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ferring the genetic regulatory network using gene expression profiles of S. cerevisiae

        배태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post-genomic era, the interests of biological research focus on understanding the manner in which cells execute and control the enormous number of operations required for normal function and the ways in which cellular systems fail in disease. So, systemic or network perspectives are becoming important in biological research because biological systems functions in integrated network of many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s among biochemical, regulatory and signaling pathways. By analyzing the networks of cellular components, we may acquire new insight about the functions of cell or biological system. This systemic analysis of cellular network is possible due to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which is producing much biological experimental data like genome sequence, protein-protein interaction map, and whole genome expression profile. Among the technologies, one of the highest-throughput method available today is microarray technology using high-density arrays of DNA on glass to measure gene expression levels on a genome scale. In this paper, we proposed novel method inferring the genetic regulatory network from cDNA microarray data of S. cerevisiae. Two different type of microarray data was used: one is gene disruption type data, the other is time-series data. Topology of the network was constructed from the gene disruption data and direction between nodes was done from the time-course data. This network which provides conceptual regulatory inference relation between genes may be used to model biological system and cellular behavior.

      • Network analysis in pharmacology for drug repositioning and drug target identification

        배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Network biology represents and analyzes biological systems as complex networks consisting of various kinds of cellular molecu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to understand cellular functions at system level. Viewing biological systems via the network concept may also help us improve drug discovery by revealing more complex aspect of drug action in cellular networks. To apply network analysis into drug discovery process, first of all, we gathered comprehensive knowledge from diverse disciplines related to drug discovery and integrated it into a pharmacological tripartite network database (PharmDB) consisting of drugs, targets, diseases and their relationships. Secondly, we developed “shared neighborhood scoring algorithm”, a new method proper to analyze our pharmacological tripartite network since existing network analysis approaches use various projection methods to convert a multi-partite network into several mono-partite networks causing information loss. By combining PharmDB with the shared neighborhood scoring algorithm, we can explore the pharmacological tripartite network to identify new drug targets, to design drug repositioning and new drug combination, and to predict potential side effect of a drug. Thirdly, in addition to network topology analysis based on prior knowledge, we tried network inference, a kind of data-driven approach to utilize large-scale gene expression profiles into network analysis. We constructed a transcriptional network using ARACNE as a network inference algorithm and analyzed it to extract master regulators or transcription factors (TFs) for known prognostic signature genes of colorectal cancer. All of this works represents that network biology can be a fully integrated solution to better, more efficient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 초등학교 5학년 자화상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 관계 속 자아 인식 중심으로

        배태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태어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존재에 대한 고민과 갈등을 겪게 된다. 그러한 과정들을 정신분석학자 프로이드(Freud)와 심리학자 에릭슨(Erikson)은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나와 주변의 대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각 단계마다 주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갈등과 고민을 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존재에 대한 고민과 갈등으로 비롯되는 자아 탐구 및 자아 성찰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나의 모습에 대한 탐구와 성찰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것은 나와 환경과의 연속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미술이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나를 성찰하고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미술의 장르 중 자화상은 작가 자신이 자기에 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아에 대한 탐구를 밑바탕으로 한 회화적 방식이다. 본 연구자는 관계 속 자화상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계 속에 존재하는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관계 속에서 자아 인식을 중심으로 개발한 자화상 지도 방안은 무엇인가? 와 2)개발된 자화상 지도 방안은 관계 속에서 자아를 인식하는 데 어떤 효과를 보이고 있는가? 를 연구문제로 삼았다. 부산 소재 ○○초등학교 5학년의 한 학급 22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진행된 프로그램 개발을 거쳐 2014년 9월 한 달간 총 6차시에 거쳐 적용하였다. 자화상 프로그램은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는데 타자와의 관계 속 자아 표현, 상황에서의 관계 속 자아 표현, 사물과의 관계 속 자아표현으로 다각적인 관점에서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이번 자화상 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에 만족했으며 특히 수업 이전에는 깨닫지 못했던 자신의 자아를 탐색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수업 이후 이루어진 심층 면담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자아 인식을 구체화하는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자신의 생활을 바탕으로 관계 속에 존재하고 자아 인식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Ⅱ장 문헌 연구 중 자화상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자화상 프로그램에서 탐구할 세 가지 주제인 학습자들은 타자와의 관계, 상황과의 관계. 그리고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그 수업에 대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화상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은 관계 속에서 자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정해진 세 가지 주제(타자, 상황, 사물)로 이뤄진 자화상 수업에서 사용되는 학습 자료로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선호하는 사진,동화책, 애니메이션 등 수업 소재를 선택하였고, 내용을 중시여기고 표현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법들은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 연구를 적용하는 동안 몇 가지 아쉬운 점도 발견되었다. 첫째, 학습자들이 자화상을 통하여 전하려는 관계 속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의미 전달이, 연구자와 학습자 사이에 잘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을 들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 대부분이 자신의 자아를 인식하는 경험이 부족하여 자신의 내면을 충분하게 인식하고 성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가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관계 속에서, 자아 인식을 중심으로 하는 자화상 지도 방안을 개발하여 자화상 수업을 통한 자아 인식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확인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발달 과정에 근거하여 각 단계에 맞게 자아 인식을 표현할 수 있는 자화상 지도 방안 등과 같이 본 연구에서 아쉬운 점들이 보완될 수 있는, 자아 인식을 중심으로 한 자화상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길 기대한다.

      • 영양관리과정(NCP)을 적용한 영양상담에 의한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 순응과 혈당 조절 효과 분석

        배태정 영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etetic therapy adjustment and glycemic control effects of a diabetic patient through the dietary consultation applying the nutrition care process (NCP) targeting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type 2 that are on the increase continuously. For the method of study, the preliminary survey targeting 49 male and female patients (29 male patients, 20 female patients) whose glycated hemoglobin was below 6.5%-10% among patients in 30s-60s with diabetes mellitus type 2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S hospital located in Gumi except for patients prescribed with insulin was conducted before the 1st dietary consultation and the dietary consultation applying the NCP was carried out, and then the follow-up survey before the 2nd dietary consultation was conducted 2 or 3 months lat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60 questions in 5 fields, the dietary consultation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one on one, and the NCP questionnaire was used. Hospital EMR data was used for anthropometric dimension and biochemical examination data, and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between December 1, 2016 to April 30, 2017.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 age between 50 and 59 accounted for 36.7% of total target patients and the average disease duration was 5.26 years. 73.5% of the target patients answer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in dietary consultation and education, and 98% of the target pati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calories of prescribed diabetic diet. After the dietary consultation, the number of self blood sugar measurement and exercise and the practice rate of dietetic therapy was 100%. In the nutritional diagnosis of target patients, excessive glucoside intake due to nutritional problem (P) accounted for 31.37% that was the largest portion, and a lack of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accounted for 29.25% as the biggest reason for nutritional problem (E). The contents of nutritional intervention was shown in order of educa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dietetic therapy (21.05%) and dietary habits preferring foods containing a lot of sugar. After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the intake of glucoside decreased and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ish meat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dietetic therapy-related knowledge and dietetic therapy performance of target patients increased. The blood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blood sugar when 2 hours passed after meals de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and the level of glycated hemoglobin (HbA1c) decreased significantly. The nutritional monitoring and evaluation result of target patients at the time of the 2nd dietary consultation showed that the patients who achieved the goal only partially accounted for 48.04% and the patients who achieved the goal accounted for 29.41%. In conclusio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result after the dietary consultation actively reflecting the nutrition care process (NCP) targeting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type 2 showed that the weight and glycated hemoglobin (HbA1c) of target patients decreased. Since all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reviewing the level of performance showed that the level of performance increased due to the removal of obstacle factors and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became higher, it is considered that systematic dietary consultation is effective,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continuous nutrition care process (NCP) to the business practice. 영양관리과정(NCP)을 적용한 영양상담에 의한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 순응과 혈당 조절 효과 분석 배태정, 서정숙1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영양관리학과, 1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목적 :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관리과정(NCP)을 적용한 영양상담을 통해 환자의 식사요법 순응과 혈당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구미소재 S병원 외래에 내원한 30-60대의 제2형 당뇨병 남녀 환자 중 인슐린 처방 환자를 제외하고 당화혈색소가 6.5%-10%미만 대상자 총 49명(남 29명, 여 20명)에게 1차 영양상담 전 사전설문조사를 한 후 영양관리과정을 적용한 영양상담을 실시하였고, 2-3개월 뒤 2차 영양상담 전 사후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5가지 영역에서 총 6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영양상담은 1:1로 이루어졌으며, 영양관리과정 평가지를 활용하였다. 신체계측 및 생화학검사 자료는 병원 EMR자료를 활용하였고, 조사기간은 2016년 12월 1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50-59세가 36.7%로 가장 많았고 유병기간은 평균 5.26년이었다. 대상자의 73.5%가 영양상담 및 교육의 경험이 없었고, 당뇨식 처방 열량에 대해 98%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혈당 자가측정과 운동의 시행 및 횟수가 영양상담 후 증가하였고, 식사요법의 실천률이 영양상담 후 100%로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영양진단에서 영양문제(P)로 당질섭취 과다가 31.37%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영양문제에 따른 원인(E)으로 식품영양지식 부족이 29.25%로 가장 높았다. 이에 따른 영양중재의 내용은 식사요법의 중요성 교육 20.34%, 체중감량을 위한 식사요령 12.99%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영양중재 후에 당질섭취 감소와 채소군 및 어육류군의 섭취가 크게 증가하였고, 대상자의 식사요법관련 지식, 식사요법 수행도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혈액 측정치 결과에서 공복혈당, 식후 2시간 후 혈당은 감소하였지만 유의하지는 않았고 당화혈색소(HbA1c)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차 영양상담 시 연구대상자의 영양모니터링 및 평가를 한 결과 목표일부 달성한 대상자 48.04%, 목표달성 대상자 29.41%로 나타났다. 결론 :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관리과정(NCP)을 적극 반영한 영양상담 후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서 체중과 당화혈색소(HbA1c)가 감소하였다. 또 수행도를 알아보는 설문지의 모든 문항에서 장애요인이 개선되어 수행도가 증가하였고, 양양지식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보아 체계적인 영양상담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들뢰즈의 유목적 주체 형성을 위한 정동적 미술교육 방안 연구

        배태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양성의 시대를 맞이하여 학생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서로 간의 차이를 긍정하는 새로운 주체 개념의 필요를 느끼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외재적인 기준에 의한 차이로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잠재적 상태에서 차이로 긍정되는 들뢰즈의 주체 개념에 주목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미술교육 과정에서 들뢰즈의 주체 개념, 즉 유목적으로 나타나는 특이성의 포착과 발견에 대한 실천적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들뢰즈가 탐구한 주체 개념과 특이성을 발현시키는 정동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고 유목적 주체 형성을 위한 미술교육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들뢰즈의 유목적 주체 형성을 위한 정동적 미술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며 이에 따른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술교육에서 유목적 주체 형성을 위한 정동의 개념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정동적 미술수업의 주안점과 구체적인 미술수업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셋째, 유목적 주체로서 표현된 특이성이 갖는 의미가 미술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Ⅱ장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들뢰즈의 주체 개념 및 정동과 미술교육에서 그 개념이 차지하는 의미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들뢰즈의 주체 개념과 미술교육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두 영역의 접점이 될 수 있는 정동을 탐구하여 미술수업의 구성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우선 들뢰즈의 유목적 주체가 가지는 미술교육적 의의를 탐구하였다. 이어서, 유목적 주체 형성을 위한 미술교육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인 다이어그램, 특이성, 정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유목적 주체를 형성하기 위한 정동적 미술교육은 정동에 의한 잠재적 특이성이 작품화되는 과정이며 작품을 통하여 특이성이 갖는 의미를 해석하여 피드백이 이뤄지는 미술교육이다. 그러므로 특이성을 표현하게끔 하는 원동력은 다이어그램이며, 이것은 정동적 미술교육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Ⅲ장 연구 방법으로, 현상학적 체험연구와 그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으로 태도변경, 감정의 지향성, 현상학적 기술방법으로 구성하고 연구참여자 선정, 연구 과정의 흐름을 기술하여 전체적인 연구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상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고 사실적 현상학적 심리학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본질적 현상학적 심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원주시 S초등학교에서 모집되었으며 그 결과 4학년 4명의 연구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지원하여 참여하게 되었다. Ⅳ장에서, 연구자는 정동적 미술수업을 계획하고 상세한 실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에 따라 미술수업을 진행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정동적 미술수업은 들뢰즈의 정동 3단계에 입각하여 ‘기움 – 스밈 – 되기’의 수업 설계에 따라 계획하였다. 수업은 사전·사후 활동 2차시와 본 수업 9차시로 총 11차시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동적 체험을 위해 미술수업에서 프랙탈 구조를 사용하여 역동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수업은 첫만남으로 시작하여 수업 실행, 그리고 전시 및 감상까지 약 2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진행하였으며 총 시간은 1000분이었다. 연구자는 수업 및 심층면담을 진행하는 동시에 학생 작품, 수업과 면담 녹음 및 녹화자료와 연구자의 성찰일기와 일기 삽화 등 수집한 모든 자료를 정리하였다. Ⅴ장 연구의 결과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정리된 자료들을 통하여 사실적 현상학적 심리학의 관점에서 수업 현상의 사실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질적 현상학적 심리학의 관점에서 감정적 체험이 지향하는 본질을 드러낼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이때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서 본질직관에 의한 형상적 환원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의미단어에서 의미주제로 계열화하고 그로부터 개별적 본질의 형상적 환원에 해당하는 다이어그램을 발췌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Ⅵ장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동적 미술수업에서 잠재적 수준의 다이어그램이 현실적 정동에 연동되는 관계를 정동적 다이어그램이라 제안하고자 한다. 정동적 미술수업을 경험하는 주체는 다이어그램과 미술작품을 통해, 잠재성과 현행화 사이에서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연구참여자의 다이어그램을 발견한다는 것은 미술작품에서 본질에 존재하는 자신의 형상을 표현할 수 있었다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유목적 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인 것이다. 둘째, 연구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정동적 다이어그램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 다이어그램은 미술작품을 통해 가시화되었다. 정동적 미술수업에서 이뤄진 다양한 의사소통과 그로 인한 공명의 결과로 나타난 다이어그램은 미술작품에 스며든 것이다. 셋째, 연구자는 미술교육에서 주목해야 할 창조적인 요소이며 새로운 형태의 정동방법으로 삼원정동성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정동적 미술수업의 계획단계에서,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정동을 고려하여 그 강도의 단계에 따라 촉발되는 상호정동성을 예상했었다. 그러나 정동적 미술수업을 진행하면서 ‘교사와의 상호소통’이라는 특이성이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상호정동성보다 역동적인 변화와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정동, 즉 삼원정동이 발생하였으며 잠재적 수준의 특이성을 미술작품으로 현실화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동하였다. 마지막으로 Ⅶ장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가 미술교육을 포함한 교육 전반에 주는 시사점으로, 첫째, 미술교육에서 정동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이 다시 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정동적 미술교육은 차이생성의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셋째, 미술교육은 감성 중심적 실천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