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배성현(Bae Sunghyun),이병인(Lee Byoung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 간의 협력의 질 향상 및 장애유아 참여행동과 관련된 교사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해, 비평적 문헌 고찰과 현장 순회지원 일지 분석 및 교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였다.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은 교사 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과정목표 설정과 실천을 위한 교사 간 대화(상호 피드백)를 중심으로 하였다. 교수 활동에 대한 자기 평가 및 교사 포트폴리오 외에 교사 자신이 설정한 과정목표의 한 주간 실천에 대해 교사와 연구자 간의 피드백, 면담을 포함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문헌 고찰 결과에서, 장애유아 참여행동과 관련하여 교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 문제는 교사 간의 협력태도인 업무 협력과 정서적 상호지원으로 요약하여 프로그램 목적에 반영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절차에서는 문헌비평 결과를 기반으로 조직 심리학 분야 용어인 팀 학습행동을 교육현장에 적용 하기 위한 새 정의를 규정해 프로그램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 사지원 프로그램은 장애아통합어린이집 통합반에서 근무하는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and the difficulties between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n-site itinerant diaries, and teacher needs surveys to develop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These programs organized components and methods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These programs used portfolios that made feedback of progress goals and configuration, self-reflection on teaching, and implementation for a week. Using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and developed programs for collaboration(work collaboration and emotional mutual supports) of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In the programs procedure and details, the term of team learning behavior utilized for the new definition to apply to education field is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apply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at inclusive childcare centers.

      • KCI등재

        자연모사 기반 광대역 새싹 안테나 설계

        우동식(Dongsik Woo),배성현(Sunghyun Bae) 한국전기전자학회 2020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새싹 모양 안테나를 제안한다. 모션감지 센서 응용을 위해 넓은 빔폭을 가지는 새싹 모양의 기울어진 방사체를 설계하였다. 확장된 잘려진 접지면을 반사기로 작용하도록 하여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도록 하였다. 평형 방사체를 급전하기 위하여 우수한 진폭 및 위상 평형도를 가지는 광대역 발룬을 활용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8.5에서 14.5 GHz의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넓은 빔폭을 가졌으며, 방사 효율은 90% 정도이었다. 측정된 이득은 4에서 5dBi이며, 전후방비는 10~20dB이었다. 제안된 안테나는 광대역 넓은 빔폭과 지향성 방사패턴을 요구하는 이미징 센서, 위상 배열 시스템 및 레이더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ature-inspired wideband sprout-leaf shaped antenna with end-fire radiation pattern. A sprout-leaf shape angled-radiator was designed for wide beamwidth radiation patterns for motion detection sensors. An extended and truncated ground plane was used as a reflector for end-fire radiation patterns. To feed the balanced radiator, a broadband microstrip (MS) to coplanar stripline (CPS) balun was utilized with excellent amplitude and phase balance. The proposed antenna demonstrates wide frequency bandwidth from 8.5 to 14.5 GHz with wide beamwidth and the radiation efficiency of 90%. The measured gain is from 4 to 5 dBi and front-to-back ratio was 10 to 20 dB.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posed antenna can be used for imaging sensors, phased array systems, and radars that require a wide bandwidth and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사를 중심으로

        이수연 ( Lee Sooyeon ),배성현 ( Bae Sunghyu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기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유아특수교사 6인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는 총 5차의 범주화 작업을 통해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질적분석 결과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면서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과 변화과정에서 추출된 주제는 첫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다양한 생각 둘째,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셋째, 유아특수교사로서 성장의 계기가 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3가지였으며, 8개의 하위주제와 24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변화하는 교육 현장에서 내실화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율적이고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운영 방안과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경험을 모색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ion of teachers throug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LC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belonging to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rough a total of 5 rounds of categorization.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themes extracted from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PLC are: First, various thoughts on participation in PLC; Second, PLC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Third, There were 3 types of PLC that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as an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 and 8 sub-themes and 24 concep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by identifying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support needs for the PLC, practical experience to improve the efficient and social situation of the PLC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LC in the changing educational field and suggest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IFSP와 IEP의 실태분석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박찬우(Chanwoo Park),배성현(Sunghyun Ba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이 연구는 IFSP와 IEP가 교육장면에 녹아 들기 위해서는 ‘실제’를 알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IFSP와 IEP를 질적 분석하고, 유아 중심의 실제적인 개별화교육 운영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IFSP와 IEP를 분석하기 위해 GFS-Ⅲ, GORI를 기반으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구성 요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질적지표 분석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IFSP의 질적 수준 평정 결과는 평균 점수 25.8점(SD10.31)으로 ‘대체로 보완이 필요함’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IFSP 중 50%에 해당하는 8건에서 ‘대체로 보완이 필요함’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37.8%(6건)에서 ‘보통임’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긍정적인 수준에 해당하는 ‘우수함’과 ‘대체로 우수함’은 0%(0건)이었다. 둘째, IEP의 질적 수준 평정 결과는 평균점수 31점(SD=9.23)으로 ‘보통임’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74건의 IEP 중 ‘대체로 우수함’ 수준은 12%(9건)로 나타났으며, ‘보통임’ 수준은 42%(각 31건), ‘대체로 보완이 필요함’ 수준도 42%(31건)로 나타났다. 결론: IFSP와 IEP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 평정결과에서는 IFSP와 IEP의 질적인 면에서 ‘적극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IFSP와 IEP의 특수교육의 실천적 근거로 재개념화,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발달 요구를 고려한 계획수립, 기관의 유형별 실정을 고려한 IFSP와 IEP의 세부지침 마련,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개별화교육계획에 근거한 교육과정 운영, 특수교육관련 서비스 종사자와 협력 증진, 교육기관 유형을 고려한 개별화교육 요소 선정과 IFSP와 IEP 질 높은 운영을 위한 컨설팅 장학을 제안하였다.

      • 개별화교육계획(IEP) 구성요소에 대한 지표개발: 전문가 델파이를 중심으로

        박찬우(Chanwoo Park),배성현(Sunghyun Bae)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교육당사자 중심의 IEP의 개념 재정립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배치 유형에 적합한 IEP 수립을 위해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여 교육당사자 중심의 IEP 구성요소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음. 연구방법: 특수교육 전공 교수 2명, 특수학교 관리자 1명, 교육전문직 2명, 특수교사 9명,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종사자 2명, 학부모 2명으로 총 18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함. 연구결과: 1) IEP 재개념화와 운영방침, 평가문항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남.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개정 제안 관련 평가문항 구성 및 결과에서 교육내용 삭제에 대한 부분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렴도와 합의도를 보였음. 3) IEP 구성요소 관련 평가문항 구성 및 결과에서 세부 구성요소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남. 4) IEP 점검을 위한 평가문항 구성 및 결과는 타당도에 문제가 나타났던 평가문항을 수정한 후 타당도가 전체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결론: 연구는 교육당사자 중심의 IEP 구성요소 지표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했다는데 의의가 있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