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와 그 의미

        백두현 ( Doo Hyeon Paek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7 No.-

        훈민정음은 태생적(胎生的)으로 세 가지의 보편적 가치를 내재(內在)하고 있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다. 훈민정음의 민주성은 민주(民主)에 담긴 뜻 그대로 백성이 주인이 되는 문자의 속성을 뜻한다. 이 점은 훈민정음 어제(御製) 서문에 잘 드러나 있으며, 이것이 훈민정음이 내재하고 있는 민주성의 근거이다. 훈민정음의 과학성은 음성학적인 관찰과 체계적 제자 원리로 글자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초성(자음)의 기본자 5개는 음성학적 관찰에 근거한 음성기관의 상형을 통해 만들었다.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가획) 다른 초성 글자를 만들었다. 이 가획도 ``소리가 거세지는 정도``에 따라 이루어졌기 때문에 음성학적인 근거를 갖고 있다. 중성(모음) 글자는 혀를 움츠린[舌縮] 정도에 따라 정해진 기본자 세 개에서 출발한다. 이 기본자 세 개를 서로 합성하여 다른 중성 글자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이 음성학적인 분석은 물론, 가획법과 합성법이라는 체계적인 제자 원리로 만들어진 문자라는 점이 바로 과학성의 근거이다. 훈민정음의 철학성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작용한 성리학의 원리인 삼재론, 음양론, 오행론, 상수론에서 나타난다. 삼재론은 천지(天地=자연)와 사람의 조화로운 관계를 지향하는 사상이다. 음양오행론도 우주를 이루는 다섯 가지 근본 요소의 상호 결합과 조화가 만물 운행의 이치라고 보는 사상이다. 상수론은 주역의 괘효를 숫자를 결합하여 표현한 방법이다. 글자를 만들 때 활용된 철학적인 원리들은 훈민정음 해례에 기술되어 있다. 이것이 훈민정음이 철학성을 내재하고 있다는 근거이다. Hunmin jeongeum holds three intrinsically universal values: democracy, science and philosophy. The democracy of Hunmin jeongeum refers to one of the properties of the character that people are the owner of the character as literally indicated by democracy. This is well demonstrated by the preface of the King`s writing, which is the basis for democracy inherent in Hunmin jeongeum. Next, the science of Hunmin jeongeum is supported by that fact that it was created by phonological observations and scientific principles. First, the five basic consonants were created based o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 single stroke is added to these consonants to produce other consonants. Adding a single stroke is based on the phonological principle in that i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sound getting stronger``. Creation of vowels started from three basic characters determined based on the degree of retraction tongue root(舌縮). And a full set of vowels were created by combining these three characters. That Hunmin 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not only phonological analysis but also systematic character-creating principle serves as the basis for scientific excellence of Hunmin jeongeum. Last but not least, the philosophy of Hunmin jeongeum comes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applied to creating the characters, including Samjae theory, Yin and Yang theory(陰陽論), Five Elements theory(五行論) and Sangsu theory(象數論). Samjae theory(三才論) is in pursuit of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earth (nature) and humans.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believes that interdependence and harmony of five fundamental elements that comprise the universe is the divine order of nature and humanity. The Sangsu theory refers to the symbolization of Gua-Yao of Ju Yeok combined with numbers. And the Haerye Edition of Hunmin jeongeum explains the fact that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in creating the characters, which serves the basis for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Hunmin jeongeum.

      • KCI등재
      • KCI등재

        차자표기법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의 생성 과정과 생성의 주체

        백두현(Paek, Doo-hyeon) 한국목간학회 2023 목간과 문자 Vol.- No.31

        중국 한문자 수용과 발전에 있어서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시기적으로 뒤처졌다. 그러나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서 볼 수 없는 독창적 차자표기법을 창안했다. 앞글자는 훈으로 읽고, 뒷글자는 음으로 읽는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라는 차자법이 바로 그것이다. ‘譯上不譯下’라는 표현은 『삼국유사』 제4권 「원종흥법 염촉멸신(原宗興法猒髑滅身)」 기사에 처음 보이는데 ‘猒髑’(염촉)의 앞글자는 번역하고 뒷글자는 번역하지 않음을 뜻한다. 두 글자 이상의 차자 표기에서 한자의 훈(뜻)이 중심[主]이 되고, 음이 뒤따름[從]을 뜻하는 훈주음종(訓主音從)과 역상불역하는 그 본질이 유사하다. ‘역상불역하’라는 표현이 신라 당대 자료에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향가와 이두문 등의 표기에 이용되었다. 신라 사람들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표기 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여기에 창의적 변용을 더하였다. 이 과정(process)을 <학습⇒내면화⇒창의적 변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한 차자법을 만들고, 신라어 표현에 가장 적합한 ‘역상불역하’의 방법을 창안해 냈다. 한문자의 학습과 내면화 그리고 창의적으로 변용한 작업에는 이것을 행한 행위 주체가 있게 마련이다. 7세기 중반~8세기에 신라의 학승 음의가(音義家, 원측·순경 등) 수십 명이 활동하였다. 이들은 화엄경 등 여러 불경에 음과 뜻을 풀이한 주석을 달았다. 이 작업은 불경의 한문을 신라말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석의 상당 부분은 한자, 한문구, 한자음에 대한 풀이[釋名]이다. 비문과 목간문을 작성한 문척(文尺)도 이두문의 발달에 일정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유교 경서를 공부한 유학자를 대표하는 인물은 설총과 강수이다. 설총은 경서를 신라어로 풀이함으로써 유학 공부는 물론 구결의 발전에 기여했다. 화랑은 경서를 학습하고, 향가를 짓고 부름으로써 차자법 발달에 일정한 역할을 했다. 화랑도 교육은 백제와 고구려에 없는 신라 특유의 청년 교육 제도였고, 향가 역시 신라 특유의 것이다. 역상불역하의 차자표기법도 신라 특유의 것이니 지도자로서의 승려, 교육생으로서의 화랑, 이들이 지어 부른 향가, 향가를 표기하기 위한 역상불역하의 원리는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맺으며, 차차표기법 발달의 배경이 되었다. Silla lagged behind Goguryeo and Baekje i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Silla’s adop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led to the creation of a unique system of writing not found in Goguryeo and Baekje. This is the method known as Translate Leading Kanj not Translate Trailing Kanji(譯上不譯下), abbreviated term: TLK-nTLK), where the first character is read as hun(訓=meaning) and the second character is read as yin(音=sound). The phrase “譯上不譯下” first appeared in the article 「原宗興法猒髑滅身」 in Volume 4 of 『三國遺事』. The Silla people borrowed the Chinese yin(音) and hun(訓) and used them in a way unique to Silla, adding creative variations to them. This process can be summarised as 〈learning⇒internalization⇒creati ve transformation〉. By accepting the yin(音) and hun(訓) of Chinese characters and internalizing them, they created the most suitable script for Silla expression. The learning, internalizat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must have had actors who performed them. There were dozens of Silla’s annotator monks(圓測=Won-cheuk, 順璟=Sun-gyeong, etc.) who were active in the mid-seventh to eighth centuries. They annotated various Buddhist texts, such as the Hwaehum Sutra, by attaching sounds and meanings to them. This was d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text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Silla. A large part of the annotations are explanations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phrases, and Chinese sounds. These authors are called “yin yi monk”(音義家 學僧). The 文尺, who wrote stele inscriptions and woodcuts to record events, may have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Idu-sentence(吏讀文). Seol-chong(薛聰) and Kang-su(强首) are representative of scholars who studied Confucian texts. Seol-chong may have contributed to the internaliz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Gugyeol(口訣) by translating the texts into Silla. Hwarang(花郞) would have made his own contribution by learning the scriptures and building or singing Hyangga(鄕歌). Hwarangdo education was a youth education system unique to Silla that did not exist in Baekje(百濟) and Goguryeo(高句麗), and Hyangga(鄕歌) was also unique to Silla. The TLK-nTLK notation method is also unique to Silla, so monks as leaders, Hwarangs as trainees, the Hyangga they sang, and the TLK-nTLK principle for notating Hyangg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borrowing method(漢字借字法).

      • KCI등재

        『훈민정음』 해례의 제자론(制字論)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백두현(Paek, Doo-hyeon)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3

        This study points out five problematic issues to be found in the theory of letter formation written out in the Hunminjeongeum Haerye, and discusses their contents from a critical viewpoint. Of the five issues discussed by the author, the most serious problem resulting in a breach of the structure of letter formation is the designation of the basic letter for molar sounds. The heart of the issue is that due to the influence of Chinese rhyme sound patterns, the weakest sound among the molars, ㆁ[ŋ], was not designated as the basic letter. A similar problem, that of designating the basic letter as one that is not a sound neither clear nor muddy (不淸不濁音), also appears in dentals as well. However, the neither clear nor muddy sound ㅿ in Korean has a very limited usage, so that its displacement is not a serious issue. The study also points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and stroke-added letterforms of laryngeals are of an entirely different nature from that of molars, linguals, labials, and others. This study also finds inappropriate over-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peed (緩急) in the system of final sounds, resulting in explanations saying that pronouncing ㄱ slowly gives ㆁ and pronouncing ㆁ rapidly gives ㄱ. This is one of the faults that can be found in the letter formation theory of Hunminjeongeum Haerye. The letters ㅇ and ㄱ among the finals can be matched as a pair in speed, but the explanation found in the Jongseonghae (Explanations of the Final Sounds) that ㆁ pronounced rapidly becomes ㄱ, a tense sound, lacks phonetic integrity. Such a relationship of alternation by way of speed change cannot be found in other pairs of speed as presented in the Haerye, such as ㄴ and ㄷ, ㅁ and ㅂ, ㅿ and ㅅ, or ㅇ and ㆆ. A positive take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Xiangshu (Images-Numbers) and generative status number (生成位數) to the theory of forming the medial letters could consider it to be an effort to add philosophical depth to Hunminjeongeum. However, in another light, it can be considered an over-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he Five Elements (五行) to the theory of forming the initial letters, the application of Xiangshu theory and generative status number to the formation of medials lacks persuasion and naturalness. Finally, the study points out the possible confusion of letterforms between the shapes of ㆎ(초출자 ㅓ는 본문 참조) and ㆎ. Fortunately, in actual use, ㆎ is always preceded by an initial consonant. This results in the ㆍ being placed under an initial at all times, so that the forms of ㆎ(초출자 ㅓ는 본문 참조) and ㆎ are not easily confused in practice.

      • KCI등재

        19세기 초기 안동부(安東府)의 『승부리안(陞付吏案) 주방문(酒方文)』연구

        백두현 ( Doo Hyeon Paek ),송지혜 ( Ji Hye S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2

        Seungburian Jubangmun(승부리안 주방문) is a Korean culinary manuscript written by Hyang-ri(鄕吏, local functionaries of the Chosun Dynasty period) of Andong-bu in the early 19th century. Seungburian Jubangmun has high linguistics value because it reflects the Andong dialect and it was written by Hyang-ri.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 First, this manuscript reflects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Gyeongsang dialect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re are the consonant clusters(合用竝書) starting with s(ㅅ) evenly. There are no consonant clusters starting with p(ㅂ). The letter ss(ㅆ) appear in this manuscript instead of the letters ps(ㅄ). The letter combination sk(□) is used instead of the letter k(ㅋ), because this manuscript reflects Gyeongsang dialect. The t-palatalized forms and unpalatalized forms exist together in this manuscript. The vowel [?](·) in the first syllable of the lexical morphemes continues to appear in this manuscript. Second, this thesis survey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lex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 There is a connective ending ``-ryamyeon``(-랴면), and this connective ending is evidence of the period in which the manuscript was written. Several unique lexical characteristics also appear in this manuscript, for example, ``hondonjyu``(혼돈쥬), ``seogim``(서김), ``doenagi``(되나기), ``jya``(쟈), ``yuhyeopto``(유협도), ``deurioda``(드리오다) and ``deosheo``(덧허). Finally, this thesis compares this manuscript with the other Korean culinary manuscripts, and found that Seungburian Jubangmun is similar to Bogamrok(寶鑑錄).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Seungburian Jubangmun influenced Bogamrok. 『승부리안』은 1812년과 1813년에 安東府에 소속된 鄕吏들이 그들 집단에 소속된 향리들의 이름과 직임 등을 한자로 기록한 문서이다. 이 문서의 이면지에 한글로 필사한 양조법과 음식조리법이 실려 있는데 이 한글 자료를 『승부리안 주방문』이라 부르기로 한다. 『승부리안』이 만들어진 지역이 안동이라는 점과 이 문서를 작성한 사람의 사회적 지위가 향리라는 점에서 이 자료의 가치는 특별하다. 『승부리안』 이면지에 한글로 쓰인 주방문 역시 이 문서를 작성하여 관리했던 안동부 소속의 이서층일 것이다. 한글 30여 종의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는 대부분 저술자의 신분이 명백하지 않은데, 저술자 혹은 필서자가 향리로 추정되는 것은 이 자료가 처음이다. 이 자료에 실린 여러 음식 조리법을 다른 음식조리서와 비교한 결과, 이 자료는 『보감록』과 유사한 내용이 많음을 밝혔다. 『보감록』은 20세기 초의 자료이므로 이 자료가 후대의 『보감록』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승부리안 주방문』에 실린 ``백수환동법``은 이 자료가 지닌 특수성과 함께, 술의 효능이라는 측면에서 특별히 관심을 끄는 내용이다. 이 자료의 음운론적 특징으로는 먼저 합용병서 표기를 들 수 있다. ㅅ계합용병서가 골고루 나타나며, ㅂ계 합용병서는 나타나지 않고 ㅄ이 ㅆ으로 변화하여 표기되었다. 특히 유기음 ㅋ을 □로 적은 예가 나타나는 것이 특이한데, □이 경상도 문헌에서 더러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이 자료의 지역적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ㄷ구개음화는 보수형과 개신형이 혼재한다. · 가 비음운화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어두의 · 는 대부분 유지되어 나타난다. 형태론적으로는 의도법 연결어미 ``-랴면``이 나타나, 이 자료가 19세기 문헌임을 방증해 준다. 음식조리서로서 특징적인 어휘로는 음식명 또는 음식재료명으로서 ``혼돈쥬``와 ``서김``이 나타난다. 조리 도구명으로서 사전에 등재 되어 있지 않거나 사전의 뜻풀이와 다른 의미로 사용된 ``되나기``, ``쟈``, ``유협도``도 발견된다. 조리 동사로서 ``드리오다``와 ``덧허``는 주조법을 설명하는 단어로 쓰였다.

      • KCI등재

        종가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방법 연구

        백두현 ( Paek Doo-hyeon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고는 우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 추진 방법을 연구하여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는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한국의 종가문화’는 종가 공동체와 이에 관련된 사회집단이 그들의 관습을 통해 형성해 온 것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에 부합하고 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특성과 공능으로 제시된 세대 간의 지속적 전승, 관련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문화적 다양성 존중, 공동체간 상호 존중심 고양 등은 오늘날 ‘한국의 종가문화’가 구현하고 있는 특성과도 명확히 일치한다. 한편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목록을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목록’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나누어 등재하도록 규정해 놓았다. 이 중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주로 후자의 등재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어서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과 ‘김치와 김장문화’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과정을 참고하였다. 아울러 ‘종가문화보존회’(가칭)를 중심으로 종손 및 문중, 각 지방자치단체, 대학 및 연구소 등 다양한 단체들이 역량을 모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구체적실행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대체로 세 단계의 준비가 필요하다. 첫째, 종가문화를 중요무형문화재 혹은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다. 둘째, 종가문화를 문화재청 .무형문화유산 예비목록.에 등재하는 것이다. 셋째,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는 단계이다. 특히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의 종가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 문화재청 및 유네스코 관련자 초빙, 중앙 정부 및 관련 사회단체들과의 협력 관계 구축, 등재신청서 작성을 위한 실무진 구성 등이 요구된다. 끝으로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다음 다섯 가지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종가 관련 단체 및 종가 공동체와의 협력 방안을 구축. 둘째, 종가 구성원 및 관련 단체에 대한 설문조사의 진행. 셋째, 종가문화 관련 홍보물 제작 및 관련 행사의 개최. 넷째, 종가문화와 관련된 학술 아카이브의 구축. 다섯째, 종가문화의 가치 발굴과 이론적 정립을 위한 국내외 학술대회의 개최. 이러한 방안들이 점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 역시 높아질 것이다. Toda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facing fierce competition to have elements of their cultural heritage inscrib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refore, we need to intensify efforts to map out a strategy to succeed in this endeavour. This paper thus presents a promotional strategy to inscribe the typical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Jongga) o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this paper assesses whether the tradition of Jongga meets the criteria for being consid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has been kept alive thanks to a social stratum that has preserved the customs of the Jongga community. In that sense,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does fit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iven by UNESCO. Moreover,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consists in handing down custom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ging the identity of the particular community, appreciating cultural diversity, and raising a sense of respect between communities, also closely coincides with the very nature of the Jongga Tradition. As UNESCO provides two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and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need to establish which list the Jongga tradition is most suitable to be inscribed on. It appears tha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fulfils the criteria of the latter list. Secondly, this paper verifies the probabilities for the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this purpose, we have examined the cases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and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found out the importance of the promotional stage to the inscription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If the same applies to our own case, it will entail gathering the competence of various groups to form a ‘Preservation Society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provisional name), from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research centres to the clans concerned and their eldest grandsons. In addition to this, we examine in details the procedure of inscrip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rocedure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designated either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Korea or as a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econd,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inscrib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liminary List manag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rd, a nomination file is submit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More specifically, this step entails, inter alia, enacting the related laws to preserve the Jongga tradition, inviting the related staff member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UNESCO, foster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lated social groups, forming a team to draw up the nomination fil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practical strategies for a successful recognition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a collaboration scheme with the Jongga community and the social group related to them must be designed. Second, a survey of the Jongga members and related parties Head Family must be conducted. Third, promotional materials concerning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produced and related events must be held. Fourth, an academic archive of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built up. Fif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must be held in order to publicize the value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nd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study of the Jongga tradi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eady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will greatly help in the successful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