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성별 유형이 여성 대졸자의 직업세계 이행에 끼치는 영향 분석

        변수연(Byoun, Su Yo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아시아여성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여성 대졸자의 직업세계 이행에 있어 대학의 성별 유형이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여 여자대학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에듀데이터가 제공하는 2011년 취업통계자료의 여성 대졸자 32,873명의 표본에 대해 대학의 성별 유형과 학생들이 재학 중 선택하는 다양한 결정들을 독립변수로, 이들의 취업 여부와 진학과 취업 중 선택, 취업의 안정성 등을 종속변수로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같은 여성 대졸자라 하더라도 여대 졸업자는 남녀공학대학 졸업자에 비해 미취업보다는 취업상태로 이행할 가능성과 취업보다는 진학을 선택할 가능성은 높았지만, 안정된 취업 가능성에 있어서는 남녀공학대학 졸업자가 여대 졸업자에 비해 더 높은 가능성을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주간/주야간 대학 여부, 편입 여부, 전공 계열 종류, 해외 연수 여부 등이 여성 대졸자의 취업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고 대학 성별 유형에 따라 이들의 영향력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여성의 고등교육이 보편화된 새로운 사회 맥락에서 여대가 고유의 존립 목적을 실현하고 졸업생의 안정된 직업세계 이행을 조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gender type of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on performances of female graduates in labor markets. In the logistic analyses using the Korean government’s employment data(N=32,873), the gender type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HEI) was found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the choice between further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the probability of stable employment when other variables presenting various conditions of female graduates were controlled. More specifically, graduates of women’s colleg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 in the coed-institutions, are more likely to find a job, and, if faced with the choice between further education and employment, they are more likely to choose the former. In terms of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of stable nature, graduates of women‘s colleges were found less likely to have secure jobs than the graduates of coed-institutions. The two groups demonstrated different degrees of impacts of various control variables on women’s employment implying that the gender type may produce a sort of moderating effects on employment. Conclusively, on the basis of the analytic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that aims to aid the women’s universities in fulfilling their purpose of existence and supporting their graduates’ performances in labor markets, in a society where higher education for females has become comm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 국제 비교 연구

        변수연(Byoun, Su-Youn),변기용(Byun, Ki-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호주와 캐나다, 네덜란드 등 우리보다 외국인 유학생 교육에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해 온 국가들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의 세부 특징들을 고찰하고 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 질 보장 체계 확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수행되었다. 3개국의 사례 비교 분석 결과, 3개국 모두 규제 중심의 과거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상업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생의 유치와 효과적인 교육을 인증제의 주된 목표로 삼고 있었고, 이 같은 목표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기관의 교육 역량 및 서비스 능력 개선이 인증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국제화라는 추세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변화임에는 분명하지만 적어도 인증제에서는 국제화 자체가 질 보장의 목표와 동일시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올해 시행 4년차에 돌입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역량 인증제'의 정책 목표를 분명히 하고 교육기관들의 실질적인 교육 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정량ㆍ정성적 평가기준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quality assurance systems of the 3 leading countries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ustralia, Canada, and the Netherland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cases demonstrates that, taking a more commercial stance on the international education service market, quality assurance systems of the 3 countries aim at facilitating effective promotion of student recruitment and enhancing their national brand image as advanced knowledge society. Consequently, rules and regulations of their systems are concerned primarily with strengthening institutional capacities to educate international students effectively, and, ultimately, improving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host countries. Compared to these foreign cases, the newly-adopted quality assurance system in Korea places too much emphasis on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itself, thereby neglecting evaluation of educational capabiliti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urther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IEQA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교양 말하기 수업의 온라인 학습을 통한 발표 불안 해소 효과 분석

        변수연(Byoun, Su yo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o what extent an online public speaking course can be effective to reduce speech anxiety of college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the researcher converted the undergraduate course of public speaking into the online version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platforms, such as flipgrid, Canvas LMS, and Google Docs. Paired sample t-tests and qualitative analysis on reflection paper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speech anxiety has changed due to the online public speaking course for which 80 college students registered.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instructors of public speaking cours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정책 집행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디커플링 행동 분석: 대학입학사정관제 참여대학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변수연(Byoun, Suyo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3

        사회조직이 외부 환경의 압력에 대하여 형식적으로 순응하면서 내부의 기존 관행이나 방법을 고수하려는 행동을 신제도주의에서는 ‘조직의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 간의 분리’라는 점에서 ‘디커플링(decoupling)’이라 부른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정책이라는 외부의 압력에 대해 대학 조직이 어떻게 자신의 내적 여건과 맥락에 따라 상이한 유형과 정도의 디커플링을 보이는지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소재지와 규모, 자원 보유, 조직 문화 등에서 대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두 개의 대학이 사례로 선정되어 두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대한 문헌자료와 핵심 실무자들에 대한 심층면담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두 대학 모두에서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이 요구하는 정책 목표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하게 활용하면서 기존의 입학 업무의 관행은 최대한 유지하려는 디커플링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두 대학의 디커플링의 내용과 양상, 정도 등은 두 대학의 교육 철학이나 고등교육시장 내부에서 점하고 있는 위치, 보유 자원의 규모, 조직 문화 등 신제도주의가 중시하는 내적 맥락으로부터 상당한 영향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고등교육정책 집행을 위한 정책적 제언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non-comliance behavior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 public policy.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decoupling behaviors of social organizations were reviewed in order to establis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Based on this framework,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case study to examine how the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pressure of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penetrated two universities’(A and B) implementation process, and how the intra-organizational features reacted to the institutional pressure and, eventually, brought about decoupling in the two universities. Various forms and degrees of decoupling were identified in both institutions. Organizational features and unique contexts of the cases were found to contribute to determining types and extents of decoupling behaviors of the two institutions. Interpret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의 특징과 학습 참여 유형에 대한 비교 탐색

        변수연(Byoun, Su-Yo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하여 대학 진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일반계고 출신자 그룹에 비 해 어떠한 집단적 특징을 띠고 있으며 이들이 대학 재학 기간 중에 비교집단과 다른 학습 경 험을 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9개 대학에서 수집된 2015 년 대학생 학습참여(K-NSSE) 조사 데이터(N= 71,712명)를 분석한 결과, 특성화고 출신 대학 생 집단은 일반계고(일반고, 특목고, 자사고) 출신 대학생 그룹에 비해 성별, 나이, 가정의 소 득수준, 편입학 경험, 고교 내신 성적, 대학 직전 학기 성적, 대학 선택의 기준, 소속된 대학 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 등 거의 모든 개인적/기관적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 다. 그러나 졸업 후 진로 결정 여부나 진로 준비도 등 두 가지 요인에 있어서는 인문계교 출 신자와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특성화고 출신이라는 요인이 대학생 학습 참여에 끼치는 영 향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 전략,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우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등 총 10개 요인 중 여섯 개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확대 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in college.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differed from graduates of general high schools in most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high school GPA, college GPA,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their institutions, and so on. Surprisingly, howeve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did not show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choice than their counterpart. In the multiple regression on the ten 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the high school type was found to affect six factors out of ten when othe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In particular,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schools have difficulties in exercising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participating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namely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유형과 대학생의 발달, 학습 참여 간의 관련성 및 대응성 탐색

        변수연(Byoun, Su Yo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3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ly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mote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and engagement in learning. The researcher uses the 2013 Korean National Study of Student Engagement(K-NSSE) data of 18,257 4-year college students. Initially, the t-tests based on various college types were conducted to test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student development and engagement in learning affected by institutional traits and conditions. Secondly, in an attempt to compare institutional strengths and weaknesses in a more infographical way, the method of correspondence analysis was implemented. In the simple t-tests, the three stages of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and the six 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llege groups implying that different types or conditions of institutions matter in this respect. The results of correspondence analyses suggested that institutions of different conditions have different challenges in promoting student’s development and engagement. The study present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asier and more intuitive ways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 in supporting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than other statistical methods. 본 연구는 배상훈․김혜정(2012)이 개발한 한국형 대학생 학습 참여 2013년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 유형으로 대표되는 환경적 요인과 대학생의 발달과 학습 참여의 하위 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집단 간 평균 비교 분석과 대응일치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학의 여러 특징들(소재지, 규모, 설립주체)을 기준으로 실시한 t-test에서는 대학생의 3단계 발달 중 소속 단계와 공동체 기여 단계에서, 그리고 대학생의 학습참여 6요인 대부분에서 그룹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연구자는 위의 세 가지 유형 기준을 바탕으로 대학의 유형을 여덟 가지(수도권 대형 국립, 수도권중소 국립, 수도권 대형 사립, 수도권 중소 사립, 지방 대형 국립, 지방 중소 국립, 지방 대형 사립, 지방 중소 사립 등)로 세분한 후 이 유형별로 대학생의 발달과 학습 참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8개 유형마다 대학생의 3단계 발달 과정과 학습 참여 6요인과 각각 다른 거리를 나타냄으로써, 대학의 주요 여건이나 특징에 따라 학생의 발달과 학습 참여를 유도하는데 있어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과제가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효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보고식 학습 성과에 끼치는 영향력 탐색

        변수연 ( Byoun Su Youn )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2017년 한국형 대학생 학습참여 조사 결과 중 4학년 학생 자료(N = 17,013)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들의 학습 성과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고효과 프로그램(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이 무엇인지 실증적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대학생 학습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로부터 도출한 대학 교육의 학습 성과 다섯 개를 종속변수로 삼고, 총 열 개의 고효과 프로그램(신입생 세미나, 글쓰기 집중강좌, 학부생 연구, 능동적ㆍ협동적 학습, 학습공동체, 서비스 러닝, 해외교환학생 프로그램, 캡스톤 교과, 인턴십, 교수-학생 상호작용)들의 효과를 독립변수로 삼는 회귀모형을 구성하였다. 이 회귀모형은 대학생들이 열 개의 고효과 프로그램 중 다수를 대학 재학 기간 내에 참여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개인적ㆍ기관적 변수 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고효과 프로그램 모두를 통제한 상태에서 학생의 학습 성과 증진에 가장 큰 정적 효과를 끼치는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능동적ㆍ협동적 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다섯 개 학습 성과 모두에 가장 큰 정적 효과를 끼치는 프로그램인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능동적ㆍ협동적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 공동체, 서비스 러닝, 캡스톤 교과 등과 신입생 세미나도 다섯 개 학습 성과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 of Korean Universities on self-reported learning outcomes of senior students. Two models of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2017 K-NSSE data set(N = 17,013). The ten high-impact practic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first-year seminars, writing-intensive courses, undergraduate research,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ademic learning communities, service learning, capstone courses/experiences, study abroad, internships, faculty-student interactions. Findings from OLS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faculty-student interactions, academic learning communities, service learning, and capstone courses had broad-reaching positive effects across five learning outcomes of undergraduate education. In contrast, some other practices including study abroad programs, writing-intensive courses, and undergraduate research had more narrowly focused positive effects on student learning. Discus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국내 대학 여성 교원이 겪는 가면증후군 탐색 연구

        변수연(Su Youn Byo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 소속 여성 교원들의 가면증후군의 정도와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그것이 여성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국 4년제 대학교들을 대표할 수 있는 56개 대학 소속 여성 전임교원들에 대해 가면증후군 조사 참여를 요청하여 총 506명이 가면증후군 문항(Clance Impostor Phenomenon Scale, CIPS)에 응답하였다. 이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 집단별 평균 비교,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국내 여성 교원들의 전반적인 가면증후군의 정도를 파악했다. 그 결과 국내 여성 교원 다수가 ‘보통(moderate)’ 이상의 가면증후군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조교수 집단의 경험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을 두 개로 나눈 후 표본 1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표본 2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의 적합도를 교차검증했을 때 Chrisman et al.(1995)가 제안한 ‘속임(fake)’, ‘자기 무시(discount)’, ‘행운(luck)’ 등으로 구성된 3요인 구조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교원의 직무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삼은 다중회귀분석에서 CIPS 세 요인 중 ‘속임’ 요인이 정교수 직위와 더불어 직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tent and factor structure of impostor phenomenon(IP) among female faculty members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female faculty members' job satisfaction. A total of 506 female full-time faculty members from 56 universities representing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completed the Clance Impostor Phenomenon Scale (CIP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group mean comparis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verall level of IP among the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ample experienced 'moderate' or higher levels of IP. The group of female assistant professors showed the highes level of I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of faculty status. After dividing the sample of this study into two,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sample 1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sample 2 to cross-validate the fit of the factor structure.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fake', 'self-devaluation', and 'luck' proposed by Chrisman et al. (1995) was the best fitting model. The 'fake' factor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aculty’s job satisfaction in the follow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이학 계열 신입생들의 캠퍼스 문화 인지가 학문적·사회적 통합과 전인적 발달에 끼치는 영향력 탐구

        변수연 ( Byoun Su You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이학 계열 신입생들의 캠퍼스 문화에 대한 인지가 이들의 학업적 사회적 통합과 전인적 발달에 끼치는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여 이학 계열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유도하는 문화적 환경의 조성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2014년 `대학생 교수 학습과정 설문조사` 데이터 중에서 이학계열(공학, 자연, 의약계열) 신입생 7,362명을 대상으로 이과 대학의 대표적인 캠퍼스 문화 요소 두 가지와 학문적, 사회적 통합 정도, 그리고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발달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조모형은 우수한 적합도(TLI = .922, CFI = .935, RMSEA = .060)를 나타내 캠퍼스의 문화적 요소들이 이학 계열 신입생들의 학문적 사회적 통합행동과 전인적 발달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조모형의 경로계수와 매개효과 분석에서 두 개의 캠퍼스 문화가 학문적 사회적 통합과 전인적 발달에 대조적인 효과를 끼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이공계 대학의 바람직한 캠퍼스 문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perceptions of campus culture affect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and holistic development of Korean STEM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a sample of 7,362 four-year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experience in 2014. The structural model demonstrated an acceptable fit index(TLI = .922, CFI = .935, RMSEA = .060) implying that cultural environments of STEM institutions are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engagement and development.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ors of cultural perceptions` effects on self-evaluation of development.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acade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