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 요인

        백옥경(Baek, Ok-Kyung),김청자(Kim, Chung-J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여부에 따른 성격적 강점의 차이와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삶의 만족여부에 따른 성격적 강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4개의 성격적 강점 중 친 절과 자기통제력, 희망 ? 낙관성, 유머 강점 요인만이 불만족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성격적 강점은 만족 집 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격적 강점의 하위 요인중 사랑, 공정성, 감상력, 영성이 삶의 만족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격적 강점요인 중 사랑과 유머 점수가 높을수록 삶에 만족할 확률이 더 높아지며, 영성, 감상력, 공정성은 점수가 낮을수록 삶에 만족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강점요인은 사랑, 유머, 영성, 감상력, 공정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university students is to analyze difference of their character strengths by life satisfaction and to indicate the primary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study has shown that among 24 character strength factors, only kindness, self-control, hope, optimism and humor lead to life dissatisfaction, and the other factors lead to high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imary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love, fairness, appreciation and spirituality affect life satisfaction similarly. In addition, love and humor is directly related to it while spirituality, appreciation and fairness are indirectly related. Moreover, the primary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are love, humor, spirituality, appreciation and fairness.

      • KCI등재

        한국 근대 초 의료선교사 메리 커틀러(Mary M. Cutler, 1865∼1948)의 진료활동과 여성의학교육

        백옥경 ( Baek Ok Kyoung ) 한국여성사학회 2021 여성과 역사 Vol.- No.35

        메리 커틀러(Mary M. Cutler, 1865∼1948)는 조선에서 모두 42년간 의료선교사로서 활동하였다. 1893년에 조선에 도착한 이래로 1935년까지, 미 감리회 WFMS의 의료선교사로서 메리 커틀러는 여성병원이었던 보구녀관·광혜여원 등에서 활발한 진료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간호원 및 의사 등의 여성의료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상시적인 순회진료사업을 실시하여 의료소외지역에 대한 의료혜택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메리 커틀러의 활동은 조선에서 여성병원의 안정적 운영을 가능케 하였으며, 여성 자활과 조선인에 의한 여성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었다. 그리고 찾아오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데에서 더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아가는 방식의 새로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에도 기여했다. 곧 메리 커틀러의 활동은 여성의료를 위한 끊임없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이었으며, 한국의 여성의료 영역의 확장 과정이었다. 이는 본인 스스로 미국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고 의학을 공부하거나, 기독교적 사회개혁운동을 추진하는 가운데 체화된 도전적 여성의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그리고 조선의 여성들이 남성들과 같이 의료혜택을 향유하며, 전문교육을 통해 간호원으로서, 혹은 의사로서 자립해 나아가기를 바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였다. Mary M. Cutler had worked as a medical missionary in the early modern Korea for 42 years. Since Cutler had arrived in the Korea in 1893, she had provided volunteer medical services as a medical missionary of Methodist Church in American which was called WFMS until 1935. She had trained women doctors and nurses, had done the traveling dispensary project, and had provided the isolated area with medical cares. These kinds of Cutler’s activities were a new trial and a challenge against the existing women medical care, and had extended the area of women medical services endlessly. It was that she had overcome the social prejudice and negative understanding in America by herself and had studied, and was on the bases of embodied and challenging female consciousness through promoting the social reform activities. And she hoped that Korean women had also enjoyed medical care the same as Korean men, and had also stood on their own foot as a nurse or a women doctor with special medical education. With these kinds of Cutler’s activities, women hospital in Korea could had been managed to steadily, Korean women doctor and volunteers could had been able to do women medical care services through training medical people. And she had expanded new service like the visiting medical service from the general medical cares. These her achievement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medical history, and had played a role to emancipate Korean women from the disease.

      • KCI등재

        朝鮮 後期 牛峰金氏 가문의 門中形成과 宗稧

        백옥경(Baek, Ok-k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6

        우봉김씨 계동공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역관 가문으로서 京畿道 楊州 지역에 世居하였으며, 족보와 종계 문서 등을 보존해 오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우봉김씨 종계문서들을 분석하여, 조선 후기 중인 집안에서 진행된 종계 운영의 한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牛峰金氏는 황해도 岑城 곧 牛峰현을 근거지로 한 성씨로서, 16세기 전후에 여러 개의 派로 分派하였다. 계동공파는 그중 원래 楊州派였다가 개칭한 계파로, 한양과 경기도 양주를 중심으로 거주하였다. 이 파에서는 金澳의 17세손 金繼仝을 중시조로 한다. 우봉김씨 계동공파는 18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문중을 형성하고 계파의 派祖, 派祖의 直系 血緣, 父系親 중심의 宗? 조직, 동일 친족에 대한 기록으로서의 족보 작성 등에 관심을 보였다. 이에 양주 지역 先塋 정비와 祖先에 대한 제사 추진, 종계 설립, 족보 편찬 등을 진행해 나갔다. 그중 종계는 계동공파 문중활동의 중심이 되었다. 종계 설립은 계동공의 8대손 金慶門에 의해 주도되어 1732년부터 시작되어 1741년에 마무리되었다. 종임 등의 기본조직과 16개조의 규정 등 종계를 위한 틀이 이때 마련되었고, 位田도 구비되었다. 이 종계는 약 80여 년간 유지되다가 1828년 한 차례 재정비되었다. 계헌도 25개 조항으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종계의 주요 기금은 수렴전의 형태로 각 구성원들에게 갹출된 금액으로 조성되었다. 그리고 재정의 보완을 위해 관직진출 등의 경사가 있는 집에서 일정액을 납부하게 하는 규정도 신설되었다. 종계에서는 조상에 대한 제사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구성원들의 혼·상례 부조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제사와 掃墳 등에 비해 혼상례 부조의 비중은 적었으며, 종계의 또 다른 목적이었던 친족 구휼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우봉 김씨 계동공파의 문중활동은, 중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족 가문들의 그것과 상당히 유사한 면모가 있었다. 다만 분명한 차이점은 여타의 사족 가문에서 빈번하였던 書院이나 祠宇의 건립, 文集 발간, 학교의 설립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18세기 이후 조선사회에서는 서원이나 사우의 문중적 경향이 강해지며 濫設 현상까지 나타났지만, 계동공파는 역관 가문으로서 顯祖가 뚜렷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던 탓이다. 계동공파는 儒業에 종사하지 못하고 技術學으로 진출하여 역관으로 주로 활동했던 가문이다. 물론 이들도 士族들의 문화를 향유하였지만, 유학자를 배출하거나 유학에 근거한 학문적 권위를 가질 수는 없었으므로, 先祖의 追崇, 서원·사우의 건립 등 사족가문으로서의 강한 상징성을 갖는 행위들은 시행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종계 운영 규약을 통해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된다. 곧 사대부 가문에서의 규약에서는 유교적인 예의의 존중, 자녀 교육 등에 대한 언급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계동공파의 종헌에서는 전혀 이러한 내용을 찾을 수가 없다. 이는 기술직 중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보한 중인 가문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 KCI등재

        개항기 역관(譯官) 김경수(金景遂)의 대외인식(對外認識) -『공보초략(公報抄略)』을 중심으로-

        백옥경 ( Ok Kyoung Baek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1

        金景遂(1818~?)는 개항을 전후한 시기에 활동하였던 漢語譯官이었다. 김경수는 역관 집안 출신이라는 성장 배경과 자신의 사행경험을 통해, 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가 무너지고 서양이 그 자리를 대신하던 현실을 일찍부터 간파하고 있었다. 이에 서양을 인정하는 사유방식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그는 서양과의 통교 가능성을 열어두는 한편, 자연스럽게 富國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六橋詩社 활동과 강위와의 만남을 통해 그는 개국의 필요성과 富國에 대한 인식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고, 서구문물의 수용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던 동인들과도 활발하게 교유하게 되었다. 『공보초략』은 1879년 김경수에 의해 간행된 서적이었다. 이 서적은 서양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소개한 청나라의 『교회신보』와 『만국공보』에서 조선에 도움이 될 만한 항목들을 선별하여 게재한 것이었다. 이 책의 간행 목적은 조선이 처한 국제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內修外攘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배타적인 外攘을 주장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부국강병을 위해 外攘의 대상이 되어야 할 서양을 통해 문물을 받아들이고 배워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김경수는 『공보초략』을 통하여 청과 조선의 현실을 진단하고 서양과 일본을 소개하였다. 이미 부강한 서양과, 부강한 서양의 모방에 성공한 일본의 현실을 조선에 적극 알리려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김경수는 서양의 다양한 문물들 특히 자연과학, 기술과 관련된 면들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선인에게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 주면서도 서양에서 발달하고 있는 문물에 대한 지식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1870년대 전반까지도 조선 내에서는 서양화에 대한 주장이 쉽게 수용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1880년대 서양 문물 수용 논의가 본격화되기 이전에 이미 東道에 기반한 서구문물의 수용을 주장하면서, 당시 서양을 알려는 조선인들의 근대 서양 지식의 획득에 크게 기여하였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Kim Kyeongsu was an official interpreter who had worked at the period of Opening of Ports. He earlier saw through the situation when the Western occupied the international order instead of Q`ing which was centered on the Eastern Asia at that time, but it was collapsed. He experienced the change of thought, trie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 with the Western, and concerned about a national wealth. After that, he developed to realize the necessity of opening the country to oversea and the national wealth more than before, kept actually company who had friendly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western culture. Gongbochoryak(公報抄略) was the book which was published by Kim Kyeongsu in 1879. This book was that Gyohoisinbo(敎會新報) and Mangukgongbo(萬國公報), which was major media introduced the information of Western in Q`ing, selected items to help Joseon and described them. They introduced the western situation and the western civilization mostly from 1869 to 1876. The purpose published this book was to overcome the international reality which Joseon encountered at that time. He described his opinions that it was a wise choice that Q`ing had better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if Q`ing had no practical power, after he saw Beijing`s Accident in Q`ing. He insisted that Joseon should plan to enhance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rather than to defeat the Western countries unconditionally. Therefore, He emphasized that Joseon had to accept the civilization through Western which would be the object to be defeated and to learn it. For this purpose, Kim Kyeongsu introduced the reality of Western and Japan through Gongbochoryak(公報抄略). He tried to inform actively Joseon of the success of Japan which copied the Western style. And he also introduced various Western civilization, specially about the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He played a role to inform Joseon peopl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Western civilization to be developed with satisfying the curiosity about new scientific technology. It made his position to accept the Western civilization that was still the subject to be argued in Joseon at that time. Western painting was not to be accepted easily until the early 1890. But he emphasized to accept the Western civilization based on Eastern way through Gongbochoryak(公報抄略). He had the understanding on foreign countries to consider two things which Joseon had not to fall behind the international order which was centered on the Western.

      • KCI등재

        한말(韓末) 세계사 저,역술서에 나타난 세계 인식

        백옥경 ( Ok Kyoung Baek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5

        한국에서는 1876년 개항 이후 1910년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기까지의 40여 년간 6종의 세계사 책이 간행되었다. 이 시기는 이질적이며 폭력적으로 다가오는 서양의 국가들, 새롭게 동아시아의 맹주가 되려는 일본, 기존의 전통적 중국중심 질서 속에서 한국에 대한 종주권을 계속 유지하려는 청나라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시점이었다. 이때 한국을 둘러싼 세계질서를 어떻게 수용하고 대응할 것인가? 앞으로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이 주제는 당시 한국 지식인들의 치열한 고민의 대상이었고, 여러 가지 이론과 실천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세계사 저·역술서 역시 한국 내 세계인식의 재정립과 대응방안을 모색하면서 등장하였다. 세계정세를 이해하려면 과거 세계 역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탐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세계사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킨 까닭이다. 이 시기 세계사 서적들을 살펴보면, 1905년과 1909년을 기점으로 하여 저술 주체 및 세계인식에 변화가 나타난다. 저술 주체는 저술 역량의 축적에 따라 일본인이 참여한 저술에서 한국인의 譯述 및 撰述로, 그리고 독자적인 저술의 단계로까지 변화되었다. 1896년에 처음 간행된 『萬國略史』는 한국 근대 교육담당 관서인 學部 주도하에 이루어진 官撰의 형태인데다가 일본인 고문관의 참여로 완성될 수 있었다. 1905년부터 1907년까지 간행된 『萬國史記』·『精選萬國史』·『東西洋歷史』·『中等萬國史』는 모두 譯述 혹은 撰述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한국의 세계인식이 여전히 소개의 단계에 머물러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1909년 장지연의 『萬國事物紀原歷史』 단계에 이르러서야 독자적인 세계사서의 저술이 등장하였다. 이는 세계사 서적의 간행 경험, 세계사 관련 번역 활동의 확대 등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결과였다. 한편 세계인식에서는 중국 중심의 화이론적 질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한 출발점이었다. ``지는 제국``으로서의 무력함을 드러내는 청 중심의 세계질서에서 벗어나 서구와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이후 서구중심의 세계인식 하에서, 각 세계사서는 시대적 상황 및 저술 주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로서 이에 대응해 나갔다. 이는 각각 한국이 처해있던 정치적 상황과도 맞닿아 있으며, 저술주체의 성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최초의 세계사서인 『만국약사』에서는 서구적인 문명을 추구하면서도 그 실제적인 모델로서의 일본의 위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세계관은 역술과 찬술의 단계에서 다소 극복되지만, 대신 문명을 기준으로 ``서양``과 ``동양``이 명확히 대비되는 가운데 갈등과 생존경쟁의 세계질서가 크게 강조되고 있었다. 그리고 정체된 ``동양``에 속하였던 한국이 도태될 수 있다는 민족적 위기감 속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문명화를 추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동양의 제휴를 통해 서양에 대응하려는 시도가 조심스럽게 나타났다. 한편 장지연의 『만국사물기원역사』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동양``을 재평가하면서 유교적 문명관에 입각한 새로운 세계관을 모색하였다. 그 과정에서 동양의 문명 역시 서양의 문명에 못지않은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유교적인 문명을 중심으로 한 동양의 단위 설정은 결과적으로 동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지배와 영향력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그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In Korea, six kinds of World History Writings had been published for some forty years, from the opening of its ports in 1876 to its colonization by the Japanese in 1910. it was time that the complex influence of the following elements could be found. The "western" powers, appearing dissimilar, even violent; Japan, taking the advantage of the situation and aspiring to become the leading power of East Asia; and Ch`ing China, wanting to sustain its hold over Korea within the existing, traditional order in which the Chinese were dominant. How to accept and how to counter these complex world order, and which direction for Korea to go in the future, were questions that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period agonized over. It resulted in developing various theories and practical movements. The writings and translation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re examples of such attempts to systematically redefine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to find ways to confront issues. The translations of World History Writings during this period were books which appeared to attempts to systematically redefine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to find ways to confront issues. It resulted from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world situation and to expand the attention of world past history. So, World History Writings was reflected the World cognition and became the base to find a way for Korean people in the world. When we look at the World History Writings at these times, writers and the cognition of world were changed from 1905 to 1909. At first, the authors were mainly Japanese with accumulation of writing capability who translated and edited world history writings, but in later were Korean writers who wrote it directly. The Mangukyaksa which was the first textbook world history published in 1895, and published by the hakbu, was called, which was the educational department of government, and Japanese advisors were involved to put together and to be able to finish it. So, World History Writings are Manguksagi, Jeongseonmanuksa, Donseoyangyeoksa, and Joongdeung Manguksa which were published from 1905 to 1907. theses show that the cognition of the world by Korean were only the basic stage to introduce and to study the world. And Manguksamulkiwonyeoksa which had written by Jang Jiyeon in the year of 1909 appeared as world history writing independently. It had resulted from the base on experiences which published the world history writing and the expanded translating activities on world history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effort to overcome the Sinocentrism perspective was a new start. it was a trial to get out of China which the world order centered on Ch`ing China with no power and the second country status as a ``being sinking the Empire`` and then to set up the relationship with western country newly. After then, the cognition of world was changed from the Chinese center to the western center, and each world history writing also confronted with their logics according to their timely situation and the authors. it had relevance to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propensity of writing authors. The Mangukyaksa which is the first book on world history appeared to seek the western cultivation and at the same time elevated Japan`s position in East Asia. Though this point of view of World was overcome at the stage of translating and editing a little in contrast with Western and Oriental clearly, it emphasize the new world order of conflict and survival when the Orient and The West and was contrasted. Among them, Korea which belonged to the sluggish Orient tried to westernize more than before with the crisis of natural selection.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trial to confront it through the alliance with Orient appeared carefully. Moreover, Manguksamulkiwonyeoksa which had written by Jang Jiyeon, reinterpreted the Orient and found the point of view about the world with Confucian civilization. He re-evaluate the value of Oriental civilization. But it showed that the Orient with Confucian civilization had the limitation which accepted the domination by Japan and the influence of Japan.

      • KCI등재

        기획주제: 여성과 법,제도 : 조선시대의 여성폭력과 법 -경상도 지역의 <검안(檢案)>을 중심으로-

        백옥경 ( Ok Kyoung Baek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9

        <檢案>은 檢屍文案의 줄임말로, 조선시대의 시신검사 소견서이다. <검안>에는 가정과 사회 안에서 이루어진 개인 간의 폭력, 집단이 개인에 행한 폭력 등이 매우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었다. 본고에서는 <검안>을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이 가정이나 사회 속에서 어떻게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는가, 법이나 사회적인 제도는 여성을 얼마나 보호해줄 수 있었던 것인가, 여성들은 이러한 폭력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법률은 三綱五倫 중시의 유교적 이념을 반영하면서 가족 윤리 침해행위, 사회 신분질서 침해행위를 중대 범죄로 간주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의 가족과 친족 내부에서의 등급, 사회적 신분질서 안에서의 등급, 국가적 조직 체계 안에서의 등급에 따라 범죄인에 대한 刑量을 크게 달리하고 있었다. 이것이 가정 내 처와 남편의 관계에 적용되면, 남편에 의한 처의 통제를 옹호하고 夫妻간의 위계질서를 夫 중심으로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가정 내의 남성은 여성에 대해 신체적으로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었으며, 그것은 곧 여성에 대한 폭력의 일상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음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여성은 남성에게 폭력을 가할 수도 없었다. 가해지는 폭력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도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가정 내에서 여성들은 배우자 혹은 시집 식구들에 의한 폭력에 쉽게 노출되었다. 그러한 인식과 태도가 지역 사회로까지 확장됨으로써, 여성들은 지역 사회 곧 향촌 내에서도 폭력의 희생자가 되었다. 반면, 여성들의 폭력은 때로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자신의 가족 곧 남편·시부모·자식을 보호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것은 여성들이 가족과 관련된 폭력 사건에 참여함으로써 오히려 가정 내에서 자신의 위상을 확인하거나 영웅시될 수 있었던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한 것이었다. 아니라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견디다 못해 오히려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태도는 국가와 가정의 통제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국가의 통제가 관철되어 갔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word of <Postmortem(檢案)>, is short for an outline of autopsy examination, a kind of report on a corpse examination in Joseon Period. There were some written accidents about personal violence happened at home and in society, the others which group had used to individual, and so on in corp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ith <Postmortem(檢案)> how women in Joseon Period had been exposed to violence at home and in society, how the law and the system had protected women from violence and how they had coped with this kind of violence. Joseon`s law was Confucianism which had reflected the three basic relation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between father and son and between husband and wife. It had regarded the activities of violating family`s morality, the activities of violating the social status and social class as serious violence. So, Joseon Dynasty had differed the sentence of criminal according to the label of social status and family, the label of office. If this system had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his wife at home, it could had supported that husband controled his wife privately, it had reinforced the hierarchy of couple focus on husband. It means that husband could had controled and could had ruled over his wife at home, could had likely brought about violence to his wife at home. On the opposite side, women could had not committed violence to men. Moreover, they could not had been protected from the violence actively. therefore women at home was exposed to violence from her husband or husband`s family easily. That kind of attitude and recognition had expanded to local community, women had been victims of violence in the local village. On the other hand, violence used by women was sometimes a tool to defend themselves, was mostly happened in most cases that they protected their family which are husband, husband`s parent and their sons and daughters. It resulted from the social atmosphere that women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hero or identified themselves at their home rather than a criminal, if they had participated in violence related to their family. But if not so, they could have not made a choice to suicide themselves in case of unbearable violence. This kind of attitude show that women adjust themselves to the control of country and their home, and reflect the reality that the country controled women`s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