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송영의<황혼>에 나타난 민족 담론

        백승숙 한국극예술학회 2006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4

        This thesis intends to find the ‘nation’ discourse expressed in Twilight written by Song You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word at that time was above all, 'nation'. Therefo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oth the leftists and the rightists had a severe discourse fighting to persuade the people that they were more worthy than the other of the term, 'nation'. In this kind of discourse struggle, literature or art may be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 The Twilight by Song Young was the work that revealed the 'nation' discourse of the leftists most profoundly. Song Young made three layers of the concept, 'nation'. First is the indiscriminate union, second is the 'people' in the leftists' meaning, third, the union of the conscious people. He used these three to present the concept which he considered to be the real one. For this, he had a special strategy in representation. First, he made typical characters that corresponded to each concept. They are the pro-Japanese, the leftist, and the activist for independence. Second, he used the various tones of voices for characters. He provided the sarcastic tone for the pro-Japanese, an enlightening tone, for the leftist, and for the activist, tone of sympathy. Through all these, the writer wanted to suggest the second concept to be the real one. And he made a binary between the first concept and the second, and a third one to get a special ideological effect. Through the articulation of the leftist and the activist for independence, he tried to easily hide the pro-Japanese career of the leftists and to take the moral justification. And he wanted to construct the nation centered round leftists. 한국에서 ‘민족’의 개념은 애국계몽기 때부터 나타나고 있지만 식민지 경험과 해방이라는 사건,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 등의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그 개념이 보다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게 된 듯하다. 어쨌든, 해방기는 ‘민족’이라는 개념을 놓고, 좌파와 우파가 격렬한 담론 쟁취 투쟁을 벌였던 시기이다. 이후 우파의 민족담론은 남한에서, 좌파의 민족담론은 북한에서 지배적인 담론으로서 작동한 바 있다. 먼저 우파의 민족담론은 남한 사회의 기본 담론을 형성해오다가 70년 이후 수정을 거치면서 변화를 시도했으나 80년대 이후에는 오히려 좌편향의 오류에 빠지기도 하면서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그러나 남한에서 이러한 수정과 전환의 역사가 있었던 것과는 달리, 좌파의 민족담론은 북한에서 해방기 이후 지금까지 그 어떤 새로운 담론 생성의 기회도 얻지 못한 채 오늘날까지 북한의 주류 담론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 KCI등재

        만주, 담론의 불안, 혹은 헤테로토피아

        백승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4

        This paper is to redefine the concept of Manchuria with the play Heukryong Gang(Heukryong River) written by Yu Chijin in colonial Korea, in 1941. Heukryong Gang aimed to encourage the idea of ‘national theatre’ as suggested by imperial Japan. Yu Chijin used the binary of life/death to advocate the Korean immigrants who could not but keep their lives as peasants. It can easily be judged as a pro-Japanese work but needs to be illuminated under the light of contemporary Manchuria. We should try to find plural meanings of Manchuria instead of the typical binary. Heterotopia exists as a mirror image of Utopia. Imperial Japan had planned Manchuria as an agrarian Utopia, different from other colonies. Considering the Yu Chijin's essays on the trip to Manchuria or visiting the Korean settlements, we can find that You Chijin dreamt of an ideal agrarian community in Manchuria. You Chijin wanted to rely on the point that Manchuria was deviating from the colonial and extractive agrarian policies of imperial Japan. He saw the mirror image of Utopia, namely ‘Heterotopia’ in Manchuria. 본고는 한국문학사에서 친일문학의 신호탄으로 작용하기도 했던 만주 소재 문학작품 가운데, 흑룡강성에 이주한 조선인 농민들의 삶을 극화한 유치진의 「흑룡강」을 대상으로 하여 만주의 의미 재정립을 시도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 작품을 분석하고, 유치진의 만주 여행을 통한 만주 인식을 살펴보고, 흑룡강 소재 조선인 개척촌의 실제를 들여다봄으로써, 헤테로토피아로서의 ‘만주’개념에 다가가고자 한다. 극단 현대극장의 창립공연 작품으로서 「흑룡강」은 유치진이 ‘국민극’의 이상에 다가가고자 쓴 작품이다. 유치진은 이 작품에서 만주 땅에서 농사를 지으면서 생을 영위해 나가야 하는 조선인들의 삶의 논리와 애환을 그려내는 데 집중함으로써 만주국 건국의 정당성을 피력하고, 오족협화의 이념이 만주국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입증해내고자 했다. 즉 삶/죽음의 이항대립을 통해, 만주담론에 흔히 적용되는 정치논리로서의 친일/항일의 이항대립을 비껴가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만주 소재 문학작품이 지닐 수 있는 복수적 의미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의 일단이라고 볼 수 있다. 유치진의 만주 여행기나 만주 개척촌 답사기를 통해 볼 때, 그는 만주에서 진보된 농촌공동체의 이상을 발견한 듯하다. 실제로 당시 흑룡강 소재 조선인 개척촌의 실제를 살펴볼 때, 만주의 조선인 마을 공동체는 ‘희망의 공동체’로 인식되었던 측면이 있다. 그것은 만주의 조선인 농촌공동체가 당시 일제의 제국주의적, 수탈적 농촌정책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지점이 있었고, 그것은 헤테로토피아적으로 존재했던 것이다. 푸코에 의하면, 헤테로토피아는 유토피아를 비추는 거울 이미지로서 존재한다. 조선의 작가들은 농본주의적 이상을 재현해내고 있는 만주에서 그 가능성을 발견했던 것이다. 무엇보다도 농촌문제가 지니는 생명성, 지속가능성 등이 작가들을 고무했고, 일제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만주에 부여했던 다양한 상상력들은 조선의 작가들이 급격하게 친일로 돌아서는 데 명분을 선사해 주었던 것이다.

      • KCI등재

        염상섭의 <만세전>과 1918년 스페인독감

        백승숙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4

        The Spanish flu, which occurred during World War I and spread rapidly around the world, also struck colonial Korea. But worldwide, the Spanish flu was quickly forgotten. It was the same in colonial Korea. Among them, attention was paid to Yeom Sang-seop’s novel, <Mansejeon>, which specifies 1918 as the temporal background of the novel. This work is a representative novel among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although it has been studied a lot, it has been evaluated as a work that mainly deals with other aspects rather than a pandemic. However, this paper saw that this work was intended to hide the pandemic from the surface of the narrative and to reveal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 under the pandemic more thoroughly.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I tried to reveal the way of shaping it. The shaping method is as follows. First, Yeom Sang-seop, in <Mansejeon>, exposes the dire situation of colonial Korea, where there is no quarantine policy such as wearing a mask or keeping distance. There are hardly any novels that often depict a densely populated country through such a variety of expressions. Second, the military police or the sanitary police expose the reality of censorship that Koreans face on a daily basis. It acts as a psychological force of anxiety and fear for the colonial Koreans. Third, in this work, Yeom Sang-seop metaphors the situation of colonial Korea as a cemetery. This can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pandemic that soon swept colonial Korea. But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epidemic had been viewed more clearly as a disease rather than in a metaphorical way. The global epidemic of 1918 Spanish flu was embraced by Yeom Sang-seop into the spiritual journey of modern people towards individualism. However, this spiritualistic approach to the pandemic serves as an indicator of how far the modernity of Korea has left in the thick fog of colonialism.

      • KCI등재

        송영의 <달밤에 걷든 산길> 연구

        백승숙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9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lay, <Walking Mountain Path in the Moonlight>. This play participated in the 3rd national theatre contest by imperial Japan. And this play was written in 1945 which was the last year of colonial period. Through analysis of this play, this paper will get the materials that can comfirm his activities of liberation period and North Korea one. This play takes a rural policemen as protagonist and represents his fair personality. This is the very theme of this play. The two towns quarreling with each other because of the drought becomes reconcile through the mediation of Kim San and reaches to production increase, his daughter, Yeong Ja becomes a nurse and will go the war front. In other words, this play enlightens the uegent two needs of imperial Japan, 'production increase' and 'participating in war' to Jeseon people. Song Yeong, the playwright, wrote this play to make 'the body that can die willingly' through simple style. And, it can be presumed that the imperial nationalism of this play was changed to the play <twilight> as socialistic nationalism and connected again to the plays of North Korea. 본고는 송영의 희곡 <달밤에 걷든 산길>을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의 내적 논리와 그 담론 구조에 다가가고자 한다. 이 작품은 제3회 연극경연대회 참가작으로서 일제 강점기 중에서도 가장 최후적 시기인 1945년 작품으로서 송영의 해방 전 작품 경향을 알 수 있는 마지막 작품이다. 이 작품의 분석을 통해서 본고는 그의 해방 후 작품 활동, 그리고 월북 후 북한에서의 작품 활동과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이 작품은 일제시대 미시적 규율 권력의 담지자였던 주재소 순사를 주인공으로 하여 그의 공평무사한 인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극의 주제를 삼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반목하던 두 마을은 김산의 중재로 인해 화합하여 증산을 이루게 되고, 김산의 딸은 간호부가 되어 전쟁터로 나가게 된다. 즉 이 작품은 ‘증산’과 ‘참전’이라는 전시체제기 일제의 가장 시급한 두 가지 필요를 계몽함으로써 조선인들의 군량미 확보와 전쟁 참여를 독려하려는 목적을 드러내고 있다. 이로 볼 때, 이 작품은 송영이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복잡한 담론 전략을 구사하기보다는 ‘사실’에서 취재하였다는 미명하에 단순한 알레고리적 형식을 통해 조선인들을 ‘기꺼이 죽을 수 있는 신체’로 주조해내려는 일제의 전략을 희곡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 구사된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이 해방 후 <황혼>에서 좌파 내셔널리즘으로 바뀌었고, 이후 북한 희곡에서도 기본적인 담론 구도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함세덕 희곡에 나타난 국민국가 담론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와 <고목>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승숙 한국극예술학회 200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7

        This thesis pursu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et is Cool Autumn” and “Old Tree” written by Ham Sae-deok. Both works represent the cracks of free will/compulsion. In “Street is Cool Autumn”, the cracks are sutured by dissolution of individualism and patenalistic nationalism. And in “Old tree”, the cracks are sutured by the idea of ‘truth of the left ideology’. A pro-Japanese drama from the colonial periods, “Street is Cool Autumn” and a drama produced by the Lef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ld tree” look very different at a glance, though the former had been adapted for the latter. But, both works do not reveal the difference of colonialism and post colonialism, but instead, rather shows us identity and continuity as a mirror image of each other. The Japanese colonial discourse and the left national discours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established on the same ground. That was the very ‘making nation-state’, world-wide modernization projects. 이 논문은 함세덕의 희곡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町は秋晴れ)>와 <고목>의 비교를 통해 두 작품 사이의 연관성을 구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두 작품에는 동일하게 자유의지/강제 사이의 균열이 드러나 있다.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에서 이 균열은 개인주의의 청산과 가부장적 국가주의의 확립을 통해 봉합되어 있다면 <고목>에서 그것은 ‘좌파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진리성’이라는 틀로 이면적으로 봉합되어 있다. 식민기의 친일극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와 해방기의 좌파극 <고목>은 얼핏 보기에 이질적인 작품처럼 보이지만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것은 파시즘적 국민국가 담론이다. 두 작품은 식민과 탈식민의 차이를 드러내주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는 거울이미지로서의 동질성과 연속성이 나타난다. 일제의 식민주의 담론과 해방기 좌파의 민족 담론은 이처럼 동일한 지반 위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그 지반은 바로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세계적인 근대화 기획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송영의 <산풍>에 나타난 동양주의 담론

        백승숙 한국극예술학회 200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9

        This thesis pursue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Sanpung, the Japanese national theatre, written by Song Yeong. Sanpung was presented to “the 1st national theatre contest” held in Gyeongseong, the capitol of Joseon in 1942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play received the prize for the best production at this contest. This thesis will illuminate that how the way of discourse of Sanpung works to control, reconstitute, and suppress the people of those ti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ciousness of imaginative geography, country/urban is one of the major ideas of this play. The imaginative geography, country/urban is also one of the main concept of occidentalism. Japanese orientalism is a kind of occidentalism influenced by Germany of Europe. ‘Mountain district’, the stage of this play represents ‘the quietness’, ‘humanity’, ‘courtesy’, and ‘straightforwardnes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mother’. Contrary to this, ‘urban’ represents ‘ungenerosity’, ‘licentiousness’, and ‘money-worship’.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are ‘HaeJu Jip’ and ‘Youngja’. And ‘the Buddhism’ is also used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oriental’. Second, ‘the appropriation of Japanese orientalism through socialism’ is found in Sanpung. This play was in a state of transition between socialism and Japanese orientalism among Song Yeong’s works. He regards Japan=the oriental as the proletariat that must win because of his moral superiority. The third, Sanpung intended to represent the ‘Japanese mind’ through the aestheticization of death. In Sanpung, ‘the death of mother’ purified the people in the mountain district that had corrupted through the temptation of ‘urban’ and ‘civilization’. Song Yeong could represent the ‘pure Japanese mind’ through the ‘death of mother’. This represents that to protect Japanese(oriental) originality from the invasion of the west, the courage that is not afraid of death is needed. In conclusion, the discourse of Japanese orientalism including ‘the cult of death’ of this play contributed to give the appropriate motivation and moral authority to the people of Joseon who died in the pacific war. 본고는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 조선의 수도 경성에서 벌어진 ‘제 1회 국민연극경연대회’에서 연출상을 수상했을 뿐 아니라 당시 경성에 살고 있던 관객들의 환호를 이끌어내었던 연극 <산풍>을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이 어떠한 담론화 방식을 통하여 당대 민중들을 지배․재구성․억압하는 문화적 장치로 기능하게 되는가를 짚어보고자 한다. 첫째, <산풍>에는 시골/도시의 상상적 지리 의식이 극 전반에 포진해 있다. 이 극의 배경인 ‘산골 마을’은 한적하고, 인정 있고, 예의 바르며, 꿋꿋한 기상을 가진 사람들이 사는 곳으로 표상된다. 그 대표적 인물로 ‘모’를 들 수 있다. 이에 비해 ‘도시’는 인심이 무섭고, 성적으로 방종하고, 물신주의에 빠진 곳으로 재현된다. 대표적 인물로 ‘해주집’과 ‘영자’가 있다. 이와 같은 구도는 <산풍>의 핵심에 가로놓여 있는 심상지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극의 배경이 되는 ‘불교’ 역시 ‘동양’의 표상으로 사용된 것이다. 둘째, <산풍>에서는 ‘동양주의의 사회주의적 전유’ 과정이 발견된다. <산풍>은 사회주의자 송영이 동양주의자로 변화되어가는 과정에서 보여준 과도기적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송영은 일본=동양을 도덕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반드시 승리해야만 하는 약자 프롤레타리아트의 입장에서 사고했던 것이다. 그는 자신이 지닌 사회주의적 구도에서 서양=자본주의의 대립항으로서 일본을 사고함으로써 보다 쉽게 일본의 편에 자신을 놓을 수 있었던 것이다. 세 번째는 ‘죽음의 파토스를 통한 일본 정신의 구현’을 도모했다는 점이다. ‘도시’와 ‘문명’에 현혹되어 타락해버린 산속 사람들을 정화시킨 것은 그 무엇보다도 ‘모’의 죽음이었다. 송영은 ‘모’의 죽음을 통해 도시적 물질주의에 의해 타락하기 이전의 ‘순결’한 일본 ‘정신’을 표상해낼 수 있었다. 이는 동양과 서양의 전쟁으로 표상되는 태평양 전쟁에서 동양의 원천성을 서양의 침략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서는 죽음도 불사하는 용기가 필요함을 희곡적으로 담론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송영의 이와 같은 ‘죽음 예찬’은 곧 당대 조선인들의 태평양 전쟁 참전을 간접화법으로 권유하고, 조선인들이 황국병사로서 죽는 것에 대해 적절한 동기와 도덕적 권위를 부여한 것이 된다. 국제주의적 사회주의자 송영이 이처럼 ‘동양주의’로 넘어가게 된 데에는 조선적 특수성보다는 계급적 국제주의에 충실하고자 했던 그의 전력이 여타 민족주의자들보다는 ‘동양주의’에 접속될 가능성이 더 컸음에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세계화론의 이데올로기적 허구성 - 칼 폴라니와 맨프레드 스티거의 논의를 중심으로 -

        백승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60

        This thesis analyzed The Great Transformation(1944) of Karl Polanyi and The Rise of the Global Imaginaries(2008) of Manfred B. Steger to illuminate the ideological fictitiousness of globalization theories by Thomas Freeden and Francis Fukuyama. Polanyi regarded international gold standard system as the cause of great transformation in 1930's. And he said that the self-regulating market generated the fictitious commodities : labor, land and money and resulted in society's devastation. And He asserted that regional planned economy was needed to recover the real society embedded economy. The society will guarantee the freedom and human creativeness. Polanyi's analysis of globalization has the contemporary applicability but his pursuit of Stalin's soviet socialism is not acceptable. Steger also pointed out that globalization theory was articulated with the global imaginaries. He decontested the logic of Freedman and Fukuyama, codifiers of market globalism and revealed that market globalism is spreading the discourse of the supremacy of U.S. with the techno-economic logic.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e imperial power of U.S. a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nation state and try to grope the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 global solidarity. 본고는 토머스 프리드먼과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주장하는 세계화론의 이데올로기적 허구성을 규명하기 위해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1944)』과 맨프레드 스티거의 『글로벌 상상계의 부상(2008)』을 분석하였다. 폴라니는 19세기 국제 금본위제가 1930년대의 거대한 전환을 가져온 원인이라고 했다. 또한 자기조정시장은 결코 상품이 될 수 없는 노동·토지·화폐를 상품으로 허구화함으로써 사회를 폐허화시켰다고 보았다. 그리고 경제가 묻어 들어가 있는 본래적 사회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계획경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분석은 현재적 의의를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스탈린의 소비에트 사회주의를 대안으로 보았다는 점은 오점으로 남는다. 스티거 역시 세계화론이 이데올로기임을 지적하였다. 그는 현재의 세계화는 19세기의 내셔널 상상계를 글로벌 상상계로 번역해내는 담론적 실천을 동반하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시장 글로벌리즘의 입안자인 프리드먼과 후쿠야마의 논리를 탈논쟁화함으로써 현재의 시장글로벌리즘이 기술 경제 논리를 앞세운 미국 패권주의의 세계적 전파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세계화론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허구성을 인식하고, 국민국가가 여전히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현실 가운데서 우리의 나아갈 길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Imperial Nationalism Represented in 1940 Colonial Manchuria: An Examination of Kim Yeong-pal’s Play, Kim Dong-han

        백승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Korea Journal Vol.51 No.4

        This paper analyzes the pro-Japanese discourse represented in the play Kim Dong-han written by Kim Yeong-pal, who was a member of the Korean Artist Proletariat Federation (KAPF), a socialistic artists group. The historical figure Kim Dong-han (1893-1937) had been a prominent pro-Japanese and anticommunist political figure in colonial Manchuria, though he had spent years as a communist in the Soviet Union. An examination of the dialogue in the play reveals that the arguments for socialism and imperialism share nationalism as a common ground. In Act I, the playwright employs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to create a binary in which Joseon is conflated with Japan, while the anticolonial guerrillas represent Soviet Russia. Though first develop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s part of intellectuals’ efforts to preserve Korean independence, within four decades, the concept of nationhood had been largely coopted by Imperial Japan. In Act II, the protagonist Kim Dong-han persuades the communist leader Bi-su with “civilizational” discourse. On the one side is the abundance represented by Kim Dong-han and Manchuria, which is aligned against the poverty embodied by Bi-su and communist Russia. Such rhetoric espousing greater civilization has commonly been used by empires as ethical and universal justifications for invasion. Japan also sought to place all nations of East Asia in this mold, thus assembling an imperial nationalism.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승숙,신동열 산업진흥원 2024 산업진흥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변화과정을 행동변화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와 함께 질적연구를 통한 심층 분석을 이용한 혼합연구를 설계하였다. 양적연구는 수원시 P 구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초기치매노인 20명을 실험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질적연구는 초기치매노인 10명을 대상으로 행동변화 관찰일지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p<.001, t=-5.871을 미쳤다. 둘째,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p<.001, t=5.325)을 미쳤다. 셋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사전, 사후 변화에도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초기치매노인과 관련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등에 실효적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초기치매노인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arly dementia elderly, and to identify and discus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early dementia elderly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rough behavior change observation diary. As a research method, a mixed study was designed using in-depth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studies as well as quantitative studies on the effect of integrated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The quantitative study conducted a pre-post examination of 20 elderly people with early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in P-gu, Suwon, and the qualitative study analyzed the behavioral change observation diary of 10 elderly people with early dementia. These findings show that first, integrated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p<.001, t=-5.871). Second, integrated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p<.001, t=5.325). Third,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hanged to a positive attitude before and after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By revealing the effect of integrated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research related to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as well as providing effective information o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related to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