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작놀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향 유아의 주의산만행동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백인혜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manipulative play on the inattentive behavior and impulsion of ADHD preschooler. The research subject is one ADHD preschooler who goes to independent kindergarten in one small and medium sized city. The subject has no faults on oral communication and is on the level of more than 1.5 of CTRS-R and judged by the case more than 70T of the scale in the attention deficit, subordinate of K-CBCL although the subject is not tested officially. The activities are modified to be fit on the developmental st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based on the manipulative play presented by Lee Sook-Jae(2009) and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presented by Im Hye-Sook and Kim Sun(2005) especially the easy-to-use activities in everyday life. The research design is AB Design Method and using the tool, this study was proceeded following the step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hen those were in similar stable figure. Manipulative play were done for 20 minutes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5 times a week. As a profiling for 20 minutes of talking time in basic 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 a occurrence of each behavior(chatting, trick, impulsive answering) divided into 30-second intervals were recorded and calculated to the percentage of each behavior occurring to whole interva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nipulative play have positive effects on changing an ADHD preschooler's chatting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manipulative play have positive effects on changing an ADHD preschooler's trick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manipulative play have positive effects on changing an ADHD preschooler's impul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using intervention of manipulative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inattentive behavior and impulsion to an ADHD preschooler who chats and tricks during talking time, and answers the question impulsively before a teacher finishes it.

      • 초심상담자의 그릿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백인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그릿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상담센터와 대학상담실에서 상담중인 경력 3년 이하의 초심상담자 245명을 대상으로 그릿을 측정하기 위한 그릿 척도, 마음챙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를 실시하였다. 결과의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마음챙김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릿과 심리적 소진, 마음챙김과 심리적 소진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이 그릿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이후 연구의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burnout of novice counselors. For this purpose, self - 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245 novice counselors with under three years of career counseling experience in counseling centers and college counseling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The Grit Scale, Mindfulness Scale,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SPSS WIN 18.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the hierarchical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ree stage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Following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Firstly, Grit and mindfulness suggest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Grit and burnout, mindfulness and burnout suggest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vice counselors with high the grit have higher levels of mindfulness and less psychological exhaustion. Secondly, mindfulness mediated partly the relation between grit and burnout.

      •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 : 자아존중감, 자기애의 매개효과와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인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Lookism in our social context has become much serious issue. Especially, the media stimulates adolescent's appearance orientation by suggesting an ideal beauty standard. Besides, the puffery of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 makes people feel the need of appearance-enhancement even though they have a normal and natural appearance. And the actual number of cosmetic surgery patients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 such a social trend adolescent’s desires to reshape their body are ever growing. It is natural and rational that teens have a concern and desire for their appearance, because adolescence is the fastest-growing period when physical matureness occurs. However,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fluences on the perception of teen's body image in a negative way and instigates an undesirable need of cosmetic surgery. And it needs to be questioned whether the dissatisfaction of body image is the only factor that can sufficiently explicate these behavior of cosmetic surgery. Thu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processes and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sire for cosmetic surgery.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in both the perception of the body image and the desire of the cosmetic surgery has already been proved by many prior researches. Therefore in this study, as one of other variables, narcissism that means self-love and self-praises were selected. For it is presumed that the desire of cosmetic surgery has a close relevance to narcissism that may have a tendency a person would like to show up him or herself to other people. These two mediators are very similar as they recognize ‘self-existence', but they also are different as they have their own adaptive attribute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se two variables are to be examined in comparison. Beside, many previous studies on cosmetic surgery have shown arguments that only instigate the desire of cosmetic surgery. However, this study tried to search the ways to decrease the exceedingly increased desire of cosmetic surgery. Therefore, this study is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as it chose the gratitude as a moderator variable and discussed the decrease of cosmetic surgery of adolescen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 survey used measure of body image, cosmetic surgery attitude, self-esteem, narcissism and gratitude. Total 599 subjects a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some cas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An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is study used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Win.19.0. As means for this study, first,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reliabilities of each measure were also computed. Second,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test in the gender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Thir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cosmetic surgery attitude, self-esteem, narcissism and gratitude. Fourth,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the attitude towards cosmetic surgery. Fifth,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 by Baron and Kenny(1986) to prove the mediated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Sixth, this study also conducte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moderating effects of the gratitude in a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data analyzed,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It showed that the appearance orientation of female students is a higher than that of male and so is body satisfaction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us, it means that female students have more desire in appearance orientation, and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cosmetic surgery. Second, as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narcissism reveal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ppearance orientation, body satisfaction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is means that adolescents who feel more dissatisfaction on their body image and have great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show a strong intention for cosmetic surgery to fulfill their desire of self-attention. Additionally, in terms of self-esteem, it revealed that only body satisfaction work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osmetic surgery attitud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both narcissism and self-esteem were proved to mediate completely in the relation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desire for cosmetic surgery of female stu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And this results implies that lookism has more serious impact on female than male in this society. Besides, it can certainly be said that this kind of social atmosphere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eenage girls. Third, the gratitude was verified as a moderator variables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And this gratitude also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it is shown that even though they have great interest in their appearances and feel dissatisfaction on their body image, if they have high level of gratitude, their desire for cosmetic surgery can be lessened. However,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is revealed that gra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y those who feel dissatisfaction of their body to lessen their desire for cosmetic surgery. This study provided a deep understanding concerning to the perception of adolescents‘ body image, and also presente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 who have highly leveled appearance orientation. And based on this study, in the follow-up study, more detailed intervention and approaches towards adolescent's dis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desire of cosmetic surgery can be expected through a method of a multidimensional analysis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오늘날 우리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미디어는 이상적인 미(美)의 기준을 제시하면서 외모지상주의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또한 성형에 대한 과장광고와 성형외과의 지나친 마케팅 전략으로 많은 사람들이 외모향상의 욕구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로 성형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로 많은 10대 청소년들의 신체왜곡, 외모향상의 욕구는 심각해지고, 성형을 선택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장이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10대들의 외모와 신체에 대한 관심과 욕구는 당연한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오늘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인식과 성형욕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론 신체에 불만을 느낀다고 해서 모두가 성형을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인식하는 신체이미지와 성형욕구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과정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신체이미지와 성형욕구의 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많이 검증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성형욕구에는 자기존재를 타인에게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인 자기애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고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두 매개변인은 자기존재에 대한 인식이라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적응적 특성을 지니므로 두 변인의 매개효과를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또한 성형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는 성형의 욕구를 부추기는 논의를 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나치게 높아진 성형욕구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감사성향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청소년의 성형욕구완화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성형관련 일반적 사항, 신체이미지, 성형태도, 자기애, 자아존중감, 감사성향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9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9.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변인간의 성별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측정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성형태도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다섯째,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자기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외모지향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형태도도 여학생의 평균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외모지향의 욕구가 높으며, 성형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신체이미지와 성형욕구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인들의 결과를 요약해서 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애는 신체이미지 중 외모지향, 신체만족과 성형태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불만족뿐만 아니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은 청소년은 자기주목의 욕구를 채우고자 성형을 희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신체만족만 성형태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은 신체만족과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이 모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들의 성형욕구에는 자기주목의 욕구, 자기존재감의 인정에 대한 영향이 훨씬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사회의 외모지상주의가 여성에게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10대 여학생들도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감사성향이 신체만족과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에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외모에 대한 관심과 신체불만족이 높은 청소년이라도 감사하는 마음이 높은 사람은 성형욕구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오직 신체불만족하는 사람에게 감사성향이 의미있게 성형욕구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인식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청소년의 높아진 외모향상의 욕구를 다루기위한 지도와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과 같은 종합적인 변인간의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신체불만족과 성형욕구에 대해 더욱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본다.

      • Pyruvate-induced carbonic anhydrase IX enhances the invasiveness in HepG2 human hepatoblastoma cells

        백인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세포에서는 과도한 대사작용의 결과로 세포 내에 pyruvate와 수소 이온이 축적되어 세포 내부가 산성화된다. 그러나 실제로 암세포의 pH를 측정해보면 세포 외부는 정상세포보다 산성을 띠지만, 세포 내부는 중성이나 약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세포 내부의 수소 이온을 세포 외부로 방출시키는 CAIX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Carbonic anhydrase(CA)는 이산화탄소의 수화반응을 가역적으로 매개하는 효소로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생물체에서 발견된다. 특히 CAIX은 암세포에서 그 발현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며,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CA의 저해물질인 acetazolamide가 암세포의 침윤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간암세포인 HepG2 세포에 pyruvate를 처리하고 CAIX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발현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yruvat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CAIX이 세포 외부 환경을 산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침윤능을 증가시킬 것이라 예측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HepG2 세포에 pyruvate를 처리하고 침윤현상을 관찰한 경우 침윤능이 증가하였으나, acetazolamide를 사용하여 CAIX을 억제시킨 경우에는 침윤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acetazolamide에 의한 침윤감소현상이 acetazolamide에 의해서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조사해본 결과, acetazolamide가 간암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yruvat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CAIX이 간암세포의 침윤능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epG2 세포에 CAIX을 과발현시키고 침윤능을 관찰한 결과, 정상 HepG2 세포에서보다 침윤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AIX에 의한 침윤증가현상에 있어서 MMP 효소 활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MMP 활성을 측정한 결과, pyruvate을 사용하여 CAIX의 발현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MMP 활성이 증가하는 반면, acetazolamide로 CAIX의 발현을 저해한 경우에는 MMP 활성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CAIX은 pyruvat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며, MMP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암세포의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사이의 호흡

        백인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and life have close relationship and follow one after another. Life is formed by art, and art can be found in life. I aimed to examine the existing but unrecognizable part of our life through this thesis. This is the basic foundation to doing this work, as well as my viewpoint to the world. Such basic concept starts from my potential experience, and I found that through realization of experience, we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Accordingly, I want to clarify that this thesis is research for keeping time with the world and there are invisible links of communication between borders. For keeping time with the world, we recognize relationship between wall and window, and take the opportunity for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by sublimating realization of wall-window into art. Role of window inside the wall and in the opposite world of outer space is to generate another kind of energy inside by preparing pathway of time between two spaces. This is the same in the border between life and art. In case of art expressed by the emission of internal energy to the outside, sometimes another aura is felt in a work of art itself. That force is essential to expressing art, and is expressed physically or mentally. Kasimir Malevich (1878-1935) said that things does not exist but its absence does exist. That space, looks like an empty space, is a space which potential of existence is immanent in, not a space of nonexistence. It expresses mental matters recognizing existence of empty space itself. That is, empty space is a space which has possibility to create existence, not a space of nonexistence. To consider things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enables to imagine invisible world beyond visual world. This thesis assumes that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solid and void of that space, picturing and erasing in canvas is at the start of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not opposing relationship anymore. To promote communication between two relations in the middle of that border is the same as radiation of air in the body to outer world, and to breathing in outer air. Through breathing, border is collapsing, and it enables to have vision to launch into infinite world. Work taking down walls of relationship exists in the process to view a window, and the process to view a window can be said to be similar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breathe. Window is made as walls have transparency, and external energy can be accepted through that window. Maurice Merleau-Ponty (1908-1961)said that human being perceive things in the vague world where there are no conflict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accept and form them by moving body, one object positioned in the external world. That is, they express things by accepting and internalizing stimuli from external world, not from their own isolated world. Square frame of window becomes pathway of infinite imagination. It collapses walls in the pathway which is external or sometime internal, and have relationship in continual world. I want to discuss thatair which does not stand still, and move between inside and outside constantly is similar to energy at the point of creating works of art. I act and consider in a space by searching for 'me' formed from external stimuli. My work starts by giving window to walls. By making window to an enclosed wall, I make a pathway to share and tell with the world. <Window>work expressed with casting, photographs and pictures is expressed from my experience which pierces high walls and feel invisible world in mind. In front of my own window, I can gaze at myself in the consciousness. The world is open, and I try to breathe between substance and non-substa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standing on the border where I can look for myself and others. Consciousness of existence of empty space promote the consideration of void, infinity and blank in Eastern philosophy. Woo-Hwan, Lee (1936-), who once said that blank is not a simply empty space, but a space where human canfeel infinite breathing, said that wh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teract, transcendence can be felt in that space. In addition, Rachal Whiteread (1963-) argues that through a piece of negative space which comes and goes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is reversed with inside and outside, human can recognize the existence invisible and can reveal the strong material existence. For me, border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solid and void, and erasing and picturing is a will to exercise moderation crossing the border. It has implicit relationship standing the unbiased pathway. For exampl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erasing and picturing expressed on canvas is recognized as a relationship of sameness. As erasing is one way of picturing, I want to say that through erasing, we can get close to the world. By erasing, we can look around the self breathing in a space, and ruminate that such a state is a process of looking a window. That is, we express matters crossing the border to make equal relationship, not conflicting one, in the pathway of bord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solid and void, and erasing and picturing. This has deep connection with our life suggesting that it can share with the world in internal expression. 예술과 삶은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며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된다. 예술에 의하여 삶이 형성되고 삶 속에서 예술을 발견하기도 한다. 본인은 본 논문을 통해 우리 삶에 존재해 있지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던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본인이 세계를 보는 관점인 동시에, 작품에 임하는데 있어서 기본 바탕이 된다. 이러한 기본 개념은 잠재되어있는 본인의 경험에서 출발하며, 경험의 깨달음을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세상과 호흡하기 위한 연구이며 경계와 경계의 사이에서 보이지 않는 소통의 연결고리가 있음을 본인 작품과 연관하여 밝히고자 한다. 세상과 호흡하기 위해 벽과 창의 관계를 인식하고 벽-창의 깨달음을 예술로 승화시켜 세상과 소통하는 계기를 만든다. 벽이 만들어내는 내부와 외부공간의 반대의 세계에서 창의 역할은 두 공간의 호흡의 통로를 만들어, 그 안에서 또 다른 에너지를 생성하게 한다. 이것은 삶과 예술의 경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내부의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하여 표현된 예술은, 예술작품자체에서 또 다른 아우라가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그 힘은 예술을 표현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물질적 또는 정신적으로 표현된다. 말레비치(Kasimir Malevich, 1878-1935)는 사물은 존재하지 않으나 그 부재자체는 존재한다고 말하였다. 빈 공간처럼 보이지만 그 공간은 무(無)의 공간이 아닌 유(有)의 잠재성이 내재된 공간이다. 빈 공간 자체의 존재를 인식하여 정신적인 물질로 표현한다. 즉 빈 공간은 무(無)의 공간이 아닌 유(有)를 창조할 가능성을 지니는 공간이다. 존재와 부재 사이에 서서 사유하는 일은 눈에 보이는 가시화된 세계를 넘어 보이지 않는 세계를 상상하게 해준다. 본 논문은 안과 밖의 공간, 그 공간의 비움과 채움, 캔버스에 그려진 그림과 지움의 상반된 관계가 더 이상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소통의 관계의 출발선에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 경계의 사이에서 두 관계의 소통을 꾀하는 일은 몸 안의 공기를 밖으로 방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들이마시는 일과 같다. 호흡을 통하여 경계를 무너뜨리고, 무한한 세계로 나아가는 시각을 가지게 한다. 이런 관계의 벽을 허무는 일은 창을 바라보는 과정 속에서 존재하며, 창을 바라보는 과정은 세상과 이야기 하고, 숨 쉬는 일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벽이 투명성을 가짐으로 창이 생성되고, 그 창으로 외부의 에너지를 받아들인다. 대립적인 관계에서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1908-1961)는 안과 밖이 겹쳐진 존재방식, 주관과 객관이 대립하지 않는 모호한 세계 속에서 지각하고, 외부세계에 놓여있는 하나의 개체인 신체를 움직이면서 수용하고 형상화시킨다고 말하였다. 즉 자신의 고립된 세계가 아닌 외부에서 자극을 수용하고 내면화시켜 세계 속에서 표현한다. 창의 네모난 틀은 무한한 상상력의 통로가 된다. 외부이기도 내부이기도 한 통로 안에서 벽을 허물고 연속된 세계에서 관계를 가진다. 정지하지 않고 끊임없이 내부와 외부를 통하며 움직이는 공기는, 예술작품을 창조하고 있는 순간의 에너지와 같음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수많은 외부자극으로부터 형성된 ‘나‘를 찾음으로서, 공간에서 활동하고 사유하는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벽에게 창을 선사함으로써 시작된다. 막혀있는 벽에게 창을 만들어줌으로써 세상과 공유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든다. 캐스팅, 사진, 영상으로 표현하고 있는 <창>작업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마음으로 느끼고 높은 벽을 뚫고나가는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표현된다. 자신만의 창 앞에서 의식 속에 있는 나 자신을 바라보게 된다. 세계는 열려있고, 타인과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경계에 서서 비 물질과 물질의 사이, 존재와 부재의 사이의 호흡을 시도한다. 빈 공간의 존재의식은 동양사상의 공백, 무한, 여백의 사유를 촉진시킨다. 여백이 그저 비어있는 공간이 아닌 무한한 호흡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한 작가 이우환(1936-)은 내부와 외부가 서로 작용하고 울려 퍼질 때, 그 공간에서 초월성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레이첼 화이트 리드(Rachal Whiteread 1963-)는 실재와 부재의 사이를 오가며 안과 밖이 뒤바뀐 네거티브 스페이스(Negative space)의 조각을 통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실제로는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강한 물질적 존재를 드러낸다. 본인에게 있어서도 안과 밖의 공간, 비움과 채움의 공간, 지움과 그림의 경계는 서로를 넘나들며 중용을 지키려는 의지이다. 어느 쪽도 치우치지 않는 통로에 서서 함축된 관계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캔버스에 표현된 그리기와 지우기의 대립적 관계는 같음의 관계로 인식된다. 지우는 것도 그리는 하나의 방법으로, 지움을 통해 세상과 가까이할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지움으로 공간에서 숨 쉬는 자아를 돌아보며 그 상태가 즉, 창을 바라보는 과정임을 되새긴다. 즉 안과 밖, 비움과 채움, 그리기와 지우기의 경계의 통로에서 더 이상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로 만들기 위해 경계를 넘나들며 표현한다. 그것이 내면의 표현에서 세계와 공유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우리의 삶 속에 깊이 관계되어 있다.

      • 공정무역 학습을 통한 세계시민의식의 함양

        백인혜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더욱 강화되고 있는 상호연결과 상호의존으로 인하여 세계는 더욱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국가 간 경제적·문화적 교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무역이 증대되는 만큼 국가 간의 상호의존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자유경제체제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수출하고, 수입하는 과정을 통해 더 좋은 품질의 물건을 싸게 구입하게 되었지만, 자유무역의 어두운 측면들이 지구촌 곳곳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또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해, 세계 각 국가의 특수성을 인정하면서도 세계적인 의식을 가진 시민을 육성하고자 하는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인지적인 측면에서의 이해 뿐 만이 아니라, 글로벌 이슈의 해결을 위한 행동 능력 등이 요구되고 있다. 자유무역 하에서의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기 위한 보완책으로 공정무역은 매우 중요한 학습의 소재이다. 공정무역은 대화와 투명성 그리고 존중을 기반으로 하여 국제무역에서 보다 평등하고 정의로운 관계를 추구하는 거래의 파트너십이다. 특히 경제발전의 혜택에서 소외된 개발도상국의 생산자,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조건으로 거래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호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공정무역 학습과 세계시민의식과의 유의미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계획·실행하였다. J초등학교 세계시민반 학생 19명(남:11명, 여8명)을 참여자로 공정무역에 대한 사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개념을 확실하게 알고 있는 학생은 없었고, 공정무역을 접해본 학생은 25%에 불과했다. 이에 학생들이 공정무역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 의지를 다지도록 하며, 이러한 공정무역 학습이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째, 공정무역의 정의와 목표에 대해 연구하고 공정무역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가장 역동적인 공정무역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영국의 공정무역 수업사례를 살펴보고, 공정무역수업의 구성요소와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공정무역교육의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한 공정무역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였다. 영국 카리타스의 공정무역 학습을 번역한 한국 카리타스의 지구시민교육 교재를 참고하여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수업내용과 활동으로 공정무역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셋째, 공정무역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행연구를 통하여 공정무역 학습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의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3차시의 수업실행을 통하여 학생들이 공정무역의 의미에 대해서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되었다. 특히 인권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뚜렷했는데 인간의 보편가치, 세계문제 해결에 대한 참여의식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정무역의 과정을 탐색하며 현재의 불공정한 무역상황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시야를 넓혀 더 멀리, 더 자세히 들여다보려는 관심이 높아졌다. 즉, 세계문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고, 세계지향적인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셋째, 공정무역 학습의 의의는 공정무역의 실천과 함께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실천의지가 향상되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지구적 관계 맺기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정무역 중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사례를 들어 구성한 공정무역 학습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정무역 학습은 초등학생들에게 다소 어려운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공정무역을 알리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정무역은 우리가 세계 속에서 관계를 맺고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중요한 요소임에도, 이에 대해 교육과정이나 학교에서 다루는 정도는 미비한 수준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 수준에서의 공정무역 수업 구성과 공정무역 이해 및 작은 실천에서부터 공정무역을 확대해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이 공정무역 학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구적 관계를 인식하고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strengthened by the course of globalization has created a closer relationship among nations worldwide.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among nations are increasing, and also national interdependence is expanding just like international trade. In the free economic system, the export of competitive products and the importing of goods have led to the purchase of better quality merchandise at a lower cost, but the dark aspects of free trade have also had great consequences on the survival in all corners of the world. In order to recognize these problems and create a better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to foster citizens with global consciousness while acknowledging the uniqueness of each country around the world is emphasized. Especially in the modern society not only cognitive aspects but also action ability to solve global issues are required. Fair trade is a very important learning material as a complementary measure to solve problems under free trade. Fair trade is a partnership of deals that pursue a more equal and just relationship in international trade based on conversation, transparency, and mutual respect. Particularly producers and workers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are alienated from the benefit of economic development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by trading in fair conditions and protecting their rights. In order to analyz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ir trade learning and awareness as a global citizen, the research was planned and executed as follows. Currently studies on fair trade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but in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a preliminary comprehension test of fair trade administered in 'J' elementary school on 19 elementary students (male: 11, female: 8), no student clearly understood the concept, with only 25% of students actually familiar with fair trad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ir trade education on cultivating global citizen consciousness by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fair trade,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First, the definition and goals of fair trade and explored the necessity of fair trade education was studied. Components and directions of fair trade classes was set after looking at examples of UK fair trade practic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ost dynamic fair trade. Seco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fair trade study programs focusing on the core values ​​of fair trade education. A fair trade learning program with content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level was devised referring to the citizen education textbook of Caritas Korea, which is a translated form of Caritas UK's fair trade studies. Thirdly, the effect of fair trade learn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as a global citizenship is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fair trade education on the awareness as a global citizen through action research and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First of all, through implementing instructions three times, students built a willingnes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air trade and practice it. Particularly, the changes in the human rights aspect were clea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consciousness of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beings and sense of participation in solving world problems were improved. Secondly, by exploring the process of fair trade,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current unfair trade situation, and gained an interest to broaden their horizons, looking farther and in depth. In other words, interest in world affairs increased, and world-oriented attitudes were cultivated. Third, the significance of fair trade learning lies in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as well as practicing fair trade. The results of the pre - test and the post - test showed that the students' enthusiasm to practice was improved, and portfolio analysis proved that global correlation was achieved. This study allowed elementary students to naturally participate in classes through a fair trade education curriculum created based on an example of fair trade appropriate for their level. It is expected that this fair trade study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educating elementary students about fair trade, a seemingly difficult concept, and cultivating qualities as a global citizen. Although fair trade is an important factor for us to make relationships in the world and to liv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extent to which fair trade is dealt with in the curriculum and schools is inadequate. From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fair trade through organization of fair trade class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comprehension of the concept and small actions was discovered.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done to enable students to recognize global connections and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consciousness through fair trade education.

      • 청소년의 도덕적 정체성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의 매개효과

        백인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또래괴롭힘을 옳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으로 연결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을 안정적인 특성으로 예측해줄 수 있는 도덕적 정체성과, 힘의 불균형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일반적인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도움행동과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도덕적 정체성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 분석 시 사용된 최종 연구 자료는 경상남도 Y시에 소재한 4개 중, 고등학교 학생 382명의 설문지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성별과 학교급을 구분하여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교급을 구분한 네 집단에서 도덕적 정체성과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중학생의 경우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나머지 세 집단의 경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실천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