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KBS 텔레비전 교양 피디의 직무와 직업 정체성

        백미숙(Misook BAE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0 No.4

        이 연구는 제작현장의 경험을 중심으로 1970년대 KBS 교양 피디의 직무 내용과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했다. 1970년대 텔레비전 피디는 경제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선망받는 직업은 아니었다. 오랫동안 편성과 영화의 하부로 남아있던 교양은 흔히 정책 계몽 프로그램의 정치적 수요, 그리고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7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된 것으로 서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모든 변화의 흐름에서 실천적 주체는 교양 피디임을 주장하고 있다. 교양 피디들은 영화 피디들의 필름 다큐멘터리 제작을 보조하며 스스로를 전문가로 훈련했고, 필름으로부터 마그네틱테이프 레코더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교양을 특화된 전문 영역으로 독립시켜 제작의 주체로 등장했다. 척박한 제작환경에서 ‘잔뼈가 굵어가며’ 키워왔던 “프로그램을 만드는 DNA와 정신”은 교양 피디들이 직무 전문성을 키우고 자기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이었다. 그러나 70년대 교양 피디들은 압도적 국가의 헤게모니 안에서 기술과 제작의 ‘전문성’을 공급하는 도구적 위치를 벗어나기 어려웠다. 당대 한국 사회의 전 영역이 그러했듯이 피디집단 역시 체제가 부여한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고, 프로그램을 더 잘 만들기 위한 노력과 경쟁이 유일한 자율적 실천이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KBS 교양 피디들은 공무원으로부터의 구별짓기와 상업방송과의 구별짓기라는 두 가지 전략으로 전문 방송인으로서 직업 정체성을 형성했다. 그러나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윤리적 실천 규범은 개인의 도덕성 문제에 머물렀고, 방송의 공공적 책무는 상업방송과 대비한 소극적인 정당화에 그치고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onal process of KBS PD’s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1970’s, focusing on everyday work and workplace for program production. In terms of salary and social-cultural status, a television PD was not a desirable occupation in the 70’s. Since the beginning of radio broadcasting, production of culture and education programs had been sub-categorized under Programming Division. Also, it has been claimed in several researches that in the 70’s, the production of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had visibly grown owing to the political necessity of policy PR and campaign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broadcasting equipment and technologies for producing the mentioned political campaign program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main force that led to such developments was the cultural practices and the production spirits of the KBS PD’s. These PD’s trained themselves in production workplace from the bottom by assisting film directors and learning from cameramen about the film making and post-production process. Moreover, in the transitional phase from film to magnetic tape recorder, they established themselves as main subjectivities of production by developing Division of Culture and Education as a specialized and independent sector. The “program production spirit and DNA” that evolved from the experiences of working in poor production environment served as a force for developing professional and self identity. However, the culture and education PD’s of the 70’s were still tied down to the limited roles of simply providing technological and productional ‘professionalism’ within the hegemonic structure of the strong state. As with the members of any other social domain at the time, PD’s had restricted roles to play and putting in effort and competing to create better programs was the only ‘freedom’ that was allowed. This study argues that under such condition, KBS PD’s implemented two strategies to construct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ies: one wa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fficial broadcasters, and the other wa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ommercial broadcasters. Unfortunately, ethical practice as a professional became nothing more than an issue of personal morality and broadcasting’s public responsibility was lost under the shadows of commercial broadcast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960∼1970년대 주부 교양프로그램과 텔레비전의 젠더 정치

        백미숙(Misook BAE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언론과 사회 Vol.23 No.4

        이 연구는 1960∼70년대 국가 주도 근대화 기획이 주부를 근대화의 국민으로서 호명하고 동원하는 방식을 텔레비전 주부대상 교양프로그램 편성의 역사를 통해 조명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1960∼70년대 주부대상 프로그램들은 다양하게 변주된 현모양처 담론을 통해 어떻게 주부들이 근대화의 가부장적 문화논리에 자발적으로 동원되었는가를 보여주었다. 둘째, 주부화 담론이 지배담론으로 공고화되는 가운데도 1970년대 중반 등장하는 주부토론 프로그램과 주부퀴즈 프로그램은 사회 전반에 가시화되기 시작한 탈주부화 욕망의 징후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셋째, 유신체제의 텔레비전 ‘가족시간대’ 정책은 탈주부를 ‘재가정화’ 하려는 젠더 기획이었다. 정권과 남성 지배엘리트는 탈주부화의 징후를 근대적 가부장제 질서, 근대화의 가부장 논리에 파열음을 내는 위협으로 인식했고, 이에 따라 주부교양 프로그램은 근대적 가족이데올로기를 소환하는 가족시간대 프로그램으로 대체됐다. TV의 가족화 정책은 탈주부화의 징후가 텔레비전에 전면화되기 전에 이를 무화하고, 주부를 가족의 화목과 안식, 명랑하고 즐거운 가정 분위기를 수행하는 주체로 재가정화 했다. 이는 ‘건전하고 명랑한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국가통치의 기본 원리로 작동했다. 요약하면, 이 연구는 주부 프로그램 편성의 역사와 유신체제가 강제한 ‘가족시간대’ 정책을 근대화의 가부장제 문화 논리가 수행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서 분석하고, 근대화 기획에서 젠더가 배치됐던 정치성을 밝혔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history of television’s culture and information programs targeting on housewife in 1960s∼1970s, in order to reveal gender politics of television under ‘modern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Park Jung Hee reg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e followings. First, the discourse of TV’s culture and information programs targeting on housewife had deployed the diverse “hyeonmo-yangcheo”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deology and it was able to mobilize housewives voluntarily pursuing cultural logics of patriarchal modernization project. Second, even though TV’s housewife discourse became dominant, women’s debate programs and women’s quiz programs in the times represented desires and symptoms of post-housewives, who attempted to escape ‘women’s place’ at home and other internal principles. Third, the Park Jung Hee Regime and male elites were threatened by these symptoms of post-housewives, which was cracking the modern patriarchal hierarchy norms and logics. Eventually, they forced to repeal women’s programs and replace family programs by mandating ‘family hours’ as a way of validating Yusin Regime. This familization of TV policy was to re-domesticate housewives desiring to speak as individual subjects. This policy played as operational principles for pursuing ‘healthy and cheerful family system’ as a foundation to promote atmosphere of ‘healthy and cheerful society’ in the Yusin Regime.

      • KCI등재

        미국 근대 방송제도의 역사적 성립과 '시민라디오'의 실험, 1919~1922

        백미숙(Misook Bae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4 언론과 사회 Vol.12 No.2

        이 논문은 1919년 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22년 초 이른바 ‘방송붐’이 막 일어나기 시작하던 시기 동안 등장했다. 사라진 ‘시민라디오’(Citizen radio)의 역사적 의미를 복원하였다. 즉, 전문가가 만들고 다수의 수용자가 청취하는 일방향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근대 방송형태가 확립되기 이전의 역사적 과정에서, 라디오 아마추어 공동체가 당시의 혁명적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사용했는가와 그것이 가졌던 잠재적 가능성은 무엇이었으며 실패한 이유는 무엇이었는가를 밝히고 있다. 시민라디오의 실패의 경험은 기술 자체의 능력보다도 제도적 조건과 사회적 사용형태의 결정이 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그리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통해 실천되는 사적 경험과 말의 교환이 가지고 있는 민주적 잠재력과 해방의 힘이 과연 있는가의 질문을 던지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recover the historical meaning of 'Citizen Radio', which declared its existence and purpose in 1919 and was defeated around 1922. A cultural community of radio amateurs, which was originally formed for telegraphic transmission activities, developed radiophone broadcasting after the amateurs had come back from the World War I with new skills and radio devices. The technological skills and radiophone activities of the radio amateurs became rapidly popularized and brought up radio boom (or broad-boom) around the spring of 1922. Their broadcasting activities were the forerunner of the U. S. modern (commercial) broadcasting.<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sion, practice, and historical meaning of citizen radio as one of the significant social determinants of the U. S. early broadcast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s to scrutinize how the amateurs developed the form of social use of the radio technology and what its democratic potential was. The radio was the revolutionary two-wa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ory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1910s and 1920s, which was compatible with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nternet in the present. By examining the defeated potential of citizen radio as a two-way participatory medium, this study rejects the ahistorical and technological deterministic view that describes modern form of one-way commercial broadcasting as a very natural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U. S.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citizen radio offers that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the determination of forms of social use of radio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apacity and potential of technology per se to develop radio for fulfilling people's democratic life. It also raises questions: What was the democratic and emancipatory potential of communicating personal and emotional experiences with others via two-wa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s it out there really?

      • KCI등재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주의/젠더 연구’의 지식생산

        백미숙(Misook BAEK),이종숙(Jongsook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4

        이 글은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에 관한 지식’이 어떤 것들이며 여성주의적 관점이 어떻게 편재되어 있는가, 그리고 이것이 주는 함의가 무엇인가에 대한 메타분석의 하나다. 이를 통해 언론학 연구자들의 전공영역과 학문적 관심이 여성주의/젠더에 대한 관심과 ‘타협’할 수 있는 지점,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에 여성주의/젠더 시각이 개입할 수 있는 영역들을 찾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또한, 여성주의/젠더 연구가 여성학자들 끼리 전유하는 소수의 관심사가 아니라 언론학의 지식생산과 인식론에 기여하는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주의/젠더 연구의 위치는 주변부적인 취약함을 보일 뿐 아니라 양적으로도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연구의 경향성에서는 정형화와 반복 재생산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다루면서, 2세대 여성주의에서 포스트페미니즘까지 폭넓은 인식론적 관점을 수용하고 있었지만 결론적으로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성주의 재현의 정치학이 가장 첨예하게 발현되는 문화연구에서는 텍스트 중심의 재현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여성 주체적 지식생산을 위한 여성주의 글쓰기와 역사쓰기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었다. 또한, 한국 언론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증주의적이며 경험주의적인 연구들은 2세대 여성주의 관점을 수용하여 여성을 첨가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었지만 분석결과에서 매우 부분적으로나마 남성중심의 지식생산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경험주의 연구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여성주의/젠더 연구가 문화연구와의 접점에서 여성주의 이론과 정치성에 천착하며 다양한 연구성과를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 과제며, 이를 통해 한국 언론학의 학문적 지평이 더욱 넓어지고 풍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forms of ‘feminist knowledge’ have been produced and circulated in the discipline of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to the interdisciplinary knowledge production.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methodologies and epistemological bases on which feminist/gender studies published in five major communication and media journals have conducted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Overall feminist/gender studies have adopted diverse perspectives, ranging from the second wave feminism to post-feminism, however, they revealed the limitations that their conclusion was converged into the critiquing the patriarchal ideology. In particular, the positivist and empiricist approaches as a dominant paradigm in these areas have not advanced much from the stage of just adding women to the analysis. Nevertheles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nalysis have indeed shown partially the possibility for enhancing analytic capabilities in feminist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through feminist empirical research. On the other hand, cultural studies has extended its research spectrum. It not only focuses on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but also draws attention to the ways women enter the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through such a way of feminist writing and embraces the approaches of feminist historians. It is expected that the attempts of cultural studies scholars to incorporate feminist theories into its research tradition will broaden academic horizon of communication and media areas.

      • KCI등재

        '성주류화' 정책과 여성 미디어워치의 새로운 모색

        백미숙(Misook Baek),유선영(Sunyoung Yo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4 No.-

        이 글은 1995년 UN 북경세계여성대회가 채택한 성주류화 정책의 주요 전략의 하나 인 여성 미디어워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의 세 가지를 다루고 있다. 첫째, 글로벌 거버넌스의 수준에서 UN이 여성의 지위와 권리 향상을 위해 추진해온 정책의 변화를 검토했다. 성평등 정책의 기획과 실행이라는 거시적 맥락에서 여성 미디어워치가 가지는 실천적 의미와 필요성을 귀납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성주류화 개념의 이론적 실천적 쟁점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셋째, 해외 여성 미디어워치 단체의 모니터링 사례를 실천적 맥락에서 검토했다. 분석결과로는 모니터링 과정에서 성 차별 분석에 중점을 두는 여성주의 관점이 여성들의 불평등한 지위를 개선하기 위한 보상적 목적을 넘어, 젠더 관계의 개혁을 통한 남녀평등 주류화로의 질서전환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제시했다. 이로부터 이 글은 전 지구적 미디어 모니터링 프로젝트와 미디어 개혁운동과의 연대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women's media watch, which is employed as one of crucial strategies for 'gender mainstreaming' policy. UN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held in Beijing in 1995 adopted gender mainstreaming as a new paradigm for gender equality. This paper deals with three major point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 this paper examines UN's policy development, which promotes the empowerment of women's status and rights. This reveals inductivel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women's media watch in the broad view of planning and practicing the project of gender equality. Second,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concept of gender mainstreaming. This intends to inquire the changes of viewpoints and focuses in monitoring gender description of media when the critical discourse on sexual discrimination and patriarchy has been trans formed to the discourse of gender equality mainstreaming. Third, oversea women's media watch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ies are reviewed for the purpose of gaining practical seconded¬experiences and seeking for possibilities of global solidarities to achieve the goal of the Beiing project. Based on these three points, this paper presents the tasks of participating in global media monitoring projects and organizing activities at both domestic and global level.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