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언어적 전환과 인문교육

        백도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본 논문은 인문학이 실용적이지 않다는 선입견에 대해 비판한다. 우선 지식에 대한 최근의 새로운 모형과 그 에 따른 교육학 흐름의 변화를 소개한다. 새로운 지식관으로 전체론을, 새로운 교육이론으로 구성주의를 소개한다. 이 와 함께 또 하나의 주목할 만한 현상이 ‘언어적 전환’이다.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문화 자체가 언어적 속 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특별한 요소이다. 따라서 문화는 일종의 텍스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 으며 언어와 맥락 등의 이해와 분석을 주로 맡았던 인문학이 세계를 읽고 구성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인문학 대학원에서의 수업과 같은 전통적인 인문연구 교육방식의 회복이 현재의 사회 변화에 적절한 새로운 ‘실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다만 학문적 기여가 중요하다. 또한 ‘지식기반사회’라는 새로운 환경은 또 다른 이유로 이 글의 주장을 강화한다. 지식의 빠른 변화는 종래의 암기식, 주입식 교육보다 지식의 통합 과 재구성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we try to criticize a bias that liberal arts are not practical. First, I introduce holistic models of knowledge and constructivism in education. Second, I suggest ‘linguistic turn’ as another noticeable phenomenon. Language is an element of culture, but a priviledged one because culture, in itself, is linguistic. So culture is a sort of a text. We can see that liberal arts or humanities to deal with texts, contexts and languages can have an important role to read, understand and construct a world. So the rediscovery of the traditional model of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like processes of graduating studies of liberal arts or humanities, is relevant to a new ‘practical’ model of reading and leading recent social transformations. An important point is academic contribution. And current situation called ‘Knowledge-Based Society’ also supports my point in another way. The situation of rapidly changing knowledge requires an educ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by unifying and reconstructing knowledge supporting with constructivism in education rather than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심신 문제 : 존재와 언어

        백도형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3 No.4

        In this paper, I will diagnose the mind-body problem so far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uggest two important reasons which have made the issue an aporia. First, most mind-body theories so far which have not accepted Cartesian substance dualism any longer, however, have deeply committed to Cartesian conceptual scheme as the tradition and intuition of the mind-body problem. I think the mind-body problem is unsolvable in itself on the ground of Cartesian conceptual scheme in which mind and body are coexclusive. I think, therefore, we need reflect Cartesian conceptual scheme in which mind and body are coexclusive. Only refuting Cartesian substance dualism is not enough, and we should reconsider Cartesian framework on which is still an important basis of the mind-body problem so far. Second, although it is said that most recent mind-body theories deal with properties, they actually deal with not properties but only property descriptions. In my previous articles, I have asserted in most mind-body theories there is a hidden but unjustified assumption, that is, realism about properties as universals. Paraphrasing my point, most mind-body theories so far have confused properties with property descriptions. So property is a core item which most mind-body theories deal with. But they would actually deal with property descriptions, or, at best, properties identified by language, namely, predicates. And furthermore they regard properties described by predicates as real, so they unconsciously property realism. But property realism then makes a mistake a linguistic work like conceptual analysis with an ontological work. Then mind-body problem will be an aporia, because the concepts of mind and body are contrary to each other. 나는 이 글에서 지금까지의 심신 문제를 거시적으로 진단하고 그것이 난제에 빠진 핵심적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제시하려고 한다. 첫째, 지금까지의 심신 이론들이 이제는 더 이상 데카르트의 실체 2원론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지만 그의 배타적인 심신 개념을 아직도 전통으로 받아들이면서 그 틀 안에서 문제를 보고 있기 때문에 심신 문제가 그 자체로 해결 불가능하다. 따라서 심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데카르트식 심신관에 대한 깊은 반성이 필요하다. 그의 실체 2원론을 비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의 틀 자체에 대해서도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거의 모든 심신 이론들은 속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는데, 속성에 관한 논의가 사실은 대체로 속성에 관한 서술(descriptions)을 논하는 것에 불과하다. 나는 예전의 많은 논문에서 대부분의 심신 이론에는 보편자로서의 속성 실재론이 암묵적으로 전제되어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주장을 다르게 표현한다면 지금까지의 심신 이론들이 속성과 속성의 서술을 혼동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속성에 관해 논할 때 형이상학적 존재범주로서의 속성에 관해 논하는 것으로 많은 철학자들이 여기고 있지만 사실 속성의 서술에 관한 언어 차원의 논의에 불과하다. 그러면서 언어적으로 서술된 속성(사실상 술어에 불과한)을 그 자체 실재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속성 실재론을 옹호하게 되며, 이렇게 언어 차원의 논의에 불과한 것을 존재 차원의 형이상학적 논의로 혼동하는 데에서 심신 문제의 아포리아가 발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