seolwha in Samkuk Sagi contains a tale about the establishment of Mireuksa. According to the record, King Mu was impressed by his father, King Beob`s devotion to Buddhism so that he built Wangheungsa(Mireuksa, a temple) in Iksan. In 634 Wangheungsa had been finished 34 years later since it started to be built. According to records which Baekje people had written for keeping sarira relics at that time, Mireuksa was established by King Mu`s wife who was a daughter of Sataekjeokdeok(沙탁積德), a high-ranking official. Therefore, Seonwha princess could be a character in a folk tale. Therefore, Seonwha princess could be a character in a folk tale.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marriage of King Mu and Seonwha princess and to understand the marriage between King Mu and Seonwha princess who had lived in hostile countries, Baekje and Silla. It has historically been told that Jimyoung monk filled up the pond, a site of Mireuksa for a night. The story was the mixture of a historical fact and a buddhist miracle. It was revealed during excavation that the Mireuksa site used to be a marsh, which was filled up to build the temple. According to the record, Jimyoung was described as a monk who had a buddhist`s miracles and wonders. Seodongyo is a folk song style, not a sanoega style. Samkukyusa recorded that it had been composed by King Mu.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t had been created by an individual or had been handed down orally. Early researchers thought that Seodongyo was created by King Mu but later researchers presented that a Seodong adapted a traditional children`s song for Seodongyo by adding Seodong and Seonwha princess. Apart from Seodongyo in Seodong Seolwha, this song is a children`s song style in itself. In other words, this song has the similar words and structure to `eoleri koleri`, a children`s song which today`s children sing. Seodongyo had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 of Iksan and Buyeo for a long time until it was recorded by Ilyeon monk. ‘원乙’ among words of the song can be interpreted as ‘aleul’ according to its use of Samkukyusa. Seodong can be variously analyzed as a song for love, a song which predicts the change of society, and a song to reflect a desire that common people want to move up in their position. When this song is classified as having a buddhist feature, Seonwha is regarded as Mireuk Seonwha from the view point of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Dosan Sibigok> and Seodong as Mireuk. As a result, this song could be considered as a song to express a religious belief that Mireuk appeared in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