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영화의 존재론 :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백문임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3 No.-

        This study analyses the concept of "Film as Art" in Im Hwa's article of "On Chosun Cinema" in 1941 as a strategy to intervene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controlling the colonial film industry during the wartime. The Regulation of Chosun Film, activated in 1940 following the enactment of Japanese Film Law in 1939, foresees the active control on Chosun cinema with the slogan "improve the film quality and reorganize film industry to support the national culture." Here the film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icient and specific weapon to enlighten the mass public. Responding to this, Im Hwa tries to examine the ontology of Chosun cinema as art, which is in the same cultural status as other artistic genres such as literature and theatrical plays. In "On Chosun Cinema," he examines the “creation” process of Chosun cinema, suggesting that cinema is developed as an independent artistic form from the beginning in Chosun. Im Hwa explains the delayed film production in the first two decades as "the transplantation process through spectatorship," and equates it with other artistic genres’ transplantation process through imitation. By this, he is able to explain the specific development of cinema in Chosun, and clarifies the heterogeneity of Chosun cinema that is not subordinated to western films. Moreover, Im Hwa analyzes the specific environment of Chosun cinema as independent from the capital and its control, and underscores the cooperation of the cinema with adjacent genres such as literature and theatrical plays. In the situation for Chosun cinema of being reduced to propaganda, Im Hwa tries a discursive intervention by verifying the ontology of Chosun cinema. 본 논문에서는 「조선영화론(1941)」에서 임화가 규명하려고 한 조선영화의 '예술'적 성격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조선영화령과 법인 조영의 설립으로 이어지는 전쟁기 영화 통제 상황에 대한 개입의 산물이었음을 규명하였다. 토키 시대에 들어서 조선영화의 예술적 가치가 운위되고 기업화가 추진되던 무렵, 조선영화령은 [국민문화의 진전에 자(資)키 위하여 영화의 질적 향상을 촉(促)하며 영화사업의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는 것]를 목표로 내세우며 조선영화를 과거와 같이 소극적인 '취체'의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인 '통제'의 대상으로서 선포했다. 여기에서 영화란 대중을 황국신민으로 계몽할 수 있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무기로 간주되었는데, 임화는 영화가 '특수'한 것이 아니라 문학 등 여타부문과 '마찬가지로' 예술이라고 하는 점을 규명하기 위해 조선영화의 "생성"에 있어서의 특성을 분석한다. 「조선영화론」은 첫째, 조선영화가 독자적인 예술장르로서 형성되었음을 설명하면서 초기에 제작이 부재했던 상황을 "감상을 통한 이식"의 과정으로 정식화하고 이를 근대 문학이나 연극 등이 초기 "모방을 통한 이식" 과정을 거쳤던 과정과 동일시한다. 이를 통해 영화의 특수한 이식과정을 설명하는 동시에 조선에서 영화가 초기부터 혼종적인 정체성을 지녔음을 밝힘으로써 일본의 '근대초극론'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이식'에 대한 불안을 일소한다. 둘째, 조선영화의 고유한 환경으로서 자본으로부터의 "자립"과 문학 등 "인접문화와의 협동", 그리고 서구영화의 영향을 지적함으로써, 조선영화가 자본의 통제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독자적인 특질을 형성해 왔음을 규명한다. 임화는 조선영화의 존재 자체가 위기에 처해있던 상황에 있어서, 조선영화가 '무기'가 아니라 문학 등과 마찬가지로 예술이며, 연속적인 진보라는 테크놀로지적 시간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비연속적인 연속이라는 독창의 시간에 속하고, '제작'되는 상품이 아니라 '표현'되는 예술이라고 하는 점을 규명함으로써 담론적 개입을 시도한 것이다.

      • KCI등재

        The Beautiful, the Lame, and the Weird: Three Types of Colonial Heroes in Contemporary Korean Films

        백문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5 No.2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films based on the colonial period have consistently been produced due to two forces gene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90s. One is the flow within the humanities to reconstitute the colonial period with a perspective of cultural modernization spreading out to mass culture, and the other comes from the tendency to creatively narrate the national trauma that was evoked by the IMF crisis in Hollywood-style big-budget action blockbuster films. This paper considers the male hero of a colonized Korea in three different ways: as the de-ideologized hero who shares victimhood with the male hero of the Japanese empire in a buddy-double relationship, as an independence activist caricatured anachronistically for rigidly adhering to ideology, and as a superhero who becomes the imaginative winner through the grammar of genre films. In post-authoritarian Korea, where de-ideologization and survivalism is prevalent while the incomplete task of decolonization is still at hand, these characters are meaningful as still-advancing figures in a state of potentiality, which reflect the public sentiment that recalls the colonial period with an ambivalence that includes both visual pleasure and historical indebtedness.

      • KCI등재

        아메리칸 히어로와 나운규: 서양영화 DB(1910-1945)를 중심으로

        백문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7 No.-

        This paper compares the star image of the most famous Korean silent filmic hero NA Un-kyu to that of Douglas Fairbanks, the “King of Hollywoo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This comparison is based on the database of imported films from 1910 to 1945 that I’ve constructed while conducting co-research project since 2014. While Eddie Polo, who stars in The Broken Coin(Francis Ford, 1915), was the first recognized movie star in Korea, Fairbanks was the one who gained enthusiastic applauds both from intellectuals and from regular moviegoers. 22 of Douglas Fairbanks’s films were imported and screened in colonial Seoul between 1920 and 1936, while the total number of feature films he starred between 1918 and 1936 was 25. His films were the object of severe competition among exhibition companies in late 1920s, the popularity of which was only comparable with that of NA Un-kyu who became a big name with his mega-hit film Arirang in 1926. This paper provides a detailed time-line of the competition between Fairbanks and NA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transmedia personae in late 1920s in colonial Korea. While Fairbanks maintains his worldwide popularity in colonial Seoul, especially proved by the ceaseless screening of his films, old and new, NA builds his colonial star persona whose motivation of activity is mainly classical(or national) ressentiment. 이 논문은 필자가 3년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작성한 서양영화 DB(1910-1945)를 바탕으로, 1920년대 조선의 극장에서 가장 인기있었던 미국영화의 남성 스타들(에디 폴로 및 더글라스 페어뱅크스)과 조선의 나운규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서양영화 DB는 불완전하나마 식민지시대 조선에 수입, 상영된 서양영화의 면모를 조명할 수 있게 해주는데, 그것을 바탕으로 조선에서의 영화 관람성을 규명할 하나의 방법으로서 초기의 스타덤 분석은 유용하다. 이 DB를 통해 살펴본 바, 연속영화 <명금(1915)>을 통해 조선에서 처음으로 영화 ‘스타’ 개념을 구축한 에디 폴로가 1924년을 전후하여 그 영향력을 잃어가면서 <로빈 후드(1922)>, <바그다드의 도적(1924)>으로 인기를 얻은 더글라스 페어뱅크스가 스타덤에 오르고, 그 지위는 식민지 시대를 통틀어 압도적인 것이었음이 밝혀졌다. <아리랑(1926)>으로 조선인 최초의 영화 ‘스타’가 된 나운규가 에디 폴로 및 더글라스 페어뱅크스와 비교되었던 건 자연스러운데, 나운규는 영화만이 아니라 「탈춤(심훈, 1926)」, 「승방비곡(최독견, 1927)」 등의 영화소설을 통해서도 일간지라는 미디어에 자신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노출하면서 스타덤을 형성한다. 더글라스 페어뱅크스와 나운규는 1920년대 후반 극장가에서 경쟁관계에 놓이기도 하는데, 액션스타라는 공통점과 동시에 이 가장 미국적인 스타와 식민지의 스타는 차이점을 지닌다. 이는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이 구축되던 무렵의 낙관주의와 숨길 수 없는 계급적(민족적) 분한 사이의 격차가 낳은 영웅성의 차이이기도 하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