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주시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치과위생사의 방문구강위생관리 사례연구

        백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원주시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치과위생사의 방문구강위생관리 사례연구이다. 2012년 11월 27일부터 2014년 2월 1일까지 원주시 G 재가노인복지센터에 등록된 재가노인 5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방문구강위생관리를 제공하였다. 방문 당시 작성하였던 현장노트, 메모, 사진, 녹음내용을 기반으로 방문구강위생관리 사례일지를 작성하였다. 질적 사례연구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내용 분석하여(28명)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가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영향을 주는 개인 요인’에서 재가노인과 가족은 각자의 건강문제가 다소 차이는 있지만 구강위생관리가 대부분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에 노출되어 있었다. 즉 와상 및 치매노인의 입을 강제로 벌려야 하거나 꽉 무는 행위, 또는 장애로 인해 양손으로 칫솔을 잡을 수 없는 문제가 있지만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틀니의 지속적인 불편감 등의 해결되지 못하는 구강문제와 부적절한 구강위생관리 행위는 노인의 구강상태를 더욱 악화시켰다(신체적). 혼자 사는 노인은 외로움을 느꼈고, 배우자수발 또는 신체장애 때문에 우울을 느꼈다(심리적). 칫솔과 치약은 위생상태가 열악한 곳에 방치하였다(물리?환경적). 둘째, 재가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 요인’에서 노인은 구강상태가 좋지 못하여 치과진료가 필요하였지만 신체적 불편함, 경제적 어려움, 비윤리적인 진료행위의 경험, 치과가 멀리 있을 경우 치과에 방문하지 않았다. 또한 장애인콜택시의 이용이 어렵거나 치매노인의 공격성 정도에 따라 치과진료 접근성은 낮았다(치과진료 접근성).한편 노인과 가족은 요양보호사의 도움에 만족하고 있었다. 반면에 장애를 가진 노인은 요양보호사가 장애인을 차별하는 것은 매우 화가 난다고 하였다. 이들 노인과 가족은 요양보호사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났다(상호작용의 촉매역할). 셋째, ‘참여노인’에게 방문구강위생관리는 부담이 없이 마음의 의지가 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가족’에게 방문구강위생관리는 자녀들의 일상적인 부양부담을 일부분 해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에게 방문구강위생관리는 익숙하지 않은 구강관리의 공백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방문구강위생관리에 대해 참여노인은 심리적인 외로움 때문에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기를 원하였다. 반면 가족은 장애를 가진 노인의 입을 강제로 벌리게 해야 하고, 칫솔을 꽉 무는 행위 등의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방문구강위생관리를 적극적으로 필요로 하였다. 요양보호사는 칫솔질 등의 일상적 구강청결관리가 서툴기 때문에 방문치과위생사의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따라서 방문구강위생관리는 재가노인의 심리?정서적 특성과, 장애를 가진 재가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재가노인의 심리?정서적인 지원과 이해를 위해서는 노인을 포함한 인간과 사회, 신체, 정신건강에 대한 영역별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노인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의사소통기술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재가노인의 다양한 장애수준에 대응할 수 있는 방문구강위생관리 사례를 발굴해야 한다. 한편 방문치과위생사는 노인과 가장 가까이 생활하는 요양보호사가 일상적 구강청결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방문치과위생사를 희망하는 잠재인력, 비용효과 등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방문구강위생관리를 위한 세부적인 교육내용, 평가방법 등의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실천현장에 기반한 방문구강위생관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심리장애 영유아의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

        백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심리장애 영유아 중 언어발달지체의 성별, 연령에 따른 비율과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DSM-Ⅳ를 기준으로 의사소통장애집단/비의사소통장애 집단, 언어발달검사(LDS)를 기준으로 언어지체집단/비언어지체집단 간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소아정신과와 재활의학센터에 의뢰된 만18개월에서 만35개월의 영유아 145명이며, 측정도구는 유아 행동평가 척도 부모용(K-CBCL 1.5-5)과 언어발달검사(LD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장애 영유아 중 언어발달지체의 비율은 전체의 90.3%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는 여아보다 약 2배 높게 임상장면에 의뢰되었으며 언어지연 비율도 여아의 2배 수준이었다. 연령으로는 세 집단(18-23개월, 24-29개월, 30-35개월) 중 개월이 높은 집단일수록 언어발달지체의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언어발달검사(LDS)의 어휘력, 문장길이 척도 중 어휘력 척도의 점수는 K-CBCL 1.5-5의 위축, DSM-정서문제, DSM-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의 T점수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성별 집단 별 언어발달검사의 어휘력, 문장길이 점수와 K-CBCL1.5-5 하위 문제행동척도의 T점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여아의 어휘력 수준은 위축, 내재화, DSM 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남아의 어휘력 수준은 DSM 정서문제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DSM-Ⅳ를 기준으로 할 때 비 의사소통 장애 집단의 K-CBCL 1.5-5의 주의집중문제, 기타문제행동의 T점수가 의사소통장애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넷째, 언어발달검사의 임상 절단점을 기준으로 할 때 언어발달지체 집단의 K-CBCL 1.5-5의 위축, 수면문제, DSM-정서문제, DSM-전반적 발달문제의 T점수는 비언어발달지체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검사(LDS)와 K-CBCL 1.5-5를 사용하여 임상의 영유아 중 언어발달지체 비율을 탐색하여 남아의 취약성을 확인하였고,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임상 영유아 집단 내에서도 진단과 언어 지체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탐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스트릿댄스 영역의 확장을 위한 공연예술 측면에서의 활성화방안

        백지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스트릿댄스는 1980년대 미국에서 유입되어 소규모 집단을 중심으로 비주류문화로 자리 잡아가다가 1990년대 후반부터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노출되기 시작했다. 이후 국내 스트릿 댄서들의 세계대회 우승 기록 등이 쌓이면서 점차 하위문화에서 주류 대중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국내의 스트릿댄스가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문화산업영역으로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다른 장르와의 융·복합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릿댄스의 저변확대와 외형적, 사회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트릿댄스가 독립적 공연예술 장르로서의 가치 확립과 내부적 시스템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릿댄스가 국내에 도입 된 이후 한국의 문화적 상황 속에서 스트릿댄스가 어떻게 형성, 발전해 왔는지 그 과정의 입체적 분석을 통하여 스트릿댄스의 독립 공연 장르로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문화산업으로의 스트릿댄스에 대한 1단계 SWOT분석을 통하여 독립 공연 장르로 발전하기 위한 목표 및 전략방안을 설정하였다. 2단계 중심전략을 통해 국내 스트릿댄스 공연예술로의 발전방안과 전문 인력 양성 및 저변 강화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3단계 통합분석으로 스트릿댄스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스트릿댄스 공연예술 측면의 내·외부적 발전방안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적 요인으로 전문 인력 양성과 저변 강화를 통한 발전방안이 필요하다. 다양한 인재양성 교육을 통해 예술 관련 직업군의 확대가 필요하며, 스트릿댄스 공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성된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한 예술분야 실연자의 복지교육과 지원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활성화를 위한 외부적 요인으로 독립적 예술장르로 발전하기 위한 예술적 측면의 강화방안이 필요하다. 스트릿댄스의 독자적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공연상품을 제작하고 한류 공연상품으로 활용되어야하며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종합예술 및 융·복합 공연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 활성화의 기회 확대를 위해 스트릿댄스 행사 등을 소도시로 분산하여 지역 간의 교류를 높이고 관광상품 등으로 개발해야 한다. 위와 같은 스트릿댄스의 내·외부적인 연구는 스트릿댄스 문화의 올바른 안착을 위한 기반으로 사회적 자립도 상승과 문화적 가치 확립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급격히 성장한 국내 스트릿댄스의 질적 향상은 물론 한국 스트릿댄스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스트릿댄스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국내 스트릿댄스의 확장과 발전을 기대한다. The street dance in Korea was first introduced from the US in the 1980's, established itself as a non-mainstream culture among small groups then started getting public exposure through the media in the late 1990's. Later, this subculture became one of main-stream cultures gradually as local street dancers started to gain world competition records. For this reason, the local street dance became recognized for its cultural and economical value that allowed for active promotion in the culture industrial field, and even fusion and mix of street dance with other genres are being produced. Despite street dance's ground expansion and growth in soci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street dance faces difficulties in standing alone as a performing art that establishes its own values and builds its own internal system. This study includes a multi-dimensional analysis based on how street dance came to form and develop after its establishment in the Korean cultural backgrou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street dance of becoming an independent performance genre. The first step SWOT analysis of street dance as a culture industry has been carried out to set a strategic plan that can develop street dance as an independent genre. The second step core strategy suggests the development plan for street dance as a performing art and the need fo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reinforcement base. Lastly, the third step provides an integrated analysis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for the overall development strategy of street dance. The resul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development plan for street dance performing art are as follows. Firstly, a development plan for crea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strengthening its base is necessary as an internal factor. Expanding on art related occupations is necessary through various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traine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ed to be actively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dance performances. In addition, welfare education and business support needs to be carried out for the art field performers. Secondly, strengthening the plan for the street performing art to develop as an independent art genre is necessary as an external factor to activate this plan. Performance material can be produced from developing independent contents of street dance to be utilized as Korean performance product, and street dance needs to expand into combination arts of fusion and mix performa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modern technology. Also, it is important to distribute the street dance events and such in towns for the increase in geographical interaction and develop it as a tourist product in order to expand the chances in regional activation. The internal and external study of street dance as mentioned above allows the increase of social independence in its suitable position and the positive effect of establishing its cultural value, which will not only enhance the quality of street dance from rapid growth, but also help the development of street dance in Korea. The study of street dance in Korea needs to be consistently carried out in the future for the hopeful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street dance in Korea.

      • 10대 대중문화에 있어서의 미술교육적 의미와 역할

        백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락과 산업이 결합된 대중문화가 이제 10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규정하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떠오름에 따라 학교는 10대의 대중문화에 대해 폭넓게 인식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문화의 능동적 수용자가 되도록 교육해야 한다는데 기인하였다. 즉, 대중문화에 대한 무조건적인 부정적인 인식, 학생들의 실생활과 유리된 교과서 중심의 지식전달과 기능일변도의 미술교육으로는 학교현장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교사와 학생간의 문화적인 갈등과 학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저항감을 심화시킬 뿐이며, 나아가 21세기의 다원화된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나갈 자율적이고 창의적이며 자기주도적인 비판적 사고능력과 미술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 따라서 대중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함께 그것에 내재하고 있는 미술교육적 의미를 분석해보고, 교과수업에 적극 도입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교사와 학생간의 문화적인 갈등에 대한 해결방안과 미술과 수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네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중문화와 현대 청소년의 특징 및 한국 청소년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둘째, 팝아트 및 대표적인 한국 현대 신세대 미술가의 작품을 분석하여, 대중문화에 대한 미술표현을 분석하고 대중매체시대에 미술의 의미를 살펴본다. 셋째, 대중문화에 대한 미술교육적 의의 및 필요성을 분석한다. 넷째, 대중문화를 통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모색한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관련 문헌 조사와 신문기사 분석, 현장연구자료 분석에 주로 의존하였다. 기초조사로서 대중문화에 대한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생략한 이유는, 한국사회의 특수한 교육적 상황 즉 대학진학에 대한 열망으로 교사나 학부모들 모두 공식적인 교육과정 밖에 존재하는 대중문화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고,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만화, 애니메이션에 대한 지면의 할애와 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설립 등으로 볼 때 단편적이나마 교과교육에 있어서 대중문화의 수용의지를 엿볼 수 있으며, 학생들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열망은 이미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바이다. 따라서 우선 문헌분석을 통하여 대중문화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고, 신문기사분석과 현장연구자료, 구두질문에 의해 현대 청소년의 특징과 한국 현대 청소년의 특징 및 그들과 대중문화와의 관계를 탐색해 보았다. 다음으로 전시도록 및 인터넷 관련자료, 관련문헌분석을 통해 대중문화를 미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팝아트,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근간으로 한 한국 신세대미술을 대표하는 이불과 최정화의 작업을 분석하여 대중문화에 대한 시선을 바탕으로 한 미술표현을 탐색해 보았다. 그리고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대중문화에 대한 미술교육적 의미와 필요성을 논하고 대중문화에 대한 능동적 수용을 학습목적으로 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중문화를 미술교육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교육적인 기능을 부여해야 한다. '대중문화는 저급문화'라는 그릇된 인식을 버리고 학생들의 삶과 직결되어 있는 대중문화를 학생들의 학습발달 단계와 미술적 표현 감각에 맞춰 체계적으로 미술교육과정에 도입하여 학생들 자신이 대중문화를 본 시각을 드러낼 수 있는 시간과 공간 및 그들이 갖고 있는 건강한 문화적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즉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의 생활과 직결되는 학습을 통해 문화의 소비자로서, 또는 문화의 생산자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해야 한다. 대중문화는 학생들의 자유로운 상상력과 표현욕구를 담아낼 수 있는 그릇의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청소년 문화의 확산이라는 측면과 함께 학교교육에 있어서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켜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대중문화를 통한 미술수업에 있어서 대중문화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필요하다. 즉 대중문화를 단지 교과수업을 재미있게 진행하기 위한 도구주의적 접근에서 벗어나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문화에 대한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의식을 개입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작품제작과 비평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술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홍수처럼 밀려 들어오는 문화상품들 중에서 무엇이 자신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필요한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 이를 토대로 보다 발전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popular culture combining entertainment and industry serve to determine teenagers' life style primarily, which means that schools are required to have a wider understanding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reby, educate students to accommodate the culture positively. Namely, unconditional negative view of the popular culture, textbook-centered education separate from students' actual life, and functional art education would deepen the cultural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resistance to school education, much less fostering able talents who can inherit and develop art culture in a creative way with their self-initiated critical thought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implications of the popular culture in view of art education based on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reby, introducing the popular culture into art education program to find the ways to solve the cultural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uggest a new model for art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four-fold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nd juveniles would be reviewed together with their current conditions,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juveniles would be analyzed; second, pop arts and major new generation artists' works would be analyzed together with the art expressions of the popular culture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art in the age of popular media; third, implications and versatility of the popular culture would be analyzed in view of art education; fourth, an art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popular culture would be developed; Thus, relevant domestic literature, newspaper articles and field survey results were reviewed extensively. A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ir perception of the popular culture was omitted, because it is widely known that teachers and parents have a negative view of the popular culture because they put the highest priority on the formal school education designed to help students advance to their desired colleges and universities. Nevertheless,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edited according to the new 7th Curriculum contain cartoons and animation, while an animation high school has been founded. Though partly, these changes hint the will of the educational authority to accommodate the popular culture. Students' interest in and longing for the popular culture are well known. Anywa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and then, today's juveniles', particularly, Korean juveniles'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popular culture were analyzed through newspaper articles, field survey reports and interviews. Next, exhibits and relevant literature were analyzed to critically review the pop art and popular culture - it is believed that pop art has served to introduce the popular culture into art - and particularly, Lee Bul's and Choi Jeong-hwa's works representing the Korean new-generation artists were analyzed to define the art expressions based on their view of the popular art. Based on the results from such analyses, the implications of the popular art in view of art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thereupon, an art education program aimed at positively accommodating the popular culture into art education was suggested.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we need to depart from the fixed view of the popular culture - "it is a low-class culture" - and instead, make efforts to introduce the popular culture directly linked with students' life into the formal education program depending on students' development of learning and art expression abili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view of the popular culture through the formal art education and thereby, vent out their cultural desires in a sound way. To reiterate, art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as linked to students' present and future life to encourage student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cultural activities as cultural consumers and producers. Then, the popular art would help students to express their imagination and desire of expression freely. The result would be spread of a sound juvenile culture facilitated by the formal art education incorporating the popular culture. Second, it is essential to depart from the instrumental approach to the popular culture at art classroom or regard the popular culture as means of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art and instead,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a critical and active view of the culture surrounding them. If such an ar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students w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to distinguish what will be useful to enhancement of their life quality from those bombarding cultural commodities and thereupon, lead a more desirable and subjective life.

      • 모세관내 미소몰딩 방법을 이용한 폴리다이아세틸렌 리포좀과 섬유의 패턴제작

        백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산업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고분자 센서소재에 대한 개발이 국제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초소형, 고신뢰성, 고감도 차세대 센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센서 소재로 연구되고 있는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싸이오펜, 폴리다이아세틸렌과 같은 공액고분자는 분자설계의 다양성, 가공의 용이성, 저중량, 유연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저분자 센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신호 증폭 현상을 가지고 있어서 센서로 제작시 감응도가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공액고분자들 중에서 폴리다이아세틸렌(polydiacetylene, PDA)은 주쇄에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이 교대로 존재하는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응용전개가 기대되는 물질이다. PDA는 다이아세틸렌(diacetylene, DA) 단량체들이 화학적 개시제나 촉매제 없이 254nm 자외선 노광에 의한 광중합 방법으로 합성되며, 640nm에서 최대 흡수파장을 가지어 청색을 띄게 된다. 이 청색의 PDA는 열, 용매, 기계적 스트레스, 분자간의 인식 등 환경의 변화(외부자극 혹은 분자인식)를 인식하여 입체구조의 변화가 생기고, 그에 따른 전자전이 영역의 변화로 색전이 현상이 일어나 적색의 형광을 띄게 된다. 이러한 광학특성과 청색일 때 나타나지 않던 형광이 적색으로 색전이가 일어나면서 나타나는 자가형광발현 특성으로 인하여 PDA의 유도체인 10,12-pentacosadiynoic acid(PCDA)와 10,12- pentacosadiynoic acid-isophthalic acid(PDA-IPA)는 센서소재로서 적합한 성질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리소그라피 방법의 일종인 모세관내 미소몰딩(micromolding in capillaries, MIMIC) 기술을 이용하여 PCDA 리포좀과 PDA-IPA 미세섬유 패턴을 제작하였다. MIMIC 방법을 이용하면 패턴을 쉽게 제작할 수 있고, 물질의 특성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는 패턴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크기의 polydimethylsiloxane(PDMS) 몰드와 Ti 기판을 사용하였고, 그에 따른 각종 공정변수를 최적화 하여 PCDA 리포좀과 PDA-IPA 미세섬유 패턴을 제작하였고, 채널 크기에 따른 각각의 패턴의 특성을 전자현미경, 원자현미경,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자현미경과 원자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기판 위에 PCDA와 PDA-IPA 모두 패턴이 잘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PDMS 몰드의 채널 너비에 따른 패턴의 두께가 달라지는 현상을 관측하였다. PDA-IPA의 경우 채널 너비에 따라 형성되어진 섬유의 배향성과 직경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형광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PCDA와 PDA-IPA 패턴이 열에 의한 자극에 의해 전자전이영역의 변화로 형광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턴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MIMIC 기술과 PDA의 다양한 광특성을 접목하여 공액고분자의 화학센서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