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인구 세대의 대학원 진학 결정 요인 분석

        변수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출신 대학의 특성, 출신 대학에서 경험한 교육경험, 그리고 주요 변수들의 상호작용항 등이 대학원 진학 결정에 끼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KELS 9차년도 4년제 대학생 조사와 10~12차년도 대학원생 조사 결과를 연결하여 표본을 구성하고(N=1,566), 그에 대해 교차분석과 독립집단 t-검정, 그리고 대학원 진학 여부를 종속변수로 삼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학력이나 월 가계소득보다는 부모의 대학원 학비 지원의사가 대학원 진학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쳤고, 국공립대 출신, 전공교과목 성적, 전공-적성 일치도, 그리고 출신 대학 소재지와 설립주체의 상호작용항 등이 대학원 진학에 정적 효과를 보였다. 성별과 전공계열, 출신 대학 소재지 등을 기준으로 표본을 나누어 집단 별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조건을 가진 학생 집단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요 변수들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ir home university, undergraduat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 terms of the main variables on their decision to pursue the graduate degree. The sample was constructed by linking the results of the KELS(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9th four-year college student survey and the 10th to 12th graduate student survey (N=1,566). On this sample, cross-sectional analyses, independent group t-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graduate school enrol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were conducted. The analysis shows that parents' willingness to pay for graduate education, graduation from a public university, high grades in major courses, major-aptitude match, home university location - governance type interaction ter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ecision to go to graduate school. Addition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various student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the main variables are discuss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 성별에 따른 신입생 대학 경험의 차이 분석

        변수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empirically the gender difference in freshmen experience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was 461 female and 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reshmen survey implemented by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a large city in Korea. Freshmen experience of the sample was explor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by Strange & Banning(2001). In the analysis,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lege GPA,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social interactions of college students. Being female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student’s sense of belonging, safety, and engagement with other individual variables controlled for. However, acquiring a full membership of college community was free from the gender effect when the sense of inclusion and safety and student engagement were controlled for.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re results. 우리나라 대학에서 신입생으로 보내는 첫 1년은 교양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시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모든 신입생들은 각자의 개인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대학에서의 학업과 사회적 관계에 성공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신입생의 여러 개인 특성 중 성별의 차이에 주목하여 성별이 신입생의 대학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방 대도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대학교의 신입생 461명으로 이들은 대학이 개발한 신입생 대학 경험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신입생 대학 경험은 Strange & Banning(2001, 2015)이 제시한 대학 교육환경의 위계모형에 따라 안전과 소속감의 획득 단계, 적극적 학습 참여 단계, 공동체에 대한 동화 단계 등 세 단계로 나누어 탐색되었다. 세 개의 신입생 대학 경험 관련 변수들과 여기에 영향을 끼치는 각종 개인변수들에 대한 남녀 집단 간 t-검정 결과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여러 영역에서 발견되었고 이 변수들로 구성된 회귀모형에서 보다 엄밀하게 성별 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표본의 여학생들은 안전과 소속감 획득 단계에서 성별의 강한 영향력을 받고 있어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안전과 소속감에 끼치는 부정적 효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회 전반의 통합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음으로 학습 참여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도 성별은 여전히 유의미 수준의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어 대학 내의 양성평등 문화와 여성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교육 환경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동체의 완전한 구성원 되기 단계에서는 안전과 소속감, 학습 참여가 보장될 때 성별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여학생의 순조로운 대학 생활 적응과 학문적·사회적 통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안전과 소속감 및 학습 참여의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야 함을 재차 확인하였다.

      • KCI등재

        주성분 분석과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4년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대학생 학습 경험 탐색 연구

        변수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들의 대학생 학습 경험(college experience)의 하위 요소를 고찰하고, 이 하위 요소들이 대학의 기관적 특징, 즉 소재지나 설립주체 등과 어느 정도의 연관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대학생 학습 경험 조사도구개발을 위한 예비적 지식과 활용의 예를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았다. KEEP 설문지에 수록된 관련 문항 20개에 대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들이 추출되었고 이를 각각 (1) 강의의 우수성(good teaching), (2) 학생 지원(student support), (3) 학습 시설 및 자원(learning resources), (4) 학습 공동체(learning community) 등으로 명명하였다. 이어 각 요인으로 묶인 변수들의 평균을 구하고 요인별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이를 다시 가변수로 변환시킨 다음, 응답자가 소속된 기관의 특징을 나타내는 명목변수와 대응일치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여 양자 간의 연관성을 보다 가시적인 방법으로 나타내었다. 대응일치분석 결과 수도권 국사립대학들은 졸업(예정)자들로부터 강의의 우수성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지방 사립대들은 학생 지원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학습 경험의 4개 하위 요소 중 특히 학습 공동체에 대한 평가는 지역 및 설립주체로 나눈 기관 범주 전체에 걸쳐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사립대학들의 재학생들이 국공립대학 재학생들에 비해 학습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열한 학생 유치 경쟁을 겪고 있는 사립대들이 국공립대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 경험 증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이 학생들의 학습 경험 평가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factors consisting of college graduates' evaluation on their college experiences and the potential association they might share with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schools such as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governance entit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6th and 7th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high school students cohort) and four factors of college experience were extracted: Good teaching, student support, learning community, and learning resources. The average of the item categorized to each factor was converted into dummy variable in order to be put into the correspondence analysis which presented a 2 dimensional image map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llege experience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rrespondence analysis each factor of college experiences showed rather a clea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with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general, private universities were more closely located from the 4 factors than public universities implying that the former have been creating better images of college experience in students' mind than the latter. In other words, students' evaluation on their college experiences is to be interpreted to reflect their institution's different need or eagerness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 edge in market.

      • KCI등재

        4년제 대학교 여성교원의 경력 개발 단계에 따른 성희롱 피해 경험 탐색

        변수연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2 글로벌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 여성교원들이 경험하는 성희롱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가해자, 영향요인, 결과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국 56개 대학의 여성교원 506명으로부터 이들이 박사과정, 박사후 연구자 기간, 그리고 교원임용 후 지금까지의 세 단계 동안 경험한 성희롱을 Fitzgerald et al.(1995)의 Sexual Experience Questionnaire(SEQ)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약 35% 정도의 응답자들이 1회 이상의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겪은 성희롱의 가해자들을 여덟 개 범주로 나누어 조사한결과, 남성 지도교수, 남학생 선후배, 남성 동료 교원 등이 가장 대표적인 성희롱가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교원이 임용 후 성희롱을 경험할 가능성에 영향을끼치는 대학 변수와 개인 변수들에 대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공계열과교수의 직위 등 변수들이 성희롱 경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마지막으로교원임용 후 지금까지 성희롱 경험은 여성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의 성평등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exual harassment of women faculties in the 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scarcely researched. However, their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are important in that they become an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the spread of a culture of gender equality in universities. The Sexual Experience Questionnaire (SEQ)(Fitzgerald et al. 1995) was conducted on 506 female faculty from 56 four-year universities. About 35%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at least once in three stage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Among the eight perpetrator categories, male supervisors, male student seniors and juniors, and male fellow faculties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perpetrator group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ajors and positions of female facul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Lastly, the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fter appointment until n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female faculties.

      • KCI등재

        4년제 대학교 교원 집단 안의 성불평등 구조 변화와 교원 승진에 대한 성별 효과 탐색

        변수연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what degree sexism in the Korean university faculty society has developed over the last 13 years and if ‘being famale’ still exerts negative effects on faculty promotion. The historical review based on the faculty data from 2007 to 2019 found that the male-dominate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mains firm although the number of female doctorates and newly-appointed female professors has increased remarkably during this period. The huge gender gap in political power within the faculty society seemed to be difficult to clos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age differences and enormous numb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rofessors. The results of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on the two steps of faculty promotion suggested that ‘be female’ either directly reduces probabilities of promotion or moderates its negative effects in several disciplines.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reflecting the unique context of Korean universitie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교 전임교원 사회의 성불평등 구조 현황을 2007년부터 2019년의 자료를 통해 종단적으로 검토하고, 가장 최근의 대학 교원 자료를 통해 성별이 여성 교원의 승진에 부적 효과를 끼쳐 학내 양성평등 환경의 조성을 저해하고 있는지는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지난 13년 간의 국내 4년제 대학교의 학생 및 전임교원의 성별 분포와 학위 취득현황, 전임/비전임 및 교내 직위 분포의 변화 양상 등을 살펴 보았을 때, 여성 박사학위자들의 배출과 이들의 대학 교원집단으로의 진입은 이 기간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기존의 남성지배적 조직구조의 틀은 여전히 공고히 남아 있어 학내에서 여성 교원의 정치적 지위는 여전히 취약해 보였다 이어 2017년 국내 4년제 대학 데이터(Edudata)를 대상으로 수행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성이라는 요인은 부교수 승진에 대해서는 주로 조절변수로서, 정교수 승진에 대해서는 부적 효과를 보이는 독립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국내 대학 내의 독특한 맥락에 비추해 해석한 후 대학 교원 사회에서 지속되고 있는 성정치학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4년제 통합을 겪은 교수들의 경험 탐색을 통한 대학 통합의 현상 분석

        변수연,채재은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대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대입 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를 훨씬 상회하는 전대미문의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대학 간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학 통합이 정작 해당 대학의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통합이라는 특별한 현상을 교원들의 경험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대학 통합의 여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아직까지도 해결을 요하는 문제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문대와 4년제 대학간 통합을 경험한 3개 대학(수도권 사립대, 지방 국립대, 지방 사립대)을 선정하였고, 이 세 대학의 교원 중에 흡수통합 대상이 되었던 전문대 출신의 교원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세 대학의 통합과정에 대한 문헌 자료와 면담자들과의 심층 면담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세 대학 모두 하향식(top-down) 방식을 통해 통합이 결정되었고, 통합 이후 교수들의 교육과 연구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했으며, 수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유기적 통합을 가로막는 과제들이 남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과 정부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University merger is increasing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Korea. Despite the challenges it poses to professors as well as stud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so far.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al issues and problems of mergers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through examining the phenomenon from a perspective of faculty members.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ity merger. Semi- structured interviews of ten faculty members from the three HEIs which were consolidated with two- year college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ults show that mergers in three case institutions were implemented through top-down decisions which inevitably excluded quite a number of faculty members and administrative staffs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After the merger process ended, faculty members have experienced various changes in their teaching and researching activities and thus they had to cope with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s and rule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solve, notably the multiple campus issues hindering the integration among faculty members in order to complete a true merger.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우수등재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교의 캠퍼스 문화에 대한 생태학적 탐색

        변수연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이공계 연구중심대학교의 캠퍼스 문화를 생태학적 시각에서 탐색,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발달과 성장을 조력할 캠퍼스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연구자는 먼저 대학생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캠퍼스 환경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개념적 틀로서 생태학적 접근방식이 왜 유효한지를 선행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틀에 기반한 단일 사례 연구를 통해 본 연구는 신입생들이 경험하는 캠퍼스 문화가 학업 중시 문화, 가족적 공동체 문화, 체제 순응적 고립 문화, 개인적 능력주의 문화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생태학적 시각에서 이러한 문화적 특징들이 캠퍼스의 물리적, 구성원 집단적, 조직적 특징 등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공계 연구중심대학들이 대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캠퍼스 환경을 구성할 때 유의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숙형 대학 프로그램의 방법과 효과 탐색 : 한 지방 사립대의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변수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2013년부터 국내 유명 대학들 사이에 확대되기 시작한 기숙형 대학 제도가 생활-학습 공동체로서 기존의 일반 기숙사 제도에 비해 대학생의 발달에 어떠한 효과를 발생시키며 그것의 구체적인 원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를 전교생의 80% 정도를 기숙사에 수용해 온 한 지방 사립대의 사례를 통해 탐색하였다. 캠퍼스의 다양한 환경이 대학생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생태적 환경을 구성한다는 인간-환경 가설의 관점에서 사례 분석을 시도한 결과 기숙형 대학의 생활-학습 연계 프로그램(LLP)은 참여 학생들의 안전과 소속감, 학습 기회에 대한 참여,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기여 자세 등, Strange & Banning(2001)이 제시한 발달을 위한 위계적 욕구를 보다 잘 충족시키고 있으며, 여기에는 LLP 도입으로 인해 달라진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조직적 환경, 그리고 구성적 환경이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향후 LLP를 시작하거나 기존 기숙사를 LLP로 전환하려는 대학들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living and learning program(LLP) can create a learning community in residence halls, what effects it may generate on students specifically.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s applied to a single private university in Korea which is converting its conventional residence halls to LLP stepwise from 2011. The ecological perspective i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ep interaction between LLP system as one of important campus environment and students.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conversion to LLP facilitated development of security and inclusion, participation and the spirit of contribution of students. The four types of LLP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contributed to created those effects. Based on the analysis, the ways to design LLP environment meeting their educational goal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