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문 의식의 형성 과정과 그 특징

        백낙천(Baek, Nak-Cheon)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5 No.-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문과의 대립 속에서 한글의 사용과 보급이 확대되고 국어에 대한 의식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17세기 이후에는 실학의 학풍으로 관념론적인 성리학적 사고에서 벗어나면서 훈민정음이 음소문자로서 가지는 특징을 실증적으로 인식하고 그 우수성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그러다가 개항 이후 근대화에 요구가 확대되면서 국어와 국문에 대한 자각이 나타나고 이것이 민족의식과 결부되면서 어문의 근대화가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즉, 어문 의식의 형성 과정에는 내·외적 요인인 훈민정음의 창제와 실학, 그리고 개화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논의의 기본으로 삼아 훈민정음 창제 이후부터 실학시대를 거쳐 근대 계몽기에 이르기까지 문헌 자료에서 확인되는 국어와 국문에 대한 관심과 자각을 어문 의식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되, 그 형성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어문 의식의 연속성 차원에서 조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ir assertions on during the Hunminjeongeum manuscript, the practical science of late Joseon and period modern enlightenment Korean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we first demonstrate the background on the 15th to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in Hunminjeongeum, Jeongeum meant the prescriptive language. In the practical science of lat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Korean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mainly grounded on new advanced idea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Korean national language is faced with a idea of patriotic enlightenment. We argued that this viewpoint and assertion was due to the argument of their various conceptual linguistic discussion. This Korean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exert a strong influence from the 15th to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This paper is expect that the Korean language in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in Hunminjeoneum manuscript, the practical science of late Joseon and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 discussion can be explain more clearly.

      • KCI등재후보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에 나타난 한·중 높임법 대응 양상 - 한국어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백낙천 ( Baek Nak Cheon ),동정정 ( Dong Tingti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4 No.-

        본고는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한국어 원문과 중국어 번역문을 대상으로 드라마 속에 나타난 한·중 높임법 대응 양상을 비교해 한·중 높임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높임법을 대조해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 혹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생활에서 높임법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본고는 드라마의 원문과 중국어 번역문에 나타나는 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 상대높임법에 대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2013년 12월 18일부터 2014년 2월 27일까지 한국 SBS 방송국의 수목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1회~21회)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본고에서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와 중국어 번역본을 자료로 한·중 높임법을 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 상대높임법 세 가지로 유형화해 한국어와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별에서 온 그대>의 한국어 원문에 나타난 주체높임법은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 형태소를 통해 주체높임법을 실현하는 데 반해, 중국어 번역문에서는 어휘형태소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둘째, <별에서 온 그대>의 한국어 원문에 나타난 객체높임법은 특수한 동사는 물론이고 조사 ‘에게/한테’ 대신 ‘-께’를 사용하여 객체를 높인다. 그러나 중국어 번역문에 나타난 객체높임법은 한국어 원문의 영향을 받아서 수량에 한정된 몇몇 동사의 존대형을 통해서 객체높임법을 실현하고 있다. 셋째, <별에서 온 그대>의 한국어 원문에 나타난 상대높임법은 종결어미를 통해 실현되는 데 반해, 중국어 번역문에서는 대응 양상이 없고 이른바 중국어 진술어기, 의문어기, 명령어기, 청유어기, 감탄어기 등 다섯 가지 어기로 실현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Korean honorific and Chinese honorific in the original TV play text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translation. As more and more Chinese learn Korean, more and more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honorific and Chinese honorific. Subsequently, as one of the features of Korean, there are more researches on Korean honorific language than ever before. Through research the Korean dialogue of the selected TV play (My Love From The Star)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translation to understand the tone of voice form Koreans and Chinese, and the diversity of expression of them. It also shows the diversity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 In this thesis, discussion of Korean honorific and Chinese honorific in the original TV play text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translation can show the Chinese who learn Korean the Korean honorific lively, also can rise the enthusiasm and interest of the learner. Through sorting out Korean honorific language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translation, indicate that they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Chinese learn will be more easy if they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honorific language and Chinese honorific language before they learn Korean.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주시경의 삶과 학문의 세계

        백낙천 ( Nak Cheon Bae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1873년 대원군의 실권(失權) 후, 이른바 운양호 사건이 빌미가 되어 1876년 조선은 개항을 요구하는 일본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강화도 조약을 맺게 되었다. 이에 부산, 원산, 인천이 개항되었으며 국내 정치 상황은 개화 세력과 수구 세력이 맞서는 혼란스러운 정국이었고, 조선의 국운은 그야말로 풍전등화의 상황으로 치달아 국권이 흔들리고 민족의 자존심이 훼손되는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때, 주시경은 1876년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나 1914년 선생의 나이 불과 39세에 안타깝게도 생을 마감할 때까지 평생을 국어 연구와 민족어 보급 및 계몽에 힘을 썼던 학자였다. 주시경은 일찍이 민족의 계몽을 위해 신학문을 배웠는데, 당시는 국어학 연구가 서양의 문법 이론의 틀에 맞추어 기술되던 시기였다. 그런데 주시경은 분명한 언어 의식과 독창적인 이론을 토대로 국어 문법을 기술한 독보적인 학자였으며, 지금도 국어학사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다. 더욱이 주시경이 제시한 문법 체계가 현대 국어 문법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주시경은 그 자체가 국어 연구의 시작점이며 국어 문법 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주시경은 1894년인 19세의 나이에 큰 뜻을 품고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1900년인 25세의 나이에 배재학당을 졸업하였는데, 배재학당 재학 5년 동안, 그는 영문법을 공부하면서 언어의 특징과 공통성을 깨우치고 언어학의 이론을 정립하면서 국어 문법의 기틀을 세워나갔다. 주시경은 배재학당을 졸업한 1900년부터 한글을 가르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하였는데, 상동교회 청년학원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정규의 교과목으로 국어문법을 가르치면서 수많은 후학을 길러냈다. 또한, 국어 연구도 지속적으로 하였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크게 보아 문자론과 맞춤법, 음성학과 문법론, 사전 편찬의 노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주시경의 이러한 학문적 성과는 <대한국어문법>(1906), <國語文典音學>(1908), <國語文法>(1910), <말의소리>(1914) 등의 저서에 잘 나타나 있다. 주시경은 구한말 민족의 언어와 민족의 혼을 일깨우고 평생을 우리말 연구와 보급에 힘쓴 애국 계몽운동가요 국어학자이다. 주시경의 나라 사랑과 국어 사랑의 열정은 오늘날 우리에게 교훈이 되기에 마땅하며, 우리 모두는 우리말과 우리글을 후세에 물려줄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으로 가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value life and outlook on the linguistic study of Ju, Si-Gyeong, and he was the initiator and leader of the standardization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systems. Also His original ideas set out in his various works have not been fully evaluated by his followers. His linguistic theory interested in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However, He is most impressive in his scholarly attainments is his creative efforts to set up his own phonological and theories. Ju, Si-Gyeong was the scholar who established a certain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Korean grammar in the earliest period. His linguistic study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linguistic theory or description on the comtemporary Korean grammar, and his theory has still become the subject for examin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 주시경의 학문 활동과 신학문의 영향

        백낙천(Baek, Nak-Cheon)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동서인문학 Vol.0 No.50

        20세기 초 국어 연구가 서양 문법 이론의 틀에 맞추어 기술되던 시기에 주시경은 분명한 언어 의식과 독창적인 이론을 토대로 국어 문법을 기술한 학자로서 지금도 국어학사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다. 주시경은 1892년 우리말과 글을 연구할 뜻을 세웠으며 1894년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학문에 매진하였다. 특히 배재학당 재학 동안 영문법을 공부하면서 세계 언어의 특징과 공통성을 깨우치고 일반 언어학의 이론을 정립하면서 국어 문법의 기틀을 세웠다. 이렇듯, 주시경의 학문적 배경 형성에는 당시 신학문의 요람 역할을 하였던 배재학당에서의 수학이 큰 영향을 끼쳤는데, 이때 터득한 영문법과 세계 언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주시경의 학문 세계는 크게 보아 문자론과 맞춤법, 음성학과 문법론, 사전 편찬에 대한 관심으로 전개되었다. 주시경은 언어와 국가를 동일시하여 우리말을 민족 자주정신과 나라의 바탕으로 삼았으며 평생을 나라 사랑의 일념으로 우리말 연구와 보급에 힘썼던 민족적 국어관을 가진 선각자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value influence of modern sciences and outlook on the linguistic study of Ju, Si-Gyeong. Ju, Si-Gyeong was the initiator and leader of the standardization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systems. Also His linguistic theory interested in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Ju, Si-Gyeong was the scholar who established a certain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Korean grammar in the earliest period. And His linguistic study is related to study in the Pai Chai school. and His grammar theory has still become the subject for examin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창원 황씨 한글 간찰의 국어학적 특징

        백낙천(Baek Nak Cheon)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1 No.-

        본고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중 기탁본인 <창원 황씨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서지적인 사항을 검토하고, 국어학적 특징을 표기, 어휘, 문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동안 한글 간찰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허웅(1989)에서 <충북 청주 순천묘 출토 간찰>을 16세기 국어 기술에서 언급한 이후 자료 발굴과 소개의 차원에서 벗어나 이제는 본격적인 역주 결과물들이 나오게 되었다. 흔히 ‘언간(諺簡)’으로 불리는 조선 시대 한글 간찰은 번역을 전제하지 않아 당시의 국어 문법이 자연스럽게 반영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언해(諺解)’ 자료에 잘 보이지 않는 문법 규칙이나 고유의 일상 어휘가 풍부하게 나타나며, 또한 구어체 자료의 성격 때문에 구어나 방언이 어느 자료보다 풍부하게 반영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므로 언간은 판본 위주의 국어사 연구를 보완할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고는 그간 한글 간찰 역주 결과를 바탕으로 <창원 황씨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국어학적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s to explain Korean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he Chan-Won Hwang Family`s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Joseon Period. In fact,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have not been made the best use for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ies in deciphering and interpreting them. However, books of translations with notes o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ve sprung up since the 1990s. As a result, we saw great strides have made both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ranslation. I believed that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supplement vernacular Korean translation documents 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e should positively promote the discovery of new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nd push for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 시대 한글의 사용 양상

        백낙천(Nak Cheon Baek)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고는 조선 시대에 한글의 사용 양상이 어떠했으며, 한글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확산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글은 왕실에서부터 시작하여 사대부는 물론이고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한글의 사용을 확대해 나갔다. 물론 공식 문자는 여전히 한자였지만 배우기 쉬운 편의성을 갖춘 한글의 직접적 수혜자는 대체로 여성과 하급 관리였으며 점차 일반 백성으로 확대되면서 한글 사용계층의 저변 확대를 가져왔다. 더욱이 한글의 사용 확대는 언해본, 교화서, 한자나 외국어 학습서 등의 한글 문헌이 늘어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식 문서 외에도 사적 소통의 매개인 언간과 소설 및 시가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이 확장되는 등 지역적 확산과 더불어 한글 사용의 비중이 높아져 갔다. 그러다가 1894년 고종의 칙령을 통한 공문서 개혁의 시작과 근대 계몽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글은 국문으로서의 위상을 갖추고 국민 문자가 되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to explain the use and spread of Hunminjeongeum(henceforth, Hangeul)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main aim is to explain the practical use of Hangeul and its diffusion process. Hangeul was invented by King Sejong with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and it was especially welcomed by women. Hangeul then spread very quickly in Seoul, but it took much longer to reach local areas. The spread of Hangeul was driven by Hangeul letters(eongan), Hangeul novels, and the Hangeul Bible. Accordingly, Hangeul exerted a strong influence from the 17th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work is expected to arouse various interest and discussion about Hangeul.

      • KCI등재후보

        특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백낙천(Baek Nak Cheo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국어의 접속어미는 그 수가 매우 많은 데 반해, 통사적, 의미적 기준에 따라 명시적으로 하위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는 접속어미의 상당수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참여하여 재구조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재구조화된 통합형 접속어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여 살펴보는 것이 아주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고는 이러한 기본 태도를 유지하면서 특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구성과 의미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그 중에서 ‘-도록’, ‘-을수록’, ‘-락’의 형태적 유사성에 착안하여 이들의 문법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이들 접속어미는 마지막 구성요소가 조사나 어미, 의존명사가 아닌 ‘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함께 논의하여 이들의 형태론적 동질성과 차별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첨사 ‘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록’과 ‘-을수록’이 보여주는 의미의 유사성을 구성요소의 의미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락’이 보여주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모습을 통해 재구조화된 내포어미 ‘-을락’과 재구조화된 복합어 ‘-락’의 존재를 구분하여 밝혀 보았다. 본고는 접속어미에 대한 논의가 형태론에 기초한 통사론 연구가 이루어질 때 보다 명시적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삼고자 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s to classify the restructured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by its last constituent,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ts morphology and syntax based on its constituent, and to explain the diverse usage of the conjunctive endings based on each constituents basic meaning. Especially, I focused on the restructured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which ended with ‘-k’(ㄱ) in ‘-torok’(-도록), ‘-?lsurok’(-을수록), ‘-rak’(-락), and explained the systagmatic characteristics, limitation of the constituent,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based on the constituent morpheme and meaning. And I could explain clea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conjunctive endings through reanalyzing the components. Through this article, I could verify the categorical existence for its last constituent ‘-k’(ㄱ) in ‘-torok’(-도록), ‘-?lsurok’(-을수록), ‘-rak’(-락). This articles main purpose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conjunctive endings with the Korean endings, also with the overall the Korean grammar. Also, I believe this articles prove that my belief that the Korean syntax discussion can be explained more clearly than to depend on morphology and hope my findings in this article be developed mor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국어 문법교육의 비판적 검토

        백낙천 ( Nak Cheon Bae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4 No.-

        The aim of this paper is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Korean Grammar &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howed that the Grammar education. I referred the necessity to make Korean grammar education`s position about of issue Korean Language grammar Through this paper, I can explain to clarify the concept and identity relationship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also with the overall position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본고는 국어 문법교육과 관련된 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국어 문법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한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학계의 일각에서 문법교육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하고,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문법교육이 유명무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중·고등학교의 교육 현실에서 문법교육의 위상과 방향을 점검하는 일은 비장하기까지 하며, 더욱이 한국어 교육의 관심 고조에 힘입어 한국어 문법교육의 문법 모형과 방향이 제시되고 있어 국어 문법교육과 한국어 문법교육의 관계 정립도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때이다. 최근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교육과정에서 기존의 개별 심화 과목이었던 독서와 문법을 하나의 통합 과목인 "독서와 문법"으로 지정하기도 하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인간은 문법적 능력을 생득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최소한의 언어 능력이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수준의 언어 능력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후천적 학습을 통해 모국어에 대한 체계를 이해하는 문법교육이 필요하다. 문법교육의 정의는 언어학에서 바라보는 문법교육의 정의와 국어교육에서 바라보는 문법교육의 정의가 다르다. 이 양자의 관점의 차이는 본질적으로 언어 지식 영역과 언어 사용 영역의 관계에서 상호간의 비중을 어디에 두고 있느냐에 따른 차이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문법교육이 언어사용 능력의 신장과 더불어 언어에 대한 지식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문법교육은 통합적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즉, 통합적 관점에서의 문법교육은 인간의 보편적 언어 능력을 학습을 통해 고도의 문법 능력까지 고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지식 교육이며, 나아가 언어에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인간의 사고방식과 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정신 교육이다.

      • KCI등재

        언간의 융합 교육적 특성

        백낙천(Nak-Cheon Bae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본고는 조선 시대 한글 편지 즉, 언간이 지니는 특성을 바탕으로 융합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방법론적 차원에서 언간에 담겨 있는 선조들의 일상적인 삶을 통한 문화 활동으로서의 언간의 위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언간은 발신자나 수신자 곧 화자와 청자가 고정되어 있어 구어적 성격이 강하고 번역을 전제하지 않아 당시의 언해 자료에 잘 나타나지 않는 형태, 통사적 규칙이나 고유어 및 일상어가 풍부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높임법을 비롯하여 방언 자료가 풍부하여 가히 일상어의 보고(寶庫)라고 할 만하다. 또한 언간은 ‘언어 생활사’자료로서의 교육적 활용성이 높고, 고전 문학 교육 자료를 보완할 수 있는 가치가 있으며, 우리의 전통 문화에 대한 이해와 보급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교육적 활용 가치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언간은 학제간 연구로서도 매우 유의미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 다양한 접근 방법을 통한 융합 교육 프로그램 및 창의적 체험 활동과 연계한 강좌 개발이 촉진되어 본고에서 제기하고 시도한 융합 교육적 활용 가치가 적절하게 구현된다면 21세기 새로운 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언간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characteristic and convergence educational application of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Joseon Period(henceforth Eongan), and this paper was written with purposes to study trends and research in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anguage life. Also this paper is written with purposes to research the meathod and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suppose to expand. And analyze of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for educational application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life for Eongan. Especially, through this paper, I could explain characteristics of Eongan, and then significance of Eongan, convergence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of Eongan, and practical aspects of Eongan. I suggest that positively promote the discovery of new Eongan and search on its convergence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this articles provide with moment of productive discussions, and hope my suggestion in this article be developed mor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