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서 활동이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KSL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백재파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활동이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KSL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15편의 연구에서 35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독서 활동이 어휘력, 언어 이해능력, 언어 표현능력, 담화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활동의 전체 효과크기는 1.204로 큰 효과크기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둘째, 독서 활동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764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진다고 나타났으며, 언어 이해능 력(1.118), 언어 표현능력(1.114), 담화능력(1.118)에는 큰 효과크기를 가진다고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독서 활동은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KSL 발달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ies on the KS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omplish this goal, a total 35 effect sizes were producted from 15 related studies and meta-analyzed.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204. Second the effect size of improving vocabulary ability was midium effect size.(.764) And the effect size of improving receptive language ability(1.118), expressive language ability(1.114), discourse ability(1.118) were big effect size.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듣기 접근 방법과 유형에 따른 한국어 듣기 교수학습 활동의 효과: 숙달도 간 비교를 중심으로

        백재파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stening instruction in KFL contexts via meta-analysis. To that end, listening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were sub-categorized into listening approaches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and listening types(reactive, intensive, selective and extensive types), and the effects thereof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cross proficiency levels. Specifically, 55 effect size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40 articles for meta-analysis, which highlighted the following. First, listening instructions in KFL contexts had medium effects overall (ES=.719). Second, the top-down approach exerted greater effects than the bottom-up approach (bottom-up: .632, top-down: .837). Third, the bottom-up approach had greater effects on lower proficiency levels, whereas the top-down approach had greater effects on higher proficiency levels. Fourth, as for the effect size per listening type, the intensive(.593) and selective(.714) types had medium effects, whereas the extensive(.997) type had a large effect. Fifth, the intensive and selective types had greater effects on lower and higher proficiency levels,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듣기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듣기 교수·학습 방법을 듣기 접근 방법(상향식, 하향식)과 듣기 유형(반응형, 집중형, 선택형, 확장형)으로 재분류하고 그 효과를 숙달도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40편의 연구에서 55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듣기 교육의 전체 효과 크기는 중간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ES=.719). 둘째, 상향식 접근 방법보다 하향식 접근 방법이 더 큰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상향식 .632, 하향식 .837). 셋째, 상향식 접근 방법은 숙달도가 낮을수록, 하향식 접근 방법은 숙달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듣기 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집중형(.593)과 선택형(.714)은 중간 효과 크기를, 확장형은 큰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집중형은 숙달도가 낮을수록, 선택형은 숙달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AI 기반 KFL 작문 자동 채점 모델 설계 방향

        백재파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3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교육적 관점에서 AI 기반 KFL 작문 자동 채점 모델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KFL 작문 자동채점 모델 설계 연구를 분석하여 현재 자동 채점 모델의 한계를 기술적, 교육적, 윤리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자연 언어 처리 기술의 한계로 의미적 측면이 채점될 수 없어 평가 타당도가 떨어지는 점, 은닉층 활용으로 채점 자질을 알 수 없고 이로 인해 채점 결과를 교육에 환류할 수 없다는 점, 자동 채점 시 채점 오류에 대한 책임 문제 등이 한계로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계가 인간 채점을 자동 채점으로 완전 대체하고자 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진단하였다. 따라서 인간 채점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동 채점 모델을 설계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그 구체적 예로 분석적 채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채점 영역별 자동 채점 모델 설계 예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백재파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본고에서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한국 정부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사 파견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현재 베트남 내 12개 대학에서 한국어, 한국학을 전공 과정으로 개설하고 있었으며, 정규과정과 비정규과정을 통틀어 4,465 명 이상의 학생들이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었다.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는 123명으로 학사 학위자가 44.7%, 석사 학위자가 46.3%, 박사학위자가 9%였다. 한국 정부기관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어세계화재단에서 각각 베트남에 봉사 단원, 교수 등을 파견하고 있었다. 조사를 통해 베트남에서는 1992년 이후 한국과 수교를 수립한 이후 지속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기관에서 파견하는 교사의 수는 수요에 비해 그 수가 적어 이는 향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troduc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and the teach dispatch program under implementation by Korean government agencies. Currently 12 Universities opened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s major courses, and more than 4,465 students are studying Korean in the regular process as well as non-regular courses. The teachers for them are 123 persons, of whom 44.7% had a bachelor's degree, 46.3% master' s degree and 9% had doctor's degree. Korean government agencies has sent volunteers, professor, etc. through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rea Foundation, Academy of Korean Studies, Korean Globalization Foundation. Through survey, it was proved th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in Vietnam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2. But the number of teachers which Korean government agencies dispatches are fewer than the demands, which should be improv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유사 문법 항목 ‘에게’, ‘한테’, ‘에게서’, ‘한테서’의 사용역 기술 검토

        백재파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1 한국어문화교육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문법 항목 ‘에게’, ‘한테’, ‘에게서’, ‘한테서’의 사용역에 따른 분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전 및 문법서 기술에서 수정 보완해야 할 지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구어/문어, 격식/비격식 사용역에 따른 말뭉치를 구성하고 각 사용역에서의 분포를 분석한 후, 분포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G2 값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사전 및 문법서에서 ‘한테서’는 구어적 표현 이라고 기술되었지만,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어적 표현이라고 나타났다. 둘째, 사전에서 ‘에게’와 ‘에게서’에 대한 구어/문어 사용역 정보가 기술되지 않고 있지만, 문어성이 강하므로 사용역 정보 를 기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전에서 ‘에게’와 ‘에게서’에 대한 격식/비격식 사용역 정보가 기술되지 않고 있지만, 구어 격식성을 가지고 있는 나타나 이를 사전에서 기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ege,” “hante,” “egeseo,” and “hanteseo,” based on the registers; critically review their descriptions in dictionaries and grammatical books; and edit them and suggest improvement. To reach these goals, the study constructed spoken and written, formal and informal corpus and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ir usage. Then, it teste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he G2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dictionary and grammatical books depict “hanteseo” as a colloquial expression, but it turned out to be more literary. Second, the registers of “ege” and “egeseo” is not depicted in the dictionary. However,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literary as they have strong literary properties. Third, the registers of their formal or informal registers not depicted. However, the formal-colloquial property of “ege” and “egeseo” needs be described in the diction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information on the registers of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and suggests a possible solution of application to dictionaries and grammatical books by utilizing objective methods considering “ege,” “hante,” “egeseo,” and “hanteseo” as example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계열 학술 논문에서 부스터 표현의 사용 경향 분석 - 부사를 중심으로 -

        백재파 한국문법교육학회 2022 문법 교육 Vol.46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use of adverbs as boosters in Korean academic texts and what usage trends appear depending on the academic discipline. To this end, an 855,313-word corpus of academic humanities literature and a 1,105,590-word corpus of academic social science literature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for the frequency of use of adverbs as boosters. The usage trend was analyzed using the G2 test, a statistical methodology used in quantitative linguistic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modality adverbs are more frequently used in humanities and degree adverbs in social scienc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booster-related research,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섀도잉(shadowing)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교 수준 및 숙달도, 처치 기간과 시간을 중심으로

        백재파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look into the effect of shadowing learning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South Korea. To this end, 38 relevant studies in EFL and KFL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65 effect siz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shadowing learning transpired to be medium (.591). In addition, the effect increased as school level increased (E: .264, M: .384, H: .414, and U: .767). Similar effect sizes were found in the field of KFL,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 (I: .670 and A: .640). Second, shadowing learning was most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pronunciation ability (.815), followed by speaking ability (.620) and listening ability (.556). The improvement in ability for each language was dependent on school level and proficiency. Third,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with the duration of the course (weeks), number of classes per week, total number of classes, and shadowing learning time taken as the moderating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duration of the course and the number of classes per week.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섀도잉 학습법의 효과를 학교 수준 및 숙달도, 처치 기간과 시 간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EFL 분야와 KFL 분야에서 이루어진 섀 도잉 학습법 관련 연구 38편에서 6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 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섀도잉 학습법의 전체 효과크기는 .591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EFL 분야에서는 학교 수준 이 올라갈수록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KFL 분야에서는 숙달도에 관계없이 비 슷한 수준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섀도잉 학습법은 발음 능력 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815) 다음으로 말하기 능력(.620), 듣기 능력(.556) 순으로 효 과적이었다. 그리고 학교 수준 및 숙달도에 따라 효과적인 영역이 다른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수업 기간, 주당 수업 횟수, 총, 수업 횟수, 섀도잉 학습 시간을 조절변인 으로 상정하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 기간과 주당 수업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상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 :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백재파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8 한국어문화교육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4차시 동안 웹드라마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11편의 연 구를 메타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 매체 전체의 효과크기는 .733, 웹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크기는 1.437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웹드라마의 효과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숙 달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중·고급 학습자보다 초급 학습 자들에게 더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초급: 2.585, 중·고급: 1.188). 셋째, 매체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웹드라마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고 드라마, 영화, 뉴스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웹드라마: 1.437, 드라마: .878, 영화: .881, 뉴스: .577). 본 연구는 웹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검증한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메타분석 결과는 향후 수행될 효과성 검증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utilizing video medi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focus on using web dramas. For this research, 24 classes utilizing web dramas were provided to 30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a meta-analysis on 11 studies that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tilizing video 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Main finding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utilizing web dramas in Korean education was measured as 1.437, while that of overall video media was measured as .733. This indicates that web dramas are highly effective for teaching Korean. Next,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students’ proficiency level revealed that web dramas wer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at a beginner level (2.585) compared to those at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s (1.188). Finally,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types of media revealed that web dramas were the most effective (1.437), followed by K-dramas (.878), movies (.881), and news reports (.577). The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use of web dramas was verified to be highl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conducted for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useful references for future research on verifying effectivenes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 주요 학술지 대상 시기별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백재파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49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discours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study selected two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llected titles and abstracts from 1,691 papers published in these journals in the past 20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changes in research discourse every ten years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first, that learners who are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expanded; second, the affective factors of the learners have come to be considered with more importance; third, research topics have become specialized and focused; and fourth, studies based on the scene of education are increasing. On this basi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research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 2종을 선정하고 지난 20년간 이들 학술지에 게재된 1,691편의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10년 단위로 연구 담론의 변화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어 교육의 대상 학습자가 확대되었고 둘째,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게 되었으며 셋째, 연구 주제는 세분화, 초점화되고 넷째, 교육 현장에 기반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학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