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城隍神 金洪術과 義城

        邊東明(Byeon Dong-Myeong) 역사학회 2006 역사학보 Vol.0 No.189

        Gim Hongsul became a powerful local gentry of Uiseong County standing by himself from Jinbo County at the end of Silla. He died in the battle against King Gyeongwon by standing with King Wang Geon. Thus, the residents in Uiseong County heartily remembered him, who protected the region and gave his loyalty to Goryeo dynasty. Driven by his descendants and influential locals in King Hyeonjong's reign, he was worshiped in a shrine as the god of castle. As Uiseong County was degraded as an administrative unit due to the reformation of local ruling system, residents appealed the recovery of status of Uiseong County by emphasizing the achievements of Gim Hongsul. Since then, a sacrificial rite which praised Gim Hongsul as the god of castle was held until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t the time of Sukjong reign, there was a flow of change, in which the god of castle was perceived in a negative spirit and thus relegated so that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was strengthened with political principles. With this change, residents in Uiseong County tried to alter the shrine of the god of castle into a Chungnyeol shrine and installed him there. This project was relatively belatedly driven by other dan leader. This was caused by the fall of his direct descendants, that is to say, it was the result of the social differentiation in which the rise and fall of each clique in the clan of Uiseong Gim happened. It was also caused by social change that yangban literati family who gained ascendancy over traditional natives of influence established a secure superior position in country.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전통시기의 감악산(紺岳山) 숭배와 산신(山神) 설인귀(薛仁貴)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감악산은 조선시기 적성현의 진산이었다. 전통시기 한반도의 서북지역과 중부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공제하는 요충이었다. 이 일대는 삼국말엽에서 나당전쟁기에 치열한 쟁탈의 대상이었으며, 통일신라가 임진강 넘어 고구려 고토로 진출하는 길목이었다. 그리하여 감악산 일원의 그와 같은 전략적 중요성에 주목한 신라 중앙에서, 통일전쟁이 끝나고 체제 정비에 나서면서 감악산을 小祀에 등재하였다. 신라의 중앙귀족은 감악산을 주재하는 산신으로 唐將薛仁貴를 추앙하였다. 한강 이북과 임진강 유역 일원의 주민들 사이에 잠재하던 고구려 유민의식의 분출을 저지하려는 목적에서였다. 당의 장수 설인귀를 내세워 공포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고구려를 향한 회고의 감정을 자제토록 억압하며, 또한 고구려의 멸망이 강대국 당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함으로써 불가항력의 어찌할 수 없는 사태였던 것으로 체념토록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아울러 발해의 등장으로 동요하던 고구려 고토의 주민들을 안정시키기 위함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의 옛 땅을 제 영역으로 굳히며 그 주민을 신라인으로 흡수하고자 하였다. 감악산은 고려시기에 국가적인 제향의 대상이었다. 신라말 고려초에 적성지역의 호족들은 설인귀를 그 고장 출신으로 선전하며, 자신들 역시 감악산신 설인귀를 계승한 지역사회의 수호자임을 과시하려 들었다. 그리고는 마침내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전공을 앞세워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를 인정받음과 동시에 지역사회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자신들의 존재를 널리 각인시키기에 이르렀다.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던 고려에서, 고구려 멸망 및 그 유민의 탄압에 앞장서던 당의 장수 설인귀가 감악산신으로 인정받기에 이른 경위는 그러하였다. 이후 고려왕조 내내 감악산신 설인귀는 지역사회와 국가의 수호신으로 숭앙되었다. 또한 왕실을 비롯하여 公卿士庶에 이르기까지 消災招福을 빌며 감악산신 설인귀에게 제향을 올리는 게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를 잡았다. 감악산 신당에 모셔진 설인귀 부부를 포함한 그 가족 6인의 神像은, 이를테면 그처럼 확고히 뿌리내린 고려시기 감악산 숭배의 상징물이라 하여 지나치지 않은 셈이었다. 조선 유교사회의 전개와 함께 감악산 숭배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사우인 紺岳祠가 세워지고, 그곳에 위패를 봉안하여 매년 3차례씩 정기적으로 유교식 예제에 따른 제의가 행해지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설인귀를 神體로 하는 민간의 감악산신당이 유지되는 가운데 소재초복을 비는 제향도 끊이지를 않는 게 현실이었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감악사와 전래의 설인귀사당이 공존함으로써, 공적인 유교식 예제와 민간에서의 전통적인 산악숭배 관습이 적절히 타협한 모양새였다. 그렇지만 조선후기로 내려갈수록 유교식 예제가 정착되어가는 반면에 전래의 감악산 숭배가 약화되어가는 건 어찌할 수 없는 추세였다. 자연히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도 점점 희미해져갔으며,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기억에서 사라져갔다. In ancient times, Mt. Kamaksan was a strategic point between the northwe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the very reason that the Silla Kingdom considered Mt. Kamaksan so important and registered it as an official mountain on which official rituals were conducted. It was considered to be godly. Aristocrats who lived in the capital of Silla deified Sol In-gui(Xue Ren-Gui in Chinese), a general of Tang China, and revered him as a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e intension was to prevent people residing in the area between the Hangang River to Imjingang River from asserting their sense of identity as people of the fallen Koguryo Kingdom. The aristocracy of Silla intended to inspire fear among the people of this area by raising the specter of General Sol In-gui, who brought the Koguryo Kingdom to an end. By doing so, Silla tried to induce people of Koguryo to suppress their nostalgia for Koguryo and resign themselves to the their fate as subjects of Silla. The royal court of the Koryo Kingdom continued to perform rituals to Mt. Kamaksan. Powerful local gentry of the Kamaksan area, for example Choksong county, claimed that Sol In-gui was from the area. They represented themselves as guardians of the community in the spirit of So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Citing their military distinction in vanquishing foreign enemies, the local gentry demanded that the Koryo Royal Court recognize So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is would greatly bolster their authority in the area. Throughout the Koryo period,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Sol In-gui, was worshipped as a guardian god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ation. It also became custom to pray to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o ward off disasters and bring good fortune. Choson was a Confucian state. A shrine called Gamaksa was built on the top of Mt. Kamaksan to perform official Confucian rituals three times a year, but the local residents continued to maintain the shrine dedicated to Sol In-gui. With both Kamaksa Shrine and Sol In-gui Shrine in the area, the official Confucian rituals and the time-honored practices of the local people of worshipping the mountain became reconciled to some degree. However, later in the Choson period, Confucian rituals took root more strongly, and the traditional worship of Mt. Kamaksan naturally began to fade away. Belief in Sol In-gui, the Mountain God, declined little by little until it ultimately disappeared from the memory of people entirely.

      • KCI등재

        이규보(李奎報)의 「동명왕편(東明王篇)」 찬술과 그 사학사적 위치

        변동명 ( Byeon Dong-mye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8 No.-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검토하였다. 이규보가 굳이 명종 23년(1193)에 그와 같은 성격의 詠史詩를 찬술하려 든 연유라든지 혹은 「동명왕편」이 한국사학의 흐름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을 더듬었다. 「동명왕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序에 해당하는 散文部와 本篇으로서 五言詩 및 그 夾註로 이루어진 韻文部가 그것이다. 본편은 다시 중국의 신화적 존재를 읊은 導入部와 동명왕에 얽힌 신이한 사적을 상세히 다룬 主題部 및 찬자의 소회를 거듭 밝힌 終結部로 구분된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儒者임에도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을 시로 읊어야만 했던 사정을 구구히 늘어놓았다. 그리고는 본편에서 중국사를 연 신화적 존재들과 함께 해모수라든지 동명왕 등에 얽힌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수많은 일들을 두루 살핀 다음, 다시금 유자로서의 소회를 밝히면서 왕조의 창업에는 신이한 사적이 나타나게 마련임을 재차 확인하는 것과 함께 守成君을 경계하는 내용으로 끝을 맺었다. 儒者라는 자신의 정체성과 神異的인 역사이해 사이의 괴리를 정확히 파악하였으면서도, 더불어 왕조의 창업 시에는 일상을 뛰어넘는 신비스러운 일들이 나타나게 마련이며 그것이 또한 보편적 현상임을 역설하였다. 말하자면 이규보는 「동명왕편」에서 유교적인 역사이해와 신이적인 역사서술이 반드시 서로 어긋나는 일만은 아님을 강변한 셈이었다. 이규보가 그처럼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동명왕편」을 찬술하고자 나선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동명왕편」은 求官을 목적으로 지어진 시였다. 우선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은 당시 일반인 사이에서 회자되던 화젯거리였다. 그처럼 친근한 내용을 시의 소재로 삼음으로써, 타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에 쉬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더불어 동명 설화의 신이성은 유교적 합리주의와 상반되며, 더욱이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독자적 전통에서 이해하고 그리하여 고려의 자주성을 과시하는 데 유용하였다. 고려전기의 유교적 문치주의를 비판한다든지 혹은 문신정권의 북방종족에 대한 타협적이며 소극적인 대외정책의 한계를 드러내는 데 동명신화가 유용하였다.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야말로 유교적 문치주의에 기반한 고려전기의 문신정권을 비판하고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며, 그리하여 무인정권 하에서의 출사에 도움을 얻으려는 求官詩의 의도에 부합하는 소재였다. 말하자면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므로, 이규보는 그것을 소재로 삼아 「동명왕편」을 지어 당대 집권층의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구관에 활용코자 하였던 것이다. 그가 儒者로서의 자신의 정체성과 괴리됨을 정확히 인식하였으면서도, 신이한 동명왕의 사적을 긍정하고 더욱이 그것을 소재로 삼아 고려의 역사와 문화가 독자적 전통을 지녔음을 내외에 과시하는 「동명왕편」을 지은 까닭이었다. 한편 이규보의 그러한 찬술 의도와는 별개로 「동명왕편」은 한국사학의 흐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첫째, 한국사를 대상으로 한 가장 오래 된 현전 詠史詩로서 널리 읽히는 것을 목표로 삼은, 다시 말해 대중화를 염두에 둔 역사서술의 선구에 해당한다. 둘째, 『구삼국사』의 존재를 명확히 하는 것과 함께 그 체재라든지 내용이나 성격 등을 헤아리는 데 필수불가결의 자료이다. 셋째, 고려왕조의 고구려계승의식이 그 중엽에 이르도록 면면히 이어져갔으며, 무인정권시기에 들어 그것이 새삼 하나의 사조로 대두하였음을 보여준다. 넷째, 삼국시기 이래의 신이사관을 계승하여 후대로 이어주는 것과 함께 앞서 이미 제시된 바의 합리적인 역사이해라는 흐름을 거스르는, 그리하여 전진적이기보다는 복고적이라는 평을 면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I concentrated on studying A Lay of King Dongmyeong(Dongmyeongwang pyeon) written by Yi Gyubo in this paper. I pondered on why Yi Gyubo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and where the historical poetry was situated in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A Lay of King Dongmyeong can divide into two parts. The preface written in prose and the main part mostly put into verses were those. In the preface Yi Gyubo spoke long-windedly the circumstances that he ought to compose a poem on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despite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Next in the main part he first examined many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bout Haemosu and King Dongmyeong with the mythological beings who opened the Chinese history. Soon after expressing his intimate thoughts as a Confucianist Yi Gyubo confirmed again that it was natural that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ppeared upon the scene of founding a dynasty. Though Yi grasped correctly the contrast between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and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mysticism, he emphasized that a dynasty was never founded without showing fantastic and miraculous occurrences and it was a general phenomenon also. So to speak Yi Gyubo struggled to justify that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was not always contrary to writing history with mysticism and fantasticism while composing A Lay of King Dongmyeong.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a poetry which Yi Gyubo wrote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the talk of the town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Yi, choosing such a wellknown contents for subject matter of the poetry, expected to obtain the result that the poetry induced others easily to be concerned about his own opinions. Moreover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character of the saga of King Dongmyeong ran counter to a rational view of Confucian moralism and further availed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Goryeo dynasty in appreciation of their own tradition and show off the sprit of independence of Goryeo.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available to criticize the civil rule based on the principle of rule by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 the former term of Goryeo dynasty and justify the existence of the military rule, and therefore were subject matter in accordance with Yi’s purpose writing a poetry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Such as stated above was the reason that though he recognized certainly that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was contrary to the following he affirmed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and further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which showed off the original tradition of Goryeo history and culture A Lay of King Dongmyeong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low of Korean historiography. The first,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the oldest extant historical poetry dealing with Korean history and therefore corresponded to a forerunner of writing history to aim widely-reading in other words mind popularization. Next,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dispensable for clarifying the existence of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considering contents and formation or character of that history book. The third, A Lay of King Dongmyeong is an evidence that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to Goguryeo of Goryeo dynasty continued till the middle of the time of that dynasty and rose again as a trend of thought under the military rule. The fourth, A Lay of King Dongmyeong succeeded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view of history continuing since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handed it down to later age. At the same time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 position hardly to avoid a comment to run counter to the trend of a rational view of history as previously presented and therefore be rather reactionary than advanced.

      • KCI등재

        고려 전기 신숭겸 추념과 팔관회의 연관성 고찰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2 No.-

        신숭겸을 고려전기의 팔관회와 연관시켜 검토하였다. 먼저 신숭겸의 전몰과 그에 대한 팔관회에서의 추념을 태조 왕건과의 관계 속에서 살폈다. 뒤이어 팔관회가 정지되었다가 재개되는 속에서 개경 팔관회는 물론이고 나주와 서경 팔관회에서 신숭겸을 추념하는 의식의 향배가 어떠하였는지, 더욱이 그것이 신숭겸을 곡성 성황신으로 추앙하는 일이며 또는 悼二將歌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경위 등을 더듬었다. 신숭겸은 태조 왕건의 복심이었다. 왕건은 그를 각별히 신임하였으며, 그리하여 신숭겸에게 平山 申氏를 賜姓·賜貫함으로써 浿西勢力에 편입시켰다. 정권의 기반을 굳히며 나아가 정치적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함에서였다. 그만큼 두 사람은 정치적으로 밀착된 관계였다. 팔공산전투에서 위험에 빠진 태조를 구하고자 신숭겸이 자진해서 사지로 뛰어든 것은 그에 말미암은 일이었다. 왕건은 신숭겸의 전몰을 매우 슬퍼하며 추모하였다. 유족을 각별히 우대하는 것과 함께, 춘천의 총묘에 신숭겸을 예장하고 智妙寺를 세워 영령의 안식을 축원하였다. 나아가 팔관회에서 신숭겸의 충절을 기리는 의식을 행함으로써 추념의 정을 한층 곡진히 하였다. 고려 팔관회는 成宗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顯宗에 의해 복구되었다. 팔관회에서 신숭겸을 추념하는 의식도 함께 되살아났다. 잇따라 나주 팔관회가 개설됨에 미쳐, 신숭겸을 추념하는 儀式은 나주 관내의 곡성 지역사회에 영향을 끼쳤다. 신숭겸의 출신지인 곡성에서 그의 행적은 한층 높이 기림을 받게 되었으며, 마침내 신숭겸은 신격화되어 곡성군의 성황신으로 추앙되었다. 신숭겸을 추념하는 정서가 나주 팔관회를 통해 지방으로 번져간 끝에, 곡성에서 그는 고을을 상징하는 성황신으로 받들어져 자리를 잡기에 이르렀다. 靖宗의 즉위와 함께 서경 팔관회가 재개되었다. 서경 팔관회에서도 신숭겸을 추념하는 의식이 베풀어졌다. 그런데 睿宗 15년(1120)에 그것을 관람하던 국왕이 신숭겸의 충절에 감동하여 찬탄하는 시를 읊었다. 이른바 悼二將歌였다. 예종이 서경에 행차하여 팔관회를 베풀고 신숭겸의 충절을 기리는 시가를 지은 것은, 여진의 흥기에 경각심을 고취하며 더불어 자신의 후계문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의도에서였다. 신숭겸의 충절을 본받아 국왕을 섬기며, 또한 자신의 후계자인 어린 태자를 한마음으로 받들어야 함을 주문하는 의미가 담긴행사였다. 그로써 국왕이 정국을 한층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물론, 후계문제를 둘러싼갈등이 격화되지 않은 가운데 왕위가 안정적으로 계승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This paper studied Shin Sung-gyeom in relation with Palgwanhoe during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First it examined, in relation with Wang Geon, King Taejo of Goryeo dynasty, Shin’s death in battle and commemoration in Palgwanhoe to praise his righteous death. Next this paper considered how the celebration of commemoration for Shin’s death in Naju and Seogyeong (Western Capital) Palgwanhoe, needles to say Gaegyeong Palgwanhoe, went while Palgwanhoe was stopped and reopened, and further contemplated how the celebration of commemoration for Shin’s death produced worshipping Shin Sung-gyeom as a tutelar deity of castle in Gokseong county and the appearance of a poem Doijang’ga. Shin Sung-gyeom was a confidential subject of King Wang Geon. Wang Geon trusted Shin especially and therefore enrolled him as a member of Paeseo party by bestowing bon’gwan(clan seat) and family name on him as Pyeongsan Shin. Through such way Wang Geon intended to make the foundation of the reigns of government firm and secure political hegemony.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close as much. It was due to such close relationship of the two that Shin was willing to throw himself the jaws of death in order to rescue King Taejo in crisis and peril in Mt. Palgongsan battle. Wang Geon mourned over Shin’s death in battle very much and commemorated. While entombing Shin courteously in Chuncheon and praying repose of Shin’s soul by building Jimyosa temple, he privileged the bereaved family. Moreover he did his utmost to commemorate Shin with a funeral in Palgwanhoe to praise Shin’s loyalty. Palgwanhoe in Goryeo dynasty was discontinued by King Seongjong and soon after reopened by King Hyeonjong. Also a ceremony to commemorate Shin’s loyalty in Palgwanhoe was restored together. Afterwards Naju Palgwanhoe was held and the ceremony to commemorate Shin in Palgwanhoe affected Gokseong community within the administrative control of Naju. Shin Sung-gyeom was born in Gokseong county. Therefore the achievements of Shin’s lifetime was more praised in Gokseong community and finally Shin Sung-gyeom was worshipped as a tutelar deity of castle in Gokseong county. While a feeling to commemorate Shin was spread over regions with Naju Palgwanhoe, Shin Sung-gyeom was situated as a deity of castle standing as a symbol of county in the end. As King Jeongjong ascend the throne, Seogyeong Palgwanhoe was reopened. The ceremony to commemorate Shin’s loyalty was also held in Seogyeong Palgwanhoe. In 1120 while watching the ceremony in Seogyeong Palgwanhoe King Yejong was impressed by Shin’s loyalty and write a poem to admire it. It was so-called a poem Doijang’ga. King Yejong visited Seogyeong (Western Capital) and did such action as he intended to warn his subjects against the rise of the Jurchen and remove an uneasiness about a matter of his successor to the throne. This was a certain kind of event implying a political significance that King Yejong requested his subjects to obey their king himself like Shin Sung-gyeom and also honor the Crown Prince, his young successor with one accord. In this way he expected an effect that king himself could lead the political situation stably much more and his heir could succeed to the throne without troubles.

      • KCI등재

        9세기 前半 武州 西南海地域의 海上勢力

        邊東明(Byeon Dong-myeong)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신라에서 해상세력이 처음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은 8세기 중반 무렵이었다. 8세기 중ㆍ후반에 활동을 개시하여 9세기에 그 존재감을 부각시키던 海賊과 海商이 그들이었다. 당시 황해와 남해를 누비던 저들 중에는 신라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신라의 해상세력은 주로 武州 서남해 일원을 근거로 활동하였다. 무주 서남해의 해상세력은 장보고의 해상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구체적으로 그 존재를 드러낼 계기를 마련하였다. 대략 840년대쯤이면 해상활동에 진입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於呂系라든지 富?이나 連位와 같은 이들이 그러한 인물이었다. 장보고는 신라 중앙귀족과 무주 내륙 토호의 합작에 의해 제거되었다. 청해진도 또한 저들에 의해 장악되었고 뒤이어 폐쇄되었다. 무주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 중에는 그에 저항하다 진압을 당하거나 혹은 타국으로 망명하는 자가 있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현지에 남아 해상활동에 종사하며 독자적인 성장을 모색하였다. 이들은 신라 중앙이나 무주 내륙의 세력에게 반감을 품고 있었다. 그리하여 무주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은 뒷날 후삼국시기에 光州의 甄萱을 등진 채 松嶽의 王建을 맞아들였다. 내륙인 光州를 발판으로 후백제를 세운 견훤에 대한 반발에서였다. 무주 서남해지역은 이른 시기에 떠오른 해상세력의 근거지였다. 장보고와 청해진의 놀라운 성장에 힘입은 결과였다. 邊境人인 무주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은, 장보고의 선구적인 해상활동을 왕건에게로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무주 서남해지역은 당시 동아시아 문물교류의 주요 거점이었다. 전통적인 황해 중부항로는 물론 특히 황해 남부항로를 개척하여 잘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한 덕분이었다. 청해진에 의해 활성화된 이 항로를 통한 남중국과의 활발한 교류는, 정치ㆍ경제적인 측면을 넘어 禪宗의 수용과 같은 사상ㆍ문화적인 측면에서도 한국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었다. 장보고는 진골로의 신분 상승을 시도하다가 실패하였다. 장보고의 실패는 무주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과 같은 豪族을 각성시켰다. 9세기 후반에 들어 호족들은 아예 신라를 등진 채 새로운 사회를 구상하는 쪽으로 전환하였다. 말하자면 장보고를 비롯한 9세기 전반 무주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은, 신라의 골품체제를 벗어나 새로운 사회를 지향하도록 후삼국의 도래를 이끈 선구적 역할을 수행한 셈이었다.

      • KCI등재

        신라말(新羅末),고려초(高麗初)의 순천(順天) 호족(豪族) 박영규(朴英規)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신라말에서 고려초의 시기에 걸쳐 순천을 대표하던 호족 박영규를 살폈다. 그의 출신과 세력기반을 더듬고, 그가 후백제 견훤 및 고려 왕건의 휘하에 들어가 활약한 내용을 헤아리며, 마침내 그가 순천의 해룡산신으로 추앙되기에 이른 경위를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박영규를 한층 구체적으로 그려내며, 더불어 고려시기 순천 지역사회의 동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박영규는 수도 慶州에서 멀리 떨어진 순천의 토착세력 출신이었다. 王京人과 구별되는 地方人으로서 골품제에서조차 제외되는 낮은 신분이었다. 그런데 신라말 고려초의 시기를 맞이하여, 父祖 이래로 연안 해상교통의 요지인 해룡산성 일원을 근거 삼아 활동하며 세력을 키워간 끝에, 마침내 순천 일원을 대표하는 호족으로서 그 존재를 드러내기에 이르렀다. 박영규와 그 父祖는 방수군 시절의 견훤과 벌써 밀접한 사이였다. 그리하여 견훤의 거병에 가담하는 것은 물론 전남 동부지역 호족의 호응과 협조를 유도함으로써 견훤의 자립과 후백제 창업에 기여하였다. 박영규는 견훤의 사위이자 후백제의 장군이었다. 정권의 유력자 중 하나였던 그는 후백제의 군사적 팽창과 해상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후일 박영규는 신검의 왕위 탈취에 반대하여 견훤을 뒤따라 왕건에게 귀부하였다. 그리하여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 이바지함으로써, 세 딸을 왕실에 后妃로 들이는 등 극진한 예우를 받으며 유력자로 활약하였다. 박영규는 사후 해룡산신으로 추앙되었다. 대략 현종대(1009~1031) 즈음의 일이었다. 거란의 제2차 침입 당시 나주가 왕실 보위에 기여한 사실을 높이 평가한 현종은 나주를 크게 우대하였다. 반면에 순천은 邑格이 하강하고 관할영역이 줄어드는 등 상대적으로 위축을 면치 못하였다. 이에 순천의 토착유력자들은 박영규를 해룡산신으로 추앙함으로써 그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박영규를 앞세워 순천 역시 나주 못지않게 고려왕조에 기여하였음을 널리 알리고자 함이었다. 순천 또한 나주와 마찬가지로 우대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였다. 그렇지만 해룡산신 박영규를 앞세운 순천 지역사회의 그와 같은 노력은 끝내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광종의 숙청으로 중앙에서 박영규 계열이 약화된 이후, 지역의 여론을 중앙에 전달하고 또 관철시킬 만한 순천의 연고세력이 조정 내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은 데 따른 일이었다. This paper studied Bak Yeong-gyu, a powerful local gentry of Suncheon region during the late years of Silla and the early years of Goryeo. First it examined his origin and foundation of power, and then deliberated on his activity under Gyeonhweon and Wang Geon, and finally watched how he was worshipped as a mountain god of Mt. Haeryongsan in Suncheon region. Thus it intended to help us describing Bak Yeong-gyu much more concretely and understanding the movements of Suncheon local community. Bak Yeong-gyu arose from indigenous local elites of Suncheon region far from Gyeongju, capital of Silla. He was a man humble in social standing as a local inhabitant excluded from even the “bone-rank”(golpum) institution. However he, ever since his father and grandfather, carried on maritime trade based on the zone of castle of Mt. Haeryongsan which was an important place of coastal seaway and extended his influence on local community during the late years of Silla and the early years of Goryeo and in consequence distinguished himself as a powerful local gentry in Suncheon region. Bak Yeong-gyu and his father and grandfather were intimately associated with Gyeonhweon while his guarding the southwest shore already. Thus they contributed to Gyeonhweon’s self-reliance and founding Later Baekje by conspiring with Gyeonhweon’s rising in arms and inducing powerful local gentry in the eastern region of Jeonnam district to act in concert with Gyeonhweon’s uprising. Bak Yeong-gyu was Gyeonhweon’s son-in-law and a general in Later Baekje. As an influential person of Gyeonhweon’s government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ilitary expansion and maritime activities of Later Baekje. Thereafter Bak Yeong-gyu entrusted himself to Wang Geon following Gyeonhweon against Sin’geom’s usurping the throne. Therefore he played an active part with cordial courtesy in Goryeo dynasty. Bak Yeong-gyu was worshipped after death as a mountain god of Mt. Haeryongsan during king Hyeonjong’s reign(1009~1031) probably. King Hyeonjong treated Naju county preferentially and promoted it to a higher rank. On the other hand Suncheon county was reduced to a lower rank and became withered. The indigenous local elites in Suncheon county coped with such situation by worshipping Bak Yeong-gyu as a mountain god of Mt. Haeryongsan. Through standing Bak Yeong-gyu as a symbol of Suncheon local community they intended to send a message widely that Suncheon county was no less than Naju in contribution to Goryeo dynasty. They purposed to lay emphasis on a fact that Suncheon was qualified enough to be given a preferential treatment on a par with Naju also. However such effort of Suncheon local community ended in a failure. Because there were no useful connections able to deliver and accomplish such public opinion of Suncheon local community in the central government any more.

      • KCI등재

        삼국(三國)·통일신라시기(統一新羅時期)의 무등산(無等山)과 광주(光州)

        변동명 ( Byeon Dong-my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호남학 Vol.- No.69

        삼국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사이의 무등산을 광주 지역사회와 연관시켜 검토하였다. 광주의 역사적 흐름에 비춰 무등산을 조망함으로써, 이 산과 관련된 사람들의 지난날을 훑어보며 그 면모의 일부나마 드러내는 것을 겨냥하였다. 먼저 無等山의 名號를 광주의 고을 명칭과 연결지어 다룸으로써 이 산을 광주 지역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한 다음, 이어서 無等山 信仰과 無等山歌 그리고 開仙寺址 石燈을 소재로 삼아 주로 통일신라시기의 무등산 내지는 그로써 표상되는 광주 지역사회의 움직임을 더듬어 헤아렸다. 無等山은 늦어도 통일신라 이래 武珍岳이라 불렸다. 무등산이라는 명호가 등장한 것은 고려시기에 들어서였다. 무진악과 무등산은 同語의 異表記로 간주하는 게 보통이다. 그 독음과 의미를 두고는 견해가 대립하는데, ‘무돌뫼’ 혹은 ‘무들뫼’로 달리 읽으면서 각각 ‘무리지어 모인 돌[石]의 산’ 혹은 ‘물[水]이 있는 들녘의 산’으로 풀이한다. 그런데 ‘武’의 일본어 독음인 ‘다케(たけ)’에서 ‘독’[石]이 연상된다. ‘武珍岳’을 ‘독돌뫼’로 읽고 그 의미를 ‘石石山’으로 새기면, 동일어를 중첩해 복수형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하여 ‘돌들로 이루어진 산’이라는 풀이가 가능하다. 산마루의 장대한 암석군이 돋보이는 이 산의 명호로서 제격이거니와, 그러한 무진악이 景德王의 漢化政策과 고려왕조의 성립이라는 변화를 거치면서 武等岳(山)을 거쳐 無等山으로 정착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광주의 옛 이름으로는 武珍州가 대표적이다. 무진악에서 유래하였거니와 아마도 백제에서는 武珍郡이었던 듯싶은데, 통일신라에 들어 무진주가 성립하면서 고을의 주된 명호로 자리를 잡았다. 광주의 다른 옛 이름인 奴只는 냇물이 흐르는 들녘을 연상시킨다. 광주의 옛 이름들이 무등산 및 그 앞의 들녘에서 유래한 바, 그곳을 터전으로 삼아 온 지역민의 삶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자못 함축적이다. 아울러 고을의 주된 명호가 무진주라는 점에서 무진악 곧 무등산이 광주 지역사회를 상징하는 존재임을 확인할 수가 있기도 하다. 무등산신앙은 광주 일원에서 전해오는 민간의 풍속으로서, 무등산을 주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산신을 숭배하는 전통 관습이다. 광주의 유력한 토착세력을 상징하는 전통시기의 정치적이며 사회·문화적인 습속이었는데, 통일신라에서는 그러한 무등산신앙을 小祀에 편제하여 중앙의 규제를 받도록 정하였다. 왕경을 중심으로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정비하는 일환이었는데, 광주의 토착세력은 신라 중앙의 그러한 정책에 꽤나 협조적이었다. ‘무진고성’(무등산고성)의 축조라든지 그 결과 탄생한 무등산가에 함축된 광주 지역사회의 동향에서 헤아릴 수가 있었다. 신라의 백제 병합으로 신라 중앙과 접촉을 시작한 이래, 광주의 토착 유력계층은 중앙귀족에게 협조하는 타협의 길을 걸었다. 중앙귀족과의 연계를 발판으로 삼아 광주를 이끄는 전통적인 유력 사회계층으로서의 위치를 다지며, 나아가 노령 이남에서 토착세력을 대표하는 위상을 확보하고 또 지켜나가고자 하는 게 통일신라시기 광주 지역사회의 선택이었다. 이후 9세기 前半에 이르도록 광주 지역사회의 그러한 방침은 대체로 일관되고 유효하게 작동하였다. 무등산신앙과 무등산가를 더듬어 광주 지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무등산의 존재 의미를 되짚었거니와, 이 산이 광주나 다름없는 상징적 존재임을 거듭 확인할 수가 있었다. 9세기 말엽 광주에 甄萱의 後百濟가 들어섰다. 신라 중앙과 타협하고 중앙귀족에게 협조하던 지역 토착세력이, 기왕의 고식적인 방책을 버리고 왕경 경주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자세력으로 자립하였다. 무등산 開仙寺址 石燈의 銘文에는 그처럼 이제까지와 다른 길을 선택하기에 이른 광주 지역사회의 분위기가 담겨 전한다. 진성여왕 5년(891) 10월 무렵 새겨진 石燈記에 의하면, 開仙寺라 전하는 사찰에서 토지를 매입하는 佛事에 국왕이나 왕실은 관여하지 못하였다. 신라 중앙의 경우도 기껏해야 관여했을 가능성이 짐작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당시 국왕이라든지 신라 중앙에서는 해당 佛事에 가능한 한 참여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더불어 그러한 중앙의 요구를 반영하고자 지역사회의 일부에서 애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수준에 그쳤다. 광주 지역사회의 분위기가 신라에 호의적이지만은 않았음을 암시한다. 아직 신라 중앙과 완전히 단절된 것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反新羅的인 기운이 만연한 가운데, 저들과의 관계를 되짚으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려는 지역 토착세력의 은밀한 준동이 있었다. 眞聖女王 6년(892) 견훤이 자립하여 스스로 왕을 칭하기에 이르기까지 광주 지역사회의 분위기는 그러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Mudeungsan Mountain during the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in connection with the Gwangju community. By looking at Mudeungsan Mountain in light of the historical trend of Gwangju, it aims to reveal at least a part of the people’s past lives connected with the mountain. First of all, by connecting the name of Mudeungsan Mountain with the name of the town in Gwangju, it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mountain in connection with the Gwangju community. And based on the faith of Mudeungsan Mountain, Mudeungsan Song and the stone lantern at Gaeseonsa Temple site, it mainly examined Mudeungsan Mountain and the movement of the Gwangju community represented by i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Mudeungsan Mountain was called Mujinak since the Unified Silla period at the latest. It wa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at the name Mudeungsan appeared. It is common to regard Mujinak and Mudeungsan as the same words but written differently.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n the reading and meaning. Differently read as “Mudolmoe” or “Mudeulmoe”, they are interpreted as “the mountain of stones gathered in groups” or “the mountain in fields with water”, respectively. However, it reminds us of “Dok”(石) in “Dake”(たけ) which is the Japanese reading sound of “mu(武)”. If “Mujinak(武珍岳)” is read as “Dokdolmoe”, and the meaning is “doldolsan(the mountain of stone and stone)”, it is understood as a plural form by overlapping the same words, an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word “the mountain of stones”. It is a perfect name for this mountain, which stands out for its magnificent rock groups. As such Mujinak went through the changes of King Gyeongdeok's Hanwha polic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Dynasty, and it was settled as Mudeungsan after passing through Mudeungak(Mudeungsan) and reached today. As the old name of Gwangju, Mujinju is representative. It originated from Mujinak, and it seems that it was probably called Mujingun in Baekje. But when Mujinju was establish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became the main name of the town. Noji, another old name of Gwangju, reminds us of a field where a stream flows. The old names of Gwangju originated from Mudeungsan and the field in front of it, and it is implicit in that it represents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who had lived ther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main name of the village is Mujinju, it can be confirmed that Mujinak, or Mudeungsan Mountain, is a symbol of the Gwangju community. The faith in Mudeungsan Mountain is a folk custom passed down from the Gwangju area, and is a traditional custom of worshiping the mountain gods who are believed to preside over Mudeungsan Mountain. It was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ustom in the traditional period that symbolized the influential indigenous power of Gwangju.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faith of Mudeungsan was organized in rituals to be regul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part of the reorganization of a unified governing system centered on the capital, and the indigenous powers of Gwangju were quite cooperative with the policy of central Silla. It can be estimated from the construction of “Mujingoseong” (an Old Castle in Mujin, Mudeungsangoseong) and the trends in the Gwangju community contained in the Mudeungsan song. Since the start of contact with the center of Silla by Silla's annexation of Baekje, the indigenous and influential classes of Gwangju had taken a compromise path to cooperate with the central nobility. Bas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central nobility, it was the choice of the Gwangju community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to establish its position as the traditional influential social class leading Gwangju and furthermore to maintain the status of the indigenous power in the southern region of Noryeong mountain range. Later, until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such policy of the Gwangju community was generally consistent and effective. By looking into the faith of Mudeungsan Mountain and the Mudeungsan song,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Mudeungsan Mountai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of Gwangju was retraced, and it was repeatedly confirmed that this mountain is a symbolic existence that is Gwangju. At the end of the 9th century, Later Baekje was established in Gwangju by Gyeonhwon. Local indigenous forces that compromis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and cooperated with the central aristocracy, abandoned their previous tricks, and emerged as independent forces getting out of the control of the capital Gyeongju. The record of the Stone Lantern at Gaeseonsa Temple Site in the Mudeungsan Mountain contains the atmosphere of the Gwangju community, which had taken a different path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writings engraved on the stone lantern in the 5th year of Queen Jinseong(891) around October, neither the king nor the royal family were involved in purchasing land at a temple known as Gaesansa Temple. In the case of central Shilla, it was estimated that it was only possible to be involved in the purchase. At that time, the king or the central Silla needed to participate in the work of Buddhism as much as possible, and in spite of the efforts of some of the local communities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limited to that level. It shows that the atmosphere of the Gwangju community was not favorable to Silla. It was not yet completely cut off from the center of Silla. However, in the midst of the anti-Silla-like atmosphere in general, it is a part where the secret movement of the local indigenous forces trying to find a new way to retrace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detected. In the 6th year of Queen Jinseong(892), the atmosphere of the Gwangju community was like that while Gyeonhwon became independent and called himself king.

      • KCI등재

        연구논문 : 전통시기 순천(順天) 조계산(曹溪山)의 불교(佛敎)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曹溪山은 한국의 불교 전통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산의 명호 자체가 불교에서 유래하였으며, 松廣寺와 仙巖寺라는 이름난 거찰이 산의 동서 양측에서 면면히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조계산의 불교 전통을 종합해서 정리하며, 더불어 그것을 역사적 흐름에 비춰 해석함으로써, 그 구체적인 실상을 드러내는 게 이 글의 목표이다. 송광사와 선암사를 중심으로 이어져 온 불교의 전통을 살피며, 그리하여 한국불교사에서 조계산 불교가 의미하는 바를 헤아려 되짚는 기회로 삼으려 한다. 조계산 일원에 불교가 뿌리를 내린 것은 신라 하대에 가서였다. 송광사의 전신인 吉祥寺와 선암사의 창건이 그 즈음에 비롯되었다. 조계산이 위치하는 순천지역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그보다 이른 시기였을 터이다. 그렇지만 사찰이 자리를 잡음으로써 불교가 지역사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통일신라의 말엽에 이르러서였다. 순천 일원을 근거로 성장하던 호족의 후원 속에 가능한 일이었다. 조계산 불교가 크게 번성한 것은 고려왕조에 들어서였다. 고려왕조의 개창 이후 조계산의 길상사와 선암사는 손꼽히는 명찰로 대두하였다. 먼저 번성을 자랑한 쪽은 선암사였다. 대각국사 의천의 선암사 중창설이 전해지며, 더욱이 선암사 경내에 고려전기의 부도가 3기나 자리하는 게 그 증거였다. 송광사는 무인정권의 시기에 들어 비로소 두각을 드러냈다. 보조국사 지눌의 정혜결사가 옮겨오면서, 송광사는 손꼽히는 명찰로 자리를 잡았다. 頓悟漸修와 定慧雙修 및 看話禪을 내세우는 지눌의 수선결사는 널리 상하의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리하여 수선사는 송광사를 본산으로 당대의 불교 교단을 영도하는 존재로 부각되었다. 이후 수선사에서는 고승을 연달아 배출하며 한국의 조계종이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조계산 불교는 크게 위축되었다. 그렇지만 조선 유교사회의 탄압을 받으면서도, 조계산의 사찰들은 생존을 모색하며 나름의 전통을 유지하고자 고심하였다. 송광사와 선암사에서 단속적으로 이어졌던 중창 불사라든지 佛書의 간행이 그러한 증거였다. 조계산 불교가 한국불교사에서 다시 두각을 드러낸 것은 조선후기에 가서였다. 浮休善修의 계열이 송광사에 자리를 잡음으로 해서였다. 부휴계열에서는 송광사를 거점으로 삼아, 知訥의 저서를 집중적으로 간행하고, 수선사의 전통을 강조하며, 지눌과 송광사를 현창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조선시기의 불교가 지눌의 사상을 계승하여 오늘에 이르렀는데, 그러한 사상 전승의 핵심적 공간이 송광사였다. 그만큼 조선시기의 불교사에서 송광사를 비롯한 조계산 불교의 비중이 막중하였다. 더불어 임진왜란 당시 海上 僧侶義兵의 주요 거점 가운데 하나가 송광사였음도 잊을 수 없는 사실이다. 조계산 일원은 한국 불교의 특징이라 할 調和融會思想의 산실이자, 더욱이 그러한 전통을 가꿔 오늘에 이르도록 면면히 이어온 거의 유일한 공간이었다. 보조국사 이래 조선시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도록, 조계산 불교는 禪敎調和의 이념을 제시하고 또 그것을 실천하는 일에 열심이었다. 禪敎의 融會兼修를 바탕으로 편협한 종파주의를 넘어 보다 높은 차원에서 사상적 갈등을 극복 해소하려는, 이를테면 한국적인 禪敎調和의 이념을 제시하고 더욱이 그것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왔거니와, 요컨대 그러한 데에서 조계산 불교가 지니는 바 韓國佛敎史上의 의의를 찾아 마땅한 셈이었다. Jogye mountain has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Korean Buddhism tradition. The name of the mountain was derived from Buddhism tradition. And the two famous temples,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are keeping on their Buddhism tradition on the east and the west sides of the mountain. This study is focused on showing the real state of the traditional Buddhism in Mt. Jogye, by arranging overall the tradition of Buddhism in Mt. Jogye and interpreting it in the historical flow. This article aims to take a good look of Buddhism tradition of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and to trace the meaning of Jogye mountain Buddhism in Korean Buddhist history. Buddhism took root around Jogye mountain in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The Gilsang-sa known as the before name of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was built in that time. It would be faster than that time that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Suncheon areas where the Jogye mountain is located. But it was in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that Buddhism performed a certain role in the Suncheon community by the Buddhist temple placing itself. It was possible with the support of Powerful Gentry Families that was growing on the Suncheon areas. It was in Goryeo Dynasty that the Jogye mountain Buddhism flourished. The Gilsang-sa and the Seonam-sa in Mt. Jogye area emerged after the Goryeo Dynasty was established. First time the Seonam-sa was proud of flourishing before the Gilsang-sa did. It was the evidence that the Seonam-sa was still reported to be repaired by Uicheon known as the National Preceptor Daegak and moreover three memorial stupas erected in the early Goryeo was kept in the Seonam-sa area. The Songgwang-sa became distinguished after the seizure of power by the military. The Songgwang-sa was settled into the famous temple since the Cheonghyegyeolsa of Jinul known as the National Preceptor Bojo had been transferred to. The Suseongyeolsa of Jinul who insisted and teached “sudden-enlightenment followed by gradual-cultivation”(dono jeomsu) and “twofold training in quiescence and knowing”(jeonghye ssangsu) and “the contemplation of words”(ganhwaseon) was widely supported by high and low. Thus, the Suseongyeolsa with a head temple, the Songgwang-sa, emerged as a leading presence of the Buddhism order in those days. Since then the Suseongyeolsa produced successively many outstanding Buddhist preceptor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Jogye sect. The Buddhism in Jogye mountain was cowered exceedingly after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The Buddhism was suppressed in Confucian society of Joseon. But the Buddhist temples in Jogye mountain worked hard for their survival and to maintain their tradition. It was such evidence that the temple buildings were repaired and expanded or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published by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The Jogye mountain Buddhism exposed to prominence aga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Buddhist history. It was the ground that an eminent Buddhist monk Buhyu Seonsu and his disciples settled down at the Songgwang-sa. The branch of Buhyu Seonsu in Jogye sect, basing on the Songgwang-sa, published Jinul’s writings intensively and emphasized the tradition of the Suseonsa with a view to exposing and praising Jinul and the Songgwang-sa. The Buddhism in Joseon period succeeded Jinul’s thinking and spirit and such stream reached to nowadays. The key area of those succession was the Songgwang-sa. Mt. Jogye Buddhism headed by the Songgwang-sa occupied large proportion of the Buddhist history of Joseon so much. It was not forgettable the fact that the Songgwang-sa was one of the major bases of maritime priest patriotic soldiers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1592), together. The area around the Jogye mountain was a cradle of a harmonization of the Seon contemplative and Gyo textual schools, the key features of Korean Buddhism, and futhermore was the only space where the tradition of such idea has been succeeded nowadays. The Jogye mountain Buddhism made efforts to raise and practice the philosophy of a harmonization of the Seon and Gyo schools from the days of the National Preceptor Bojo down to nowadays through the Joseon period. The Jogye mountain Buddhism has taken the initiative in showing and discipling the very Korean ideology of a harmonization of the Seon and Gyo schools which aimed to conquer and solve the ideological conflict in higher levels than the closed-minded sectarianism,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the Seon and Gyo schools with training both. To sum up, considering these things, we ought to find the significance that the Jogye mountain Buddhism have in Korean Buddhism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