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자 대 재아

        배병삼(Bae Byung-sam) 한국정치학회 1999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2

        이 글은 『논어』 속에 산견(散見)되는 공자와, 그의 제자인 재아(宰我) 사이의 심각한 대립에 주목하여 그 정치적, 사상적 의미를 천착한 것이다. 재아는 공자사상의 핵심인 인(仁)의 주채자인 군자(君子)와, 예(禮)의 구체적 의례인 삼년상(三年喪)에 대해 극단적인 대립점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공자가 군자를 ‘이상적 인간형’의 모델로 상정했다면, 재아는 ‘정치적 통치자’로 이해했다. 또 공자가 삼년상을 ‘인간답기 위한 공적이고 보편적인 인간성의 발현물’로 보았다면, 재아는 삼년상을 통치자의 사적(私的)인 의례로 보았다. 그러므로 군자와 삼년상이라는 쟁점으로부터 발화된 문제의 영역은 인간관(내향적/외향적), 예(禮)의 의미(공적/사적), 리더섭의 의미(권력적/문명사적), 언어의 문제(보수적/진보적)에 걸쳐 세계관적 대립구도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이 대립구도는 유교 안에 각인되어 있는 두 개의 차원, 즉 이상주의와 현실주의간의 갈등의 원초적 형태를 보여준다. 오늘까지도 유교는 꿈을 향한 이상주의와, 당대 문제 해결을 꾀하는 현실주의라는 두 노선의 새끼꼬기로 짜여져 있다고 할 때, 그 선단이 여기서부터 열린다는 ‘사상사’적 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공자의 입장으로부터 맹자(孟子)와 주회(朱熹)로 액을 잇는 유교의 정통을 찾을 수 있다면, 재아의 정치적 사유로부터 순자(荀子)와 송대(宋代) 공리주의자 진량(陳良)으로의 길이 나뉘는 것이다. 이렇게 놓고보면 유교 사상사는 공자와 재아의 갈등에서 비롯된 갈림길이 전국 시대에는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간의 대립으로, 그리고 송대에 이르러 주자의 동기주의(motivatism)와 진량의 공리주의(utilitarianism) 간의 대립으로 증폭되는 두 노선으로 구조화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재아의 길을 ‘통치자의 길’로 향한 것이라면, 공자의 길은 ‘인간의 길’로 향한 것이었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인데, 그 두 갈림길을 『논어』에 나타난 공자와 재아 사이의 논쟁, 특히 「양화」(陽貨) 편의 ‘宰我問’장(17:21)을 중심으로, ‘주석학적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 KCI등재

        정치 :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동향과 전망

        배병삼(Bae Byung-sam)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이 글은 사회과학 분과인 정치학계에서 형성된 한국정치사상 연구분야의 성과를 연대기별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유학사상대계』의 ‘정치사상’ 분야 집필을 위한 제언을 하려는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그간 국학(문학ㆍ역사ㆍ철학) 분야와 거의 소통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 정치학계의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실태를 살핌으로써 국학계와 정치학계의 소통을 도모하는데 조그만 기여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 한국정치사상 연구사를 검토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동향의 특징과 그 문제점들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둘째, 대계의 정치사상 분야 집필에 따른 유의점을 나름대로 개진하고자 한다. 셋째 정치학계에서 제출된 저서와 논문들을 주제별로 개괄하여, 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차후 집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한다(〈참고문헌〉 처리). 다만 각 연구 성과에 대한 비평과 문제점 제시는 거의 생략된 단점을 갖고 있다. 차후 국학계의 연구 성과와 아울러서, 보다 깊은 ‘학제간’ 연구사 검토가 따르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by studying on chronicle basis, recent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which has been formulated by the political scientists, in a subdivision of the Social Science Group, to provide suggestions for writing the 'Political Thoughts' section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By outlin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which has been made without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Korea Study in such fields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his paper could help promote the understanding betwee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 Study and Political Science. Firstly,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study shall be examin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trend and issues of the study. Secondly, the issues to be considered in writing the Political Thoughts section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will be suggested. Thirdly, by classifying and summarizing the books and writings from the academic circle of politics, necessary research materials shall be provided for the authors (See Appendix).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criticism and discussion of issues of the specific writings were not made. It is expected that fruitful accomplishments in Korea Study and profound interdisciplinary study shall follow.

      • 현대 한국인의 〈논어〉

        배병삼(Bae, Byung-sa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5 동서인문 Vol.0 No.3

        As is often the case today, a number of Confucian ideas are misused, abused or left undone in Korea. The ideas of 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滅私奉公), and the principle of command and discipline(上命下服), well known among modern Koreans, were improvised Japanese-style terms dating from the Meiji Restoration. These ideas are not concepts recognized during the Chosun dynasty; nor are they original to Confucianism. By examining misuses of the idea of ‘忠孝’ (loyalty and filial piety),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f modern Koreans on Confucianism.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Confucius and Mencius have never asserted the commonly held equival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loyalty and filial piety. To Confucius, filial piety (孝) meant respect (敬) toward parents, not the obedience of children to parents. Similarly, loyalty meant being faithful to one’s duties, not obedience to power (monarch) or blind sacrifice for the country. The initial usag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a concept was derived from Legalism (Hanbija (韓非子)). The 20th chapter of Hanbija is titled as “Loyalty and Filial Piety”, where the term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an official document. The theory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the principle of command and discipline, which were derived from Hanbija, came to be accepted as the ruling ideology at the beginning of the Chinese Han Empire. Japan, in particular, is the country where the principle of command and discipline is equivalent to the theory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e idea of loyalty and filial piety became established as Samurai ethical principles during the Tokugawa period. This concept became institutionalized as the logic of militaristic fascism centered on the Japanese emperor. Therefore, the idea of loyalty and filial piety familiar to modern Koreans is not an original Confucian concept but is originated with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its foundation on Legalism.

      • 유교의 리더십

        배병삼(Bae Byung-sam)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7

        동양의 정치적 기획은 크게 둘로 나뉜다. 하나는 ‘소통의 공동체 건설’이요, 또 하나는 ‘명령과 통제의 조직체 건설’이다. 전자는 유교적 사유와 통하고, 후자는 법가적 사유와 연결된다. 유교가 소통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까닭은, 말(언어)을 도구로 삼고 ‘소통장’으로서의 인간관계를 중시하며, 나아가 인간관계 유지를 위한 신뢰를 핵심 조건으로 삼기 때문이다. 이점은 독특한 동양적 민주사상, 곧 맹자에서 개화되는 ‘여민與民사상’으로 나타난다. 소통의 공동체 건설을 지향하는 유교 리더십은 지도자 또는 지배계급의 감화력, 곧 ‘매력’을 중시한다. 그 매력을 작동시키는 원동력은 ‘소통의 의지’에서 비롯된다. 즉 매력과 소통이 유교 리더십의 핵이다. 지도자의 도덕적 매력을 통한 소통사회의 건설은 순舜임금에 의해 역사화되었다고 생각해 왔다. 그가 보여 준 ‘경청’과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심’, 타인들과 이룬 ‘횡적 연대’, 그리고 새로운 국가의 건설(실천)이야말로 유교 리더십의 이상적 유형이다. 돌려 말해 지도자의 인격과 추종자들의 감화 사이의 피드백(소통)을 통해 실현되는 것이 유교적 리더십이다. 나는 이런 유교적 리더십을 ‘인민과 함께 그리고 인민 속에서 소통을 꾀하는 리더십’으로 이름 짓고 싶다. We can roughly divide the ideals of political thoughts in East-Asian tradition into two. The one is a community establishmen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leader and the people. And the other is making an organization by controls from leader, above the people. The former connects to Confucianism and the latter relates to the Legalist ideas(法家思想). There are some reasons for Confucianism to connect with communication. Firstly, Confucianism puts emphasis on the language and conversation. Secondly, it puts stress on human-relations as the basis for conversation. At last, it emphasizes how important trust is to establish a healthy community. Confucianism has thought that the healthy community is not made for coercion and violence, but for a leader's human attraction. Many Confucian scholars have studied how to make the human leadership(修己) and to adapt it on the various circumstances(治人). They conclude that the human leadership is made for (1) active listening to another, (2) careful understanding on the counterpart, (3) banding together with the people, and to practice healthy society altogether. We can name it 'With-In-the people Leadership'.

      • 유교의 공과 사

        배병삼(Bae, Byung-Sa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3 동서사상 Vol.14 No.-

        나는 여기서 동아시아의 사상인 유교 속에 나타난 공(公)과 사(私)의 특징 몇 가지를 살펴본다. 서양 근대적 공공성의 핵심적 특징은 공공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는데 있다. 즉 서구에서 공과 사는 영역적으로 정확하게 구분되어야하고 공적 영역은 사적 영역을 보호해야만 한다. 이런 공과 사의 영역적 특성이 일제 식민지 시대에 한국으로 들어왔다. 오늘날까지 널리 쓰이는 공립학교(公立學校), 공공도서관(公共圖書館), 관공서(官公署), 공무원(公務員) 등은 조선시대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말들이다. 한자(漢字)로 public(또는 official)은 公(gong)으로, pirvate(또는 civil)은 私(sa)로 썼다. 한자는 상형문자(pictograph)이다. 그 회화적 특성 때문에 본래의 의미가 오래 지속된다. 어원적으로 볼 때 公과 ム(私)는 한 뿌리에서 나왔다. 동아시아의 公-私는 서양근대처럼 영역적으로 구분되고, 대립하는 것은 아니었다. 어원적으로 公은 ‘사유물’을 분배하는 공정한 방식을 뜻했던 듯하다. 유교에서 사용하는 공-사 개념의 첫 번째 특징은 가치적(valuable)이라는 점이다. 공과 사는 장소적으로 섞여있지만, 다만 가치적 측면에서 서로 다르다. 유교에서는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일상적인 삶들이 사(私)이고, 일상적 삶 속에 존재하는 정당성 또는 합당성이 공(公)이다. 그러므로 공은 사 속에 존재하며, 사는 공을 통해 그 의미를 얻는다. 공과 사의 관계는 상호적이며, 보완적이다. 두 번째로 유교의 공공성은 차등적이라는 점이다. 예컨대 자식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공적 행위이다. 또 군주로서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 역시 공적 행위다. 그런데 이 두 개의 공공성 가운데 어떤 것이 우선하는가. 유교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도를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본다. 이것이 유교의 공공성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세 번째 특징은 공공성의 기원에 대한 것이다. 유교는, 특히 맹자는 공공성의 기원을 사람의 마음(心) 속에서 찾는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하늘(天)로 부터 공공성의 씨앗을 평등하게 부여받아 똑같이 갖추고 있다. 우리는 일상적 삶 속에서 행동할 때 마다 자기 마음을 돌이켜 반성함으로서 공공성을 체현할 수 있다. 지난 100년 동안 한국에서는 서구화, 근대화의 물결로 인해 유교적 가치는 무시되거나 왜곡되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위기에 처한 오늘날, 유교의 공공적 가치는 되새길만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discussing several features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Confucianism, a traditional philosophy in East Asia. The essential feature of publicness in Modern Europe lies in drawing the lin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 In other words, the line between them is clearly distinctive. This concept of public and private sphere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popular terms such as public school, public library, public office, official, etc today did not exist in Chosun Dynasty. ‘Public(or Official)’ in English corresponds to 公(gong) in Chinese character; Private(or Civil) 私(sa). Chinese characters consist of hieroglyph. The etymological meaning has been held out for a long time due to the pictorial characteristic. Etymologically, public and private affairs have the same root. Unlike Modern Europe, the concept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East Asia is neither divided in terms of sphere nor opposed to each other. The etymological meaning of 公(gong) indicated fair means of dividing private possessions. The first feature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Confucianism is value-oriented. Public and private affairs coexists in situations, bur they are quite distinctive In terms of value.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do not exist separately in Confucianism. Common lives mean 私(sa), and justice or properness in common lives means 公(gong). Therefore gong exists within sa; sa gains its meaning through gong. That means gong and sa are complementary. The second feature of publicness in Confucianism is differential. For instance, serving one’s parents with devotion is a proper action. In addition, governing his country carefully as a ruler is a proper action as well. The problem is which proper action should take precedence. The former is regarded as more important value than the latter in Confucianism. This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publicness in Confucianism. The third feature is about the origin of publicness. Confucianism, especially Mencius, seeks the origin of publicness in mind and heart. Nature has endowed people with seeds of publicness equally. We can embody publicness by introspection whenever we act in common lives. During the last 100 years(1910~2012), Korean society has been forced into a greater orientation to westernization or modernization while Confucian values have been ignored and distorted. However, the public value of Confucianism deserves to pondering these days when nee-liberalistic capitalism is on a razor’s edge.

      • KCI우수등재

        한국 정치학의 기원과 정체성 탐색

        배병삼(Byung-Sam Bae)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2

        이 글은 현재 한국정치학(또는 학과)이 위기에 처해있다는 판단 위에서 그 원인과 타개방안을 ‘역사주의적’ 맥락에서 탐색한 것이다. 즉 학문으로서의 ‘한국정치학’ 기원을 한국의 전통사회(전근대 학문세계)에서 추적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대표적인 정치학 분과목인 ‘정치사상학’의 기원을 다산 정약용(1762-1836)에게서, 또 ‘국제정치학’의 기원을 연암 박지원(1737-1805)에게서, 그리고 ‘비교정치학’의 기원을 혜강 최한기(1803-1879)에게서 그 ‘맹아’를 확인하였다. 다만 이런 기원 탐색은 자칫 한국정치학의 현재를 정당화하는 구실에 머물 수 있으므로 현재 한국정치학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그 정체성 탐색도 동시에 시도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에 전통 속에서 한국정치학이 확보해야 할 정체성으로서 ‘덕치’와 ‘경청’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특히 경청의 특성은 현채 서구 정치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와 호흡을 같이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한국 정치학의 보편성 획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origin and identity of Korean politic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 academic discipline of political science is examined by studying the origin and identity of POLITIK in traditional Korea (before 1910. AD). The study finds that political sciences of Korea derive their origins from Jung Yakyong (1762-1836), Park Jiwon (1737-1805) and Choi Hanki (1803-1879). This means that origin of Korean politics dates back to the 18th century. And the identity of Korean politics is characterized by the politics of listening and morality.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정치적 리더십론: 수기치인과 무위이치론을 중심으로

        배병삼(Bae Byung-Sam)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1 No.4

        본고는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기대가 고양되는 현재적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조선조의 정치적 리더십론을 고찰한 글이다. 이를 위해 성리학의 리더십론이 가진 현대 리더십론 속의 위상을 살펴보고 그것의 내용을 구성하는 수기치인론(修己治人論)과 무위이치론(無爲而治論)을 개관한다. 수기치인은 성리학적 리더십론의 구조(構造)이며 무위이치는 이 구조를 정당화하는 경학(經學)적 근거였다. 여기서 성리학적 정치사상의 이상주의적이고 동기주의적인 면모가 제시된다. 그러나 이 원론적 리더십론은 조선의 현실과 괴리되는 점이 많았다. 이러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고민한 대표적 사상가가 율곡 이이와 다산 정약용이었다. 율곡의 리더십론은 이상과 현실이 착종된 것으로서 현실을 껴안고 이상을 지향하려는 구도를 가진 것이었지만 결국 현실적으로는 이상과 현실, 그 어디에도 안착하지 못한 회색노선으로 끝나고 말았다. 그것은 주희의 ‘동기주의 대 공리주의’라는 엄격한 이분법을 넘어서지 못한 때문이다. 다산의 리더십론은 수기와 치인을 구분하고 그 독립성을 ‘상대적’으로 강조한다. 이로써 치인이라는 실천적 행위는 적어도 범주적으로는 자율적 영역이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수기치인론의 경학적 근거였던 무위이치론의 토대를 해체한다. 즉 오도(誤導)된 무위이치론은 한당(漢唐)대의 노장사상에 오염된 것이며, 원시유교적 ‘무위이치’란 정치적 실천[有爲]을 통해 이룬 성공을 찬탄하는 레토릭에 불과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이로써 군주의 독재권을 확보하고, 적극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경학적, 실천적 근거를 확보한 것이었다.

      • KCI우수등재

        신라 진흥왕의 국가발전 전략

        배병삼(Bae Byung-Sam)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0 No.4

        이 논문은 법훙의 불교공인정책을 세계화정책으로 전제하고, 이를 승계한 진흥왕의 국가발전 전략을 세계화와 주체화의 융섭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진흥왕의 특성이야 말로 신라로 하여금 삼국 가운데 가장 뒤늦은 불교 문명의 제도화(세계화)에도 불구하고 비약적인 국가발전을 이룩하게 된 정치사상적 계기가 되었으며 그것은 차후 삼국 통일을 이끈 중요한 동인(動因)이 되었다고 보았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화랑(花郞)제도에서 구체화되는데, 화랑은 원화의 실패원인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토대로 하여 도착 에너지의 제도화라는 주체화 전략과 불교 및 유교문명의 제도화라는 세계화 전략의 융섭(融攝)을 시도한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주체화와 세계화의 융섭을 의식적으로 시도하여 처음으로 성공시켰다는 점에서 진흥왕은 단순한 역사적 인물로서의 ‘위대한 정치가’일 뿐만 아니라, ‘위대한 정치사상가’로 자리매겨져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더욱이 진흥왕의 세계화ㆍ주체화 병진 전략은 오늘날 통일을 목전에 둔 우리의 처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큰 데, ‘한국 통일’을 바라보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진흥왕의 국가발전 전략을 거울로 삼아야 하리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