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배성아(Bae, Sung Ah),성소연(Sung, S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에 소재 한 4년제 대학교에서 2014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전 2주 동안 수집한 322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변인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측정변인들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성격강점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자기조절 학습을 경유하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주도학습이 성격강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대학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성격강점을 찾고 활용하여 우수한 결과와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대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 administered a survey to and collected data from 322 student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 weeks before mid-term of fall semester in 2004.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ost subcategories of the three variables showed difference among grades. Last, character strength had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a mediat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strength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university plays a role in helping students find and utilize their character strength to improve their grades.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전형 유형’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발전 방향 탐색: 초기 선도대학을 중심으로

        배성아(Bae, Sung Ah),안정희(An, Jung 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0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는 주요 대학들의 전형 운영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함께 향후 제도의 발전적 변화를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제언하였다. 초기 선도대학의 지난 3년간(2009학년도~2011학년도) 입학사정관 전형 운영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 2009학년도 입학사정관 전형은 소수였지만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제의 특성을 분명히 드러내는 전형들이 주를 이루었고, 2010학년도 입학사정관 전형에서는 모집인원이 대폭 확대됨과 동시에 전형 또한 매우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제도시행과 관련한 제반 여건이 미흡한 상황에서 입학사정관제가 학교 현장에 미칠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등 사회적 관심의 주 대상이었다. 이러한 확대일로의 현상은 이후, 2011학년도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 전형 내실화 추구 노력으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제가 성공적으로 정착 및 발전하기 위한 향후 입학사정관 전형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장기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제도에 대한 구조적 측면뿐만 아니라 실질적 운영 측면에서 평가의 효율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공교육의 활성화라는 명목하에 학생들의 활동을 교내로만 국한시키기 보다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제대로 읽어내고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하여 대학들은 장기적으로 비전을 가지고 전형을 계획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Korean AO(admissions officer) system by focusing on its implementation and further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its successive establishment. The study looked over the management of major universities’ AO system for the past three years. As the result, as years go by, the colleges developed the system by maintaining qualities and trying a new possibilities in practice. In 2009, the system was managed in a small scale in the colleges but they have their own characters. In 2010, the scale had become larger. Simultaneously, however, the sudden growth of social interest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its negative effects on school education. Currently in 2011, the schools attempt to develop the system by considering both the system’s strength and weakness on realistic base.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the overall views for the system. We also recommended that we need to investigate on how effectively the system has been implementing in practice and to create the way of evaluate student’s diversities and similarities in order to answer its own purposes. Thus, this study can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AO system in korean society in the long run.

      • KCI등재후보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weekly paclitaxel을 이용한 화학 방사선 동시요법의 효과

        성화 ( Sung Hwa Bae ),김경찬 ( Kyung Chan Kim ),이선아 ( Sun Ah Lee ),김소연 ( So Yeon Kim ),류헌모 ( Hun Mo Ryoo ),현대성 ( Dae Sung Hyun ),이상채 ( Sang Chae Lee ),예지원 ( Ji Won Yei ),종엽 ( Jong Yup Bae ),정경재 ( Kyung J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4

        목적 : 절제 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을 이용한 화학 방사선 동시요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화학 방사선 동시요법 기간동안 paclitaxel을 매주 60㎎/㎡의 용량으로 1시간 동안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회 1.8Gy 분할량으로 주 5회 조사하였으며, 총 63Gy까지 조사하였다. 동시치료 이후 4주기의 paclitaxel/carboplatin 복합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2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고, 남자가 25명, 여자가 3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60세(범위: 41~73세)였다. 19명의 환자에서 계획된 화학 방사선 동시치료를 마쳤다. 완전관해는 5명, 부분관해는 15명으로 전체 관해율은 71.4%이었고, 7명의 환자에서 3도 이상의 폐렴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 3명이 치료 관련 사망하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17.5개월(95% 신뢰구간 12.5~22.5개월)이었고 무진행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8.0개월(95% 신뢰구간 4.1~11.9개월)이었다. 결론 :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paclitaxel을 포함한 화학 방사선 동시치료는 효과적이지만 폐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며 환자 대상 선택과 추적에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 : Combined modality therapy is standard treatment of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owever, the optimal chemotherapy regimen and duration of chemotherapy remain a matter of debate.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feasibility of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Methods : PS 0-2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inoperable stage III NSCLC were eligible for this trial. The patients received paclitaxel (60㎎/㎡) on days 1, 8, 15, 22, 29, 36 with a concurrent radiotherapy (5days/week, 1.8Gy/day) starting day 1 with a total dose of 63 Gy. After CCRT, four cycl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with paclitaxel (140㎎/㎡) and carboplatin (AUC 5) was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a partial, complete remission or stable disease. Results : Twenty eight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60 years. Of the 28 patients, 19 received scheduled CCRT. Overall response rate was 71.4% including 5 complete responses and 15 partial responses. Grade 3 or 4 pulmonary complication was observed in 7 patients and 3 patients died of pneumoniti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17.5 months (95% CI, 12.5-22.5). The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was 8.0 months (95% CI, 4.1-11.9). Conclusions : CCRT including paclitaxel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led to an encouraging response rate and survival, but resulted in high incidence of severe pulmonary complication.(Korean J Med 69:379-386, 2005)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 심리 특성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색

        배성아 ( Sung Ah Bae ),노수림 ( Soo Rim Noh ),옥승용 ( Seung Yong Ok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3

        As a range of accidents happen frequently in our society due to safety insensitivity, researches on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afety behavior and on safety education are increasing. However, safety behavior research that targets university students as potential employees remains rar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safet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31 university students (80 males, 51 females) from the Gyeonggi-do and Chungnam are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regulation, cognitive failure,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included as variables that may predict university students’ safety behaviors (habits, compliance, mistakes, and viol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conscientiousness was a major predictor explaining safety habits and safety compliance; Cognitive failure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main predictors explaining safety mistakes, and self-regulation was a major predictor explaining safety viol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ment of prop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uld allow systematic improvement of safet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 제조물책임(PL)법 시행에 따른 품질경영시스템 개선방안

        배성아(Sung Ah Bae),김복만(Bok Man Kim)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2 No.추계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countermeasure of Product Liability through existing research or books for reference about PL and ISO 9000:2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we analyze relation between PL system and ISO 9000:2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after compare ISO 9000:2000 and ISO 9000:1994. base on this analysis, we integrate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company and an important factor of P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liability law. So we present a general improvable scheme of ISO 9000:2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reduces overlap of quality business and utilize efficiently.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튜터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배성아(Bae, Sung Ah),노수림(Noh, Soo 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튜터들의 경험을 토대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튜터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조사를 병행하였 으며, 설문에 참여한 117명 중 19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튜터들의 인식조사결과, 튜터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이 튜터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튜터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나, 학교 측의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튜터링 과정에서 튜터들이 경험한 난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튜터들이 학업지도의 어려움과 튜티 와 학습시간 맞추기 및 튜터링을 위한 학습공간 확보하기에서 어려움을 직면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심층면담 결과, 튜터들은 ‘튜티의 참여의지 부족’으로인하여 많은 난관에 봉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 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대한 튜터들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튜티와 시간 맞추기’와 ‘학습공간 확보하기’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확대, 튜터교육의 개선, 그리고 튜티의 참여의지 제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 과는, 향후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개선의 방향을 제안한 자료로써 대학의 학습공동체 발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tudent tutors who were part of a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 tutors (N=117)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sub-sample (n=19)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thre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tutors had positive perceptions on their tutoring performance and peer tutoring program participation, but they ha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s of program management. Second, tutors perceived that a lack of teaching skills and logistical difficulties (i.e., scheduling, finding available space) were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in tutoring.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utors perceived a “lack of motivation” of tutees as the biggest obstacles in tutoring. Lastly, tutors believed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hould support programs by providing protected tutoring hours and space for this service, improved training for all tutors. Finally, tutors felt that the administration shoul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utees. The current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utor training support, of improving training programs for tutors, and of encouraging tutees’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배성아(Bae Sung Ah),정선영(Joung S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한국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S시 소 재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109명 중 2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예비중등교사 중 다수가 다문화교육 경험이 없 었고, 경험이 있는 경우 그 경로는 다양했다. 둘째, 다문화교육 필요성 인식에서 인 문계전공 예비중등교사가 자연계전공 예비중등교사보다 다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인 식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중등교사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 식하고 있을 때 다문화교육 인식 또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 뷰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은 평 소의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하는 것이며 관심이 많은 학생들은 생활 속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해 숙지하고 경험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중등교사들은 현재 교사양성 기관에서 다문화교육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 으며, 다문화교육관련 강좌나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인식수준에 맞 게 다각적으로 접근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bout survey and interviews; 10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and 20 preservice out of the 109 randomly selected for interview.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no experience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r the rest of participants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diverse ways (e.g. courses and mass media). Secondly,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humanities courses presented higher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a science track. Thirdl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highly aware of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result well presented through interviews of preservice teachers. Lastl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current preservice teacher programs need to more focu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curriculum of pre-service teachers creates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배성아(Bae Sung Ah),성소연(Sung S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교 3곳의 재학생 397명(남 217명, 여 1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지지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대학생에게는 부모의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고, 다른 변인들에서는 각각 진로계획과 학업계획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보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도 영향을 주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때 자기주도학습을 보다 더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케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 교수, 친구 등의 사회적지지자들이 대학생에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지지해 주면 이들은 더욱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해 나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We collected data from 398 students at a private college based in Seoul, Kyung-gi, Chung-nam reg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Especially, for college students, parents suppor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In the other variables, career planning and school industry were the most influentia. In addition,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ed by self-directed learning than on direct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has an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but has an effect of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when increas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learner can learn more self-directly if the students support the learner so that the social supporters can increas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KCI등재

        초상화법 기반의 고등학교 중도탈락에 관한 인물 사례 연구

        배성아(Bae Sung ah),전영국(Jun Young cook),이현주(Lee Hy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초상화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중도탈락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자료 해석과 글쓰기에 관련된 초상화법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 이다. 초상화법은 화가가 초상화를 그리듯이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에 대해 글로써 심층 묘사하여 제시하는 방법으로, Lawrence-Lightfoot에 의해 처음 소개된 사례연 구의 한 방법이다. 초상화법의 특징은 연구 참여자의 ‘나’를 연구의 중심에 두고 깊 이 있게 묘사하여 연구 참여자 개인에게서 지속적이고 만연하게 부각되는 개인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묘사하는데 있다. 우리는 초상화법의 특징을 보여주는 구 체적인 사례로서 고등학교 중도탈락 후 복귀한 경험을 가진 미국 고등학생 2명(매 기와 오스틴)에 대한 초상 글쓰기를 제시하였다. 매기의 초상화는 그녀의 내면에서 주요하게 관찰되는 “자아의 발견(self-awakening)”이라는 흐름이 삼촌의 죽음을 계 기로 발현된 후, 학교 복귀로 이어지는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보여주었다. 또한 오 스틴의 초상화는 “학교가 너무 싫었던” 소녀가 중도탈락 후에 “변화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다시 학교로 복귀하게 되는 계기와 여정에 대해 조망하였다. 끝으로, 두 사 례 간 해석적 논의와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초상화법에 대한 특징을 고찰하 였다. This review study deals with major features of essentialist portraiture using two cases of high school dropouts. The methodology projects major aspects of participants regarding research theme in terms of describing a unified image of the each participant. The researcher usually articulates the meanings of the participant s experiences based on grasping major strands of his/her experiences and mapping them onto a timeline. In the course of work, the whole aspects of a person can be emerged as a unity which enables the researcher to write up the essence of the participant s experiences of dropping out and returning to school in terms of portrait. We presented two cases of high school drop-outs where the readers can appreciate the major features of portrait writing based on the essentialist portraiture. Maggie s portrait illustrates how her self-awakening evoked by her cousin s death gradually helped her inner goodness and finally come back to school. Austin s case depicts a girl who really hated school life and returned to school feeling inner thirst for her own change. At the end this paper, we presented several features of identifying unity of a person via cross-case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issues related to other qualitative methods.

      • KCI등재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배성아(Bae, Sung Ah),안정희(An,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 경험의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교사 전문성 함양의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범대학 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 두 차례 수업시연 을 실시하면서 반성 저널을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문제는 1)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난점은 무엇인가 2)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시연은 어떠한 의미인가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하고 시연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난점을 분석한 결과, 수업지도안 작성,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 학습모형 활용의 효과성, 평가 계획등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특히, 교직실무관련 이론 지식을 숙지하고 있으나 이를 실제 수업 계획 및 실행, 평가 과정에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시연에서 자신이 계획한 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에 대하여 난감해 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시연은 어떤 의미인지 분석한 결과, 이들은 수업시연이 자신들에게 수업 ‘실제’에 대한 안목을 길러주었고, 좋은 수업을 위한 계획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으며, 좋은 교사상에 대해 성찰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양성 프로그램으로서 수업시연의 가치를 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예비교사 훈련을 위하여 수업시연에 필요한 공간 확보, 단발성이 아닌 연속적 수업시연 기회 제공, 그리고 자기 수업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전제로 하는 반성 과정의 정례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effect addressing from preservice teachers’ journal writing in asp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40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implemented two sessions of microteaching. They were asked to write five journal papers in total during the microteach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the problems fac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instructional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2) what do they value on the experience as future teachers? As result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overall through the process(e.g. writing lesson plans, design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 utilizing learning models, planning evaluation etc). Especially, they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hardships on applying their pedagogical knowledge into the practice and planning evaluations and they felt that the microteaching did not turn out the way they planned. Second, this study can make it possible for preservice teachers to establish their own insight of “classroom” and their own ideas of “a good teacher. They also realized that ”successful practice“ depends on how carefully teachers prepare for.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tudy made three sugges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 programs; promoting security of space and providing continuous and regular opportunities for microteaching and reflecting their own practice through journal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