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 설계

        배기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빌게이츠는 그의 저서 ‘미래로 가는 길’에서 미래 정보사회는 모든 정보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화는 다양한 정보를 가공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정보가치를 실현하는 정보유저들에게 각 개인의 선호와 관심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소비가 아닌 정보를 생산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했다. 지식기반사회의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밑바탕이 되었기에 가능했다. 따라서 이런 핵심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할 인재로써 지식기반사회를 이끌어갈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가차원에서도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영재교육을 확대하여 대상자의 비율을 늘려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과학영재교육의 외적인 팽창과 더불어 이젠 내적인 측면에서 얼마나 유의미한 활동들이 전개되어지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수한 정보과학분야 인재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아무리 정보과학분야의 인재가 지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통해 정보를 개발하여도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정보과학영재교육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질 것이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재의 창의성과 더불어 이제는 정보과학영재의 리더십 신장에 대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정보과학영재교육에 있어 리더십 교육은 교육목표로서 포함되어 있으나 그동안 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별도의 리더십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을 설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과학영재교육의 목표 및 특성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통된 요소를 추출하고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선정하였다. 둘째, 리더십의 정의 및 특성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통된 요소를 추출하고 정보과학영재와 리더십과의 관계를 설정하여 교육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리더십 특성을 조사하였다. 셋째, 한국교육개발원(2005)에서 개발한 리더십 요소를 바탕으로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설계하였다. 넷째,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정보과학영재 교육 시 사용할 수 있는 리더십 활동지 및 읽기자료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본 논문에서 개발한 리더십 활동지와 읽기자료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델파이 분석을 시행하였다. 델파이 분석은 2차에 걸쳐 실시했으며 1차는 전체적인 교육내용 설계에 관해 2차는 개발한 활동지와 읽기자료의 세부내용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을 설계하였다. 이는 초등정보과학영재 교육에서 리더십의 필요성에 대해 전문가들 모두 공감하고 있지만 관련연구가 많이 부족했다는 측면에서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독립된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과 교육 프로그램에 창의성 교육과 더불어 리더십 교육 역시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초적인 활동지와 읽기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정보과학영재 교육과 리더십 교육 간의 학문적 연계성 및 관계 설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실제 초등정보과학영재에게 적용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본다. In his book The Road Ahead, Bill Gates predicted that all information would be converted from analog into digital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future. Digitalization probided opportunities to take active part in producing information through networks based on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interests instead of consuming it to information users, who process diverse information and implement their own unique information values. Those changes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are attributed to the consta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us more and more interest is taken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us more and more interest is taken in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who will lead the knowledge based society by developing these core tchnologies and conducting concerned researches. The government has increaded the number of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recognizing the need for such education. Today there rises a need to examine significant activitise inside special education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in addition to its external expansion. While everyone recognizes the need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special education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will lose its significance if they don't perform as leaders while developing information through their intellectual and creative thinking. Thus it's required to take intermes in and research how to improve leadership among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in addition to creativity. Leadership education is part of the goals of special education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 on leadershi curriculums and programs specially designed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by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eduactional contents for leadership of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as follows: First, common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an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analysis. Then basic data were selected helpful to choose educational contents for leadership of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Second,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previous studies to find common elements. By defintng relations between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and leaderhsip,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the leaderhsip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choosing educational contents. Third, educational contents for leadership of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were selected and designed based on the leaderhship elements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05). Fourth, leadership activity logs and reading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educational contents for their leadership. And fifth, Delphi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validity of the leadership activity logs and reading materials developed in the study in two sessions; the first one tested the overall desig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secong one di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activity logs and reading materials. The study designed educational contents for leadership of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There has been an apparent shortage of research on leadership of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while every expert shares a need for such education. Thus the study claims huge significance in that it developed an independent leadership program especially for information logs and reading materials to help leadership education settle down as one of the major areas in the educational programs along with creativity education. In future study, they need to examine academic connections and relations between education for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and leadership education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by applying itn to information and science talents in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배기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세계시민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정책학교의 사례를 분석하고 참여교사의 경험에 나타난 문제 인식을 통해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등장 및 철학적 배경은 무엇이고 세계시민교육의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참여경험에 나타난 문제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방법은 질적사례연구로 연구의 과정에서 문헌분석을 실시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에 기반하여 학교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을 ‘학생들에게 인류 공동의 문제를 지구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협력과 연대를 통해 해결하고, 인류가 보편적으로 지향하는 가치를 지키며, 이해·공감·포용을 통해 가치를 내면화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김으로써 학생 스스로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도록 돕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모든 학생의 삶을 어제보다는 오늘을, 오늘보다는 내일을, 보다 더 평온하고 평화롭게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또한, 세계시민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을 Davies(2006)가 제시한 네가지 관점 유형 중 ‘세계시민성+교육’의 관점을 수용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세계시민성은 Johnson(2013)의 세계시민교육에서 다루는 세계시민성 담론 중 도덕적 관점에서의 세계시민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어떤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고자 하는가’는 물음에 ‘세계시민교육 관점 = 통합(GCE) 관점’으로 교육해야함을 제시했다. 통합(GCE) 관점은 학생들이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세계시민성을 함양한 ‘창조인’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 스스로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이해하고, 글로벌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세계시민, 세계교육, 시민교육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모두 고려하는 관점이며, 이때 체계적이고 통합적이며 지속가능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이 관점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슬로건 중 특히 번영 영역에 중점을 둔다. 이는 궁극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국가주의, 이념주의, 지역주의, 인간중심주의를 뛰어넘는 관점으로,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모든 인류는 통합을 통해 공존·공생·공영하여 함께 번영해가는 지구공동체를 지향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틀을 가지고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의 교육과정을 보면, 국가수준(교육부)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은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으로 반영되어 있고, 범교과학습 주제로서 다문화교육의 내용 중 하나로 세계시민교육이 제시되어 있으나, 2022개정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에는 세계시민성, 세계시민역량, 세계시민교육 용어가 보이지 않는다. 지역수준(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은 인천교육과정에 세계시민 육성, 세계시민역량 함양, 동아시아시민역량 함양,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이자 동아시아 인재로 성장 등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다. 학교수준(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은 연구 문제 두 번째에서 다룬 인천광역시교육청 정책학교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둘째, 2020-2021학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정책학교 운영 사례를 다섯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계시민성은 지식 및 이해 요소가 많았으며, 기술 요소는 다른 지식 및 이해 요소, 가치 및 태도 요소에 비해 적게 반영되었다.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은 행동적 영역과 관련된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사회·정서적 영역은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동아시아시민교육 교육과정은 2021학년도에 23개 모든 정책학교에서 동아시아시민교육이 포함된 교육과정을 운영했으며, 대부분 상호관계 및 역사, 환경 및 문화교류 측면에서 실시하였다. 세계시민교육 실행방식은 2021학년도에 대부분 학교들이 학교 전반 교육과정에 편성하여 세계시민교육을 실시하였다. 세계시민교육 시 범교과학습 주제 사용은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다문화교육, 민주시민교육, 인권노동교육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았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참여경험에 나타난 문제 인식과 통합(GCE) 관점에서 교사들이 제시한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초등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나타난 문제 인식은 교육과정 계획단계, 교육과정 운영단계, 교육과정 평가단계의 대범주 3개와 중범주 12개, 소범주 29개로 분석했다. 교육과정 계획단계에서는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전문성 제고,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모호성, 세계시민교육과 동아시아시민교육의 차별화, 교육과정 운영단계에서는 세계시민교육 시수 확보, 세계시민교육 운영 방법, 세계시민교육 체계화, 교육과정 운영 지원,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공감대 및 인식 부족, 교육과정 평가단계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평가도구, 교육과정 평가결과의 환류, 교육과정 운영 성과 지속성에 관해 문제 인식을 갖고 있었다. 통합(GCE) 관점에서 살펴본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개선 방향은 ①체계성, 지속가능성, 방향성 측면에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 개념 및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지침서 제시가 필요하다. ②교육과정 재구성 또는 창의적체험활동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③현행 범교과학습 10개 주제는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④지역수준 교육과정에서 동아시아시민교육은 세계시민교육과의 차별성과 환경확대법에 따른 내용 체계의 문제로 학교현장에서 혼란이 많아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좋은 정책이긴 하지만 개선이 요구되며, 국제교류활동은 지역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하다. ⑤참여교사 모두는 세계시민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교육으로 우수사례 공유를 통해 일반교사에게까지 연수를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정책학교의 사례 및 참여교사의 경험에 나타난 문제 인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가수준(교육부 차원, 정책적·제도적·법률적 측면)에서는 기본교육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제시하여 사회적 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교육으로 다룸,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제시, 범교과학습 주제 재구조화, 범교과학습 주제 통합한 범교육과정 도입,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별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제시, 교원 양성과정과 교원 연수과정에 필수적으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반영, 예산의 효율적인 배정 및 집행, 교육공동체 공감대를 통한 교육정책 담보 위해 정책토론회 개최, 소통간담회 개최 등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수준(지역교육청 차원, 지원적·이론적·실천적 측면)에서는 동아시아시민교육 명칭 수정, 찾아가는 동아시아시민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유연한 동아시아시민교육 정책 시행, 학년군별 성취기준에 적합한 교육과정 제시, 동아시아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관계 연구 제시, 지역 특색 반영한 교수학습모델 개발, 우수수업 사례 공모, 교원 심화연수 프로그램 개발, 네트워크 협력체제 구축, 온·오프라인 인프라 구축, 초등학교 고른 예산 배정 및 혜택 부여, 다양한 선택과목 개발‧제시, 국제교류활동 지원, 지역사회 인적·물적 자원 지원, 동아시아시민교육 운영결과 평가 및 개선 등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수준(초등학교 차원, 운영적·실제적·교수법적 측면)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을 학교전반에 걸쳐 적용하는 전 학교적 접근 필요, 학교 자체 세계시민교육 내용체계 구성 및 선택과목 구성, 창의적체험활동(자율활동) 학년별 주제로 체계적 반영, 학교의 특성과 학년간 연계성을 가진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 학교교육과정 마련, 교사의 보다 더 넓은 의미의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 경주, 지나친 다문화체험활동 중심 교육 개선, 프로젝트학습 및 토의·토론학습, 과정과 성장중심 교수학습방법, 교육내용 인지적, 사회·정서적, 행동적 영역 통합 반영, 교육과정 자체 평가도구 통한 개선 등이 필요하다.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에 왜(Why), 무엇(What), 어떻게(How) 반영할 것인지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 교육기관의 공동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세계시민교육이 학교교육에서 지속가능한 교육이 되기 위한 시작점이자 마침점이다.

      • 아현뉴타운사업에서 나타나는 주민참여사례 연구 - 갈등유형별 참여조직의 역할 -

        배기택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뉴타운은 기성시가지를 대상으로 한 정비 사업이다. 사업추진과정에는 원거주민과 계획수립 전문가, 행정, 주민조직, 자문기관, 시공사 등 다양한 관련조직이 참여한다. 따라서 사업 참여조직 간 마찰 또는 조직 내 마찰 등 이해관계의 상충에 따라 마찰과 갈등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뉴타운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원인, 해법 모색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업 참여조직의 관계와 역할을 주민참여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정리함으로써 사업추진에서 나타나는 갈등해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타운사업 단계를 개발기본계획 수립과 전략사업 추진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중 주민참여를 통한 갈등해소 사례를 선정 분석함으로써 참여조직의 관계와 역할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첫째, 뉴타운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갈등과 해법의 사례 둘째, 뉴타운사업 참여조직의 관계와 역할에 대한 이해와 기존 주민참여 시스템의 보완 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뉴타운사업에서 발생하는 많은 갈등과 문제점들이 주민참여에 의한 참여조직의 자발적 해결이 가능해 질 수 있길 소망한다.

      •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

        배기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세계화의 확산으로 농촌의 경제적 수익구조가 악화되고 그에 따른 여러 파생문제들로 1차 산업의 근간이 되는 농촌이 붕괴상황에 직면하는 것은 이미 전 세계적인 흐름이다. 소위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에서는 붕괴상황의 농촌을 활성화 시키고자 다양한 정책들을 고민하고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급속한 근대화와 자유무역협정의 체결이 확대되면서 세계화가 급속히 진척되어 농촌 인구의 감소와 경제적 기반의 쇠퇴와 여러 파생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여타 선진국과 다른 점은 그 정도가 너무 급속하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잘 살아보자’는 열망으로 짧은 기간의 근대화와 산업화를 달성하게 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과거의 것은 모두 버려야 할 것’이라는 왜곡된 시각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그로인해 전통문화의 단절과 역사문화자원의 훼손으로 문화정체성의 혼란이 야기되어 세대 간, 지역 간 갈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다행스럽게도 ‘선 성장 후 분배’국토개발 정책으로 도시지역 개발이 우선시 되어 농촌지역의 전통문화와 역사문화자원은 상대적으로 온전히 보존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농촌마을을 이끌고 있는 60대 후반의 주민들의 수가 급속히 감소하게 되면 마을이 사라지고, 전통문화와 역사문화자원의 보존도 어렵게 된다. 본 연구는 세계화의 확산으로 우리 농촌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개선과 농촌 역사문화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여 농촌마을을 활성화하고, 농촌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지속관리 및 보전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에 산재한 역사문화자원과 마을만들기를 결합하여, 역사문화자원의 지속적인 관리보전 방안을 마련하고, 마을 자원의 다양화와 차별화된 특성 확보로 농촌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의 가능성에 대한 진단과 함께 과제발굴을 통한 개선방안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역사문화자원과 마을의 접점을 찾아 지속적 순환 사이클을 구축하는 것이 관건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에서는 본 연구의 중심 키워드인 농촌문제, 마을만들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각 키워드와 관련된 그간의 연구흐름, 문제와 원인들에 대해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농촌문제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현 농촌이 안고 있는 문제의 종류와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앞으로 농촌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근거를 살펴본다. 농촌 마을만들기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그간의 마을 지원사업과 마을만들기 측면에서의 문제점들을 통해 농촌 마을만들기의 보완 및 개선사항에 대한 근거를 살펴본다. 역사문화자원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정의 명확한 정의를 규정짓기 위해 선행 연구를 살펴본다. 더불어 문화재 관리체계와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역사문화자원의 관리보존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도출한다.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 진단은 활성화방안 제시의 근거로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가능성, 역사문화자원의 관리보전 가능성,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기반측면에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 사례 13개를 진단하고, 이를 통해 농촌마을 마을만들기에서 역사문화자원의 가능성과 활성화 과제를 도출한다. 수익창출에서의 사례진단은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상태에 대한 검토와 방문객수와 수익현황을 통해 진행하고, 주거환경개선은 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주거환경개선내용을 살펴본다. 역사문화자원의 관리보전에서는 정비내용과 마을의 정체성 유지 여부를 검토하고, 마을만들기에 대한 진단은 마을운영조직과 주민참여 현황, 홍보마케팅을 통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서는 활성화에 참여하는 주체를 크게 행정, 마을, 촉매조직으로 구분하고, 활성화를 위한 각 주체마다의 역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농촌과 역사문화자원, 마을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고 상호간의 시너지 효과로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가 활성화 되고, 그로인해 농촌 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역사문화자원이 지속적으로 관리보전 될 수 있는 여건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역사문화자원이 마을 자원을 다양화 하고, 마을 활성화에 실효성 있는 자원이라는 자각을 통해 박제화 되어 있는 역사문화자원의 적극적인 활용과 보존 그리고 이를 통한 농촌 마을의 지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