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정지역 노인에서의 야간뇨와 신체적 질환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배재익,김지용 대한노인병학회 2010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4 No.2

        Background: Nocturia is a common event among the elderly that is often understood to be a potential cause of sleep disorder. However, only a few such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diseases including nocturia as a risk factor for sleep disturbance in the Korean elderly. Methods: Subjects included 433 patients older than 60 years(average age, 69.7 years) who had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ne to August 2009. The questionnaire asked about the quality of their sleep, nocturia and physical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gastrointestinal problems, arthralgi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nocturia and the physical diseases associated with sleep. Results: Incidence of nocturia increased with age and showed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p<0.05): 35.7% in their 60s, 41.5% in their 70s and 60.4% in their 80s and older. Nocturia (odds ratio [OR], 1.68; 95% confidence interval[CI], 1.10 to 2.58) and arthralgia(OR, 1.69; 95% CI, 1.10 to 2.60) were two important factors causing sleep disorder. Conclusion: In conclusion, nocturia and arthralgia were the main causes of sleep disorder.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continually increas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is subject and to find a potential cure. 연구배경: 노인에게서 흔한 증상으로 야간뇨가 있고, 이는수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국내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야간뇨를 포함한 신체적 질환이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는 없다. 이에 저자들은특정지역 노인의 야간뇨의 유병률과 야간뇨와 신체적 질환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야간뇨의 치료의 근거를 찾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09년 6월 4일부터 2009년 8월10일까지 특정의원 외래를 방문한 만 60세 이상의 노인으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 442명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들이 직접응답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설문지의 내용은최근 숙면을 취하고 있는지의 여부, 야간뇨 유무 및 횟수를기록하게 하였다. 그 밖에 고혈압, 당뇨, 소화기질환, 만성폐질환, 갑상선질환, 뇌졸중의 유무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야간뇨와 신체적 질환과 수면과의 관계를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야간뇨의 유병률은 39.8%였고, 60대, 70대 및 80세이상의 노인군에서 각각 35.7%, 41.5%, 60.4%이었다. 야간뇨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카이제곱 검정에서 노인에게 흔한 질환 중 수면에 방해를하는 요인으로 야간뇨, 관절통, 소화기질환, 뇌졸중, 만성폐질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5), 다변량 분석에서 교차비를 구하였을 때는 야간뇨와 관절통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결론: 노인에서 야간뇨는 나이가 들어감에 증가하였고,수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야간뇨와 관절통으로나타났다.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를 고려할 때 야간뇨 치료의중요성은 증가될 것이며, 이에 대한 관심과 포괄적 접근이요구된다.

      • KCI등재

        낮 병동을 활용한 인터벤션 시술 시행

        배재익,박오환,조혜선,박은희,최갑숙,이선주,김용우,전제량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6 No.1

        Purpose: We wanted to describe the practice and results of applying the day-hospital system in an interventional radiology clinic.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 2004 to Dec. 2005, the day-hospital system was applied to various interventional procedures with using a part of the recovery room of an angiography suite as a facility for hospital admission. The study included 91 cases in 73 patients. The source of the patient referral, the procedures, hospital cours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available 55 patients. Results: Among the patients, 70% (n=64) were referred from other departments, 5% (n=5) from other hospitals, 5% (n=4) were new patients and 20% (n=18) were re-admissions. The procedures included gastrointestinal, biliary, urinary, hemodialysis related- and implantable port related interventions. 96% (n=87) of the patients were successfully discharged in a day and admission to the general ward was only 4% (n=4). Minor complications occurred after discharges in 3% (n=3). The questionnaire survey revealed that 96% (n=53)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and they were not anxious after discharge. Conclusion: Most of common interventional procedures were safely done under the day-hospital system with the patients being highly satisfied. The day-hospital system can be a good tool for establishing admitting privileges for an interventional radiology clinic. 목적: 낮 병동을 활용한 인터벤션 시술시행에 대한 초기 경험과 환자의 반응을 요약 및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전향적으로 72명의(남: 37, 여: 35, 평균연령 57세) 환자에 대한 91예의 인터벤션 시술을 낮 병동 입원상태로 시행하였다. 낮 병동 시설은 혈관조영실 회복실 내에 마련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환자 내원 경로, 시술의 종류, 시술 후 경과, 합병증 발생여부 및 낮병동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환자 만족도 조사는 설문이 가능한 55명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91예 중 70%(n=64)는 본원의 타 과에서 전과 된 경우였고, 5%(n=5)는 다른 병원에서 전원된 경우였으며, 5%(n=4)는 새로운 환자였다. 나머지 20%(n=18)는 낮 병동 재진의 경우였다. 시술로는 위장관계, 담관계, 요로계 및 혈액 투석 관련, 그리고 정맥포트관련 시술이 많았다. 합병증이 생기거나 시술에 실패한 4%(n=4)를 제외한 96%(n=87)에서 모두 성공적 시술 후 문제없이 당일 퇴원하였다. 당일 퇴원 후 생긴 합병증은 3%(n=3)에서 발생하였는데 모두 경미하였다. 96%(n=53)의 환자가 낮 병동을 통한 시술에 대하여 만족하였고, 퇴원후 불안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다양한 인터벤션 시술이 낮병동 체계로 충분히 가능하였고 낮 병동에 대한 환자 만족 정도도 매우 높았다. 낮 병동은 인터벤션 영상의학 클리닉의 입원기반시설 수립을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급성 늑간 동맥 출혈의 경동맥 색전 치료

        배재익,박오환,이선주,고기영,윤현기,윤창진,신태범,김영환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3 No.3

        Purpose: To report our experiences of transarterial embolization for acute intercostal artery bleeding.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ly analysis of the causes, clinical manifestations, angiographic findings and transarterial embolization technique in 8 patients with acute intercostal artery bleeding, with a review of the anatomical basis. Results: The causes of intercostal artery bleeding were iatrogenic and traumatic in 88 and 12% of cases, respectively. Active bleeding from the collateral intercostal or posterior intercostal arteries was angiographically demonstrated in 75 and 25% of cases, respectively. Transarterial embolization successfully achieved hemostasis in all cases. However, two patient with hypovolemic shock expired due to a massive hemothorax, despite successful transarterial embolization. Conclusion: Intercostal access sh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middle of the intercostal space to avoid injury to the collateral intercostal artery. Transarterial emboliza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control of intercostal artery bleeding. 목적 : 급성 늑간동맥 출혈을 경동맥 색전 치료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혈관조영술상 늑간동맥출혈이 확인된 8예를 대상으로(남:여= 6:2, 29-77세, 평균 58세), 원인, 출혈부위, 혈관조영 소견, 치료 방법, 치료 결과 및 환자의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늑간동맥 출혈의 원인은 모두 의인성(88%) 이나 외상성(12%) 이었다. 출혈부위는 늑골의 상연을 따라 주행하거나 늑간을 가로지르는 부행늑간동맥(collateral intercostal artery)인 경우가 75%였고, 후늑간동맥(posterior intercostal artery)인 경우가 25%였다. 전 예에서 경동맥 색전술로 성공적으로 지혈 하였지만, 많은 양의 혈흉이 있었던 2예에서는 색전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였다. 결론: 늑간동맥 손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행늑간동맥이 있는 늑간의 상연 보다는 중간부위를 천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동맥색전술은 늑간동맥출혈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 KCI등재

        세 겹 구조 자가팽창형 스텐트그라프트의 혈관생체적합성: 개 모델 연구

        배재익,원제환,장은호,이성영,고광태,진보환,이준우,김지대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6 No.2

        Purpose: To evaluate performance and biocompatibility of a newly designed self-expanding stent graft, which consisted of two nitinol stents and an interven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in a dog artery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stent grafts were placed in the aorta of 6 dogs (beagle, mean body weight 11 kg) for 4 weeks (n = 4) and 12 weeks (n = 8). Luminal diameters were measured for each segment (the proximal bare, the middle graft, the distal bare) by angiographies after implantation and follow up periods. Percent luminal stenosis based on angiographies, histomorphometric, histologi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es of each segments were performed. Results: Blood flow through the stent grafts was good after implantation an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without thrombotic occlusion or stent graft migration. The mean percent luminal stenosis of the proximal bare, the middle grafted and the distal bare segments after 12 weeks were 13.5%, 3.9%, 9.6% retrospectively. The mean neointimal areas of the middle grafted segment were 4.39 mm2 (4 week) and 4.92 mm2 (12 week). Mature endothelialization was evident in over 70% of the area of the stented artery after 4 weeks and in over 90% after 12 weeks. Conclusion: The stent graft was well placed in the attempted area without migration. During the 12-week-follow up period, it showed a good patency without thrombotic occlusion or significant in-stent luminal stenosis. Endothelialization was rapid and nearly complete. Neointima was thin and smooth on the middle graft segment and thicker and irregular on the bare segments. 목적: 새로 디자인된 형태로써 두 겹의 니티놀 스텐트 사이에 폴리테트로플루오르에틸렌막을 끼워서 고정한 세 겹 구조의 자가팽창형 스텐트그라프트의 혈관생체적합성을 개 모델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여섯 마리의 개(평균체중 11 kg)에 각각 두 개의 스텐트그라프트(총 12개)를 대동맥 설치하고 2마리는 4주간 나머지 4마리는 12주간 추적관찰하였다. 스텐트그라프트 설치부의 내강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설치 전후 및 추적기간 후 혈관조영을 시행하였다. 신생내막의 증식정도와 염증정도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측정하였다. 내막세포화의 정도와 성숙도는 전자현미경 검사를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설치 후 혈류는 전 기간 동안 잘 유지되었고 혈전발생이나 스텐트그라프트 이동은 없었다. 12주 후 근위 비막(proximal bare)부분, 중간 막(middle graft)부분, 원위 비막(distal bare)부분 내강의 평균 퍼센트협착은 각각 13.5%, 3.9%, 9.6%였다. 4주군과 12주군의 중간 막부분의 평균 신생내막면적은 각각 평균 4.39 mm2와 4.92 mm2였다. 성숙된 혈관내피화는 4주군에서 70% 이상, 12주군에서 90% 이상의 범위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스텐트그라프트는 성공적으로 혈관 내 의도부위로 진입하여 잘 설치되었으며 위치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추적기간 동안 혈전 발생에 의한 내강협착이나 폐쇄는 없었다. 12주의 추적기간 이후에도 의미 있는 내강협착 없이 혈류가 잘 유지되었고, 내피세포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다. 신생내막은 그라프트막 부위에서는 얇고 균질하였으나 양끝의 비막부위에서는 불규칙하고 다소 두꺼웠다.

      • KCI등재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for Patients with Critical Limb Ischemia: Impact on Wound Healing and Long Term Clinical Results in 189 Limbs

        배재익,원제환,한승환,임상현,홍유선,김재영,김지대,김준수 대한영상의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4 No.3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n wound healing and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in patients with critical limb ischemia (CLI).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n 189 limbs with CLI treated with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between 2008 and 2010 and followed for a mean 21 months. Angiographic outcome was graded to technical success (TS), partial failure (PF) and complete technical failure. The impact on wound healing of revascularization was assessed with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nalysis of long-term event-free limb survival, and limb salvage rate (LSR) was performed by Kaplan-Meier method. Results: TS was achieved in 89% of treated limbs, whereas PF and CF were achieved in 9% and 2% of the limbs, respectively. Major complications occurred in 6% of treated limbs. The 30-day mortality was 2%. Wound healing was successful in 85% and failed in 15%. Impact of angiographic outcome on wound hea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vent-free limb survival was 79.3% and 69.5% at 1- and 3-years, respectively. The LSR was 94.8% and 92.0% at 1- and 3-years, respectively. Conclusion: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improve wound healing rate and provide good long-term LSRs in CLI.

      • KCI등재

        국내 당뇨발의 유병률과 치료현황 분석

        배재익,원제환,김준수,김만득,윤창진,조윤구 대한영상의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4 No.3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the current status of treatment of diabetic foot in Korea using Medicare claim data provid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aterials and Methods: Diabetic foot patients were selected from the 2011 one-year data with disease classification code based on the Korean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Related Health Problems-6 system. Diabetic foot patient was defined as an adult (> 19-year-old) with specific disease codes of diabetic foot or with disease codes of diabetes, with foot ulcer/gangrene. Treatments for diabetic foot from the 5-year data between 2007 and 2011 focused on wound care including orthopedic foot surgery, lower extremity (LE) arterial revascularization procedure and major LE amputation. Results: Diabetic patients in 2011 were 3763445, and diabetic foot patients were 108346 (2.9%). In the treatment details for the diabetic foot patients, local wound care alone were included in 104430 patients (96.4%), LE revascularization procedures were included in 2782 patients (2.6%) and major LE amputation were included in 1260 patients (1.2%). Of patients with major LE amputation, 1134 (90.1%) had no record of LE revascularization procedure. Of patients who had LE revascularization procedure, 126 (4.5%) had major LE amputation. Conclusion: The annual prevalence of diabetic foot in 2011 in South Korea was 2.9%, which was similar to findings of other prevalence study of western countries. LE arterial revasculariz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in only a minority of diabetic foot patients. There is lack of awareness of LE arterial occlusive disease and the necessity of revascularization in treatments of diabetic foot. 목적: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 청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당뇨발의 유병률과 치료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당뇨발 환자는 개정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체계가 적용되어 상병코드로 당뇨발의 파악이 가능해진 2011년 자료에서 추출하였다. 당뇨병을 주 상병 또는 부 상병으로 하여 1회 이상 심평원에 청구된 20세 이상의 환자 중에서 당뇨발의 상병코드나, 궤양/괴저 등의 발 상처의 상병코드가 포함된 경우를 당뇨발 환자로 정의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현황은 2007년 이후 5년 동안의 자료에서 정형외과적 발 부위 국소치료, 다리동맥재개통술, 다리의 주요절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2011년 청구된 20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는 3763445명이었고, 이 중 108346명(2.9%)에서 당뇨발이 있었다. 당뇨발 환자의 5년간 치료현황으로, 상처치료만 시행된 경우가 104430명(96.4%), 다리동맥재개통술이 1회 이상 포함된 경우가 2782명(2.6%), 주요절단이 포함된 경우는 1260명(1.2%)이었다. 다리동맥재개통술은 우회수술 436명(15.7%), 경피적시술 2268명(81.5%), 둘 다 시행된 경우가 78명(2.8%)이었다. 주요절단환자 중 1134명(90.1%)에서는 2007년 이후 5년간의 치료 자료에서 어떠한 다리동맥재개통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다리동맥재개통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서는 126명(4.5%)에서 5년 동안의 치료자료 중 주요절단이 포함되어 있었다. 결론: 당뇨발의 연간 유병률은 2.9%로서 서양에서 시행된 유병률 조사와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당뇨발 치료로서 다리동맥에 대한 재개통치료는 매우 일부의 환자들에서만 시행되었다. 당뇨발에 동반된 다리동맥폐쇄에 대한 고려와 이를 적극적으로 치료하려는 경향은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Korean Guidelines for Interventional Recanalization of Lower Extremity Arteries

        김영환,배재익,전용선,김창원,제환준,박광보,조영권,김만득 대한영상의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6 No.4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caused by atherosclerosis can present with intermittent claudication or critical limb ischemia. Proper diagnosis and management is warranted to improve symptoms and salvage limbs.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and dedicated materials, endovascular recanalization is widely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because it is less invasive than surgery.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regarding the appropriate indications and procedure methods for interventional recanalization according to operator and institution in Korea. Therefore, we intend to provide evidence based guidelines for interventional recanalization by multidisciplinary consensus. These guidelines are the result of a close collaboration between physicians from many different areas of expertise including interventional radiology, interventional cardiology, and vascular surgery. The goal of these guidelines is to ensure better treatment, to serve as a guide to the clinician, and consequently, to contribute to public health care.

      • KCI등재

        다리동맥 인터벤션 재개통술 진료지침

        김영환,배재익,전용선,김창원,제환준,박광보,조영권,김만득 대한영상의학회 201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1 No.5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caused by atheroscleorsis can be presented with intermittent claudication or critical limb ischemia. The proper diagnosis and management is warranted to reduce symptoms and salvage the limbs.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 and dedicated materials, endovascular recanalization has been widely performed for treatment of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because it is lesser invasive than surgery. However,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appropriate indications and procedure methods for interventional recanalization among operator and institution in Korea. Therefore, we intend to provide evidence based guidelines for interventional recanalization by multidisciplinary consensus. These guidelines are the result of a close collaboration between physicians from many different areas of expertise including interventional radiology, interventional cardiology, and vascular surgery. The goal of these guidelines is to ensure better treatment, to serve as a guide to the clinician, and consequently, to contribute for public health care.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다리동맥의 만성협착 및 폐쇄는 간헐적 파행이나 임계하지허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증상을 호전시키고 다리를 보존하여야 한다. 다리동맥의 만성협착 및 폐쇄 환자에서 다리동맥의 재개통을 위한 인터벤션 시술은 수술에 비해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기술의 소개와 의료장비의 발달로 인해 최근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는 의료기관 및 시술자별로 인터벤션 재개통술의 적응대상 환자와 시술방법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따라서 다학제적 합의를 통한 근거 중심의 인터벤션 재개통술 진료권고안을 제시하고자 국내 인터벤션 시술과 관련된 학회(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대한혈관외과학회, 대한심혈관중재학회, 대한영상의학회간호사학회) 전문가들이 모여 진료지침을 만들었다. 본 진료지침의 목적은 보다 좋은 치료 방법을 확보하여 진료 일선의 의료인들에게 인터벤션 시술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하며, 결과적으로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