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김 종자 생산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백은영 ( Baek Eun-young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2

        종자산업은 국가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수산분야에서도 종자산업이 중요한 의미로써 재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수산양식업 중 주목을 크게 받고 있는 김 종자산업의 현황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현재 국내 김 양식은 시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은 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김 수요는 지속적인 수출 증가로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김 생산의 근간이 되는 김 종자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김 종자 생산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수산종자 관측사업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의 김 종자생산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정리한 후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먼저 김 산업현황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면 국내 김 시설량은 매년 증가하여 2016년 84만 8,000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김 생산량은 이러한 시설량 증대에도 불구하고 2011년산 이후 1억 2,000~3000만 속 내외에서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한편 김 수출량은 매년 증가세를 보여 2016년에는 4,770만 속으로 2001년 대비 7배 이상 늘었으며, 수출금액 또한 2010년 1억 달러를 달성한 이후 연 평균 22%의 성장세를 보여 불과 6년만에 3억 5,292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처럼 김 산업의 성장세와 더불어 김 종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 김 종자 생산은 전남지역이 80% 이상 차지하며, 김 종자 종사자의 과반수는 중·장년층이었다. 김 종자 생산량 중 약 90% 이상이 판매되며, 판매가격은 상자당 평균 2,500~3,100원에 형성되고 있다. 국내 김 종자생산업은 다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종자 생산어가의 영세성과 신품종 개발 및 육종품종 산업화를 위한 노력 미흡이다. 둘째, 종자거래 시 외상 거래의 고착화로 시장질서 교란 및 경영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셋째, 다수의 무허가이다. 마지막은 종자 생산의 전문가 양성 시스템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향후 김 종자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육상채묘 확산과 정착, 신품종 개발, 유통 질서의 확립, 종자관련 기초 통계의 인프라 구축 및 전문가 양성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이 개선될 경우 수산종자 산업이 국가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seed industry has emerged as a new growing business in Korea. The seed industry in the fisheries sector has been paid particular attention as one of the important driving forces of the industry. This study summarizes the status of laver seed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species of aquaculture in Korea. Domestic laver production is still stagnated despite the facility volume growth while demand for lav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increase of export. Since the current situation mentioned above,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the laver seed which is the basis of laver production has been highlighted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seed of laver until now.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laver seed industry, and demonstrates the problems it fac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outlook project for the seeds of marine species` conducted by KMI(Korea Maritime Institute) since 2015. The current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The laver seed production in Chon-nam province accounts for over 80% of the total production and more than half of the producers are middle-aged. About 90% of the total output of laver seeds is sold to laver producers, and the average selling price ranges from 2,500 won to 3,100 won per box. Meanwhile, the industry has many problems. First, most producers run very small businesses and they also have a lack of effort for developing a new variety of laver. This study suggests more supports are needed in areas such as the spreading seedling collection on land, seed management system, statistical infrastructure and expert training programs, in order for the laver seed industry to develop.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산 미역의 수출 활성화 방안

        백은영 ( Baek¸ Eun-young ),김기완 ( Kim¸ Ki-wan ),하혜수 ( Ha¸ Hye-soo ),김대영 ( Kim¸ Dae-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미역은 연간 60만 톤 내외가 양식되는 수산물로 미네랄, DHA, 리놀산, 섬유소, 비타민 등 40여 종의 영양소가 함유된 건강식품이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만 생산과 교역이 이루어져 왔다. 과거보다 미역 수출대상국이 다양해졌지만, 우리나라 미역의 주 수출대상국은 여전히 일본으로 전체 수출량의 약 60%를 차지한다. 최근, 해조류가 건강식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재조명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미역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미역 소비를 기피하던 서양인들 사이에서 해조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시작했으며, 한류 확산 덕분에 건강식품의 대명사로 각인되고 있다. 2019년 미역 수출량 및 수출금액은 2018년 대비 각각 4.3%, 7.1% 증가했으며, 미역 수출대상국도 일본과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EU, 러시아, 호주, 캐나다 등 64개국(2019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조류 중 김 다음으로 수출 실적이 많은 미역(4,000만 달러, 2019년 기준)을 대상으로 수출 확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역의 기초 통계를 기반으로 생산 및 수출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했다. 기초통계 문제(세계 미역 생산량 편차, 식용과 비식용, 수출통계의 적용 수율과 위탁가공용 이중집계), 일부 국가의 높은 수출 의존도, 원산지 위조 등을 지적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관련 기초통계 개선, 수출 전략 수립 및 맞춤형 제품개발, 원산지 표시강화 등을 위한 인증 확대와 노력 등을 제안했다.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s a well-known cultured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with an annual production of around 600,000 tons. It is considered to be a healthy food containing 40 kinds of nutrients such as minerals, DHA, linoleic acid, fiber, and vitamins. Nevertheless, sea mustard has been mainly consumed in some Asia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Even though the importing countries of sea mustard have recently become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South Korea’s exports of sea mustard to Japan still account for nearly 60% of total exports. However, as seaweed has been re-focused on consumers as an healthy foo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i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round the world. Westerners who have been avoiding seaweed to eat have recently started to properly evaluate the value of seaweed, and sea mustard is also as an iconic Korean healthy food owing to the so-called ‘Korean wave’ around the world. Following the latest trade data on South Korea, exports of sea mustard increased by 4.3 percent by volume and 7.1% by value to 127,000 tons valued at 40 millions USD from 2018 to 2019. Sea mustard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export commodity in value terms after dried seaweed(valued at 580 millions USD) among seaweed species. South Korea exported sea mustard to 64 countries in 2019 including Japan, China, Vietnam, the EU, Russia, Australia and Canada, and the number of sea mustard importing countries from South Korea continues to grow compared with a decade ago. Despite its importance, few studies on seaweed, especially sea mustard, have been conduct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sea mustard industries from production and exports data and to figures out the problem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pply and demand.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e export promotion plan of sea mustard in South Korea. The analyzed data brings up some problems: the errors of basic statistics which is related to sea mustard exports such as the variation in world seaweed production among the different sources, the segregation of edible and non-edible sea mustard, the inaccurate yield rate, and the double counting of processed products. Moreover, South Korea’s sea mustard export industry heavily dependent o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here are several cases of the falsific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To impro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t is propos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tatistics,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for sea mustard, to develop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to strengthen the labeling of the country of origin.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FTA에 대비한 한·중 기술무역 연구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의 교역 1위 대상국인 중국과의 FTA에 대비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중 FTA협상에서 비교적 간과되고 있는 한·중간 기술무역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한·중간의 기술무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중 기술무역의 특징 및 무역장벽을 분석한 다음, 향후 중국과의 기술무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한국 최대의 기술수출국인 중국과는 기술격차가 점차 줄어들면서 세부산업별 무역특화지수에서 비교열위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중국의 기술장벽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한·중 FTA를 앞두고 대중국 기술수출에 대한 대응방안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chnology Trade of Korea · China for Korea · China FTA. For this purpose, to analysis the present condition of technology trade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Technical Barriers to Trade(TBT). The Technology trade of Korea·China is the surplus Technology trade of Korea but reducing to surplus scale. Also as a result of TSI analysis, Chemistry, plastic, primary metal, Medical precision industry, basic materials industries have weakened the Korea. In addition to Technical Barriers to Trade of China is very complexity for example, China Compulsory Certificate(CCC), China RoHS , China REACH. Therefore the Policy Technology Trade of Kore against China have to the centerpiece of Korea Technology export drive to expand in China.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의 김 구매행태 조사연구

        백은영 ( Baek Eun-young ),이원구 ( Lee Won-goo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이 연구는 국내 양식업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김을 대상으로 그 구매행태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촉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최근 김을 비롯한 수산물 시장도 소비자 중심의 소비구조로 바뀌어가면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소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소비패러다임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그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예측하는데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김 구매증감과 구매의향, 그리고 주요 구매처와 구매이유, 구매 시 정보매체, 구매 시 선택기준, 소비촉진 과제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미김이 마른김보다 구매 횟수, 구매량, 구매금액에서 모두 두 배 이상 많았다. 그리고 김 구매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대가족에서 구매량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구매 시 정보 수집매체는 ‘판매자나 주위 사람의 권유’가 가장 많았다. 김은 결국 식품으로 소비되는 만큼 인적마케팅을 통한 소비촉진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소비촉진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모든 계층에서 ‘품질 향상’을 꼽았다. 이는 앞으로 김 산업 존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자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특히 김은 우리 식탁에 반찬용으로 자주 오르는 식품이므로 제품의 신뢰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실제로동일 제품 구매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 점은 김의 안정된 소비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맛 좋고 질 좋은 김 소비촉진을 위해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김 소비의 확대, 김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정부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consumption of laver by investigating the purchase behavior targeting laver that has shown exceptional growth in the domestic aquaculture industry. Recently, understanding objective and accurate consumption change becomes the most critical cost issue because the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cluding laver has changed into consumer-oriented consumption structure. Besides, detecting the consuming paradigm shift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at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purchase, purchase intention, main reason of purchase, purchase information media, purchase selection criteria, and the task to promote consumption, concerning laver. Analysis showed that seasoned laver was twice as many as dried laver in the number and amount of purchase, and purchasing amount. In the case of large families, high family income levels seemed to result in large purchase amount. In particular, the most common source of purchase information was ``the advice from surrounding people or seller``. This result shows that it might be more efficient to promote purchase through human marketing because laver is eventually consumed as a food. Finally, people from every condition selected quality improvement as the prior task for consumption promotion. This is an important task for the existence of laver industry and product reliability. Particularly, gaining product reliability is very important since laver is frequently used as a side dish at the table. Thus, the majority of people chos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s the reason for repurchase. This should not be overlooked when discussing the stable consumption of laver. Based on this survey results, the variety of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is important for the consumption promotion of tasty and excellent laver. In addition, it seems that various effective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involved in order to enlarge laver consumption and maintain the development of laver industry.

      • KCI등재

        자산관리 서비스 주요 잠재 대상 고객에 관한 연구

        백은영(Eun Young Baek),정순희(Soon-Hee Joung) 한국FP학회 201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4 No.3

        본 연구는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인 및 금융기관의 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시장 규모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시도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자산관리 서비스 주요 대상 고객군을 금융자산, 순자산 및 소득을 기준으로 4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대상 고객군을 금융자산 1억이상~10억미만 보유가계, 금융자산 10억이상 보유가계, 순자산 10억이상 보유가계, 연소득1억 이상인 가계로 구분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소비 측면에서는 크게 차별화 되는 특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자산보유 및 배분 측면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어 주었다. 또한 이들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살펴보면, 최근 들어 금융자산 중 예금의 비중이 다소 감소하면서 주식 및 채권에 대한 투자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어 주었다. 2007년 대비 2008년에 투자자산 비중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금융자산 1억이상 보유 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자산관리 서비스 시장의 주요 고객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가계로 파악되었다. As the financial environment changes, individuals’ interest on wealth management services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wealth management market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sectors of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Korean households and little is known about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major clients of w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to investigate which groups and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increases in investment assets in their portfolios. The household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assets and inco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ir demographic factors among the 4 groups while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financial factors.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mass affluent, whose financial assets were more than $100,000, would become a major client group in the wealth management market in the future.

      • KCI등재

        FTA확산에 따른 기술개발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백은영(Eun-Young Baek)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7 경영경제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Melitz(1993)이후 신 국제무역이론(Newly New International Trade Theory)에서 주장하는 ‘각 기업의 생산성은 다르다(Heterogeneous)"는 점을 본 연구모형에 도입하여 우리나라 기술개발 중소기업, 특히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직접적인 기업레벨 원시자료를 이용, 각 요인 간 매출과 수출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 결과, 기업내 기술개발주도자가 CEO인 경우, 기술개발 성공에 따른 성과보상제도를 실시하는 기업일수록, 기술개발비와 R&D인원수 등 양적 투입이 많은 기업일수록, 설립한지 오래된 기업일수록, 지식재산권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기술도입선으로는 국내에서 기술을 도입하는 등 요인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해 산출된 결과들이 FTA 확대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도모하기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 R&D에 대한 이해와 양적 투자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어 학문적 발전과 정책방향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fact that the "productivity of each firm is different" as claimed by Melitz (1993) in Newly New International Trade Theory. It is meaningful that Korea focused on technology development SMEs, especially SMEs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analyzed causality between sales and exports of each factor by using enterprise level raw data.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ors influenced export performance as follows: technology development leaders by CEO, companies that perform performance compensation systems, companies with high technology development costs and R & D personnel, long running companies, companies with larg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mpanies that adopt technolog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and policy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as basic data us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government"s SME R&D and the quantitative investment needed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by expanding the FTA.

      • KCI등재

        우리나라 활어회의 소비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백은영 ( Eun Young Baek ),김애정 ( Ae Jung Kim ) 한국수산경영학회 2010 수산경영론집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ecific patterns of Sasimi consumption in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The data applied in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five major cities in Korea through telephone interview with trained survey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major topics; 1. Korean people prefer to eat Sasimi at the restaurants rather than at-home. 2. The quality of Sasimi is different according to where the eating place is located such as seaside or inland. 3. Determinants of Sasimi Consump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population characteristics, sex or occup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ree points. Firstly, Koreans preferred to eat Sasimi out 83.3% of respondents chose eat-out rather than eat-at-home. These are especially popular with men, 40` years older, self-employed, lived in capital area. Secondly, satisfaction level of Sasimi consumption was good in Choong-Cheung province. Since Chung-Cheong Province was located in the inland, the chance to eat Sasimi is lower than seaside. Thirdly, consuming decision factor of Sashimi was different across groups. None of decision factors take effect on Group 1 while indigenous variable of Sashimi has effect on Group 2 and external variable has effect on Group 3.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ashimi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at-home consumption of Sashimi should be improv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keting strategy which fits i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have government as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