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辛卯年銘 청동 방울'과 太王陵의 주인공

        백승옥(Beack Seoung-Ok) 부산경남사학회 2005 역사와 경계 Vol.56 No.-

        There were around 13,000 old tombs in Jiban(集安) of Gillim Province(吉林省), the second capital of Goguryeo(高句麗). Out of them, some 10 tombs have been regarded as royal tombs in view of their scale, but haven't been correctly established their identity.<br/> However, we could presume that the tomb of King Gwangaeto was located near a royal tombstone which must be the tombstone of King Gwangaeto. In regard to the location of the tomb of Gwangaeto, some scholars have maintained that it was the tomb of King Tae where was 360m from that tombstone southwest. Other scholars have maintained that it was General Tomb(將軍塚) where was 2km from the tombstone northeast. The grounds of these opinions includ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at tombstone and two royal tombs, election year of them which estimated through tails discovered around old tombs, and contents of epigraphs, which inscribed in bricks excavated around it, such as ‘King Tae(太王)'. As it was known, the academic world in Korea have more supported the tomb of King Tae near the tombstone than General Tomb.<br/> This study examined the bronze bell which engraved a epigraph(‘辛卯年 好大王 巫造鈴 九十六’) discovered in 2003. As a result, it proved that making year of the bell was from May to December, ‘the 28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the year 391) and ‘King Tae' engraved in the bell was King Gogukyang(故國壤王), a father of King Gwangaeto.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identity of King Tae's tomb was not King Gwangaeto but King Gogukyang, unlike the existing opinion. If the tomb of King Tae is King Gogukyang's, the location of the tomb of King Gwangaeto will come into question. I will study this subject later.

      • KCI등재

        廣開土太王陵碑 탁본 『惠靜本』의 탁본사적 위치 - 『水谷本』과의 비교 검토를 바탕으로 -

        백승옥(Beack, Seoung-ok)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광개토태왕릉비는 중국 집안시에 현존하지만 비바람에 의한 자연적 손상과 인위적 행위에 의해 많이 훼손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히 1890년 이후부터는 비면에 석회(石灰)를 바른 다음 탁본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문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는 비에 석회가 발리기 이전의 탁본이다. 이러한 탁본을 원석탁본(原石拓本)이라 한다. 혜정본과 미즈타니본(水谷本)은 원석탁본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다시 한번 더 확인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유사점들을 밝혀냄으로써 두 탁본은 동일인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① 비의 한 면을 3단 구분하여 탁본을 만든 방식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전체 탁본의 종이는 12매가 된다. ② 비면에 먹(墨)을 두드리는 방식이 동일하다. ③ 개별 글자들에 대한 탁본의 상태가 유사하다. ④ 탁본을 만들 때 사용한 종이의 층수가 두 겹(2층)이다. ⑤ 종이의 질(紙質)이 유사하다. ⑥ 탁본의 한 면을 이루는 작은 종이(小拓紙)의 세로 사이즈가 47㎝로 같다는 점이다. 다만 지질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행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향후 보다 정밀한 조사와 검토를 행한다면 탁본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Gwanggaeto Taewang tombstone rubbing in Jian-si, China is present, but it has been damaged a lot by natural damage caused by rain and wind and artificial acts. In particular, after 1890, the rubbing was made after lime had been applied to the tombstone. In this situation, the most important source for the study of the inscription is the rubbing before the lime was applied. This rubbing is called raw stone rubbing(原石拓本). Hyejeongbon and Mizutanibon are known as raw stone rubbing. This paper confirmed this fact once again. And by revealing the following similarit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two rubbings were most likely to be produced by same person. ① The way to make a rubbing by dividing one side of the tombstone into three stages is similar. Therefore, there are 12 sheets of total rubbing. ② The method of tapping ink on the tombstone is same. ③ The status of the rubbing for individual letters is similar. ④ The number of layers of paper used to make the rubbing is two(2 levels). ⑤ The quality of paper is similar. ⑥ The vertical size of the small paper that forms one side of the rubbing is equal, 47 cm. However, it leaves a lot to be desired that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geology has not been done. In the future,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and reviews will lead to more information about the rubbing.

      • KCI등재

        4~6세기 加耶의 對百濟 · 新羅 관계

        백승옥(Beack, Seoung-ok)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4세기 대 한반도에서 波動의 진원지는 낙랑과 대방 故地였다. 4세기 초에는 이 지역을 장악한 고구려가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면, 4세기 중·후엽은 백제가 주도한 시기였다. 백제 근초고왕은 고구려는 물론 가야와 신라지역까지 진출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일시적 진출은 행해졌다 하더라도 실질적 영토 지배권을 행사할 정도의 국가권력이 작동하지는 못했다. 『일본서기』 신공기 한반도 관련 기사는 가야와 백제 및 신라 관계와 관련하여 많은 내용을 품고 있다. 사료로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가야제국과 백제와의 우호친선관계의 성립이 그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남해안 주변의 가야 소국들은 교역 체계의 변화로 인한 생존 압력에 의해 전쟁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른바 포상팔국전쟁은 가야 제국들 가운데 해상세력들이 힘을 합해 안라국과 남가라국을 공격하지만, 신라의 개입으로 인해 실패한 사건이다. 신라의 개입도 결국 해상교역 체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경자년(400)에 고구려군은 신라에 침입한 倭을 쫓아 任那加羅 從拔城까지 이른다. 여기에서 임나가라는 현 부산·김해지역 일대에 존재했던 南加羅를 말한다. ‘安羅人戍兵’에 대해서는 城이 항복해 오자 고구려가 그 후속 조치를 행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고구려의 남정 이후 내륙의 가라국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등 가야 제국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가야 제국은 때로는 백제 측과 연계하기도 하고, 때로는 신라측과 연계 했다. 그 형태는 ‘請和’의 형태이거나 결혼동맹의 형태 등을 택했다. 6세기 대에 접어들어 백제 신라 양국은 가야 지역 진출을 노골화한다. 이의 저지를 위해 가라국과 안라국 등은 자구책을 강구하지만 결국 멸망되고 만다. 가야 제국 중 일부는 자진 항복하는 경우도 있었고, 끝까지 항쟁하다 복속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단일 연맹체로서 행동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In the 4th centur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origin of the wave was the area of Nakrang(樂浪) and Daebang(帶方)’s old land. While Goguryeo(高句麗), who occupied the area in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took the initiative, the middle and late 4th century was Baekje’s time. King Geunchogo(近肖古) of Baekje showed his will to go to Gaya and Silla as well as Goguryeo. However, at this time, even if the temporary advancement was made, the state power enough to exercise real territorial control did not work. 「Jinggugi(神功紀)」 in the 『Nihon Shoki(日本書紀)』, the article about the Korean peninsula, has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 between Gaya, Baekje and Silla. Although it has many limitations as historical recor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establishment of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Gaya Empire and Baekje is historical fact. The small countries of Gaya around the southern coast had to choose the war by the survival pressure due to the change of trade system. The so-called ‘Posangpalguk(浦上八國) War’ is a case in which the maritime powers among the Gaya empires joined forces to attack Anla(安羅) and Namgara(南加羅), but failed due to the intervention of Silla. The intervention of Silla seems to be related to the maritime trade system. In the year of Gyeongja(庚子 ; A.D 400), the Goguryo army chased the Wae(倭) who invaded Silla, reaching the ‘Imnagara Jongbalseong (任那加羅 從拔城)’. Imnagara refers to Namgara, which was in the present area of Busan and Kimhae. Regarding the ‘Anlainsubyeong(安羅人戍兵)’,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Goguryeo took the follow-up measures when the castle of the Gaya was surrendered. The Gaya empire underwent a lot of changes, including the emerging of the interior Gaya after the southern conquest of Goguryeo. In the meanwhile, the Gaya Empire sometimes linked with the Baekje and sometimes with the Silla. It took the form of ‘Cheonghwa(請和; ask for peace)’ or the form of marriage alliance. In the 6th century, both Baekje and Silla advanced into the Gaya region. In order to stop this, Gara and Anla took measures for self-help but eventually they were destroyed. Some of the Gaya Empires voluntarily surrendered, and some of them fought but were subjected at the end. However, they do not seem to have behaved as a single ally.

      • KCI등재

        『日本書紀』에 보이는 阿羅斯等의 정체와 그의 외교활동

        백승옥(Beack, Seoung-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1 No.-

        가야의 주요국이었던 安羅國(=阿羅伽耶)에 王이 존재하였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왕의 이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安羅國王의 이름을 찾는데 주력하고 그의 활동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日本書紀』 垂仁紀에 등장하는 阿羅斯等이라는 인물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는 繼體紀와 敏達紀에도 보이는데, 계체기에는 阿利斯等으로, 민달기에는 阿利斯登의 형태로 보인다. 그동안 이에 대해서는 位號인지 人名인지 논란이 있었다. 검토 결과 아라사등은 인명이며, 6세기 전반 대에 활동한 안라국왕으로 보았다. 그는 밀려오는 외세, 즉 신라와 백제의 가야지역 잠식에 대해 외교적 노력을 통해 방어해 보고자 하였다. 외교적 노력은 무력에 의한 방어력이 부족할 경우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방안이었다. 安羅高堂會議와 渡倭外交 등을 펼쳤으나 역부족이었다. 본고의 성과는 그동안 전혀 언급됨이 없었던 안라국왕의 인명을 찾을 수 있었다는 점과 그가 펼친 외교 활동의 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었다는 점에 있다. It is obvious that there was King in Anrakug(安羅國), one of the main countries of Gaya(加耶). However, there is nothing known about the name of the kings.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the name of the king of Anrakug and tried to see his achievements. The study reviewed the figure whose name is Arasito(阿羅斯等), who appears in Nihonsoki(『日本書紀』)Suinki(垂仁紀). He is also found in Geidaiki(繼體紀),which is one section from Nihonsoki, and Bidathuki(敏達紀), which is another section from Nihonsoki. In Geidaiki, he is seen under the name of Arisito(阿利斯等) and in Bidathuki, he appears under the name of Arisito(阿利斯登). Until now,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bout whether Arisito is a peerage title or a name of a pers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Arisito is a name of a person and it belongs to the king of Anrakug, who reign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He tried to defend his country through diplomatic efforts against surging foreign power which means Silla(新羅) and Baekje(百濟)’s trials to encroach on the territory of Gaya. The diplomatic effort was the only way he could choose in the situation that there wasn’t enough military defensive power. He conducted many diplomatic ways like Anragodang confernece(安羅高堂會議), which is a kind of an international confernece, and a diplomatic activity that Arisito did crossing into Japan , but they weren’t enough to defend the country from those foreign countries. There are two main outcome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the name of the king of Anrakug, which has never been mentioned before. And this study shows the content of diplomatic activities he did in detail.

      • KCI등재
      • KCI등재

        가야(加耶) 각국(各國)의 불교 관련자료 검토

        백승옥 ( Beack Seoung-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는 4세기 말 5세기 초로 볼 수 있다. 高句麗, 百濟, 新羅의 경우는 문헌기록 등을 통해 볼 때 확인된다. 삼국과 더불어 한반도 남쪽에 존재했던 가야의 경우도 『三國遺事』의 「駕洛國記」 등의 내용에 불교 전래의 모습이 있다. 기록을 그대로 신빙한다면 기원 후 48년에 南加羅에 불교가 전래된 것이 된다. 그러나 「가락국기」는 설화적 요소가 복잡하게 섞여 있어서 그대로 믿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가야 각국들 가운데 불교 관련 사료나 유물이 보이는 나라들을 중심으로 불교의 전래 시기와 전래 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야불교는 각국별로 전래 시기와 전래 처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야제국이 단일연맹이나 단일국가로 존재한 것이 아니었기에 이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을 것이다. 남가라국의 불교 전래 시기는 질지왕 대 왕후사가 창건되는 452년 무렵으로 보았다. 그 전래 처는 현존하는 자료로는 알기가 어려웠다. 가라국의 경우, 각종 유물에 보이는 蓮花文으로 보아 5세기 대에는 이미 불교에 대한 이해가 있었다. 가라국에 불교를 전래한 곳은 백제 아니면 중국 남조의 어느 나라일 가능성이 높다. 안라국과 다라국의 경우도 5세기 대 불교 전래의 모습이 보인다. 그 수입처는 다양한 경로를 예상할 수 있지만 백제일 가능성이 높다. 경남 의령에서 발견된 銘文이 있는 금동여래불은 가야의 한 나라인 斯二岐國에 불교가 전래된 결과로 보았다. 그리고 사이기국이 541년과 544년 두 차례에 걸쳐 백제의 수도 사비에서 열린 국제회의에 참가했었던 사실로 보아 그 전래 처는 백제로 파악했다.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 peninsula is thought to have started in the late 4th and the early 5th B.C. It is verified by historical documents in case of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Silla(新羅). According to ‘Garakgukgi(駕洛國記)’, “Samgukyusa(三國遺事)”, the religion was also transmitted to Gaya, which ruled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 ancient. It is said Buddhism was introduced to Namgara(南加羅) in 48 B.C. However,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document because of its fictional aspects. This study reviews that when and from where Buddhism came to the countries of Gaya with artifacts and documents related to Buddhism. To the countries of Gaya the time and agent of propagation of the belief was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It stands to reason because Gaya was neither an unitary state nor a single union.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Namgaraguk would be about 452 B.C. when Wanghusa(王后寺) was founded by King JilJi(?知王). It is hard to find out that from where it was introduced because of the lack of resources. Considering lotus design(蓮花文) in various artifacts, Garaguk already knew about Buddhism a bit in the 5th century B.C.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country which brought the religion to Garaguk was either Baekje or a country of the south dynasty of China. Buddhism was also spread to Anraguk and Daraguk in the 5th century. It seems that Baekje was the agent of the propagation. A gilt bronze statue of the Buddha(金銅如來佛) with inscription which was found in Uiryeong, Gyeongsangnam-do, was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o Saigiguk, one of Gaya. It appears Baekje was the kingdom which introduced the religion to the country considering Saigiguk attended the council held in Sabi, the capital of Baekje, in 541 and in 544.

      • KCI등재

        가야사(加耶史) 연구의 흐름과 안라국사(安羅國史)

        백승옥 ( Beack Seoung-ok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이 글의 목적은 현 경남 함안에 존재했었던 안라국의 역사를 향후 어떻게 연구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안라국사 연구의 중장기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까지 진행된 가야사 연구의 흐름과 안라국의 역사를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① 가야 각국들 간의 존재형태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그동안 『三國遺事』의 五伽耶條 등을 근거로 가야제국은 연맹체의 형태로 존재했었다고 설명되어 왔다. 가야전기에는 김해의 금관가야가 중심이 된 가야연맹체가, 후기에는 고령의 대가야가 중심이 된 연맹체가 존재했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맹체론 속에서는 안라국사가 제대로 정립될 수 없다. ② 안라국의 내부구조를 밝히는 작업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안라국의 국가발전단계를 논할 수 있을 것이다. ③ 안라국이 존립하고 또 존재할 수 있었던 기본 동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하여 안라국의 해양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지리적 환경과 진동만을 통한 바다로의 진출과 관련한 연구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④ 안라국의 대외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안라국과 백제, 고구려, 신라, 倭와의 관계는 물론, 다른 가야 諸國들과의 관계와 그 속에서 안라국의 위상 등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⑤ 그 외에 안라국과 관련된 地名과 인명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way how to research the history of Anraguk which had existe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Haman county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it requires long term perspective and plan to study Anraguk histor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gathered the flow of Anraguk history studies which had been conducted until a recent date and arranged the history of Anraguk. As a result, we believe that the following issues are to be resolved. ① The arrangement about the existence forms among Gaya countries is needed. Meanwhile, Gaya empir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form of federation on the basis of Ohgayajo(五伽耶條) in Samgukyusa(三國遺事). It has been described that in the early of Gaya, Geumgwan Gaya of Gimhae was the center of the federation, and in the late Gaya, Daegaya of Goryeong was the center of the federation. But the history of Anraguk cannot be established properly in this theory of federation. ② We should focus more on the task to illumin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nraguk. It will enable us to discuss the stage of development of Anraguk. ③ The researches about the dynamics which made Anraguk exist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the marine nature of Anraguk should be noted on. The study regarding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at the time and the expansion to the ocean through Jindong bay should be added. ④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foreign relations of Anraguk. The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Gaya countries(諸國) and the status of Anraguk among them as well as relationship between Anraguk and Baekje, Goguryeo, Silla, Wae(倭) should be progressed. ⑤ The studies about place names(地名) and human name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居昌 ‘居烈國’의 형성과 변천

        백승옥(Beack Seoung-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5 한국민족문화 Vol.25 No.-

        Geoyeolkuk is the name of a State which was present at Ancient Geo-chang region. But there has been little konwledge about when it was present, what its inner organization was and how its political characteristic was, even if it has been regarded to be a part of Kaya(加耶). Thus this article will illuminate the formation and the changes of Geoyeolkuk by refering to the archaeological inqueries and studies of Geochang region and using the related materials found in Samkukgi(三國志), Samkuksaki(三國史記) and Ilbonseoki(日本書紀), etc. To begin with, this study reflects the formative times and name of it on the premise that a Sokuk(小國; The small state) was present at Geo-chang region in view of the distribution situation of archaeological mate-rials. As for the name, it is more likely to be Gamrokuk(甘路國) than so far presumed Gosoonsikuk(古淳是國). The formative times of Gamrokuk is dated to third centry B.C. It was a small state including about eight towns and its capital town probably corresponded to Geochang town of this time around Yeongchun(瀯川) hydrosphere. A cluster of Gaebong old tombs, one of clusters of Kaya old tombs, is situated at this area. It seems that another small country located in Kajo basin had been incorporated into Gamrokuk sometime between late third century and early forth century. Gamrokuk had been brought up and developed to become a state of Kaya states, and Its name was Geoyeolkuk Geoyeol found at materials related to Kayagumgok(加耶琴曲) of Wooruk(于勒) in Samkuksaki undoub-tedly refers to Geoyeolkuk. Thus the relations it and Karakuk(加羅國) located at Koryeong region of this time is of great interest to me. In this study, Geoyeolkuk is considered to be a independent state, not to be a state subordinated to Karakuk, unlike other studies. Jatan(子呑) and Jatakuk(子他國) found at Ilbonseoki, also, are considered to be country names which pointed to Geochang region. From this viewpoint, the inquiry of related materials shows that Jatakuk was a independent country of Kaya seeking for independent self-existence. A example of this effort was that Jatakuk had take part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for restau-ration of Kaya in 541 and 544 A.D. As for the collapse time of Geo-yeolkuk, it can be said that it had been collapsed around 562 A.D. accor-ding to the record of Ilbondseoki.

      • KCI등재

        가야의 왕릉급 고분에 대한 역사적 해석

        백승옥(Beack, Seoung-Ok)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8

        왕릉급 고분이란 왕과 왕비 등 그 가족이 매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정도의 규모와 내용을 가진 고분을 말한다. 가야 관련 문헌 사료에서 왕의 존재가 확인되는 것은 기원전 2세기 말이다. 그러나 문헌사료에 왕이 보인다고 하여 그 시기에 왕릉급 고분이 등장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가야 전기(B.C 3세기~A.D 3세기)의 왕은 명목만 왕일뿐 왕권은 성립되지 않은 단계이며, 가야 중기(3세기 중엽~5세기 초)의 왕은 연맹체의 수장으로서 제사장적인 성격이 강한 왕으로 보았다. 가야 후기(5세기 중엽~6세기 중엽)가 되면 비로소 정치적 권한을 가진 절대 권력의 소유자로서 왕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5세기 전반이 되면 그러한 왕권이 성립되고 5세기 중엽~6세기 대에는 그러한 권한이 한층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상이 문헌사료에 보이는 가야의 왕을 탐색해 본 결과였다. 고고학적 양상으로 볼 때, 가야 지역에서는 5세기 2/4분기에 즈음해서 고총고분이 등장한다. 봉분의 지표면 최대 지름이 약 20m 이상이고, 높이가 약 2m 이상인 고분을 가야의 고총고분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총고분은 왕릉급 고분으로 보았다. 고총고분의 축조는 고대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사상의 발로였다. 고대인들이 죽음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장송의례를 행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고총고분을 이해했다. 그 결과 고총고분은 권력 집중화의 표상이었으며, 축조집단 기억의 대상으로서 그 자체가 기념물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신앙의 대상이었다. Royal tombs refer to the tombs in which kings and their families were supposed to be buried in. It is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 that the existence of kings of Gaya is confirmed in the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royal tomb burial mounds appeared at that time even if kings were mentioned in the materials. The kings of the early days of Gaya(3<SUP>rd</SUP> century B.C. to 3<SUP>rd</SUP> century A.D.) were just nominal kings, and the royal authority was not yet established. In the middle of the Gaya(mid-3rd century to early 5th century), the heads of alliance became the kings of Gaya with priestly character. It was in the late Gaya(mid-5th to mid-6<SUP>th</SUP> century) that the kings achieved political authority. In other words,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the regal authority of kings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5<SUP>th </SUP>century while it was strengthened in the middle of the 5<SUP>th</SUP> century to the 6th century. From the archaeological point of view, ancient burial mounds emerged around the 2nd quarter of the 5<SUP>th</SUP> century in the Gaya area. The tombs with a maximum diameter of over 20 meters and a height of over 2 meters are regarded as Gaya ancient tombs with a gigantic mound, which are considered as royal tombs. Building these tombs was based on the ancients’ belief of life and death. Gaya tombs with a gigantic mound were the symbol of the centralization of political power and the subject of collective memory as well as the monument itself. Also they were the object of faith.

      • KCI등재

        조선시대의 가야사 인식 - 조선 후기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

        백승옥(Beack, Seoung-Ok)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가야사 연구의 효시는 한백겸(1552~1615)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최치원(857~?) 이래 조선 전기까지 변한을 백제 혹은 고구려로 보는 설을 비판하고, 삼한의 위치를 한강 이남으로 비정하였다. 마한은 호남과 호서지방으로, 진한은 경상도 동북 지역으로, 변한은 경상 서남지역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그의 위치 비정은 논리적이면서도 다양한 고증방법에 의한 것이었다. 이후 그의 가야사에 대한 인식은 조선 후기 많은 실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유형원(1622~1673)은 한・중・일 삼국의 역사서들을 섭렵한 바탕 위에서 가야사를 인식했다. 이익(1681~1763)과 안정복(1712~1791)의 가야사 인식은 합리적이면서도 철저한 사실 고증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19세기 초 정약용(1762~1836)과 한치윤(1765~1814)・한진서(1777~?)의 시기에 이르면 가야사가 과학적이면서도 실증적 방법론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그리고 진정한 의미에서 가야사가 한국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된것도 이 시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한치윤의 『海東繹史』(1823)에서는 ‘加羅’와 ‘任那’를 ‘世紀’에 두고 있다. 비록 ‘諸小國世紀’ 안에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자료의 영세성 때문이었다. 기본적으로는 삼국과 동등한 위치로 인식한 결과이다. 다만 일본 측 기록인 『日本書紀』 등을 인용하여 加羅가 日本의 附庸國이었다고 본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사료 비판에 한계가 엿보이는 것이다. Han Baek-gyeom(韓百謙; 1552 ~ 1615) can be seen as the pioneer of the history of Gaya(加耶) study. He criticized the theory since Choi Chi-won(崔致遠; 857~?) until the early Chosun(朝鮮) period, which views Byeonhan(弁韓) as Baekje(百濟) or Goguryeo(高句麗). And he revised the location of Samhan(三韓) to the south area of Han river. Mahan(馬韓) was considered to exist in Honam(湖南) and Hoseo(湖西) regions, Jinhan(辰韓)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Gyeongsang-do(慶尙道), and Byeonhan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Gyeongsang-do. His revision of location was based on logical and various historical research. Since then, his perception of history of Gaya affects many Silhak(實學)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Yu Hyung-Won(柳馨遠; 1622~1673) recognized the history of Gaya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books of the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Lee Ik(李瀷; 1681~1763) and Ahn Jung-bok(安鼎福; 1712~1791)’s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Gaya was based on rational and tho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In the early 19th century, at the time of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Han Chi-yun(韓致奫; 1765~1814), and Han Jin-seo(韓鎭書; 1777 ~?), It can be said that history of Gaya began to be studied by scientific and empirical methodologies. And it was from this period that the history of Gaya became a part of Korean history. In Han Chi-yoon"s "Haedong-Reksa(海東繹史)", "Gara(加羅)" and "Imna (任那)" are placed in "Segi(世紀)". Although it is written in "Jesokug-Segi (諸小國世紀)", it was due to the smallness of the data. Basically, it is the result of recognizing it as the equivalent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it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by quoting the Japanese record "Nihon-Shougi(日本書紀)" and seeing that Gara was Colony of Japan.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