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Self)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이해: 칸트와 코헛 연결 짓기

        변재봉 ( Byun Jaebong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리처드 체식은 자기에 대한 임마누엘 칸트의 이해와 하인즈 코헛의 이해에 유사점이 있다고 보았는데, 본 연구는 이런 체식의 지적에 착안한 실험적인 접근을 담고 있다. 과연 자기에 대한 칸트와 코헛의 이해를 연결 지을 수 있는지, 그것이 가능하다면 둘 사이의 무엇을, 어떻게 연결 지어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칸트와 코헛은 모두 외형적으로는 자기에 대한 이해를 이중적인 구조 아래에서 정립했다. 엄밀히 이중 구조라는 점의 유사성에 비해 분명한 차이점도 존재하지만, 둘 사이에는 상호보완적인 이해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자기의식으로서의 자아를‘사유하는 자아’와‘지각하는 자아’의 이중 구조로, 『유고』에서는‘근원적인 직관’과‘파생적인 직관’의 이중적 구조의 통합을 통해 정립했다. 자기에 대해 심리학적인 이해를 도모했던 코헛도 자기를 이중 구조로서 설명했다. 곧 온전한 자기는‘과대적 자기’와 ‘이상화된 부모원상’이라는 두 축의 결합과 통합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칸트와 코헛의 자기이해는 그 출발점이 다르다. 칸트는 독일관념론에 기반하여 인식과 의식의 주체로서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결과, 이중 구조를 가진 자기의식으로서 자아를 분석했다. 그의 관심은“나는 어떻게 자기와 대상을 인식할 수 있느냐”라는 인식론에 있었다. 반면에 코헛은 철학적 접근이 아닌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통해 병리적 자기애, 혹은 자기애적 장애를 가진 내담자들을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 자기를 분석했다. 그의 관심은 “어떻게 건강한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느냐”의 실용적 접근에 있었다. 비록 그 출발점이 다르고 여러 차이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칸트와 코헛 모두 외형적으로는 자기를 이중 구조 속에서 정립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칸트의 자기에 대한 이중 구조는 코헛이 말한 유아의‘실질적인 자기’ (virtual self)가 어떻게, 어떤 세부적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지를 설명해 줄수 있는 하나의 제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결 짓기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칸트와 코헛 모두 자기와 대상을 지각하는 인식의 주체로서 자아가 온전히 통합되지 못했을 경우, 인간은 우울증과 같은 마음의 병을 앓게 되고, 병리적인 문제를 겪는다고 본 점은 공통된 이해로 연결지어 볼 수 있다. 자기에 대한 칸트의 철학적 이해와 코헛의 심리학적 이해를 연결 지어보는 작업은 내담자에 대한 전인적인 인간이해에 있어서 중요하다. 비록 본 연구가 상담현장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적용을 제안해 줄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병리적인 문제를 안고 상담실을 찾은 내담자의 자기를 좀 더 풍요롭고 전인적으로 이해하는 데는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Richard Chessick saw similarities between Kant’s understanding of self and Kohut’s understanding of self, and this study contained an empirical approach that drew attention to Chessick’s n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Kant’s and Kohut’s understanding of self can be linked, and if so, what was is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m and how to connect them. Both Kant and Kohut formally established their understanding of self under a dual structure. There The dual structure was showed a clear difference from the dual structure, but it seemed that there can be a complementary understanding between two aspects of self seems possible. In Kant’s 『the Critique of Pure Reason』, he established self(ego) as a dual structure of ‘thinking ego’ and ‘perceiving ego’. And in 『Opus Postumum』, Kant still established ego as self-consciousness with a dual structure, ‘fundamental intuition’ and ‘derivative intuition’. Kohut, who had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self, explained self as a dual structure. He saw that the perfect self was formed by combining and integrating the two axes of ‘grandiose self’ and ‘idealized parental imago’. Kant’s and Kohut’s understandings of self each had a different starting point. Kant analyzed ego as self-consciousness with a dual structure as a result of philosophical inquiry into self as the subject of recognition and consciousness based on Deutscher Idealismus. His interest was in the epistemology of “How can I recognize self and objects?” on On the other hand, Kohut analyzed self with a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 approach, rather than a philosophical approach, as a means to understand clients with pathological narcissism or narcissistic disabilities. His interest was in the pragmatic approach of “How can I form a healthy self?”Even though its their starting points differedwas different and there were several other differences existed, both Kant’s and Kohut’s aspects can be foundhave a commonality in that they formulate self in a dual structure. In particular, the dual structure of Kant’s ego can be linked to Kohut’s self in that it can be a suggestion that explained how the ‘virtual self’ of a child described by Kohut was formed and what wasdescribed the detailed process. In addition, both Kant and Kohut pointed out that if the ego as a subject of perception of self and objects is not fully integrated, human beings suffer from the same kind ofa mental illness as similar to a depression and pathological problems. This point can be seen as linking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m. The work of linking Kant’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self to Kohut’s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self was important forcontributes to the whole human understanding of a client. Even if this study cannot propose a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counseling area, it is expected that it willshould be enough to help a client with pathological problems who visits the counseling room in terms of a more affluent full and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client.

      • KCI등재

        찰스 거킨의 이야기해석학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평가 및 적용

        변재봉 ( Jaebong Byun ),이관직 ( Kwanjik Lee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5 목회와 상담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astoral implications of the narrative hermeneutics of Charles Gerkin, who developed his pastoral counseling methodology to utilize ‘narratives’ as an instrument and a basic structure in the counseling process. He understood that a pastoral counselor must derive some meanings implied in a client’s crisis narratives by interpreting the narratives accurately and help the client see and understand these meanings. For This, Gerkin attempted to build his narrative hermeneutics utilizing the methods of Friedrich Schleiermacher, Wilhelm Dilthey, Martin Heidegger, Hans-Georg Gadamer, and Paul Ricoer. Gerkin also attempted to integrate theological interpretation and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by using a neutral term ‘self’ that comprises the theological term ‘soul’ and the psychological term ‘ego.’ He saw tha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hristian narrative therapy depended on a Christian counselor’s strong sense of identity based on the Christian, biblical, and theological heritage. Gerkin’s narrative hermeneutics as a pastoral counseling methodology have implications for the identity issue of pastoral counseling, and rationales and conditions for critical acceptance of current narrative therapies. It can be said that he contributed to a new understanding that counselees must be understood as coworkers with counselors in the counseling process. His narrative hermeneutics attempted to interpret an individual’s problem narratives not only from a personal level but also from the multi dimensions of family, church community, society, and the kingdom of God. He believed that pastoral counselors ought to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their clients in relation to their family, church, and social systems. His pastoral counseling methods were proposed before Larry Graham’s ‘psychosystemic approach.’ His hermeneutical method asks Korean pastoral counselors to explore their clients’ narratives in depth, and challenges them to study further the areas of Confucianism discourse and the deconstruction and reframing of the negative discourse toward cross-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야곱 가족의 역기능성과 그 치유 과정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이해: Bowen의 가족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변재봉 ( Byun Jaebong ),이관직 ( Lee Kwanji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79 No.-

        본 연구는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의 다세대적 가족치료 관점에서 창세기에 나타난 야곱과 그의 가족사를 분석하고 그 치료과정을 살펴봄으로, 임상목회 현장 속에서 역기능적인 증상들로 고통 받는 신자들과 교회공동체를 돌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세기에 등장하는 야곱의 이야기에 대한 성경신학적인 주해 작업의 성과물과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을 연결 짓는 작업을 통해, 야곱이 보이는 역기능적인 증상들을 가족시스템과의 관계성 속에서 이해하려고 시도했다. 특히 야곱 안에 존재했던 불안과 두려움이라는 핵심감정들과 역기능적인 증상들이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어떻게 기능했는지, 또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낮은 분화 수준에 머물렀던 야곱이 성장할 수 있었는지 그 치료적 동인을 찾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보웬의 이론에 따르면, 야곱이 보여주는 감정반사행동, 라헬과 요셉에 대한 편애, 삼각관계의 형성, 두려움과 불안의 회피, 경쟁의식의 세대 전수등의 역기능적인 증상들은 모두 낮은 자기분화로부터 기인한다. 물론 이런 야곱의 낮은 분화수준은 창세기 32장 이후 여러 사건들을 거치면서 변화와 성장을 경험한다. 야곱이 형성한 역기능적인 삼각관계의 큰 축은 소유물 혹은 사람과의 융합에 따른 삼각관계이며, 다른 축은 자신의 불안과 두려움이라는 핵심감정으로부터의 미분화에 따른 역기능적인 삼각관계였다. 이런 역기능적인 삼각관계들은 얍복강 사건과 디나 사건, 벧엘 사건 그리고 요셉 사건 속에 개입하신 하나님의 치료적 작업을 통해 해체되었다. 특히 시련을 통해 요셉을 강제적으로 야곱으로부터 분리시키심은 야곱의 낮은 분화수준의 세대 전수를 끊으신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이다. 이 과정 속에서 하나님은 직면과 코칭으로, 야곱의 성장 수준에 발맞춰 비계(飛階, scaffolding) 기법에 따른 치료적 개입을 보여주셨다. 이처럼 야곱 가족의 역기능성과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을 연결 짓는 본 연구는 낮은 자기분화 수준으로 인해 다양한 역기능적인 증상들로 고통 받고 있는 신자들과 교회 공동체를 도울 수 있는 치료적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특히 교회 공동체 내에서 드러나는 신자개인 혹은 교회 내부의 역기능적인 문제들을 교회체계 내의 문제로 보게 하고, 교회 구성원들 간의 관계성 속에서 다루게 하는 치료적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은 중요한 의의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care for believers and the church community who suffer from the symptoms of dysfunction in clinical pastoral scene through analyzing Jacob and his family history presented in Genesis and trying to examine the course of treatment in terms of Murray Bowen``s 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trying to understand Jacob``s symptoms of dysfunction in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system through connecting outcome of biblical-theological annotation work about Jacob``s story presented in Genesis and Bowen``s theory of family therapy. In particular, how core feelings such as anxiety and fear and dysfunctional symptoms that existed in Jacob func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what process that Jacob was able to grow from the low differentiation level, finding the therapeutic drivers were focused 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Bowen, dysfunctional symptoms such as emotional reactivity behavior showed by Jacob, personal preference to Rachel and Joseph, formation of the triangular relationship, avoidance of fear and anxiety, transmission of competition consciousness generation to generation were all originated from low self-differentiation. Of course, Jacob``s low level of differentiation experienced change and growth through several incidents described Genesis chapter 32 and later. The main axis of Jacob``s dysfunctional love triangle was triangular relationship with fusion one``s property or people, other axis was dysfunctional triangular relationship with undifferentiating from the important feelings of own anxiety and fear. This dysfunctional love triangle has been dismantled over the therapeutic work of God who intervened in the case of the Jabbok River event, the Dena event, the Bethel event, and the Joseph event. In particular through the ordeal, it was amazing grace of God that Joseph forcibly separated from Jacob in order to cut the generation transmission of a low level of differentiation. In this process, God showed therapeutic intervention with confronting and coaching by a scaffolding method according to Jacob``s growth level. Thus, by relating dysfunctional symptoms of Jacob``s family to Bowen``s theory of family therapy, this study can be provided with a therapeutic insight for helping believers and the church community who are suffering from dysfunctional symptom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significance that therapeutic point of view is provided such as dysfunction problems of individual or inner church see problems in the church system, and these problems deal with relationship among church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