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의 타죄(墮罪) 신화에 대한 헤겔의 해석에 나타난 인간의 본성 및 정신의 변증적 전개에 관한 견해에 대한 고찰

        백훈승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10

        헤겔은 기독교 「창세기」의 인간의 타죄(墮罪)[Sündenfall] 이야기의 분석을 통해 인간의 본성⋅인간정신의 전개⋅악의 발생과 상처의 발생이라는 문제와 더불어, 선을 행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상처의 치료라는 문제를 다룬다. 인간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따먹음으로써 선악을 알게 되었고, 이로 인해 — 신의 명령을 어김으로써 — 신으로부터의 분리라는 상처, 죄인이라는 상처, 그리고 그 죄 값으로 죽을 수밖에 없게 되는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되었다. 그러나 선악을 인식할 수 있음은 또한 그러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헤겔은 인간정신의 변증적 전개과정, 곧 즉자[무자각적⋅미성숙의 상태]로부터 대자[자각적⋅반성적 상태]로, 그리고 즉자대자[분열의 통일 상태]에 이르는 정신의 운동을 통찰함으로써, 이러한 기독교의 교리가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보는 다른 교리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있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헤겔은 기독교의 타죄신화와 연관시키지 않고도 인간은 즉자적으로 혹은 본래 악하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어린아이와 같은 즉자적 상태에서는 보편적인 선을 목표로 하지 않고 자기의 주관적이고 특수한 욕망⋅충동⋅경향을 충족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는 것이다. 본고는 헤겔의 주장의 바탕이 되는 기독교의 타락이야기 자체의 의미와 문제점을 드러내는 한편, 이에 대한 헤겔의 해석 및 그를 통한 인간정신의 변증적 전개과정에 대한 헤겔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ory of human sin (Sündenfall) in the Christian Book of Genesis, Hegel discussed the issues of human nature,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spirit, the occurrence of evil and the occurrence of wound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doing good and healing of wounds. Man came to know good and evil by eating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and because of this — by disobeying God’s command — he suffered the wounds of separation from God, the wound of being a sinner, and the fatal wound of being forced to die as a penalty for his sins. However, being able to recognize good and evil can also be a way to heal those wounds. In this process, Hegel describes the dialectical development of the human spirit, that is, the movement of the mind from the in-itself [a state of unawareness and immaturity] to the for-itself [a aware and reflective state], and then to the in-and-for-itself [state of unity of division]. By this insight, he claims that these Christian doctrines occupy a higher position than other doctrines which regard human nature as good. On the other hand, Hegel, without relating it to the Christian myth of sin, says that human beings are in themselves or inherently evil, which means that, in their child-like state, they do not aim for universal good, but pursue their own subjective and specific desires, impulses, and inclinations. This paper reveals the meaning and problems of the story of the fall of Christianity itself, which is the basis of Hegel’s claims, and examines the validity of Hegel’s interpretation of it and his claims on the dialect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human spirit through it.

      • KCI등재

        인간사에 필연적인 사건은 존재하는가?

        백훈승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3

        Are there necessary events in human history? Every event is contingent in human history. We can say, of course, that some events happen necessarily, when determinate conditions are given. But ‘the necessity’ in this case, is a conditional necessity. And since these conditions are contingently given, the whole series of events become contingency. In addition, three meanings of contingency are to be differentiated, namely: 1) contingency as a contradictory concept of necessity, 2) contingency as ‘to be without purpose’, and 3) contingency as ‘to be unexpected’. The problem of ‘contingent events’ in human history, treated in this paper is essentially connected with ‘1) contingency as a contradictory concept of necessity‘. 인간사에 필연적인 사건이 존재하는가? 인간사에는 모든 일이 ‘우연적인’ 일이며, 어떤 특정한 조건이 주어지는 경우에 어떤 일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의 ‘필연’이란, ‘조건적 필연’으로서, 이때의 ‘조건’이 주어지는 것 또한 우연이므로, 전체의 사건의 계열은 우연으로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문제를 해명하기 위한 과정에서, ‘우연’의 세 가지 의미를 분석하는데, 첫 번째는 필연의 모순개념으로서의 우연이고, 두 번째는 ‘의도하지 않음’이라는 의미의 우연이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예기치 못함’이라는 의미의 우연이다. 그런데 ‘우연’의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의미인, ‘의도하지 않음’과 ‘예기치 않음(못함)’은 ‘필연’과 반드시 대립하지는 않는 개념으로서, 인간사에서의 ‘우연한 사건’의 문제는 어디까지나 ‘필연’의 모순개념으로서의 ‘우연’ 개념과 본질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인가?

        백훈승 범한철학회 2004 汎韓哲學 Vol.33 No.2

        Was bedeutet der Satz eigentlich: “Was vernnftig ist, das is wirklich; und was wirklich ist, das ist vernnftig.”? Das meint weder, daß was vernnftig ist, faktisch ist, noch daß alles, was existiert, vernnftig ist. Das Mißverstndnis kommt aus der falschen Kenntniß der Hegelschen Terminologie ‘Wirklichkeit’. Hegel unterscheidet in seiner Wissenschaft der Logik Wiikllichkeit von Existenz, Dasein und Erscheinung. Die Existenz, die einfach so vorhanden ist und der Vernunft nicht entspricht, ist keine Wirkllichkeit. Erst wenn sie mit ihrem Begriff oder Wesen bereinstimmt, dann sie ‘wirklich’ zu nennen. Daher muß die unwirkliche Existnenz verbessert werden, so daß sie der Vernunft entsprechen kann. Hegels Auffassung nach, ist in vorhandenen Staaten die wechselseitige Anerkennung nicht vllig zu verwiklichen. brigens behauptet er nicht, daß existierende Staate vernnftig sind. Der Staat, den er in seinem Kopf behlt, ist der Staat als Idee. Die Idee bei Hegel kann nicht nur als Ideal oder Sollen sein, sondern auch verwirklicht werden. Dann stimmt Idee mit der Existenz berein und somit wird diese Existenz zur Wirklichkeit. Die Grnde dafr, daß es diesen so einfachen Satzes so viele Deutungen gab, ist einerseits die Mehrdeutigkeit des Wortes ‘wirklich’, andererseits daß man Hegelschen Gedanken nicht in seinem Kontext, sondern mit nur seinen einigen Stzen oder bloß mit sekundren Literaturen erfassen will. 헤겔은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이라고 말했는가? 사실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헤겔이 사용한 ‘wirklich’라는 용어의 의미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헤겔은 논리학에서 현존 (Existenz)이나 현존재 (Dasein), 현상 (Erscheinung)과 진정성 (Wirklichkeit)을 구별하고 있다. 현실에 그냥 존재하는 것, 이성에 맞지 않은 현실은 전자에 해당한다. 현존하는 존재자가 자기의 개념이나 본질과 합치할 때, 그것을 비로소 참되다 (wirklich)고 말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참되지 않은 현실을 바로 잡아서 이성과 합치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헤겔은 현실의 국가에서 상호승인이 온전히 실현된다든지 현실의 국가가 이성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가 말한 것은 국가 이념, 혹은 이념으로서의 국가다. 그렇다고 해서 이념은 이상이나 당위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화될 수 있고 그렇게 될 때 이념과 현실은 일치하며, 이 때의 현실은 곧 진정성을 지니게 된다. 헤겔의 이 간단한 진술이 그토록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켰던 이유는, 물론 Wirklichkeit라는 용어 자체의 多義性에도 기인하지만, 더욱 큰 이유는 어떤 사람의 사상을 그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하려 하지 않고, 단지 몇몇 구절만을 가지고 속단한다든가 아니면 2차 문헌에 의존하여 그것을 맹신하는 데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헤겔에서의 반성(反省)과 사변(思辨)

        백훈승 범한철학회 2004 汎韓哲學 Vol.34 No.3

        The ultimate object of Hegel’s philosophy is the Absolute or truth. The true or truth is not partial or abstract, but the whole and concrete (“Das Wahre ist das Ganze.”) It is called Reflexion to apprehend a object in isolation abstractly, partially. And it is called Speculation, by which a object is concretely and totally apprehended. Dialectical method of thinking is proceeded from the reflectional thinking (Verstand), through mediation, and elevated to the speculative thinking (Vernunft). Hegel insists that only through such a speculative thinking the Absolute can be grasped. Speculative thinking is of course necessary in order to grasp a object, not partially but totally. This way of thinking is namely not to take the position of ‘Entweder~Oder’, but to take the perspective of ‘Sowohl~als auch’. However, we must not confuse the relation between the element in this ‘Sowohl~als auch’ with a relation of contradiction. They are never in a contradictional relation, but simly in a relation of negation. Contradiction or Antinomy never occurs in a thing or between things, besides in beliefs or claims. 헤겔철학의 궁극적 대상은 절대자 혹은 진리다. 그리고 진리, 참된 것이란, 부분적인 것이나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전체요, 구체적인 것이다. 대상을 추상적, 부분적으로 고립시켜서 고찰하는 사유방식을 헤겔은 반성 (Reflexion)이라고 부르고, 대상을 전체적이고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사유방식을 사변 (Spekulation)이라고 부른다. 변증법적인 사유방식은 반성적 사유 (지성)로부터 시작하여 매개과정을 통하여 사변적 사유 (이성)에로 고양된다. 절대자가 파악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사변적 사유를 통해서라고 헤겔은 말한다. 그러나 사변적 사유를 통해 드러나는 대상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 간의 관계는 모순관계가 아니라, 단지 어떤 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다르다’는 관계 혹은 부정태의 관계일 뿐이다. 본 논문은 우리의 두 가지 사유방식인 반성과 사변이 과연 무엇이고, 이에 대한 헤겔의 이해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 KCI등재

        헤겔의 진리관 검토 — 그의 진리 기준론을 중심으로

        백훈승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This essay reviews Hegel's theory of the criterion of Truth and reveals its unique characters. His theory of the criterion of Truth belongs roughly to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he Truth. But his theory presents, distinct from the ordinary criterion of the correspondence (conformity, coincidence) of statements with their reality (objects), a new criterion, i.e. the correspondence (conformity, coincidence) of reality (object, Gegenstand) with its concept (Begriff). This criterion includes in itself not only epistemological, but also ontological or axiological ones. Moreover Hegel also calls the Being-in-itself [das Ansichsein] Truth [Wahrheit]. While these various criteria or meanings of the Truth are presented through his texts, it is examined how the terminologies, e.g. Wahrheit, Entsprechen can be legitimately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problems which can come about from Hegel's assertions are proposed. 이 글은 헤겔의 진리 기준에 관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성격을 드러내고자 한다. 헤겔의 진리 기준 이론은 대체로는 진리대응설에 해당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대응설은 통상적인 대응설인 지성(진술)과 사물(대상)의 합치라는 기준에서 더 나아가, 현실(대상, 객관)과 그것의 개념[Begriff] — 이때 헤겔이 말하는 ‘개념’은 ‘본질’이라는 의미다 — 의 일치라는 새로운 기준이 부가된 것인데, 이러한 진리 기준은 단순한 인식론을 넘어서 존재론 내지 가치론을 내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헤겔은 즉자존재[das Ansichsein]를 ‘참’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헤겔의 텍스트를 통해 이러한 점을 드러내 보이는 한 편, 헤겔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 Wahrheit와 Entsprechen 등이 우리말로 어떻게 번역되는 것이 좋은지를 고민해보며, 헤겔의 주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 KCI등재

        헤겔에 있어서 구별되어야 할 세가지 종류의 욕구

        백훈승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3 No.-

        이 글은 헤겔에 있어서 욕구의 의미와 발생 및 구조, 종류의 문제를 『정신현상학』(1807)을 중심으로 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특히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에서 나타나는 ‘직접적인 욕구’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잡는 일이다. 헤겔에 있어서는 적어도 세 가지 종류의 욕구가 구별되어야 한다. 첫 째로는 욕구일반으로서, 이것은 자기의식의, 자기 자신과의 통일을 향한 욕구다. 이것은 모든 욕구의 근저에 놓여있는 욕구로서, 분열을 지양하고 하나인 상태, 자기동일성을 회복..유지하려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욕구다. 두 번째의 욕구는 직접적인 욕구로서, 이것은 생 (대상의식)을 향한 욕구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생의 의미다. 헤겔이 여기서 말하고 있는 ‘생’이란, 생명을 갖고 있는 외계의 대상도 아니고, 자기의식이 욕구로서 외계의 욕구대상에 관계할 때 그 욕구대상이 갖게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생동성도 아니다. 또한 그것은 욕구하는 자아의 근저에 존재하는 생물적인 자연으로서의 생명도 아니다. 직접적인 욕구의 대상은 바로 대상의식이다. 헤겔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바로 이 대상의식이 생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대상의식은 주체로서의 자아와 대상으로서의 관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관념 또한 자아다. 관념은 나의 관념이다. 관념이 따로 있고 자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바로 이 대상의식은 통일과 구별의 통일, 구별되지 않는 것의 구별, 구별된 것의 통일, 결합과 비결합의 결합, 동일과 비동일의 동일이라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바로 이것이 생의 구조이며 정신의 구조다. 세 번째의 욕구는 외계의 대상을 향한 욕구다. 욕구발생의 원인은 바로 자아의 타자 혹은 자기의식의 타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있다. 만약에 이러한 타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타자에 대한 의식이 존재할 수 없고, 타자의식(대상의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기의식은 동어반복적인 추상적인 자기의식에 머무르고, 자아에게는 아무런 결핍의 감정, 분열의 감정도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감정을 지양하려고 하는 욕구도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생각해야 할 문제는 정신현상학 , 『』에서 말하는 직접적인 욕구와 『법철학』에서의 욕구의 직접성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하는 점이며, 또한 『정신현상학』에서 말하는 저지된 욕구의 의미문제다. 이러한 문제들은 『엔쮜클로패디』의 서술을 참조하는 가운데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Diese Abhandlung zielt sich ab, die Bedeutung, Entstehung und Struktur, das Problem der Arten der Begierde bei Hegel zu betrachten, namentlich das falsche Verstandnis fur das unmittelbare Begierde im Selbstbewußtseinskapitel in der Phaenomenologie des Geistes 1807 zu korrigieren. Fur Hegel gibt es mindestens drei Arten von Begierde zu unterscheiden. 1. Begierde ueberhaupt: Begierde nach der Einheit des Selbstbewußtseins mit sich selbst. Das ist die allen Begierden grundliegende Begierde und kommt aus der Natur des Selbstbewusstseins heraus, welche die Zerrissenheit aufhebt und somit die Einheit, Selbstidentitat wieder herstellen will. 2. Unmittelbare Begierde: Begierde nach Leben (Gegenstandsbewußstsein). Es handelt sich dabei um die Bedeutung des Lebens. Das von Hegel gemeinte Leben ist kein Gegenstand der außeren Welt, welcher Leben hat. Das Leben deutet nicht auf die vermeinte Lebendigkeit eines Gegenstandes der Begierde hin, falls sich das Selbstbewußtsein als Begierde auf einen Gegenstand der Begierde der außeren Welt bezieht. Außerdem ist das kein Leben, welches einem begehrendem Ich grundliegendende, biologische Natur ist. Der Gegenstand der unmittelbaren Begierde ist eben Gegenstandsbewußtsein. Daß dieses Gegenstandsbewußtsein die Struktur des Lebens hat, das will Hegel sagen. Gegenstandsbewußtsein besteht aus Ich als Subjekt und Vorstellungen als Objekt. Vorstellungen sind jedoch Ich. Vorstellungen sind meine Vorstellungen. Vorstellungen und Ich existieren nicht getrennt. Dieses Gegenstandsbewußtsein hat die Struktur der Einheit der Einheit und des Unterschiedes, des Unterscheidens des nicht zu Unterscheidenden, der Einheit des Unterschiednen, der Verbindung der Verbindung und der Nichtverbindung, der Identitat der Identitat und der Nichtidentitat. Diese Struktur ist gerade diejenige des Lebens und des Geistes. 3. Begierde nach außeren Gegenstanden. Begierde entsteht aus dem Anderen des Ich oder des Selbstbewußtseins. Gabe es kein Anderes, wurde kein Bewußtsein von diesem Anderen sein. Gabe es kein Bewußtsein von Anderem (Gegenstandsbewußtsein), bleibe das Selbstbewußtsein ein tautologisches, abstraktes Selbstbewußtsein. Dabei wurde dem Ich kein Gefuhl des Mangels und der Zerrissenheit entstehen und somit keine Begierde, welche ein solches Gefuhl aufheben will. Außerdem ist ein Zusammenhang zwischen der unmittelbaren Begierde in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und der Unmittelbarkeit der Begierde in der Philosophie des Rechts zu betrachten. Ubrigens ist die Bedeutung der gehemmten Begierde in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zu erklaren. Solche Probleme sind mit den Hinweisen der Darstellungen in der Enzyklopa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zu losen.

      • KCI등재

        헤겔에 있어서의 ‘Begriff’의 다의성(多義性)에 대한 고찰

        백훈승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Among the terminologies Hegel uses for the explication of his own philosophy, ‘Begriff ’ is used in different meanings from ordinary language and philosophy. This essay aims at better understanding of Hegel’s philosophy that is estimated as difficult to understand, by way of investigating in what meanings the terminology Begriff is used in various contexts. Hegel himself does not explai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erminology Begriff and the readers cannot but understand and interpretate those for themselves. But it is not fact, that Hegel himself does not know exact meanings of Begriff and uses the terminology arbitrarily. He is only using it in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various contexts. I propose that the terminology Begriff has to be translated in various Korean words according to contexts, not in only one word ‘gaenieom [개념(槪念)]’. 헤겔이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해 사용한 여러 개념들 가운데 일상언어나 철학의 일반적인 용법과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것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Begriff이라는 용어다. 이 논문은 헤겔에 있어서의 Begriff이라는 개념이 문맥에 따라 어떤 다양한 의미들로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난해한 것으로 평가되는 헤겔철학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목표로 쓰였다. 헤겔 자신은 이 개념의 다양한 의미를 설명하지 않고 그것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독자들에게 맡기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 용어를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을 뿐, 이 용어가 지닌 여러 가지 의미들을 자신도 모르면서 뒤섞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헤겔이 사용하고 있는 Begriff이라는 용어가 ’개념(槪念)‘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번역되어서는 안 되고, 맥락에 따라 그 의미에 맞는 용어로 번역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 KCI등재

        칸트의 무한판단론 고찰

        백훈승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이 글은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1781)과 『비엔나 논리학』(1795), 그리고 얘쉐(Jäsche)가 편집한 『논리학』(1800) 을 주 텍스트로 하여, 거기에 나타난 무한판단의 문제를 검토하고 비판한다. 칸트는 『순수이성 비판』의 <정험적 분석론>에서 범주표를 제시하는데, 그의 범주표는 판단표로부터 도출해낸 것이다. 판단은 양⋅질⋅관계⋅양상이라는 네 부류의 판단으로 나뉘며, 무한판단은 ‘질’판단의 긍정판단, 부정판단에 이은 세 번째의 판단으로 등장한다. 칸트에 의하면 판단의 논리적 형식만을 고찰하는 일반논리학[형식논리학]에서는 무한판단이 긍정적인 형식을 지니고 있으므로 긍정판단과 구별되지 않지만, 판단의 내용까지도 다루며, 따라서 철저한(완전한) 규정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는 자신의 선험적 논리학에서는 이 둘이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선험적 논리학에서는 질 판단이 긍정판단, 부정판단, 무한판단의 세 종류로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선험적 논리학에서의 무한판단은 형식적으로 보면 긍정판단과 같아서 긍정판단 속에 포섭될 수 있으며, 내용으로 보면 부정판단과 같아서 부정판단에 포섭될 수 있기 때문에, 긍정판단과 부정판단 외에 제3의 판단의 종류로 ‘무한판단’을 설정하여 구분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논증할 것이다. This essay treats and criticizes the theory of the Infinite Judgment, which is developed in Kritik der reinen Vernunft (1781), Wiener Logik (1795), and in the Jäsche Logik (1800) of I. Kant. He presents a table of categories in the transcendental Analytic in Kritik der reinen Vernunft, which is derived from his table of judgments. To Kant the judgments are divided into four kinds, i.e. judgment of quantity, quality, relation, and modality. And the Infinite Judgment appears as the third judgment, after affirmative judgment and negative judgment. According to Kant, in general logic [formal logic], which treats only the form of the judgement, the Infinite Judgment is not distinct from the affirmative judgment because of its affirmative form. But he insists that in his transcendental logic, which treats also the contents of the judgment, the Infinite Judgmen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affirmative judgment. But in my opinion, the Infinite Judgment needs not to be added as the third judgment in addition to affirmative judgment and negative judgment. The reason is that on the one hand, the Infinite Judgment in transcendental logic can be eventually subsumed under the affirmative judgment due to its affirmative form, and on the other hand, in respect of its contents, it can be subsumed under the negative judgment.

      • 헤겔 『정신현상학』의 생 개념

        백훈승 한국헤겔학회 2002 헤겔연구 Vol.12 No.-

        이글은 헤겔의 주요 저서들 가운데 하나인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생 개념의 여러 의미들을 해명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요구되는 것은, 헤겔이 자신의 철학의 과제 내지는 대상을 무엇이라고 생각했는가 하는 문제의 해명 및 이러한 과제가 그의 생 개념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밝히는 일이다. 헤겔 철학의 과제나 목표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그것은 바로 ``절대자의 파악``이라고 하겠는데, 이러한 절대자는 바로 정신(Geist)이며 생(Leben)이며 사랑이고 이념이다. 그러므로 철학의 목표는 또한 정신, 사랑 그리고 이념과 생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모두의 구조를 한마디로 말하면 ``동일과 비동일의 동일``, ``통일과 다양의 통일`` 내지는 ``결합과 비결합의 결합`` 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로 이러한 구조를 한마디로 ``생``이라 부를 수 있다. 무차별적 동일성, 추상적 동일성은 아무런 내용이 없는, 형식적이고 공허한 동일성이며, 이것은 아무런 운동이나 생명력도 없는 죽은 점(點)과도 같은 것이다. 헤겔은, 자체 내에 구별을 지니고 있는 동일성(구별 아닌 구별)을 바로 ``행``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그것은 ``구체적인``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본 구조를 지닌 생이 그의 『정신현상학』에서 어떤 구체적인 의미들을 지니고 나타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헤겔의 『정신현상학』및 더 나아가서는 헤겔 철학의 과제와 목표에 대한 좀더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무지(無知)로 인한 행위에도 책임을 져야 하는가?

        백훈승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7

        When an act, which we do with clear consciousness, is against morality or law, we are responsible for it. But are we to blame in moral and legal terms even if we are not aware of the fact that our acts are unlawful or immoral? Hegel handles with this problem in <morality>[Moralität], the second part of his Philosophy of Right. He claims that Oedipus should not be accused of patricide, because ‘my will’ is responsible for the deed only when I aware of what I am doing. Oedipus stroke an old man to death without knowing him as his father. But Pascal acknowledges such a deed as a crime. Aristotle is against this claim. He differentiates the not-knowingly [οὐκ εἰδώς] performed act into an act through ignorance [δι' ἄγνοιαν] and an act in ignorance [ἀγνοῶν]. He makes a judgment that the former is not guilty and the latter guilty. Hegel is for Aristotle. It is examined in this essay whether Hegel‘s claims are justified or not. 우리가 명확한 의식을 가진 상태에서 한 행위가 법을 위반하는 경우, 그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행위가 위법한 행위 내지 불법적인 행위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우리는 그에 대해 도덕적⋅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가? 헤겔은 자신의 법철학 의 제2부: <도덕>[Moralität]에서 이 문제를 고찰한다. 헤겔에 의하면, 어떤 소행(所行)[Tat]에 대해 나의 의지가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는,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한에서 만이므로, 오이디푸스는 아버지를 살해한 자로 고발될 수 없다고 한다. 그는 자기의 아버지인 줄 모르고 그 사람을 때려죽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스칼은 무지로 인한 범죄를 인정하고 있다. 이런 그의 주장에 대해, 시골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Les Provinciales, 4e lettre)에서의 대화 상대자인 신부(神父)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을 내세워 파스칼의 주장을 반박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1) 무지로 말미암은 행위(=모르기 때문에 행한 행위)와 2) 무지 속에서 행한 행위(=모르는 가운데 행한 행위)를 구별할 수 있는데, 행위 1)은 죄가 되지 않고 행위 2)는 죄가 된다고 주장한다. 헤겔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 동의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연관된 여러 문제들을 고찰하여 헤겔 주장의 정당성 여부를 검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