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변미연(Byun, Mi-Yeon),백민숙(Baek, Min-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한류의 활성화에 따라 한류 관광객을 위한 문화 상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상품들은 연예인 캐릭터의 생활용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용성이 가미된 의류제품의 문화상품은 현저히 그 수가 적다. 특히 아동복과 관련 된 문화상품은 거의 개발되지 않았으며, 소수의 상품은 기본 티셔츠에 그래픽 또는 전통한복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에 서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과 한류 문화상품을 적용시켜 볼 때, 한류 문화 상품으로써의 아동복이 개발 된다면 한류의 활성화 및 국내 패션시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실증적인 연구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하며 다음의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한류 문화상품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들 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 시점의 한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함이며 둘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실물작품 을 제작하여 한류 문화 상품 시장에 실증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선행연구 리뷰 및 질적 연구 를 위한 일대일 심층 면접, 시장조사와 작품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최종 연구결과물인 4벌의 작품을 통해 소비 자 니즈를 만족할 수 있는 한류 문화상품 아동복을 실증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 및 문화상품 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중국 소비자 니즈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 With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making cultural goods specific for Hallyu tourists is getting more important. However, there are mainly daily life goods using celebrity character-based ones. Remarkably, there are only a few cultural goods especially in practicality-based clothing category. In particular, few cultural goods related to children's wear have been developed. Therefore, if children's wear is developed as Korean Wave cultural goods considering Chinese consumers' pattern and Korean Wave cultural goods, it will be helpful for revitalizing the Korean Wave and Korea's fashion marke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ildren's wear design as Korean Wave cultural goods, thereby presenting empirical research results and fulfilling its following objectives: First, it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Korean Wave cultural goo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o finally establish data to develop Korean Wave cultural goods needed at this time. Second, it is to make real-life size works through development of designs to provide the empirical data for Korean Wave cultural goods market. For th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the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in-depth interview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using marke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work were performed. Through the final research outcomes, Korean Wave cultural goods, the children's wear that can meet the consumer's needs were presented as empirical data.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omestic fashion market and cultural product market and it is meaningful as a reference for the analysis on the Chinese consumers’ needs.

      • 신 중년층을 타겟으로 한 패션 디자인 분석

        변미연(Byun, Mi Yeon),이인성(Lee, Inseo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본 연구는 신 중년층으로 불리는 5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한 패션 디자인을 분석하여 성장·발전할 수 있는 신 중년층 패션시장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및 각종 보도 자료를 통해 문헌연구 및 디자인실과 매장방문을 통한 시장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시장조사를 위한 브랜드는 예비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안혜영, 부르다문, 마담포라, 에스깔리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 중년층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은 기존세대와는 다른 차별점을 표출하고 있었으며, 특히 패션영역에서는 여가활동 및 자아실현을 반영한다는 점에 영향력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분석을 통해 신 중년층 여성들이 선호하는 실루엣은 사각형 실루엣의 스트레이트 라인, 슬림 라인이 주를 이루었으며, 아이템의 경우 재킷, 점퍼류 및 스트레이트 팬츠와 샤넬라인의 스커트, 원피스가 대표 아이템으로 제시되었다. 패브릭 및 패턴에서는 젊은 취향의 솔리드를 중심으로 중년 여성의 취향이 반영된 플라워, 애니멀, 도트 등이 주를 이루어 심플하면서도 화려한 양면적 이미지가 동시에 표출되고 있다. 패브릭의 경우 활동성을 고려한 스트레치 패브릭, 폴리에스테르와의 혼방이 주를 이루었다. 컬러에서는 기존 중년층 여성 브랜드의 컬러와 함께 블랙, 그레이 등의 모노톤에 원색의 포인트를 적용하여 진행하고 있었다. 이는 중년층 이하의 젊은 타겟 브랜드에서 사용되는 컬러 웨이로, 젊은 여성들이 추구하는 모던함이 결합되어 나타난 현상이며, 컬러뿐만 아니라 실루엣, 아이템, 패브릭 및 패턴에도 반영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base of the design for the new middle-aged fashion market that is going to grow and develop by analyzing women in their fifties who are called as new middle-aged. Methods of study are review of bibliograph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press releases and market study by visiting design institutions and shops. For the brands for market research, top four brands. The study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eoretically considered life styles of new middle-aged were discriminated from other generations and fashion was found to be highly influential in that it reflects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self realizati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rough design analysis, highly favorite silhouettes were square silhouette straight line and slim line and highly favorite items of the new middle-aged were jacket, jumper, straight pants, Chanel-line skirt and dress. In fabric and pattern, both simple and splendid images appear at the same time, mainly with flower, animal and dot prints where middle-aged ladies" tastes were reflected, on the base of young-taste solid. For fabric, stretch fabric and mixture with polyester were the main, considering easy activities. In color, point colors were applied for those of current middle-aged female brands and solid mono colors such as black and gray. As a color way that is mainly used for rather younger brands than middle age, such phenomenon can be seen as a color mix of the middle-aged"s favorite splendid ones and young-aged"s favorite modern ones. It can be expected that it will be also reflected to silhouette, item, fabric and pattern as well as color.

      • KCI등재
      • KCI등재

        플러스 사이즈 여성을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변미연(Mi Yeon Byun),백민숙(Min Sook Bae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플러스 사이즈 여성을 타겟으로 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로 플러스 사이즈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국내 패션 시장 및 학계에 실증적인 디자인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 사이즈 코리아,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플러스 사이즈 여성 및 웨딩드레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정립하였다. 둘째, 실질적으로 플러스 사이즈 여성의 웨딩드레스디자인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의 범위에 속하는 20∼30대 삼각형 체형 여성 5인을 대상으로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일대일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선호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2014 S/S 웨딩드레스 트렌드 분석을 위해 스포사 벨라 웨딩샵의 원장 및 실장과전문가 면접방식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는 트렌드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삼각형 체형의 플러스 사이즈 여성에 적합한 두벌의 웨딩드레스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연구 결과물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스 사이즈 여성들은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호도와 관련하여 형태 라인의 실루엣 부분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허리선을 덜 강조한 A라인과 X라인의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이상의 선호 요소및 트렌드를 반영하여 디자인 된 작품은 웨이스트 라인의 이동을 통해 시선을 분산시킨 X라인 실루엣과 A라인 실루엣, 소재는 광택 소재의 확장감을 가릴 수있도록 레이어드의 형태로, 컬러는 화이트 계열의 톤온톤 배색으로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물은 사후평가를 통해 20∼30대 삼각형 체형 플러스 사이즈 여성이 착장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study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 targeting the woman with plus s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basic date related to empirical design to the domestic fashion market and academy that targets the woman with plus size. The study detail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stablishe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woman with plus size and wedding dress by researching the literature such as previous study, Size Korea and internet data. Second, the study performed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 & in-depth interview by targeting 5 women who belong to the study scope and deducted the leading design in order to grasp the design preference of the wedding design for the woman with plus size actually. In addition, the study established the category of trend by performing the interview with the specialists such director of Sposa Bella Wedding Shop in order to analyze the 2014 S/S wedding dress trend. On the basis of the above methods, the study manufactured 2 wedding dress works proper for the woman with plus size, which had the triangular body shape and performed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to grasp the appropriateness of study result. Main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With regard to the design preference of the wedding dress, the women with plus size thought that the silhouette was very important. They preferred A line and X line that did not emphasize the waist line much. For the work designed by reflecting the preference and trend, the study manufactured X line and A line silhouette that distracted the attention by moving the waist line. For material, layered type material was used to hide the extension feeling of satin material and for color, the tone on tone of white series was adopted.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result was proper for the wearing of the woman with plus size, which had triangular body shape through post-evaluation.

      • KCI등재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한 캐주얼 웨어 디자인 개발

        변미연(Mi Yeon Byun),이인성(In Seo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중장년층에 대한 인구의 확산 및 이에 따른 산업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패션분야에서의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됨에 따라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한 캐주얼 웨어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국내 패션 시장 및 학계에 실증적인 디자인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진행되기 위한 제 1보 형식의 선행연구를 통해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의 시장조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론으로 연구에 적용하였다. 둘째, 실제 5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원하는 디자인 성향을 파악하였다. 셋째, 이상의 과정들을 종합하여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 런칭 및 10벌의 실물 의상 작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넷째, 연구 결과물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50대여성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0대 여성들은 캐주얼 웨어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멀티 코디가 가능하고 트렌디가 가미된 의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후평가결과 선호도를 반영하여 런칭된 에떼르노 브랜드의 10벌의 실물 의상은 실제 브랜드 런칭에 적합한 옷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한 브랜드를 런칭함으로써 5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캐주얼 웨어 패션시장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할수 있는, 다시 말해 20·30대 위주의 패션 산업에서 50대 패션 산업으로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about development of casual wear aiming at the ladies in their 5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data base to the domestic fashion market and academic field;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following. As the first step to process this study, firstly, brand market for the ladies in their 50s was investigated through previous studies, which has resulted in the following. Secondly, a survey was actually conducted for the ladies in their 50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ir favorite designs. Thirdly, a brand was launched aiming at the ladies in their 50s after comprehending the above processes, and then 10 actual clothes works were made. Fourthly, to determine the property of the study result, a group of the ladies in their 50s were focus-interviewed for post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dies in their 50s were proved to need casual wear zone, as well as the clothes which is added by trends and functions of multi-coordination. In addition to that, the 10 practical clothes works with Eterno brand that has been launched after reflecting on the preference of post evaluation were proved to be proper for actual brand launching.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nformed the importance of casual wear fashion market aiming at the ladies in their 50s by launching a brand targeting them who keep changing. This is considered to be a turning point of the fashion market of which center moves to the 50s from the previous 20s and 30s so that it will correct the imbalance of domestic fashion market.

      • 여아를 위한 돌파티 웨어 디자인 개발

        변미연(Byun, Mi Yeon),백민숙(Baek, Min So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6 No.-

        우리 문화의 대표적 산물인 ‘돌’은 서구문명의 유입과 더불어 파티의 확산과 결합되어 ‘돌파티’라는 새로운 문화로 변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돌파티 주인공의 의상을 선택하기 위한 곳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대여점으로 한정되어 있다. 맞춤 의상 전문점 또한 돌 지난 여아들을 타겟으로 하는 곳은 그 수가 현저히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게 변화되고 있는 돌파티에 적합한 여아의 의상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돌파티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한 지식을 재정립 하고자 함이며 둘째,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돌파티 웨어 디자인 개발을 통해 여아를 타겟층으로 하는 패션 시장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범위로 첫째, 선행연구, 문헌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돌파티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였다. 둘째, 여아 돌파티 웨어 선호 디자인 도출을 위해 총 20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여아 돌파티에 적합한 두벌의 돌파티 웨어 디자인 제품을 직접 제작하였다. 넷째, 최종 작품을 통해 설문에 참여하였던 10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결과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아를 위한 돌파티 웨어 디자인은 A라인과 튤립라인 등 행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 실루엣을 기본으로, 공단 및 타프타 등 힘이 있는 패브릭과 함께, 솔리드 패턴의 화이트, 네이비 계열의 컬러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제작된 두벌의 디자인은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놀은 여아 돌파티 웨어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가 돌파티 문화 시장의 활성화 및 여아 의상 디자인의 모델링으로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hanging aspect of first birthday party and establish the related knowledge again. Its another purpose was to provide fashion design market with basic material by targeting infant and baby through the development of design suitable for first birthday party. The study was the practical one for the development of first birthday party. Its specific study method and scope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stablish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first birthday party through pilot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data research. Second, the study performed questionnaire by selecting total 200 targets in order to deduct the preferred design suitable for first birthday party wear. Third, the study manufactured 2 dresses suitable for first birthday party on the basis of result of questionnaire. Fourth, the study performed focus group interview to 10 persons participating in questionnaire with regard to final work to verify the work result.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people preferred the silhouette that does not give an effect to behavior like A line and tulip line, strong fabric solid-pattern for the first birthday party dress for female infant. Two dresses that were manufactured by reflecting deducted result were evaluated as the first birthday party dress meeting consumer"s needs.

      • KCI등재

        뉴실버 세대의 패스트 패션 브랜드 런칭을 위한 패션 디자인 개발

        변미연(Byun, Mi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전 세계적인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뉴실버 세대에 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뉴실버 세대의 인구증가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패션산업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패션 브랜드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 패션시장의 주요 타겟은 20~30대 젊은 층에 다수의 브랜드가 집중되어 있다. 특히 소비자의 부담이 덜한 중저가 브랜드의 경우 뉴실버 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의 수가 매우 적으며, 논네임 브랜드 또한 그 시장이 매우 협소하다. 이에 본 연구는 뉴실버 세대와 패스트 패션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 분석 후, 뉴실버 패션 산업과 패스트 패션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여 신규 브랜드 런칭 기획을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뉴실버 세대를 위한 패스트 패션브랜드 의상을 디자인하고 이를 실물작품으로 제작하고자 함이다. 또한 뉴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연구결과물에 대한 사후평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의 성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위한 문헌 연구, 실증적 고찰을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 결과물로 연구자 직접 개발한 실물작품 10벌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뉴실버 세대의 패션 디자인을 연구하는 학계분야 및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국내 패션산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최종 결과물로 제시되는 실물작품 10벌은 실증적 결과물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는 학계 및 패션산업계에서 관심도는 매우 높으나 현재까지 진행되지 않았던 프로젝트로써 브랜드 런칭을 통한 디자인 개발을 추진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As the global demographic structure change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new silv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opulation growth and lifestyle change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fashion industry is also in need of a fashion brand targeting them. However, the main target of the domestic fashion market of a large number of brands is concentrated on the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In particular, mid to low-end brands with less burden on consumers have very few brands targeting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the non-name brand is also very narrow.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he general theory about new silver generation and fast fashion, considered the connection between new silver fashion industry and fast fashion and tried new brand lunching plan. Based on it, the study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fast fashion brand dress for new silver generation and performed the ex-post evaluation interview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to verify the outcome of study. As a study method,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for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is, the study developed ten real works which were developed directly by the researchers as a result of qualitative study.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cademic field studying the fashion design of new silver generation and domestic fashion industry targeting it. Especially, actual 10 dresses that would be presented as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well as empirical results. The academic world and fashion industry had high interest in this project but it was not performed until now so it is meaningful that the design development was propelled through brand lunching.

      • KCI등재
      • KCI등재

        청룡영화제에 나타난 여배우들의 패션 룩에 관한 패러다임

        변미연(Mi Yeon Byun),이인성(In Seo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4

        Growth of domestic cinema market provides various film festivals held on each year with abundant materials and the festivals is being reborn as the festival for everyone under masses` interest rather than the one for movieman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consider costume design of actress attending to the ceremony of awarding a prize by selecting the 2005 Blue Dragon Film Awards as the target. Currently, on the summit of the growth of Korean cinema, in case of the consideration on the costume in the film festival, its influence can be checked by actress`s fashion icon called the flower of cinema. Further more, while the interest in the dress is increasing because of domestic settlement of party culture, it is assumed that the study can create the opportunity for general people as well as fashion industry to check up-to-date dress code.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costume design,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fashions such as fashion look-sexy look, gorgeous look and pure l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