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금융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백은영 ( Eunyoung Baek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3

        개인들의 체계적인 자산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역량을 키우는 일은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일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들 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인 맞춤형 금융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라이프사이클에 주목하였다. 금융교육에 있어서 라이프사이클의 효과와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금융교육 수요를 살펴보기 위해 1,0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금융에 대한 인식 및 금융교육 현황, 그리고 금융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 선호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항로짓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금융 및 금융지식, 금융교육 등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금융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로 금융교육 참여율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금융교육 요구도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금융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수입과 지출 등 기본적인 금전관리의 내용과 저축과 투자에 관한 내용을 알고 싶어하는 응답자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금융교육 기관에 대해서는 경제전문단체 및 기관, 공공기관 등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고, 금융교육 방식이나 교육형태, 교육기간등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일정기간 정기 교육과정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음에도 1주일 미만의 짧은 교육기간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금융교육 내용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라이프사이클의 영향이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금융에 대한 인식 요인들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결과에 의하면 대개는 해당 라이프사이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재무문제나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금융교육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금융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금융교육 진행시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맞춤식 교육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As the economic environment has changed, the financial capability of financial consumer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cycle stages on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1,000 respondent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shared the importance of finance,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education. However, less than 20% of the respondents had received financial education. The results on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indicat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ould like to receive financial education regarding cash flow management and saving/investment. Many of them preferred public sectors or economic organization as a financial education provider. Although many respondents wanted a regular program, they preferred a short-term program. The results on the determinants of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the life cycle stages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pondents wanted a program that could solve their immediate financial needs in their life cycle stages. This implies that life cycle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to particular groups in different life cycle stages would be better suited for adults in each different life cycle stages.

      • KCI등재

        일본의 김 소비변화에 대한 고찰

        백은영 ( Eun Young Baek )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김의 주요 수출국인 일본의 김 소비변화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김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김 수급동향, 소비특성, 유통구조와 연도별 김 생산량과 양식어가 수 추이에 대해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일본의 김 소비 감소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사점을 도출했다. 일본의 김 소비 감소 주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가구원수 변화이다. 특히 단독가구와 2인 가구원수 증가로 과거보다 김 소비가 감소했다. 둘째, 김 양식어가 수 감소이다. 과거보다 김 양식 의존도는 높아졌으나, 김 양식어가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 셋째, 일본의 과잉재고와 고착화된 유통구조이다. 기존 거래 방법을 고수함에 따라 유통 마진을 증가시켰고, 소비가 줄면서 재고 또한 증가세를 보였다. 마지막으로는 수입산과의 가격경쟁력 저하이다. 일본의 김 소비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가까운 미래에 김 소비가 감소할 여지를 전혀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김 산업의 문제점을 미리 점검해 보고, 소비자 니즈에 맞는 제품 개발과 소비변화에 대해 수시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ver consumption in Japan, the major export county of our local laver, and to search methods that can develope the Korean laver industry. The study suggested the current supply and demand of laver in Japan, consumption features, distribution system, yearly laver production and laver farming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laver consumption decline in Japan and to deduct implications on the local laver industry. Firstly, the major cause of reduction in laver consumption i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n Japan. Compared to the past,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 or two-family households, laver consumption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dependence on laver farming has increased, the total income generated from it has decreased. Thirdly, this trend is also related to the excessive stocks and fixed distribution system of Japan. Due to the conventional dealing method, as distribution margin increased and consumption decreased, inventory and stock increased. Lastly, low price-competitiveness compared to the foreign products is one of the major causes. While the price of foreign laver products decreased, the ones from Japan maintained its high price, increasing price difference. Due to the change in laver consumption in Japan, the laver consumption in Korea is likely to decrease. Thus, looking into the problems of the laver industry in Korea in advance is required, along with developing products that meet customer’s needs and monitoring consumption pattern at all time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산 미역의 수출 활성화 방안

        백은영 ( Baek¸ Eun-young ),김기완 ( Kim¸ Ki-wan ),하혜수 ( Ha¸ Hye-soo ),김대영 ( Kim¸ Dae-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미역은 연간 60만 톤 내외가 양식되는 수산물로 미네랄, DHA, 리놀산, 섬유소, 비타민 등 40여 종의 영양소가 함유된 건강식품이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만 생산과 교역이 이루어져 왔다. 과거보다 미역 수출대상국이 다양해졌지만, 우리나라 미역의 주 수출대상국은 여전히 일본으로 전체 수출량의 약 60%를 차지한다. 최근, 해조류가 건강식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재조명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미역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미역 소비를 기피하던 서양인들 사이에서 해조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시작했으며, 한류 확산 덕분에 건강식품의 대명사로 각인되고 있다. 2019년 미역 수출량 및 수출금액은 2018년 대비 각각 4.3%, 7.1% 증가했으며, 미역 수출대상국도 일본과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EU, 러시아, 호주, 캐나다 등 64개국(2019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조류 중 김 다음으로 수출 실적이 많은 미역(4,000만 달러, 2019년 기준)을 대상으로 수출 확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역의 기초 통계를 기반으로 생산 및 수출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했다. 기초통계 문제(세계 미역 생산량 편차, 식용과 비식용, 수출통계의 적용 수율과 위탁가공용 이중집계), 일부 국가의 높은 수출 의존도, 원산지 위조 등을 지적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관련 기초통계 개선, 수출 전략 수립 및 맞춤형 제품개발, 원산지 표시강화 등을 위한 인증 확대와 노력 등을 제안했다.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s a well-known cultured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with an annual production of around 600,000 tons. It is considered to be a healthy food containing 40 kinds of nutrients such as minerals, DHA, linoleic acid, fiber, and vitamins. Nevertheless, sea mustard has been mainly consumed in some Asia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Even though the importing countries of sea mustard have recently become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South Korea’s exports of sea mustard to Japan still account for nearly 60% of total exports. However, as seaweed has been re-focused on consumers as an healthy foo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i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round the world. Westerners who have been avoiding seaweed to eat have recently started to properly evaluate the value of seaweed, and sea mustard is also as an iconic Korean healthy food owing to the so-called ‘Korean wave’ around the world. Following the latest trade data on South Korea, exports of sea mustard increased by 4.3 percent by volume and 7.1% by value to 127,000 tons valued at 40 millions USD from 2018 to 2019. Sea mustard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export commodity in value terms after dried seaweed(valued at 580 millions USD) among seaweed species. South Korea exported sea mustard to 64 countries in 2019 including Japan, China, Vietnam, the EU, Russia, Australia and Canada, and the number of sea mustard importing countries from South Korea continues to grow compared with a decade ago. Despite its importance, few studies on seaweed, especially sea mustard, have been conduct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sea mustard industries from production and exports data and to figures out the problem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pply and demand.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e export promotion plan of sea mustard in South Korea. The analyzed data brings up some problems: the errors of basic statistics which is related to sea mustard exports such as the variation in world seaweed production among the different sources, the segregation of edible and non-edible sea mustard, the inaccurate yield rate, and the double counting of processed products. Moreover, South Korea’s sea mustard export industry heavily dependent o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here are several cases of the falsific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To impro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t is propos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tatistics,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for sea mustard, to develop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to strengthen the labeling of the country of origin.

      • KCI등재

        한.중.일 산업별 기술무역 경쟁력분석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지정학적으로 밀접하면서도 갈등관계인 동시에 가장 큰 무역 흑자와 적자국인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4차 산업혁명기 기술패권시대에 중국과 일본과의 상품 및 서비스 교역내 부가가치 창출의 근간이 되는 산업별 기술경쟁력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무역특화지수(TSI)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술무역수지 흑자국인 중국의 경우,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술무역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재산업의 경우 분석대상기간 내내 기술수입특화, 즉 기술수출보다 기술수입이 많았으며 더욱이 2019년을 기준으로 그동안 기술수출특화였던 기계, 전기/전자, 건설 산업 등이 기술경쟁력을 상실하며 기술수입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절대적인 기술약세를 보이고 있는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는 일본에 대해 역대 매우 강한 기술의존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섬유, 전기/전자, 소재산업 등에서는 분석대상 10년간 –1에 가까운 기술수입특화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정보/통신산업은 기술서비스와 함께 기술수출특화로 나타나고 있어 對日기술무역수지 적자 감소에 기여하는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산업별 흑자와 적자를 메트릭스 기법으로 다시 살펴본 바, 우리나라가 양 국가에 가장 큰 기술의존을 보여주는 산업은 소재산업과 기계산업이었다. 이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술경쟁력 강화 정책이 시급함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더불어 전기/전자 산업은 중국과의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면서 2019년에는 적자산업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정치․경제적 상호관계가 매우 밀접한 동북아 3국간 기술경쟁력을 기술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살펴봄으로써 각 산업별 기술경쟁력의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對中전기/전자산업은 흑자기조에서 적자기조로 전환되었고, 그리고 양국 모두에서 취약한 기술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산업이 소재 및 기계산업임을 분석결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의 실질적인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기술교역 지원정책 수립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at China and Japan,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trade surpluses and deficits, while also having close and conflicting relations with Korea. In the era of technological hegemon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ach industry, which is the basis for creating added value in goods and services trade with China and Japan. For this purpose, the trade specificity index (TSI)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China, Korea s representative technology trade surplus, it had technological trade competitiveness for most industr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terial industr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as weak during the analysis period. Moreover, as of 2019, the mechanical, electrical/electronic, and construction industries, which ha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lost their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imports are increasing. Also,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surplus and deficit by industry for China and Japan again using a matrix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ies showing the greatest technological dependence of Korea on both countries were the materials industry and the machinery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nalyzed the changes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ach industry by examining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ch have very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relationships, using technology trade data.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trade with China, which had been in a surplus of technology trade balance, by 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electronic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from a surplus to a deficit industry. This suggests that practical efforts by companies to strengthe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e technology trade support policy by the government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투자자의 자기과신성향

        백은영(Eunyoung Baek),주소현(So-Hyun Joo) 한국FP학회 201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는 행동재무학적 관점에서 투자자의 자기과신성향과 자기과신성향에 따른 포트폴리오 차이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투자자들의 자기과신 성향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며 자기과신 성향이 있는 투자자들과 그렇지 않은 투자자들의 자산 포트폴리오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과신 성향이 위험자산 투자 비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512명의 투자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투자자와 그렇지 않은 투자자는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살펴볼 때,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투자자의 경우 위험자산 보유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과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직업, 연령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여성에 비해 자기과신성향을 나타낼 확률이 3.7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과신성향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주식보유 비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투자자가 그렇지 않은 투자자에 비해 전체 자산 중 주식을 보유할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overconfidence bias of Korean investo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and investors without overconfidence.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overconfidence bias of investors and whether or not the overconfidence affected stock holdings in their portfolio. The results of the 512 Korean investors showed that male investors were more likely to be an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than female investors.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had more risky assets than investors without such bias. When controlling other factors, overconfid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tock holdings in investors" portfolio.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held more stocks in their portfolio compared with investors without overconfidence bias. The results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confidence bias of Korean inves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confidence and portfolio of investors.

      • KCI등재

        한·중 FTA에 대비한 한·중 기술무역 연구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의 교역 1위 대상국인 중국과의 FTA에 대비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중 FTA협상에서 비교적 간과되고 있는 한·중간 기술무역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한·중간의 기술무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중 기술무역의 특징 및 무역장벽을 분석한 다음, 향후 중국과의 기술무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한국 최대의 기술수출국인 중국과는 기술격차가 점차 줄어들면서 세부산업별 무역특화지수에서 비교열위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중국의 기술장벽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한·중 FTA를 앞두고 대중국 기술수출에 대한 대응방안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chnology Trade of Korea · China for Korea · China FTA. For this purpose, to analysis the present condition of technology trade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Technical Barriers to Trade(TBT). The Technology trade of Korea·China is the surplus Technology trade of Korea but reducing to surplus scale. Also as a result of TSI analysis, Chemistry, plastic, primary metal, Medical precision industry, basic materials industries have weakened the Korea. In addition to Technical Barriers to Trade of China is very complexity for example, China Compulsory Certificate(CCC), China RoHS , China REACH. Therefore the Policy Technology Trade of Kore against China have to the centerpiece of Korea Technology export drive to expand in China.

      • KCI등재

        소비자의 김 구매행태 조사연구

        백은영 ( Baek Eun-young ),이원구 ( Lee Won-goo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이 연구는 국내 양식업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김을 대상으로 그 구매행태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촉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최근 김을 비롯한 수산물 시장도 소비자 중심의 소비구조로 바뀌어가면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소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소비패러다임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그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예측하는데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김 구매증감과 구매의향, 그리고 주요 구매처와 구매이유, 구매 시 정보매체, 구매 시 선택기준, 소비촉진 과제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미김이 마른김보다 구매 횟수, 구매량, 구매금액에서 모두 두 배 이상 많았다. 그리고 김 구매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대가족에서 구매량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구매 시 정보 수집매체는 ‘판매자나 주위 사람의 권유’가 가장 많았다. 김은 결국 식품으로 소비되는 만큼 인적마케팅을 통한 소비촉진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소비촉진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모든 계층에서 ‘품질 향상’을 꼽았다. 이는 앞으로 김 산업 존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자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특히 김은 우리 식탁에 반찬용으로 자주 오르는 식품이므로 제품의 신뢰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실제로동일 제품 구매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 점은 김의 안정된 소비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맛 좋고 질 좋은 김 소비촉진을 위해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김 소비의 확대, 김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정부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consumption of laver by investigating the purchase behavior targeting laver that has shown exceptional growth in the domestic aquaculture industry. Recently, understanding objective and accurate consumption change becomes the most critical cost issue because the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cluding laver has changed into consumer-oriented consumption structure. Besides, detecting the consuming paradigm shift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at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purchase, purchase intention, main reason of purchase, purchase information media, purchase selection criteria, and the task to promote consumption, concerning laver. Analysis showed that seasoned laver was twice as many as dried laver in the number and amount of purchase, and purchasing amount. In the case of large families, high family income levels seemed to result in large purchase amount. In particular, the most common source of purchase information was ``the advice from surrounding people or seller``. This result shows that it might be more efficient to promote purchase through human marketing because laver is eventually consumed as a food. Finally, people from every condition selected quality improvement as the prior task for consumption promotion. This is an important task for the existence of laver industry and product reliability. Particularly, gaining product reliability is very important since laver is frequently used as a side dish at the table. Thus, the majority of people chos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s the reason for repurchase. This should not be overlooked when discussing the stable consumption of laver. Based on this survey results, the variety of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is important for the consumption promotion of tasty and excellent laver. In addition, it seems that various effective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involved in order to enlarge laver consumption and maintain the development of laver industry.

      • KCI등재

        자산관리 서비스 주요 잠재 대상 고객에 관한 연구

        백은영(Eun Young Baek),정순희(Soon-Hee Joung) 한국FP학회 201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4 No.3

        본 연구는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인 및 금융기관의 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시장 규모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시도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자산관리 서비스 주요 대상 고객군을 금융자산, 순자산 및 소득을 기준으로 4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대상 고객군을 금융자산 1억이상~10억미만 보유가계, 금융자산 10억이상 보유가계, 순자산 10억이상 보유가계, 연소득1억 이상인 가계로 구분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소비 측면에서는 크게 차별화 되는 특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자산보유 및 배분 측면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어 주었다. 또한 이들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살펴보면, 최근 들어 금융자산 중 예금의 비중이 다소 감소하면서 주식 및 채권에 대한 투자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어 주었다. 2007년 대비 2008년에 투자자산 비중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금융자산 1억이상 보유 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자산관리 서비스 시장의 주요 고객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가계로 파악되었다. As the financial environment changes, individuals’ interest on wealth management services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wealth management market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sectors of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Korean households and little is known about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major clients of w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to investigate which groups and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increases in investment assets in their portfolios. The household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assets and inco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ir demographic factors among the 4 groups while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financial factors.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mass affluent, whose financial assets were more than $100,000, would become a major client group in the wealth management marke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