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토영화 또는 다큐멘터리 경계의 확장

        배상준(Bae, Sang-Joon) 한국영화학회 2012 영화연구 Vol.0 No.52

        The documentary film has been accepted in the past as a genre, that should possess the marginal position in the cinematheque or night program of the TV. Because the spectators have avoided the documentary film on the grounds, that the enlightening intention and the social critical viewpoint of the film are excessively educative or just boring. But some documentary films recently appear, that are playing in mainstream theaters and get even a commercial success. This new status of documentary film can be founded I the german cinema. The most proper example for this is 〈Full Metal Village〉(2007) by Sung-Hyung Cho, Korean women director, who lives as an immigrant in Germany. This film shows ‘Wacken’, a small village in the north of Germany, and the story focuses on the ‘Wacken Open Air’, the most popular heavy metal concert worldwide. But this film is not a report on heavy metal music, this is a documentary about cultural tradition of a ‘good petit bourgeois’ and beauty of the country. And this documentary film is about the gaze of a stranger that stands to the cultural coexistence after the collision between folksy devicefulness and crazy music(-fans). This documentary film is above all interesting because the director, as can be seen in the intro, define her work as a ‘Heimatfilm’. But the ‘Heimatfilm’ belongs to the typical fiction genre, not to the documentary genre. Therefore this film should be studied in the point of view, how it in process of asking about cultural identity discloses the identity of the documentary genre, and how it in procedure of describing of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counterculture tries an alternative approaching to the documentary genre. Thus the director, Sung-Hyung Cho, suggests whit her work an altern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sion of documentary genre definition.

      • KCI등재

        한국영화의 독과점과 인력양성의 문제

        배상준(Bae Sang 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7

        2012년에 유난히 돋보였던 한국영화의 양적 성장은 영화독과점과 문화독재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왜냐하면 2편의 ‘천만 영화’라는 신기록의 달성이 거대자본을 앞세운 배급·투자사 및 이와 결탁된 극장업자의 영화독과점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저예산 영화 및 독립영화와 같은 ‘다양성 영화들’은 균등한 상영기회를 부여받지 못하기 마련이며, 이러한 영화산업의 생태계는 젊은 창작인력들이 제작현장에서 설 자리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영화산업의 독과점이라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교육기관에서 양성되는 창작인력의 제작현장에서의 자리매김을 저해하는 현실과 연관 지었다. 결론적으로 젊은 영화인력이 창작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영화산업의 생태계를 마련해야 하며, 그들의 작은 영화를 위한 보호장치의 일환으로 상영을 보장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생태계 구축은 영화제작현장의 열악함을 개선하는데도 일조할 것이다. The quantitative Growth of korean film in 2012 causes a controversy on the monopoly and oligopoly in the film industry, because the new record of ‘two ten million audiences-korean films’ in a year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capitalistic investors and big distributors and specially the multiplexes. In this process, low budget films and independent films, also the diversity-films can’t take a equal screening opportunity. This ecosystem of film industry leads to crisis in the producing field, where young creative talents loose their footing.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roblem of monopoly and oligopoly in korean film industry, and attempts to connect it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conclusion, ecological system which supports the young talents and their diversity films is urgently required by policy.

      • KCI등재

        <그래비티> - 사실주의적 SF 영화의 형식주의적 해석

        배상준(Bae, Sang-Joon),정수완(Jung, Soo-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SF 영화는 과학기술이라는 소재와 공상적 이야기라는 모티브를 통해 관객을 지구상의 상식과는 다른 시공간으로 초대하는 장르다. 따라서 이 장르에는 미래비전에 대한 인간의 관념과 인류의 불확실성에 대한 고민 등이 담겨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관념은 우주전쟁 이후의 비참한 인간상을 통해 제시되거나 또는 유토피아적으로 설계되어 있던 인류의 모형사회가 묵시록적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그래비티〉(Gravity, 2013)를 이러한 관습적 SF 장르가 지닌 상투성을 탈피한 영화라는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이 분석의 관점은 사실주의적 SF 영화의 형식주의적 해석을 축으로 한다. 〈그래비티〉는 우주에서 실제로 발생 가능한 재난서사를 매우 단출하게 제시한다. 여기에 혁신적인 카메라 기법은 실감나는 우주공간의 유연한 창출에 기여한다. 하지만 감독은 이 사실주의적 외연을 한 SF 영화에 삶과 죽음에 관한 은유를 가진 형식주의적 미장센을 구축했다. 생과 사의 다양한 상징은 사실적 영상과의 절묘한 조화 속에서 기호작용을 일으키며, 이를 통해 실존적인 메시지가 창출된다. 이는 영화기호학적 관점을 통해서 그 해석의 지평이 확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화는 단차원적인 생존분투기보다는, 내면의 어두움을 품은 자아가 새로운 세상으로 깨어 나오는 과정을 시각화하고 있음을 밝혀낼 수 있다. 그 기호화된 과정은 첫째, 딸을 잃은 후 방향성을 상실한 삶을 살던 주인공이 우주공간에서 소통을 통해 삶의 의지를 되살리고, 둘째, 인간관계를 상징하는 중력에 이끌려 생명의 모태인 지구로 귀환하며, 셋째, 양수와도 같은 호수의 물속에서 무중력을 위한 우주복을 벗어던지고 지상의 삶으로 복귀하여 재탄생하는 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영화는 이를 통해 삶은 단지 인간관계의 회복과 지속이라는 사실을, 그리고 인생은 성취가 아닌 생존만으로도 그 가치가 있다는 초심을 회복케 한다. 따라서 〈그래비티〉는 인간의 중력을 향한 회귀본능을 새로운 시각적 체험 안에 녹여냈다는 측면에서 매우 특별한 SF 영화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Alfonso Cuaron’s Gravity(2013) in the perspective of the SF movie which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genre patterns. The kernel of this analyzing perspective is constructed on the formalistic interpretation of a realistic SF movie. 〈Gravity〉 presents a realistic disaster story in space in a highly simple narrative structure. The innovative camera walking here contributes to the flexible creation of a realistic space. However, the director builded in this realistic SF movie formalistic mise-en-scenes with various metaphors for life and death. The divers symbols in the exquisite balance with the realistic images cause plentiful semiotic interactions and create existential messages. The horizon of this interpretations could be expand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film semiotics. This analysis examined that Gravity visualized not the unidimensional survival story in space but the process of rebirth in a new world of the ego with inner darkness. This semiotic process could be summarized: first, the heroine who lived a life without an orientation recalls the will to really live through a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space, second, she is taken along through the gravity as human relationship to the earth as the body of life, third, she takes off the spacesuit for the weightlessness in the lakewater as amniotic fluid and returns to the life on earth. Gravity is a special SF movie because it concentrates the human instinct of return to the gravity on an unprecedented visual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 영화

        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한국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 이러한 사회현실은 오늘날 우리가 삶의 방식으로서 고립된 단일문화의 지속만을 고집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제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를 새로운 현실의 해석을 위한 틀로서 수용해야 하는 때다. 특히 영화를 필두로 하는 대중문화는 다문화주의를 적극적으로 담아내며 한국형 다문화 사회를 반영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영화에 관한 영화학적 연구는 아직 그 첫 발을 제대로 떼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영화연구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의 제한적인 실태를 핵심원동력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아직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없는 다문화 영화의 장르적 개념정립을 시도하여 한국의 다문화 영화이론의 발전을 꾀하고자 한다. 한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로서의 장르영화는 그 사회 전체가 가지는 가치관과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섯 편의 한국영화 <로니를 찾아서>(심상국, 2009), <반두비>(신동일, 2009), <방가? 방가!>(육상효, 2010), <무산일기>(박정범, 2011), <완득이>(이한, 2011)를 장르영화로서의 다문화 영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한국형 다문화 영화장르는 가족의 개념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문화 영화는 편부·편모 가족이나 다성(多姓)가족을 포함하는 다문화 가족을 일종의 대안가족으로 제시하고, 이로써 근대적 가족개념의 변화와 탈근대 가족의 재편성을 형상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단일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해왔다는 자부심보다는, 앞으로 실천해야할 다문화주의의 과제를 더욱 크게 부각시킨다. South Korea is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we today have to accept the multiculturalism as a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nging reality. Thus, the compleme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immigrants and the epistemic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community are urgently requested. Academics and community groups around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under extensive discussion. Popular culture, led by film as well shows the topic of multiculturalism and so reflect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film, which has already been found since the 1970s in europe, began appearing in the korean film industry. However, the multicultural film studies are not yet releasing properly, therefore the definition or classification of concept for the multicultural film has not bee establish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cept formulation of multicultural film as genre and so is intende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lticultural film theor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conflictful multiculturalism deep in the korean film culture functions as a key mediator for the creation of a new film genre. This multicultural perspective of the film’s genre presents the evolved differentiation of korean films.

      • KCI등재

        짐 자무쉬의 장르유희

        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2

        본 논문은 짐 자무쉬의 영화를 장르문법의 전복과 창의적 유희라는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자무쉬는 미국 사회의 풍요로움 뒤에 감춰진 스산한 정서를 매우 인상 깊게 엮어내는 인디영화의 선구자다. 그의 영화를 독창적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전통적인 장르문법의 유희다. 그는 독립영화의 정신에 영화미학적 뿌리를 심어둔 채, 다양한 장르의 서사관습과 이미지를 인용하고 창의적으로 혼합 및 교열함으로써 전통적인 장르문법을 패러디하고 양식화한다. 이때 새로운 관계성으로 얹힌 장르요소의 종합은 유희적 의미지시의 관점에서 그 파편의 단순합보다 더 큰 효과를 지닌다. 자무쉬의 장르유희적 영상필체가 절정에 달한 작품은 <데드 맨>(1995)과 <고스트 독>(1999)이다. <데드 맨>은 동양의 윤회사상과 서양의 인디언 문화에 대한 철학적 사색이지만, 동시에 미국의 영화사를 열었던 장르를 향한 냉소적 제스처까지 내포하고 있는 포스모던 웨스턴이다. <고스트 독>은 상이한 장르적 요소를 뒤섞은 ‘갱스터 사무라이 힙합 이스턴 웨스턴’이다. 이 장르 혼합물은 이질성을 바탕으로 하는 미국 문화의 정체성을 아이러니하게 제시한다. 이 영화들은 장르문법의 교환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제안이며, 하나의 유연한 파편의 덩어리다. 자무쉬의 장르유희는 장르의 재생산을 통한 영화의 범주화를 지양할 뿐만 아니라, 예술영화와 장르영화를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로 구분하는 진부한 가치서열을 파괴한다. 자무쉬의 영화는 이 과정에서 새롭게 호명되고 현실화되는 하나의 문화적 통찰력으로 기능한다. This study analyzed Jim Jarmusch’s image-hand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version of the genre grammar and its creative play. Jarmusch is the pioneer of the indie-film who weaves impressively the bleak sentiment behind the plenty of american society. It is the play on the traditional genre grammar which makes his films ingenious. He plants the film-aesthetic roots in the spirit of the indie-film and parodies and stylizes the traditional genre grammar by quoting, creative mixing, and revising the narrative convention and images of various genres. At this moment, the synthesis of the genre elements on a new relationship carries more e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genre-play than the simple total of its fragments. Jarmusch’s image-handwriting of the genre-play reaches its peak in <Dead Man>(1995) and <Ghost Dog>(1999). <Dead Man> is not only a philosophic speculation about the oriental concept of reincarnation and the american indian culture but also a ‘post-modern Western’ which involves a cynical gesture to the first genre in the history of the cinematography. <Ghost Dog> is the ‘gangster samurai hip-hop eastern western’ which mixed up the various genre elements. This genre mixture suggests ironically the identity of the american culture founded the ethnic heterogeneity. This films are a kind of suggestion and a flexible mass of fragments which includes the possibility of interchanging. Jarmusch’s genre-play sublates the categorization of film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genres as well as destroys the trite value hierarchy which assorts the art film and the genre film into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Thus, Jarmusch’s film functions as cultural insight which will be in this process newly indicated and realized.

      • KCI등재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

        배상준(Bae, Sang-Joon) 한국영화학회 2014 영화연구 Vol.0 No.59

        〈District 9〉(2009), the first feature film of Neill Blomkamp, is a SF movie produced in Hollywood, but has extraordinary value which deviates from the frame of the existing mainstream genre. Because 〈District 9〉has moved the typical elements of the genre SF from the future universe in the third world environment and so presents a new direction of SF movie. South Africa, spatial background of the film, is now being recognized as the land of hope and unity, but at the same time the dual structure by rampant poverty, unemployment and crime is firmly embedded in society. The cause could be found in the apartheid, in the historical political tragedy. The director, born in South Africa, would experience the apartheid policy in the childhood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District 9〉 could be seen as a SF movie which shapes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issues experienced by director in the process of growth. Actually, film criticism estimates the political allegory or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film. But this study analyzes 〈District 9〉 through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look, not in the historical political frame of analysis. In this study would be considered how the (cultural-)subject in the movie gazes the stranger/others(-culture) and the multi-cultural look is shaped. Above all, the multi-cultural look here is a framework to interpret the encounter with the inferior aliens which performs essential narrative properties of SF genre. The result of analysis offers that 〈District 9〉, not only SF(science fiction) but also SSF(social science fiction), reflects the real problems of our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an open ending.

      • KCI등재후보

        기업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 조직 내 무형식학습의 조절효과

        배상준 ( Bae Sang-joon ),김미애 ( Kim Mi-ae ),이지영 ( Lee Ji-young ),임종국 ( Lim Jong-kook ),조대연 ( Cho Dae-yeon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기업 수준의 조직문화가 개인 수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맥락효과와 기업조직문화의 맥락효과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 참여에 따라 달라지는 층위간 상호작용 유의성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Ⅱ(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Ⅱ) 2022년 3차 본 조사 근로자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국내 471개 기업, 9,512명의 구성원이 참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과 구성원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층적 구조를 반영하여 다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개인 수준 이직의도의 차이 중에서 기업 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다. 둘째, 혁신, 관계지향문화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위계지향문화는 이직의 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문화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은 혁신, 관계, 시장지향문화에서는 유의하게 부(-)적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위계지향문화에서는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ntextual effect of company level organizational culture on individual level turnover intention an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 in which the contextual effect of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varies depending on members'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To this end, this study made use of the third response data from workers in 2022 of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II)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This survey involved 9,512 members from 471 domestic companies. Based on this, multi-level model analyses including interaction terms between two levels were conducted to reflect the multilevel structure in which companies and members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first, among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level turnover intention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ny level was significant. Second, innova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had negative (-)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informal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moderating effect in innovation, relationship, and market-oriented culture, while positive (+) moderating effect in hierarchy-oriente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