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유아 다문화교육의 내용

        배재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지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72명의 교사들이다.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유아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수준은 개념도의 내용과 밀도를 통해 분석되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유아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인종, 자연환경과 문화, 성과 성적지향, 사회경제적 계층과 소비주의, 장애와 비장애, 그리고 가족구조 6가지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6가지 다문화교육내용 영역 중 자연환경과 문화 그리고 인종을 가장 빈번하게 지각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 유아 다문화교육이 여행자 혹은 관광식 접근을 취하고 있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였다. 개념도의 밀도를 분석한 결과 유아 교사들은 비교적 많은 수의 하위개념들을 지각하고 있었다. 요약하면, 교사들은 유아 다문화교육의 6가지 내용 영역 중 자연환경과 문화 그리고 인종에 관하여서는 양적으로 높은 수준의 지식들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나머지 내용 영역들에 대하여서는 거의 지각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통해 유아 다문화교육 내용에 관하여 교사들이 국외 문화의 다양성만 강조하는 내용에만 편중하여 지각하는 반면 국내에서 유아들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내 문화들을 깊이 있게 지각하고 있지 못함으로써 현장에서 균형적이고 포괄적인 다문화교육의 실천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유아의 실제 삶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유아 다문화 교육 내용의 범주를 설정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현직연수를 통해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what type of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erms of appropriate and developmental levels for presentation. Participates, 72 teachers in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were presented with a model of multicultural content areas, drawn from rec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literature and based on six basic conceptual contexts: 1) race 2) social class and consumerism, 3) culture, 4)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5) )abilities and disabilities, and 6) family structure, The teachers' responses and comm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the varied content areas. The results showed a high frequency in choosing the subordinate concepts of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race as importan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topics.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did not perceive abilities and disabilitie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social class and consumerism, or family structure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disparity between the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and research informe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points to a need for both more research and better dissemination of research results in order for them to teach balanced and more inclusiv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xt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개념도 분석

        배재정 ( Jae Jung Ba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양국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대구·경북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46명과 미국 중서부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41명이다. 양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수준은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의 내용 그리고 밀도와 위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문화의 표면적 다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양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나타낸 위계와 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한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주로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표면적 문화와 같은 다문화교육의 내용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은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교실 및 수업요소 그리고 교육의 가치와 기대되는 결과에 관하여 보다 더 폭넓은 지식과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사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 in Korea and USA. The participants were 46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in Korea and 41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idwestern in the United States.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education both in Korea and U. S. A. focused on the superficial sources of diversity such as holidays, food, and cloth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erarchical structure. The last, the author indicated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ourses for presevice teachers both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suggested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had great and long term impact on early childhood presevice teachers` developing knowledge, behaviors, attitudes, and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 발달 및 평가 방안 탐색

        배재정(Bae Jae-J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Bennett의 다문화적 감수성 발달 모델(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MIS)과 Hammer의 다문화적 발달 도구(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IDI)를 통해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평가하고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ennett의 DMIS는 다문화적 감수성의 발달적 과정에 관하여 가장 잘 알려진 구성주의적 이론이며, 자민족중심주의에서 민족상대주의에 이르는 여섯 단계들로 다문화적 감수성의 예측 가능한 발달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Hammer의 다문화적 발달 도구(Intercultural Developmental Inventory, IDI)는 DMIS에 근거하여 다문화적 감수성을 객관적이고 양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보고식의 설문지이다. IDI는 프로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질적 분석까지 가능한 도구이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다문화적 감수성을 측정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DMIS와 IDI를 사용해오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IDI의 타당도 검증만 실시되었으며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의 평가와 증진을 위해 그 적용과 활용은 아직 미비하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여러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DMIS와 IDI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평가하고, 그에 적합한 맞춤식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적용되어짐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발달시키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적 감수성의 통합적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IDI에 기초하여 다문화적 감수성의 전반적인 발달단계를 평가하는 것은 물론 DMIS에 근거하여 다문화적 감수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평가한 후 이후의 훈련프로그램 및 개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유아다문화 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DMIS와 IDI에 근거한 평가 모형을 활용한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DMIS and IDI to facilitate and assess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meet this purpose, firstly, the author introduces the Development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DMIS), Bennett(1993)'s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IDI), a 50-item psychometric self-report instrument using five-point Likert scale based on DMIS for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Secondly, the author describes that DMIS and IDI are beneficial to measur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raining teachers, designing the tailored program, and assessing outcomes of training programs. Finally, the author suggests the integrating model of evaluation for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o stresses futher study about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MIS and IDI for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기의 사회적 가상놀이와 상호주관성 발달에 관한 이론적 탐색

        배재정(Bae Jaejung),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1

        상호주관성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자들이 자신의 견해를 가지고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여 생각을 서로 나누는 과정에서 공유된 이해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에서 상호주관성의 발달은 다양성과 공동체적 삶을 유지하고 공유하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주관성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상호주관성의 개념 및 발달적 기원을 살펴 보았고, 유아기의 사회적 가상 놀이에서 상호주관성이 지니는 교육적 함의를 고찰해보았다. 연구결과 상호주관성은 단순한 사회적 협상 과정이기전에 근본적으로 존재론적이며 관계론적인 개념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기의 상호주관성 발달은 또래와의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 뿐 아니라 어머니를 비롯한 성인과의 경험, 인지 및 언어 발달 그리고 교육적 환경 및 적극적 중재 등 여러 요소들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유아들의 상호주관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상호주관성의 발달을 살펴보는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Intersubjectivity, joint negotiation of shared understanding by participants during social interactions, has been considered to be a criterion to expect successful learning in a community life. Under a post-modernism environment, intersubjectivity can be a necessary mean both for developing a inter-personal diversity and sustaining a community life. In this context, we attempt to examine both the developmental origin and constructural process of intersubjectivity for the purpose of an in-depth understanding. Furthermore, we investigate how inter-subjectivity during social dramatic play affects children's social learning. After done wit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e found the following two points: (1) intersubjectivity is a concept that has essential meaning rather than a simple social negotiation process; (2) Developing young children's intersubjectivity is related to not only peer interactions during social play including social dramatic play and rough & tumble play, but also related to an experience with adults including mother, cognitive and linguist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Diverse perspectives and attempts for forming children's inter-subjectivity are, therefore, required in designing a curriculum.

      • KCI등재

        다문화시대 전문가 집단의 문화적 역량증진을 위한 모형개발

        문계완,배재정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직업전문가를 훈련하기 위한 문화적 역량 증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시대적 배경과 다문화 현장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에게 문화적 역량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하고, 문화적 역량 모형개발을 위해 문화적 역량의 개념, 구성요소, 문화역량의 발달과정과 학습방법, 측정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Banks(2006)와 Bennett(1996)의 문화적 정체성과 간문화적 감수성 발달단계를 기초로 문화적 역량 발달과정을 구성하고, Baker(1983), Gay(1977), 장인실(2008)의 다문화 교육 모형 단계와 내용에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발된 모형은 문화적 역량 발달 단계로서 자문화중심주의, 전이, 문화상대주의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단계에 따라 각각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들을 통합시킨 것으로 이루어졌다. 제시된 모형은 다문화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odel for the experts working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Since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into multi-cultural society, it is important for experts to develop cultural competenc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odel, this study examined its definition, components, developmental stages, learning method, and its assessments. Considering both Banks' (2006) and Bennett' (1996) works, stages for cultural competency has been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ethnocentrism, transition, cultural relativity. Each stage integrates thre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cognitive asp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affective aspect(attitude and skills), and behavioral aspect (strategy and action). The suggested model integrating both compenents and developmental stages could be used for designing cultural competency programs and providing training for the experts working at multi-cultural environments.

      • KCI등재

        통합집단 사회적 가상놀이 상황에서 교사 중재여부가 일반유아의 상호주관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정희,배재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teacher intervention plays on developing children's intersubjectivity in inclusive settings. The subjects were 24 four year old children(with 8 disabled children) and 24 five year old children(with 8 disabled children). Children's social dramatic play on 5 themes for 10 weeks has been observed and videotaped. Data were analyzed by employing Göncü’s instrument (1993). A two-way ANOVA was employ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at teacher intervention during social dramatic play in inclusive sett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intersubjectivity in terms of both age and negotiable behavior. Implica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regarding teacher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통합 교실의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상호작용에서 교사 중재여부가 일반유아의 상호주관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4세 일반유아 24명(장애유아 8명)과 만 5세 일반유아 24명(장애유아 8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5가지 주제로 사회적 가상놀이를 관찰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Göncü의 도구(1993)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통합 환경에서 연령에 따른 상호주관성 발달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가상놀이 시 교사중재여부는 일반유아들의 사회적 놀이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협상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교육에서 교사의 교수방법과 중재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