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포 내 아연 조절자로서 Alloferon이 세포 사멸과 자식작용에 미치는 영향

        백민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lloferon(H-His-Gly-Val-Ser-Gly-His-Gly-Gln-His-Gly-Val-His-Gly-OH) are cationic and non-toxic antiviral peptide and mostly used as antiviral agent to treat infections caused by influenza virus, papillomatosis, herpes virus and viral hepatitis. Tridecapeptide alloferon has four Histidine, which could be served as the binding site for zinc. Since we observed that intracellular zinc homeostasis may play a key roles in neuronal cell survival, we examined whether neuronal death might be attenuated by alloferon via the regulation of intracellular zinc homeostasis. First, we found that Staurosporine-induced neuronal death in mouse cortical cultures was attenuated by alloferon. In addition, zinc-overloaded neuronal death by DTDP as well as zinc-depleted neuronal apoptosis by TPEN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alloferon, suggesting the role of alloferon as regulator of zinc homeostasis. Since some reports showed that increase of intracellular zinc protect apoptosis, we next t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reduction of neuronal apoptosis by alloferon was mediated by increase of intracellular zinc levels. Consistent with this, co-treatment of alloferon and zinc chelator markedly reversed neuroprotection by alloferon against staurosporine-induced neuronal apoptosis. In addition, three hour later after 3 nM alloferon exposure to cortical cultures, noticeable augmentation of intracellular free zinc was detected by using ZinPyr-1 fluorescent dye. Since caspase activation was known to be attenuate by zinc supplementaion, we examined whether alloferon attenuated caspase-3 and -9 activation. Finally, we detected the attenuation of STSP-induced caspase-3 and –9 activation by Alloferon, and then reduction of STSP-induced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to cytosol, too. Previously, we saw that increase of intracellular zinc under sublethal range improved autophagy flux and lysosomal function. Therefore, we next examined whether alloferon enhanced autophagy flux and lysosomal function. Accumulation of LC3-puncta and p62 by chloroquine, the inhibitor of autophagy flux, noticeably diminished by alloferon. Taken together, alloferon has beneficial effects on neuronal survival by reduction of apoptosis and induction of autophagy flux which indicate a potential of Alloferon as candidate drug for neurodegen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s, Parkinson’s diseases and Huntington’s diseases. 알로페론(Alloferon)은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바이러스제로 개발되었다. 알로페론은 13개의 펩타이드(peptide)로 구성되어 있고 아연(zinc) 과 결합 가능한 네 개의 히스티딘기를 갖고 있다. 신경 세포의 생존에는 세포 내 아연(zinc) 항상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알로페론이 아연 항상성 조절자로서 세포자살과 자식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쥐 대뇌 피질 신경 세포에서 Staurosporine(STSP)로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도했을 때 알로페론이 세포 사멸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알로페론에 의한 세포자살 억제 효과가 세포 내의 아연 이온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TSP에 아연과 철(FeCl3), 구리(CuCl2)를 각각 처리했는데, 아연은 비록 알로페론보다 보호 정도는 약했으나 신경세포 생존율을 증가시켰고, 철이나 구리는 세포 생존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강력한 아연 킬레이트제(chelator)인 N,N,N',N'-tetrakis (2-pyridylmethyl)ethylenediamine(TPEN)을 STSP 및 알로페론과 함께 처리했을 때는 알로페론의 보호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알로페론의 세포자살 억제 효과는 아연 이온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알로페론에 의한 세포 내 자유 아연 이온 농도 증가 효과는 zinpyr-1 염색을 통해 한번 더 검증하였다. 그 밖에도 알로페론은 아연이온 투과담체(ionophore)인 2,2'-dithiodipyridine(DTDP)나 아연 킬레이트제인 TPEN에 의한 세포 사멸을 모두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알로페론은 세포 내 자유 아연의 양이 부족할 땐 증가시키고 과다할 땐 줄여주는 조절자로서 기능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연의 공급이 세포 자살로 인한 카스파제(caspase)의 활성화를 줄여준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에 알로페론이 아연이온을 조절함으로 인해 caspase의 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STSP로 활성화된 caspase-3가 알로페론에 의해 감소하고 추가적으로 TPEN을 처리했을 때는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caspase-3의 상위 인자인 caspase-9의 활성도 알로페론이 감소시켰다. 다음으로는 caspase-9의 상위 인자인 시토크롬 C(cytochrome c(cyto c))의 방출을 알아보고자 했고 STSP 처리 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방출된 cyto c가 알로페론에 의해 감소했고 TPEN을 함께 처리했을 때, 다시 방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즉, 알로페론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시토크롬 씨가 방출되는 과정부터 억제함으로 인해 세포자살 형태의 세포사 진행을 막아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 연구에서 아연의 공급이 자식작용의 흐름과 라이소좀(lysosome)의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알로페론이 차단된 자식작용의 흐름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클로로퀸(Chloroquine(CQ))으로 자식작용을 억제했을 때, 축적된 LC3 puncta가 알로페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됨을 현미경 관찰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서도 CQ가 autophagy를 막아서 축적된 p62의 양적 변화가 알로페론에 의해 감소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알로페론이 차단된 자식작용의 흐름을 다시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알로페론이 세포 내 아연 항상성 조절하여 cyto c의 방출을 막아 세포자살 억제 효과를 갖고 억제된 자식작용의 흐름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퇴행성신경질환의 치료제로 응용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한국 뮤지컬의 배우 양성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백민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태동한 한국의 뮤지컬은 2000년대 들어서 많은 관객들의 관심을 받으며 대중문화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2011년 현재 190여개의 제작사와 2800여명의 배우들이 활동하고 2000억원대의 자본이 유입되는 시장으로 급성장하였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뮤지컬 시장은 그 성장 속도와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양질의 배우들이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배우들을 양성해 내기 위한 제반 환경도 매우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는 소수의 스타급 배우들이 동시에 여러 작품에 겹치기 출연을 하도록 유도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작품의 흥행을 위해 실력이 검증되지 않고 무대 경험이 부족한 아이돌 스타들이 대거 유입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반면 다수의 조연급 배우와 앙상블 배우들에게는 상대적인 박탈감과 열등감에 빠지게 되는 원인 제공을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들은 자신이 가진 재능이 본인의 생각보다 외부에 저평가 되어 있고, 아울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등 제대로 된 평가 체계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서 현 뮤지컬 제작 환경 하에 제작자와 배우 간 수급의 불균형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양질의 뮤지컬 배우들을 양산해 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접근 방법으로는 미국, 일본 등 뮤지컬 산업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배우 양성 시스템과 교육 환경을 조사하고 이들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우리 나라의 현실에 맞게 접목하고자 시도하였으며 현재 국내에서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고 있는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게 된 경로와 현재 배우 캐스팅과 관련한 평가 및 오디션 시스템 등에 대한 미비점과 개선되어야할 사항을 확인하였다. 이들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하고 체계적으로 재교육시켜 양질의 배우 수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궁극적으로 수요자와 공급자간의 균형적인 시장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론을 도출하는데 연구 방향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 외에도 본 논문에서는 다른 많은 분야에서 이미 제도적으로 시행중이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재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뮤지컬 분야에 재능 있는 인재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들을 전문적으로 교육해 내는 뮤지컬 영재 교육원과 뮤지컬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실기위주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기관의 설립, 제작사와 배우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배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보다 전문적이고 실력있는 강사진 육성의 필요성과 방법론 제기 등 전문 뮤지컬 배우를 양성해 낼 수 있는 다양한 해법과 구체적인 발전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통하여 제기된 문제점들과 제시한 개선 방안들이 뮤지컬 전문 배우 양성 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한국 뮤지컬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Established in the 1960s, Korean musicals have been acknowledged as pop culture drawing public’s intensive attention since 2000, and in 2011, at present, the market shows a rapid growth boasting around 190 productions companies and 2800 musical actors with an inflow of KRW 200billion. It is true, however, that Korean musical market not only lacks high quality actors who would satisfy the market's growing speed and highly increased demand but also is under a poor condition to cultivate them. Such a problem of supply-demand imbalance has caused a few star-actors’ overlapping casting and a huge influx of the unexperienced, unproven idol stars into the musical stages, while many other supporting and ensemble actors have fallen into relative inferiorities and deprived feelings. These supporting and ensemble actors, in particular, believe that their talents are undervalued in comparison to their own estimations and the opportunities to prove their abilities are not enough, which leads them to voice their discontents with an absence of a proper assessment system. This thesis is to seek the ways to improve the problem of supply-demand imbalance between the producers and actors under a current musical producing environment, and further to cultivate the high quality musical actors. Approaching method is firstly to conduct the background researches on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actor cultivating systems of the countries such as the U. S. and Japan where the musical industries are highly developed. By analyzing the pros and cons of them, the thesis attempts to apply and adjust the results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 Also, the survey of 200 current musical actors exhibits their routes to become actors, insufficiencies and improvements related to the systems of actor casting and auditions, and so forth. In order to open a smooth path to supply the high quality actors through assessing them more accurately and re-educate them systematically,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a methodology to eventually create a balanced market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With an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in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which may be already conducted in some other fields or under consideration, this thesis raises a necessity to establish musical-specialized high schools or institutes for the gifted children, where the future musical actors can be discovered earlier and offered more professional education. Besides, various ideas and detailed improvements to cultivate professional musical actors are suggested such as establishing the professional, systematic institutes specialized in practical education, building a database between producers and actors for a smooth communication, and securing more professional, competitive trainers. This thesis hopes tha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suggested would be a help to build a system of cultivating the professional musical actors and further to contribute Korean musical industry.

      • 송강 정철의 시조 문학 교수 방법

        백민정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송강 정철의 시조문학에 대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정철의 문학은 거침없는 표현과 재치 넘치는 착상, 그리고 우리말의 빼어난 구사로 정철 문학만의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의 가사 작품들은 문학사에서 남을 만한 수작으로 가사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전시가 교육에서도 송강의 가사 문학을 중심으로 그의 문학을 가르쳐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정철은 뛰어난 가사 작품 뿐 아니라 그의 문학적 특징이 더욱 돋보이는 다양한 시조 작품들도 교육학적 조명을 받을 가치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정철의 시조들의 교육학적 의의를 살피고 그에 알맞은 학습 방안을 구상해 보았다. 먼저 현재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송강의 시조들에 관한 교육현황을 분석해 보며 정철 시조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철의 시조 문학이 시조 교육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학습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정철의 시조 문학을 교훈시조, 풍류·흥취의 시조, 이별 시조의 3군으로 나누어 시조의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정철의 시조가 교과서에서 주로 다뤄지는 「훈민가」외에도 다양한 시조 작품이 있음을 알리고 이를 통해 정철 시조만의 특질과 우수성을 생각해 보고 교육학적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분류한 3군의 시조를 각각 윤리 교육의 측면, 시조 감상의 측면, 문학의 표현 이해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교육 방안을 구상해 보았다. 시조 문학 교육이 지나치게 지식 위주로 이루어진 것을 가만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 Nuchal cystic hygroma diagnosed in the first trimester : natural history and perinatal outcome

        백민정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임신 제 1삼분기에 진단된 경부 림프물주머니의 경우, 충분한 근거를 바탕으로 산모와 가족에게 상담하고자, 자연 경과와 주산기 예후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2006년 1월 부터 2009년 12월까지 4년간 분당차병원에서 제 1삼분기(10 2/7~13 6/7주)에 목덜미 투명대를 평가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 상 경부 림프물주머니가 진단된 54례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경부 림프물주머니 진단 당시 임신 1삼분기 초음파 검사에서 격벽의 유무도 같이 진단하였다. 경부 림프물주머니가 진단된 환자에게는 핵형 분석(융모막검사, 양수 검사) 및 정밀초음파를 권하였고, 임신을 유지한 모든 산모에게서 임신과 주산기 예후를 평가하였다. 또한, 격벽 유무에 따른 예후도 비교 및 평가하였다. 결과 : 4년간 목덜미 투명대 평가하기 위한 산전 초음파를 시행한 9,443명의 환자 중 54(0.57%, 1:175)례에서 림프물주머니가 진단되었고, 이 중 격벽이 없는 경우는 23(42.6%)명이며, 격벽이 있는 경우는 31(57.4%)명이었다. 진단당시 평균 제태연령은 11 5/7주였으며(10 2/7-13 6/7), 이들 중 17명은 추적 관찰되지 않았다. 남은 37명중 1례에서는 핵형분석을 시행하기 전에 13주에 유산되었으며, 36례에서는 핵형분석을 시행하여 10례에서 비정상 핵형을 보였고, 격벽이 없는 경우는 15례 중 2례(13.3%)에서(trisomy 21(1, 6.7%), trisomy 18(1, 6.7%)), 격벽이 있는 경우는 21례 중 8례(38.1%)에서(trisomy 21(3, 14.3%), trisomy 18(2, 9.5%), 터너 증후군(1, 4.8%), trisomy 13(1, 4.8%), trisomy 22(1, 4.8%)) 비정상 핵형을 보였다. 정상핵형을 보이는 26례 중 6례(23.1%)에서 정밀초음파상 주요기형을 보여, 경부 림프 물주머니가 진단된 36례중 16례(44.4%)에서 비정상 핵형이나 주요 태아 기형을 보여, Down 증후군이 진단된 1례를 제외하고 15례에서 임신 종결을 결정하였다. 정상 핵형 및 정밀초음파상 이상소견이 없었던 경우 중 1례에서 24주에 자궁내 태아사망되어, 13주에 유산된 경우를 포함하여 2례(5.4%)에서 자궁내 태아사망을 보였다. 결국, 37례 중 19례에서 정상핵형을 보이면서 주요 기형 없이 건강하게 만삭 분만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경부 림프물주머니가 임신 1삼분기에 진단된 경우 태아의 예후가 이전의 연구에서처럼 좋지 않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격벽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에 비해 더욱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인다. 그러나, 유병률이나 예후가 이전 연구와는 상당히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 1삼분기 태아 목덜미 투명대에 대한 초음파가 보편화되고, 이후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는 림프물주머니까지 조기에 진단되면서 기존의 연구 결과에 비해 유병률은 높아지고, 예후도 이전 연구보다는 개선되어 보여 이에 대한 자연경과 및 주산기 예후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핵심되는 말 : 경부림프물주머니, 격벽, 산전 초음파, 주산기 예후 Objective: To estimate natural history, perinatal outcome of nuchal cystic hygroma diagnosed in the first trimester in Korea in order to counsel parents for fetal outcome on the basis of sufficient evidence. Methods: 54 cases (0.57%) of nuchal cystic hygroma, who were performed antenatal scan at 10 2/7~13 6/7 weeks of gestation in a 4-year period,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9 in Bundang CHA Hospital, were enrolled. The type of cystic hygroma, septated or nonseptated, was diagnosed at the initial targeted ultrasound performed in the first trimester. After the diagnosis of nuchal cystic hygroma was made, patients were offered fetal karyotyping by chorionic villus sampling or amniocentesis, and targeted fetal anatomical and cardiac evaluations by ultrasonography. All ongoing pregnancies were followed up for pregnancy and pediatric outcome at least 1 year after birth. Cases of septated cystic hygroma were also compared with cases of nonseptated cystic hygroma. Results: There were 54 (0.57%, 1 in 175) cases of cystic hygroma among 9,443 patients. There were 23(42.6%) nonseptated and 31(57.4%) septated hygromas. Among of them, 17 cases were lost to follow-up.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was 11 5/7weeks (range 10 2/7–13 6/7). In one of remaining 37 cases, spontaneous fetal demise occurred in the 13th weeks before invasive karyotype analysis. Out of 36cases, who underwent prenatal invasive diagnostic procedures, 10cases (27.8%) had abnormal karyotypes. In the nonseptated group (n=15) there were 2(13.3%), and in the septated group (n=21) there were 8 (38.1%) cytogenetic abnormalities. The abnormal karyotypes were as follows : in the nonseptated group : Trisomy 21 in 1 (6.7%) and Trisomy 18 in 1 (6.7%), in the septated group : Trisomy 21 in 3 (14.3%), Trisomy 18 in 2 (9.5%) Turner syndrome (45,XO) in one (4.8%), Trisomy 13 in one (4.8%) and Trisomy 22 in one (4.8%) patient. Major structural fetal malformation were diagnosed in one of fourth of these remaining cases (6of26,23.1%). Overall, 44.4% (16of36) of all cases of nuchal cystic hygroma were diagnosed with either chromosomal or major structural fetal abnormalities. 15 pregnancies were terminated (9cases with abnormal karyotypes, 6 cases with structural malformation and normal karyotype). Spontaneous fetal demises occurred in 2 patients (5.4%). Among 37 cases with nuchal cystic hygroma diagnosed in the first trimester, 19 women with eu karyotype (51.4%, nonseptated type : 10/15, septated type : 9/22) gave birth at term to healthy newborns, without any visible neck lesion. Discussion: First trimester sonographic diagnosis of cystic hygroma still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worse fetal outcome (abnormal karyotype(27.8%), intrauterine fetal demise(5.4%) and major structural abnormalities(16.2%)). Also, septated cystic hygroma has more strong prenatal association with aneuploidy, worse outcome compared with nonseptated cystic hygroma. However, in the incidence, pregnancy or pediatric outcome,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prior studies. Considering widespreading of nuchal translucency sonography and early diagnosis of cystic hygroma which can be resolved later, reevaluation of natural history, prognosis including antenatal and perinatal outcome is necessary.

      • 고등학교 음악 교과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활용한 감상수업 연구

        백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과정중심평가를 중요하게 제시함에 따라 음악 교과에서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과정중심평가가 활용된 감상영역 지도안을 개발하여 내용이 타당한지, 그리고 현장에서 수업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음악감상 교육의 수업모형부터 과정중심평가가 적용된 음악 교과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지도안은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성취수준에 적합한 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과정중심평가 방법을 별도로 기록하고 수업형태, 수업매체, 지도상의 유의점을 명시하여 수업의 세부적인 사항을 안내하였다. 지도안의 내용은 서양음악과 한국음악의 주제를 각 4개씩 총 8차시를 구성하여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서양음악은 르네상스 시대의 기점이 되는 영국의 ‘포부르동’과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음악 양식 ‘오페라’를, 한국음악은 국악의 대중적인 장르인 ‘판소리’와 ‘민요’를 주제로 하여 단순히 음악을 듣는 것 이상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음악적 가치를 판단하기까지에 이르는 수업 활동을 설계하였다. 이후 현직 음악 교사 4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와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증받았다. 검증 방법은 설문지와 면담을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선택형과 서술형으로 분류하였다. 선택형은 내용 타당성과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모두 ‘그렇다’ 이상의 점수를 받았고, 서술형은 장점과 보완할 점 그리고 제언할 점으로 구성하여 지도안 개발의 완성도를 높이는 답변을 얻었다. 면담은 지도안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더불어 음악 교과 지도 시 필요한 점들을 살펴보았다. 지도안의 검증 결과에 따라 과정중심평가가 음악 교과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감상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가창, 기악, 창작 영역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be applied in the music subject as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centered on achievement standards wa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eneral.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 plan of the appreciation area to which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was applied to find out whether the content is valid and whether it can be taught in the field. Prior to proceeding with the study, the preceding study of the music subject to which music listening education was applied from the teaching model to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o prepare a teaching plan. The teaching plan suggested learning goals appropriate for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method was separately recorded, and the details of the class were guided by specifying the class type, class medium, and instructional points. The contents of the map were composed of eight poetry poems, each of four themes of Western music and Korean music, to pursue diversity. Western music is more than simply listening to music with the theme of ‘Fauxbourdon’ in the UK,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naissance period, and ‘Opera’, a typical music style in the Baroque period, and Korean music with the theme of ‘pansori’ and ‘folk songs’, the popular genr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 designed class activities from understanding concepts to judging musical values. Subsequently, the content validity and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were verified by four current music teachers. As a verification method,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and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a selection type and a description type. In the case of the question of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the selection type received a score of “Yes” or higher on the basis of the Likert scale in answering questions about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The narrative type was composed of merits, points to be complemented, and points to be suggested, and answers were given to increase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teaching plan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teaching plan, the interview looked at the points needed for teaching the music subject.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s in the teaching pla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can be applied to the music subject, and the direction of how to effectively use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in the appreciation class was presented. Sub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were needed to be used in the singing, instrumental, and creative fields.

      •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백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의 분리-개별화와 진로미결정이 상호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돕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진로미결정척도와 분리-개별화척도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척도로 구성된 동일한 설문지를 가지고 2009년 4월부터 5월에 걸쳐 서울 소재의 4년제 대학교 4곳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이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는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분리-개별화는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분리-개별화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진로미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도울 때,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이루어지고, 스스로 해낼 수 있음에 대한 효능감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진로미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성별에 따라, 학년에 따라 서로 다른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separation- individu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541 undergraduates at the 4 universities in Seoul.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and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Based on the findings, there are some clinical suggest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improve career indecision and self-efficacy when university students suffer from career indecision. Second, a different psychological help should be offered to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sex and grade.

      • 조각깔따구(Glyptotendipes tokunagai : 깔따구과, 파리목)의 온도별 발육과 계대사육

        백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amily Chironomidae (non-biting midges) inhabits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Larva of Glyptotendipes tokunagai Sasa (Insecta: Diptera: Chironomidae) inhabit diverse freshwater habitats including polluted urban streams. In this study, G. tokunagai had successive rearing in laboratory and egg hatching and larval development were experi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to develop new indicator. Part Ⅰ was conducted for successive rearing in the laboratory. The number of adults and egg masses were checked every 24 hours. The number of eggs in an egg mass, and the hatching rate (%) of each generation were observed. The larvae were measured the head width and length at each instar, and the adults of each generation were measured the head width, thorax width, wing width, wing length, and body length (mm). As a result, the successive rearing of more than 11th generations had progressed during 18 months (from April 2007 to September 2008). This study presented the results until sixth generation on July 2008. The number of adults was the most at third generation, and the number of egg mass of fourth generation was the most, The sex ratio of emerged adults was estimated to be 0.24~0.46 (female/total adults) at all generations. In both first and second egg masses, the number of eggs in an egg mass was decreased as progressed from first to sixth generation. The hatching rate of egg was higher than 80% at all generations. The sizes of measured adults were decreased as the generations progressed. There was maintaining the population has fine breeding at 11th generation and also next generation. Part Ⅱ was measured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to acquire basic data on the environmental and life history adaptations of the species. The egg masses were incubated at fifteen different temperatures ranging 8-42℃ (in 2 or 3℃ intervals). The larval development was experimented at six different temperatures, ranging 15-40℃ (in 5℃ intervals), under a photoperiod of 16:8(L:D). As a result, the egg hatching time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rom 10 to 35℃. The highest egg hatching rate was observed at 30℃ (99.12±1.47%), whereas the lowest rate was at 10℃ (84.5±11.09%). Eggs were not hatched at 8 and 42℃. The developmental rate increased gradually with temperatures from 10 to 35℃, and the developmental rate was highest at 35℃. The lower thermal threshold temperature for egg hatching of G. tokunagai was estimated as 9.3℃. The larval emergence rate was highest at 30℃ (80.6%) and lowest at 15℃ (22.2 %). The egg hatching was observed at 40℃, but hatched larvae were not survived to next stage. At each temperature, male larvae developed into adults faster than females. Also, developmental times for both males and females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developmental rates of males and females were the highest at 30℃, and the lowest at 15℃. However, G. tokunagai became smaller sizes (final larval head exuvium width and length, pupal exuvium length, adult head width, thorax width, wing width and length, and body length) as the temperature increase from 15 to 35℃. The estimated lower thermal threshold temperature for male and female were 11.4℃ and 10.4℃, respectively. This wide thermal adaptation in egg hatch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G. tokunagai is advantageous for various environmental studies, such as toxicity tests. 하천생태계에 서식하는 파리목 깔따구과(Chironomidae)는 오염도가 심한 도시하천에서도 다양한 종과 높은 개체수를 유지하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수서곤충으로, 오염물질이 하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오염된 하천에서 우점하여 서식하는 조각깔따구를 수서생태계의 새로운 토착 수질지표종 또는 독성실험종으로 개발하기 위해 실내에서 계대사육을 실시하였으며, 사육조건의 확립을 위하여 조각깔따구의 알과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Part Ⅰ 조각깔따구의 사육 결과 2007 년 4 월부터 2008 년 9 월까지 11 세대 이상의 계대사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2008 년 7 월까지 진행된 6 세대까지의 사육결과를 수집·측정하여 제시하였다. 우화한 성충의 수는 제 3 세대에서 성충이 1,634 개체로 가장 많이 우화하였고, 이 세대의 성충이 산란한 제 4 세대의 알집이 486 개로 가장 많았지만, 다음 세대부터 우화한 성충의 개체수와 알집 수는 점점 감소하였다. 우화한 성충의 성비(암컷 개체수/전체 개체수)가 0.24~0.46 범위를 나타냄으로써 암컷보다 수컷의 우화한 개체수가 모든 세대에서 더 많았다. 각 세대에 따른 알은 1 세대에서 6 세대로 진행될수록 첫 번째 알집과 두 번째 알집 모두 알집당 알의 수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의 부화율은 세대에 따른 특성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첫 번째 알집은 전 세대에서 80% 이상의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측정된 성충의 크기는 세대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조각깔따구의 사육 조건은 공간의 크기에 민감하며, 11 세대가 지나는 시점에서도 비교적 번식력이 양호한 개체군이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깔따구류의 야생종을 순화하여 실내 계대 사육을 시도한 최장기간(11세대)의 기록이다. Part Ⅱ 온도에 따른 조각깔따구의 알과 유충의 발육실험 결과 알의 부화시간은 온도가 10℃에서 35℃로 상승함에 따라 252.7±6.2 시간에서 22.8±3.2 시간으로 감소하였으며, 이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부화율은 30℃에서 99.12±1.47%로 가장 높았으며, 10℃에서 84.5±11.09%로 가장 낮았고, 8 ℃와 42℃에서는 부화하지 않았다. 발육율은 온도가 10℃에서 35℃로 상승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5℃에서 0.045±0.0079 로 가장 높았다. 조각깔따구 알의 부화임계온도는 9.3℃로 추정되었다. 유충의 발육 결과, 우화율은 30℃ 에서 가장 높았으며 (80.6%), 15℃에서 가장 낮았다(22.2%). 실험된 5 개의 온도조건에서 수컷 유충은 암컷 유충보다 성충으로 우화하는데 걸리는 기간이 짧았으며, 수컷과 암컷 유충 모두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졌다. 수컷과 암컷 유충의 발육율은 30℃에서 가장 높았으며, 15℃에서 가장 낮았다. 측정된 유충의 머리 폭과 길이, 번데기 탈피각의 최장길이, 성충의 머리 폭, 가슴 폭, 날개 폭, 날개 길이, 및 체장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크기가 줄어들었다. 수컷과 암컷의 저온임계온도는 11.4℃와 10.4℃로 추정되었으며, 알과 유충의 사육시 적정 온도는 25~30℃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조각깔따구는 새로운 토착 지표 생물종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폴리벤즈옥사졸 전구체인 폴리히드록시아미드의 합성 및 특성분석

        백민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안전문제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고성능 섬유소재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고성능 섬유 (high performance fiber)는 일반 범용 섬유보다 높은 강도, 탄성률, 내열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로서, 우주·항공, 전자·반도체, 자동차, 조선·해양, 토목·건축, 생물·바이오, 환경·에너지, 나노, 군사, 스포츠·레저 등 각종 산업의 핵심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 되고 있는 추세이다. Table 1은 대표적인 고성능 섬유인 아라미드 (aramid), 탄소섬유 (carbon fiber), 폴리벤즈옥사졸 (polybenzoxa -zole, PBO),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의 물성을 steel wire와 범용고분자인 polyester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이중 PBO는 1970년대 말 Stenford Research Institute (SRI)가 발명한 특허를 미국의 Dow Chemical이 매입해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1991년 섬유화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해온 Toyobo가 Dow가의 철수에 따라 제조 권리 모두를 매입함으로서 PBO섬유 ZylonⓇ인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1998년부터 Toyobo에서 독자적으로 양산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유일하에 상업화 되고 있으며, 내열자재, 고무보강, 소방복, 로프 및 복합재 분야 등에서 광범위한 응용이 전개되고 있다. PBO는 헤테로 고리 방향족 고분자 (heterocyclic aromatic polymer)로서 벤젠고리와 헤테로 고리의 규칙적인 반복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PBO의 구조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PBO는 유기 고분자 중 내열성이 가장 우수하며, 강도 면에서는 아라미드의 두 배 정도의 성능을 가지면서 탄성률은 탄소섬유 수준이고, 내화학성 및 내 가수분해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PBO는 강직한 구조적인 특성상 용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강산인 (sulfuric, methanesulfonic, triflic, and polyphsphoric acids)과 같은 일부 강산에만 용해가 되기 때문에 장비 부식과 생산설비의 어려움, 낮은 용해성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합 후 석출된 상태에서는 성형 및 가공이 어렵고, 섬유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합된 액정용액을 기반으로 기격습식방사법으로만 섬유제조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로의 적용에 제한이 따른다.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 Kantor 박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은 PBO의 전구체이면서 PBO에 비해 용해성이 뛰어난 방향족 polyhydroxyamide (PHA)를 이용하여 불 속에서 PBO로 전환될 때 방출하는 화학물질로 PBO의 내열성을 제고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PHA는 두 개의 hydroxy기를 갖는 방향족 diamine과 방향족 acid dichloride를 유기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얻을 수 있으며, 극성 유기 용제에 잘 용해되어 성형성이 우수하고, 내열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섬유와 필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정한 온도이상에서 열적 고리화 반응 (thermal cyclization)에 의해 PBO로 구조가 전환되므로 궁극적으로는 PBO와 동일한 내열성을 갖게된다. 또한, PHA의 고리화는 ortho 위치의 히드록시기가 카르보닐기를 친핵성 공격함으로써 시작한다고 볼 수 있으며, PBO로의 구조 변환 시 흡열반응을 동반하면서 물 분자와 같은 소화 물질 (extinguished material)을 방출하여 화재를 지연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PHA는 그 자체로서도 고성능 섬유재료로 매우 유망할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PBO로 전환되는 성질을 이용한다면 강산을 사용하지 않고도 PBO 섬유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PHA는 고온에서 PBO로 전환되어 에너지측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파라계 PHA의 경우 그 구조적인 특성상 용해도가 좋지 않아 많은 연구자들은 그 구조를 변화시켜 가공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 변화는 주로 방향족 폴리머 고유의 특성인 높은 열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분자 주쇄에 bulky한 펜던트를 도입하여 고분자 본래의 특성을 유지 하면서 가공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mai 등은 벌키한 특성을 갖는 플루오르기가 도입된2,2-bis[4-(4-aminophenioxy)phenyl]hexafluoropropane을 단량체로 이용하였으며, Miyazaki 등은 술폰기가 도입된 3,3‘-diamino-4,4’-dihydroxydiphenyl- sulfone을 단량체로 이용하여 PHA를 합성하여 용해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Tg를 감소시키는 연구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할로겐족 중 분자의 크기가 작아 고리화가 용이하고 방염성을 줄 수 있는 불소화합물 펜던트를 주쇄에 도입한다면 직선상의 구조완화 및 고분자 packing 현상을 감소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키면서 고리화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할로겐족 중에서도 분자의 크기가 작아서 고리화에 용이한 불소화합물을 갖는 2,2-Bis(3-amino-4-hydroxylphenyl)hexafluoropro -pane (BAHHFP)를 단량체로 선택하여 저온 용액 축합 방법으로 PHA 및 BAHHFP 함량별 PHA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이를 도프로 제조한 뒤 습식방사법을 통해 섬유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PHA 및 PHA 공중합체 섬유의 열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