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우 시 식생수로에서 유기물 및 부유물질 저감효율 분석

        길경익,배원열,임지열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비점오염은 점오염과 달리 불특정 배출경로를 가지며 유출량의 예측 및 정량화가 어렵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이 수계로 유입 될 경우 수질의 악화를 초래한다. 이에 정부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고자 비점오염저감시설 개발, 연구 및 설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경우 충분한 자료를 토대로 설치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 및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수로에서 강우 시 발생되는 부유물질 및 유기물 저감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상지역에서의 강우 모니터링을 통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자연형 장치인 식생수로에서의 EMC를 통계분석하고 ER 방법 및 SOL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산정하였다. EMC 결과 값은 TSS는 유입 27.62 ∼ 98.08mg/L, 유출 13.96 ∼ 220.12mg/L, COD는 유입 13.61mg/L ∼ 31.83mg/L, 유출 5.69 ∼ 11.34mg/L, BOD는 유입 2.58 ∼ 11.70mg/L, 유출 0.59 ∼ 6.65mg/L의 범위를 보였다. 저감효율 산정 값은 ER 방법과 SOL 방법에 대해 각각 TSS는 49%, 83% COD는 72%, 82% BOD는 71%, 76%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유출부의 EMC 범위와 평균 70% 이상의 저감효율 산정 값을 통해 식생수로가 강우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대해 높은 저감효과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의 향장소재 특성

        하기정,김낙구,신현열,배원열,허호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5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의 화장품 소재로서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애약쑥의 물추출물, 60% 에탄올 추출물, 100% 에탄올 추출물은 Escherichia coli를 제외하고 Propionibacterium acnes,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nterobacter aerogenes 등 4종의 미생물에대하여 모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최소저해농도(MIC) 분석결과 60% 에탄올 추출물의 P. acnes에 대한 MIC가 1.25 mg/mL의 농도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섬애약쑥 추출물의tyrosinase 활성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에 비해서 60%와 100% 에탄올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B16/F10 melanoma 세포에 의한 멜라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60%와 100%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특히 60% 에탄올 추출물은 125 μg/mL의 농도에서 51.9%의 elastase 저해능을 보여서 우수한 주름개선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쑥 추출물은 UV-B(290-320 nm) 영역에서 강한 UV 흡수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60%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흡수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섬애약쑥 추출물이 향장산업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functionality of Artemisia argyi H. ascosmetic substances.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60% ethanol and 100% ethanol extractsshowed inhibitory effect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epidermidis, and Enterobacter aerogenes except Escherichia coli. As the results ofMIC(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60% ethanol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P. acnes at a concentration of 1.25 mg/mL. The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60% ethanol, and 100% ethanol extracts of A. argyi H. was increased in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Melanin syntheses of B16/F10 mellanoma cells was alsoreduced by the extracts of A. argyi H. Especially, 60% ethanol extracts showed a excellentelastase inhibition of 51.9% at 125 ug/mL. In addition, the samples also showed a strongabsorption in the range of UV-B(290-320nm).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ofA. argyi H. might be used for cosmetic industry such as anti-wrinkle or whitening substances.

      • KCI등재

        섬애약쑥 주정 추출물로 제조한 발효식초의 품질특성

        신지현,강민정,변희욱,배원열,신정연,서원택,최진상,신정혜,Shin, Ji Hyeon,Kang, Min Jung,Byun, Hee Uk,Bea, Won Yoel,Shin, Jeong Yeon,Seo, Weon Tack,Choi, Jine Shang,Shin, Jung Hye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의 유효성분인 jaceosidin과 eupatilin을 함유하는 식초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섬애약쑥 70% 주정추출물을 첨가하여 식초를 제조하였으며, 물추출물 첨가군과 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동량의 10% 맥아추출물을 첨가하였으며, 여기에 동량의 정제수와 주정을 혼합한 것을 대조군(CO), 정제수와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SE, 주정과 섬애약쑥 물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SW, 섬애약쑥 물추출물 및 주정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SM군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발효기질을 제조하였다. 최종 혼합물의 주정 농도는 6%로 조절하였으며, 각각의 발효기질 3 L에 종배양한 초산균액을 3% 접종하고, $30^{\circ}C$에서 정치배양하면서 발효 10일부터 5일간격으로 25일까지 시료를 취하였다. 25일간 발효한 섬애약쑥 식초의 L 값은 26.5-46.6, a 값은 -0.4-3.1이었고, b 값은 5.7-12.4의 범위였다. 최종 산도의 경우 3.60-4.44% 였으며,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이 첨가된 SE 및 SM시료는 발효 20일 이후부터 급격히 산도가 증가하여 발효 25일에는 SM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 두 종류가 정량되었고 발효기간 동안 감소하여 발효 25일차에 각각 0.13-0.22 g/100 mL 및 0.18-0.48 g/100 mL이었다. Acetic acid는 주요 유기산으로 발효 25일에 3,638.51-4,532.90 mg/100 mL 범위였다. 페놀화합물들은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의 첨가 유무에 따라 검출여부 및 함량에 차이가 있었는데, 주정추출물이 첨가된 시료에서는 총 7종의 페놀화합물이 검출된 반면 대조군과 물추출물이 첨가된 시료에서는 4종만이 검출되었다. Jaceosidin과 eupatilin은 섬애약쑥 주정추출물을 첨가한 SE 및 SM시료에서만 검출되었는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감소하여 발효 25일차에 jaceosidin은 각각 6.88 mg/L와 6.49 mg/L였으며, eupatilin은 각각 2.24 mg/L 및 2.23 mg/L였다. 이상의 결과부터 섬애약쑥 주정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25일간의 초산발효 단일과정을 통해 식초로서 적합한 산도를 가지며, 유기산과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더 높고 유효성분으로 jaceosidin과 eupatilin을 함유하는 식초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s containing jaceosidin and eupatilin using Artemisia argyi H. ethanol extract (AEE). 10% malt extract (ME) and water extract of Artemisia argyi H. (AWE) were also prepared for vinegar production. Three kinds of materials were mixed in the same amount to prepare vinegar as follows; CO (ME, water, 18% edible ethanol), SE (ME, water, and AEE), SW (ME, AWE, and 18% edible ethanol) and SM (ME, AWE, AEE). All samples were fermented by Acetobacter pasteurianus A8 at $30^{\circ}C$ for 25 days and analyzed at 10, 15, 20 and 25 days. The pH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ermentation. pH was lower in SE and SM than CO and SW. The acidity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ermentation, and was highest in SM (4.44%) at 25 days of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higher than other organic acids for all vinegars. Jaceosidin and eupatilin were not detected in both CO and SW, but both were detected in the SE and SM. At 25 days of fermentation, jaceosidin and eupatilin concentrations in SE and SM were 6.49-6.88 mg/kg and 2.23-2.24 mg/kg,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production of vinegar containing jaceosidin, eupatilin and phenolic compounds can be prepared by using Artemisia argyi H. edible ethanol extract.

      • KCI등재

        과열증기처리가 섬애쑥(Artemisia argyi H.)의 이화학적 특징 및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이교연,김아나,샤피어라만,배원열,허호진,최성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perheated steam (SHS)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mugwort (Artemisia Argyi H.). The mugwort was treated at steam temperature of 150°C for 10∼40 s. The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decreased with treatment time.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ugwort samples were increased by the SHS treatment for up to 30 s compared to control samples, but decreased rapidly at 40 s. The phenolic compounds, such as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procyanidin B2, and rutin, which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in response to the SHS treatment up to 30 s, also increased.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n the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of mugwort were 4.41 log CFU/g, 4.71 log CFU/g, and 4.59 log CFU/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no microbes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treated by SHS. In addition, the SHS treatment increased the total soluble contents of mugwort in hot water suspensions. The SHS treatment may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nutritional value and reduce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mugwort. 본 연구는 섬애쑥의 전처리로써 과열증기처리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과열증기온도 150°C에서 10~40초 처리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수분 함량, 색도,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페놀 화합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동정하였다. 수분 함량의 경우 과열증기처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수분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도의 경우 과열증기처리 시간에 따라 L 값, a 값, b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분석 결과 과열증기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 수준까지 증가하다가 40초 처리 시간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PLC를 이용한 페놀 화합물 분석에서는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procyanidin B2, rutin이 동정되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마찬가지로 과열증기 30초 처리 시간 이후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특성으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수를 검사하였고 대장균군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세균의 경우 과열증기 30초 처리 시간 이후부터 검출되지 않았고, 효모 및 곰팡이는 과열증기 10초 처리 시간 이후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과열증기처리구가 추출 시간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기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영양학적 및 위생학적 측면에서 우수한 가공 전처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과열증기처리는 다른 공정에 비해 단시간에 식품 처리가 가능하고 식품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는 가열방식이며 미생물 살균 효과가 뛰어나 산업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처리방법으로 여겨져 향후 이를 활용한 다양한 식품 가공 및 공정에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운동참가동기, 자기효능감 및 운동몰입 간 구조적 관계 해석

        채진수 ( Chae Jin-su ),배원열 ( Bae Wonyul ),한동유 ( Han Dongyoo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운동참가동기, 자기효능감, 운동몰입 간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악, 운동참여와 관련한 심리적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조사대상의 보다 적극적인 운동참여 유도를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도적 표집법(purposive sampling)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419개의 최종 유효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수행했다. 이후 세부문항과 측정모형의 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연구가설 및 구조모형의 검정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운동참가동기는 자기효능감과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운동참가동기와 운동몰입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운동몰입 경험을 위한 핵심 요인이 운동참가동기임을 확인했고, 운동참가동기와 운동몰입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유의미한 연결고리로서의 성능을 실증했다. 이는 대학생의 신체 활동 참여율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 시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s’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an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leading to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such activity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patterns related to their involvement. A questionnaire survey by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and 419 final effective samples were used. SPSS Statistics 23.0 and SPSS Amos 23.0 program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es. After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had an effect on self-efficacy,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Self-efficacy affects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and mediates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 factor for the commitment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as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link between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evidence for devi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 KCI등재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에 따른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최명효,강재란,심혜진,강민정,서원택,배원열,신정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5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2 No.3

        경남 남해군에 자생하는 고유품종으로 품종보호 등록된 섬애약쑥의 채취시기와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5, 6, 7월에 동일한 재배지에서 수확한 후 각각을 12일 동안 음건(SD) 및 60℃에서 7일간 숙성한 다음 90℃에서 220분간 저장하여(AD) 건조하였다. 전처리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섬애약쑥의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2±0.02~0.43±0.01 g/100 g과 0.41±0.02~0.47±0.04 g/100 g이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AD(1.29±0.08~2.90± 0.08 g/100 g)와 비교하여 SD(1.85±0.09~3.45±0.14 g/100 g)에서 더 높았다. 물 추출물을 31.5, 62.5, 125, 250, 500 μ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항산화활성을 평가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SD 5월 시료와 AD 7월 섬애약쑥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FRAP도 이들 시료에서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β-Carotene에 대한 탈색 저해활성도 SD의 5월과 AD의 7월시료에서 각각 25.53±2.85~81.43±2.56%, 35.98±2.22~ 79.00±1.42%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섬애약쑥은 5월 채취하여 음건하였을 때와 7월에 채취하여 숙성 가공하였을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MSG 첨가 비율을 달리한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식혜의 유산균 발효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신정연,신정혜,강민정,최명효,박희린,최진상,배원열,서원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2

        For the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s increased Seomaeyaksuk fermentant, 0, 0.25, 0.5 and 1.0% of monosodium galutamate (MSG) was added in Seomaeyaksuk water extract 15% contained Sikhye and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KI271266).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sampling and analyzed at each 1 day during 3 days fermentation. Goes on fermentation periods, the turbidity was gradually reduced, but lightness and the yellowness was increased, redness was decreased. Soluble solid was also decreased. The reducing sugars content were also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pH was 4.65-4.83 before fermentation but it was lower 3.15-3.68 after three days fermentation. The GABA contents increased by fermentation periods and it was the highest in MSG 1.0% added sample (354.38 mg/L).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50-67% decreased at three days fermentation than before fermentation. Among the organic acids, propion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and fumaric acid contents were decreased and lactic acid, acet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periods.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the highest in MSG 0.5% added sample.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increasing of GABA content when the manufacturing of Seomaeyaksuk lactic acid fermentation product, is possibile by addition of MSG without affect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