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r{\aa}nemark$ 임플랜트의 10년 후향적 임상연구

        배정윤,신상완,조현정,김영수,Bae, Jung-Yoon,Shin, Sang-Wan,Cho, Hyun-Jung,Kim, Young-S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0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5 No.1

        Statement of problems: There are few studies which reported the survival rates of the specific dental implant systems in the Korean population with the follow-up periods longer than 5 years. Purpose: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aimed to evaluate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of $Br{\aa}nemark$ implants followed for 10 years and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implant failure. Material and methods: A total of 271 $Br{\aa}nemark$ implants in 83 patients were investigated with several identified risk factors. Life table analysis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CSR. Cox regression method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otential risk factors and overall CSR. Results: Thirty implants failed. The 10-year implant CSR was 82.5%. Cox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redictive association between overall CSR and implant length (P<.05). Conclusion: An acceptable long-term result of $Br{\aa}nemark$ implant was achieved and implant length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CS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조사를 통한 리모델링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정숙,배정윤,박은선,Yoon Chung-Sook,Bae Jung-Yoon,Park Eun-Seon 한국주거학회 200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rovement plans and the future development guidelines to improve the apartment housing remodeling. To achieve this goal, case studies and personnel interviews were conducted. Case Studies were performed on 3 apartment houses which had a remodeling association and personnel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the union presidents of the apartment hou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on the practice of apartment housing remodeling, the problems are as follows; 1) a lack of establishing the specific standards and the operation procedures in terms of the laws and regulations 2) a lack of the residents' right awareness in terms of the maintenance & administration 3) a lack of the funds raising in the case of remodeling in the small. middle size in terms of the finance. According to above results, to improve the apartment housing remodeling, it is showed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specific standards and procedures in the laws, regulations and policies, which will be accomplished by real remodeling cases.

      • KCI등재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무치악 환자에서 임시 의치를 사용한 기능 인상에 의한 총의치 수복 증례

        서영교,배정윤,김현희,Suh, Young-Kyo,Bae, Jung-Yoon,Kim, Hyun-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3

        연성 이장재는 점탄성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인상 채득 후 바로 치과용 경석고를 주입할 시, 기능 인상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78세의 남성으로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하악 치조제의 심한 흡수로 인하여, 폐구법을 통한 기능 인상을 채득하기로 계획하였다. 먼저, 상, 하악 임시 의치의 제작을 시행하고, 연성 이장재를 내면에 도포하여 압박된 상, 하악 무치악 치조제의 치유를 유도하였다. 이후, 회복된 상, 하악 치조제에 맞게 내면이 변형된 상, 하악 임시 의치를 이용하여 폐구법을 통한 기능 인상을 채득하였으며, 상악 임시 의치의 치아 배열을 참고하여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시 의치를 이용하여 기능 인상을 채득하여 만족스러운 유지와 기능을 회복할 수 있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Soft liner is used to functional impression technique when dental stone is immediately poured after taking impression because of viscoelasticity. In this case, a 78-year-old male visited for new dentures. Due to severe resorption of mandibular edentulous ridge, functional impression taking by closed mouth technique was planned. First of all, making maxillary and mandibular provisional dentures was done, and lined by soft liner to rehabilitate pressured maxillary and mandibular edentulous ridge. After this, Functional impression was taken by closed mouth technique using provisional dentures which are transformed to healed maxillary and mandibular edentulous ridge, and final denture were fabricated using maxillary provisional denture as a reference of artificial teeth arrangement. Consequently, restoring a complete edentulous patient with taking functional impression using provisional dentures resulted in recovering satisfying retention and function.

      • KCI등재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의 보철적 합병증

        유상춘,배정윤,You, Sang-Choon,Bae, Jung-Yo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1

        목적: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의 성공률과 보철적 합병증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67명의 환자에서 75개 수복물(단일 51개, 연결 24개)을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 혹은 연결 크라운으로 수복했다. 모든 수복물은 임시 시멘트로 합착했다. 보철적 합병증과 성공률을 조사하고, 나이,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 보철물의 유형이 보철적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결과:평균 22.2개월의 관찰 결과, 최종 누적 성공률은 66.9 (73.2 - 60.6)%였다. 유지 상실이 16개 보철물(단일 14개, 연결 2개)에서 나타났고, 지대주 나사 풀림과 비니어 도재 파절은 단일 크라운에서만 각각 2개의 보철물에서 나타났다.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에 대한 Kaplan-Meier 생존분석 결과, 최종 누적 성공률은 각각 58.9 (66.6 - 51.2)%, 87.5 (96.1 - 78.9)%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다른 고려 요인들은 보철적 합병증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보철적 합병증은 유지 상실이 가장 많았고, 지대주 나사 풀림 및 비니어 도재 파절은 단일 크라운에서만 비교적 적게 관찰되었다. 나이,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에 따른 보철적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상부 보철물을 연결 크라운으로 제작했을 때, 단일 크라운으로 제작한 경우보다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assess clinically the success rates and technical complications of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and splinted crowns with zirconia frameworks. Materials and methods: 75 (single crowns: 51, splinted crowns: 24)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and splinted crowns with zirconia frameworks which were restored in 67 patie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success rates and technical complications. All restorations were cemented with temporary cement. Age, gender, restoration position, opposing teeth, restoration type were assessed as possible factors affecting technical complications. Results: During the mean observation period of 22.2 months, cumulative success rates of all restorations were 66.9 (73.2 - 60.6)%. Retention loss was found in 16 restorations (single crowns: 14, splinted crowns: 2), abutment screw loosening and veneer porcelain fracture were found in each 2 single crown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of single crowns and splinted crowns, the cumulative success rates were 58.9 (66.6 - 51.2)%, 87.5 (96.1 - 78.9)%,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other possible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ical complications. Conclusion: Retention loss was the most frequent technical complication. Abutment screw loosening and veneer porcelain fracture were found rarely in single crowns only. Age, gender, restoration position, and antagonis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ical complications. Splinted crowns had a higher success rate than single crowns.

      • KCI등재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에서의 지대주 나사 풀림 현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수정,배정윤,김현희,Hong, Su-Jung,Bae, Jung-Yoon,Kim, Hyun-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구치부 식립 임플란트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 빈도 및 지대주 나사 풀림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208명의 환자에서 구치부에 식립한 391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복물은 고정성으로 단일 혹은 연결 크라운, 브릿지로 제작되었으며, 임시 시멘트로 합착하였다. 전체 수복물 중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고,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 보철물의 유형, 지대주 연결 유형, 매식체의 지름이 지대주 나사 풀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2 - 5년의 관찰 결과, 총 29개(7.4%)의 임플란트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이 발생하였다. 최종 수복 후 지대주 나사 풀림이 발생하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3개월부터 48개월(평균19.5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3개의 임플란트에서 매식체의 파절이 발생되었다. 고려 요인들 중,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따라 대구치(9.4%)와 소구치(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19), 대합치에 따라 자연치(9.9%), 임플란트(1.0%), 가철성 보철물(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8). 다른 고려 요인에 따른 지대주 나사 풀림 발생 빈도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 빈도는 7.4%로 나타났다. 소구치보다 대구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으며, 대합치에 따라서는 임플란트, 가철성 보철물과 비교 시 자연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assess clinically the incidenc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of posterio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and its affecting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391 implant-supported crowns restored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1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with either a single crowns or a splinted crown, and cemented with temporary cement. The incidenc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is investigated and gender, restoration position, opposing teeth, restoration type, abutment connection type were assessed as possible factors affecting abutment screw loosening. Resul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2 - 5 years), abutment screw loosening was found in 29 restorations (7.4%). It took 3 to 48 months (means 19.5 months) to loose the screw, and three of these implants were fractured. Among the factors consider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butment screw loosening rate between molar group (9.4%) and premolar group (2.6%) (P<.019). According to the type of opposing tee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ure teeth (74.7%) and implant (25.0%), removable denture (3%) (P<.019). The other possible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osening of the abutment.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in posterior restoration was 7.4%. Abutment screw loosening were more likely to occur in molars group than premolar group, and according to the opposing teeth, there were the greatest frequency in nature teeth than implant and removal dentu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치성 점액종 환자의 총의치 수복증례

        정다운,김현희,배정윤,Jeong, Da-Woon,Kim, Hyun-Hee,Bae, Jung-Yo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1

        치성점액종은 악골에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 치성 종양이다. 본 증례의 60대 무치악 남성은 전상악부에 발생한 연조직 종괴 제거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절제 생검 결과 치성 점액종으로 확진되었다. 외과적 제거 후 잔존한 가동조직의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고안된 투명 레진 트레이로 인상을 채득하였다. 악간관계기록 및 납의치 시적시에 중립대 영역을 설정하고 기능적 연마면 형태를 인기하여 총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치성 점액종 제거 후 가동조직과 중립대를 고려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총의치를 제작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dontogenic myxoma of the jaws is a rare benign odontogenic tumor. In this case, a 61-year-old male patient had a chief complaint about maxillary anterior gingival mass and excisional biopsy result confirmed odontogenic myxoma. The clear acrylic resin custom tray was designed to minimize displacement of flabby tissue which remained after the surgery. Neutral zone and external impression technique could provide satisfactory result in terms of denture stability and retention during jaw relation record and wax denture try-in procedure. This clinical report describes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s for a patient with odontogenic myxoma in regard to flabby tissue and neutral zon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가상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안모의 유형에 따른 하안모 변화에 관한 연구

        김남우,이긍철,문철현,배정윤,김지연,Kim, Nam-Woo,Lee, Gung-Chol,Moon, Cheol-Hyun,Bae, Jung-Yoon,Kim, Ji-Y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1

        목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발생하는 하안모의 변화가 안모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평가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하여야 할 안모 유형을 알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진단을 위해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환자 중 261명을 추출하여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시상적 안모 패턴은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 안모 패턴은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로 나누어 환자를 9가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를 가상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악 중절치 기준 2 mm 수직 교합 고경을 증가시킨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을 측정한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의 비율을 구하여 9가지 집단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서로 비교하였다. 비교분석은 2-way ANOVA로 검정하고 사후 분석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모든 검정은 유의수준 5%에서 수행되었다. 결과: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간의 비교에서는 Class III 집단에서,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간의 비교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대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 비율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9가지 집단 중 Class II & hyperdivergent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 시 시상적 안모의 패턴 및 수직적 안모의 패턴에 따라 하안모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lass II & hyperdivergent 얼굴 패턴을 가진 환자는 수직 교합 고경 증가가 동반되는 치료 시 다른 유형에 비해 하안모의 변위량이 클 수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on lower facial changes by facial type. Materials and methods: Lateral cephalograms from 261 patients were obtained and classified by sagittal (Class I, II, and III) and vertical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s. Retrusive displac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and downward displacement of soft tissue Menton were measured in each group after 2 mm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as increased at the lower central incisor using a virtual simulation program. The ratio of both displacements was calculated in all group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2-way ANOVA and Post hoc was done by Tukey test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Retrusive displac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in Class III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compared to Class I and II, and in vertical facial groups all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5). Downward displacement of soft tissue Ment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sagittal groups and vertical groups (P<.05). The ratio of both displac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gittal groups and vertical groups (P<.05), and Class II hyperdivergent group had the highest value. Conclusion: Lower facial change was sta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ial type whe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creased. Class II hyperdivergent facial type showed the highest ratio after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