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멘토링에 참여한 멘토들의 지식공유개념에 대한 연구

        방현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3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wareness of knowledge and knowledge-sharing among mentor mentor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that can help the mentor 's activities.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ed knowledge as knowledge, feeling, experience, and emotion, not just learning. Knowledge should be something that an individual knows, including academic ones, knowledge should be given and exchanged rather than injected.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a consensus based 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share knowledge. They were showing their sincere efforts to build trust with wait and empathy. Especially, in mentor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acknowledging the cultural background of a member is the beginning of trust. In order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in multicultural mentor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way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and mutual culture of mentees as well as mentors. To this end, first, the understanding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of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one at the school level.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d plan to implement school-level educ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Student Mentoring Program'. Thir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ovide practical feedback on the mentoring activity report, in order for mentors to practice and reflect on sharing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society in their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들이 지니고 있는 지식 및 지식공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멘토의 활동 지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지식을 단순히 학습적인 것만은 아니며, 앎, 느낌, 경험, 감정이라고표현하였다. 지식은 학문적인 것을 포함에서 한 개인이 알고 있는 어떤 것으로, 지식은주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고받는 것이어야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지식공유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계형성과 소통으로 인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들은 기다림과 공감으로 신뢰를 쌓기 위해 진심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다문화학생을 위한 멘토링에서는 참여자의 문화적 배경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신뢰의시작이 된다. 다문화 멘토링에서의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해서는 멘토뿐만이 아니라 멘티의 문화다양성과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학교 차원에서 대학생 대상의 다문화사회 이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문화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내에서 학교 차원의 교육이 실천될 수 있는 구조적인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멘토들의 활동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지식공유의 실천과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멘토링 활동 보고에 대하여 실질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학생 멘토링에서 튜터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방현희,박미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2 No.1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 멘토링에서 매니저로서의 튜터의 역할에 대하여 정의하고, 멘토링 시스템에서 튜터의 역할과 기능이 멘토링 시스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인하대학교 다문화 멘토링 사업 관련자들의 경험을 통 하여 튜터의 역할과 기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학원생으로서 다문화 멘토링 사 업에 튜터로서 직접 참여하여 튜터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튜터와 멘토, 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고 일지와 상담내용을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 멘토링에서의 튜터의 역할을 매니저의 역할로 보았다. 튜 터 당사자, 멘토, 관리자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튜터 당사자가 인식하는 튜터는 멘토의 정서적 지원자, 세미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으나 관리자의 도우미 역할이었던 것 같다고 하였다. 둘째, 멘토들은 큰 도움을 기대에 반하여 오히려 이중적인 보고 등으로 불필요한 존재라는 인식도 있었 으나 정서적 지지와 업무 독려 등이 많은 도움이 되었더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셋 째, 관리자의 입장에서 경험한 튜터는 관리자의 보조 역할을 예상하였으나 멘토에 대한 지원과 소통으로 멘토의 효능감을 증대시킴으로 멘토링 시스템의 효과 증진에 도움이 되 었다고 하였다. 앞으로도 튜터를 활용한 멘토링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기를 바라며, 연구·개선되어 멘 토링의 효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게 되기를 원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s tutors, the manager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and experiences of the mentors in order to apprehend the influence of the tutor’s role and function in the mentoring system. The research uses qualitative methods by having in-depth talks with tutors, mentors and managers, and furthermore referring to daily records and counseling content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s a graduate student and was able to participate as a tutor in the mentoring program personally. This study regards the tutor as an interventional manager in the mentoring system. The role of the tutor is to perform given tasks and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 given goal efficiently, while being careful not to intervene directly. This has been proved to be at least the role of the tutors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The functions of tutors that the tutor him/herself, mentor and administrator acknowledge are as follows. First, the tutors thought that the ideal role of a tutor is to act as a mental supporter and semi-supervisor of the mentors, but in reality, they were merely helpers of the administrator. Mentors, on the one hand, were extremely disappointed in that the tutors played an equivocal role and regarded them as unnecessary, but on the other hand, evaluated that they had been a great helping hand in mental support and task encouragement. In the case of administrators, they actually expected only accessorial help from them, but said the tutors achieved more than expected in that they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s by suppor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m. Hopefully, mentoring programs exploiting tutors will be continuously enforced, examined and improved, so that the system can settle dow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business.

      • KCI등재

        학습자의 사실적 용법 「と」「たら」 사용실태 - 한국인 학습자의 I-JAS 스토리 과제를 중심으로 -

        방현희,백이연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학 Vol.58 No.-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actual contitional TO and TARA produced by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through corpus examples. The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depicting the same scene, the learners produced TO and TARA less than half of native speakers. Second, native speakers mainly used TO regardless of telling or writing task, whereas learners used TARA more frequently than TO. Third, in [X TO/TARA Y TEITA] pattern(discovery), native speakers mainly used -TEITA, whereas learners used more diverse expressions. In particular, there were overwhelmingly many examples of misuse of action verbs in the simple past tense or -TESHIMATA in the consequent. Fourth, it was suggested that the learners could hardly use the [X IRUTO/ITARA Y] pattern(emerge). Fifth, in the case of continuous usage, learners used TARA where TO should be used, or produced inappropriate sentences. Thus, the learners can not use factual conditional appropriately overall, and use unconventional forms. Appropriate teaching is needed.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적응을 위한 다문화학생 멘토링에서 “튜터”의 역량강화 방안 연구

        방현희,오영훈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3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 멘토링에서 멘토의 지원을 위해 만들어진 “튜터”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 멘토링 프로그램 내에서 튜터의 역량과 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천에 소재한 I대학교에서는 다문화학생 멘토링에 참여하면서 다문화교육전공의 석⋅박사과정에 있는 대학원생을 ‘튜터’로 활용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튜터들은 관리자와 멘토 사이에서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튜터는 관리자와의 관계에서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정보 전달과 전달 사항 확인 및 멘토의 활동 실적 수집과 멘토의 멘토링 활동 독려 등 관리자의 일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튜터는 멘토와의 관계에서 관리자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멘토의 멘토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멘토들이 멘티들과의 학습 및 정서적 지도 활동 시에 겪는 어려움, 또는 학교 교사와의 관계 등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렇지만 튜터들은 자신의 역할에 관한 인식부족, 자신의 역량에 대한 불안감, 사업의 진행에 대한 장기적⋅체계적인 정보 부재, 멘토와의 관계에서 오는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격고 있었다. 튜터들이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으로는 관리자로서의 리더쉽, 멘토로서의 역량, 갈등조정 능력, 그리고 자기효능감 및 책임감 등이 필요하다. 튜터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튜터의 역할에 대한 사전교육 실시, 멘토들에게 튜터의 역할 인식시키기, 튜터의 역할에 대한 매뉴얼 마련, 장기적⋅체계적인 멘토링 정보 제공, 주기적인 미팅을 통한 정보 교류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the tutor in “mentoring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s” who have a multicultural background or are North Korean refugees. Also, it aims to contrive a solution in the reinforcement of the tutor's ability within the mentoring program. Inha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utilizes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as tutors to perform the mentoring project aimed for students who have a multicultural background or ar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set up the following two questions as our research problems: 1) What is the rightful role and capacity of a tutor? and 2) How can the system be improved to reinforce the tutor's capa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ole of the tutor is to vitalized the mentor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 and mentor. The tutor should support the tasks of the manager by confirming and passing on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the system, keeping track of the mentor's operation performance, and encouraging the mentor's active participation. In short, tutors can provide help in the difficulties that occur to mentors in the process of studying with and giving mental guidance to the mentee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ees and their teachers at school. Therefore, the capacities needed for tutors to perform such roles are leadership as a manager, ability as a mentor, the ability to control conflicts, self-efficacy and responsibility. We discovered that tutors were going through diverse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perception of their roles as tutors, uncertainty of their capacities, absence of long-term systematic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mentoring project, and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with mentors. As a result, to strengthen the tutor's capabilities, the following actions are necessary: orientation on the tutor's role, recognition of the tutor's role to mentors, arrangement of a manual on the role of the tutor, provision of long-term systematic mentoring information,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hrough periodic meetings.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에 의해 나타난 다문화지식에 관한 연구

        방현희(Hyun-hee Bang),김영순(Young-soo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의 경험을 중심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지식을 지식의 개념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다문화지식이 사회의 보편적 윤리에 기초한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지식을 이해하는 것은 다문화사회의 시민들에게 중요한 일이다. 지식이란 단순한 학습을 넘어, 앎이며 경험이고, 느낌이나 감정이다. 또한 지식은 공유되는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따라서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경험에 의해 변화ㆍ발전된 지식은 다문화사회의 가치에 부합하는 지식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에 부합하는 지식을 대학생 다문화 멘토링 활동 경험에서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다문화학생 멘티와의 관계에서 문화다양성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공감과 소통에 의한 관계형성으로 멘토링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상호 인정, 타자의 존중과 배려 타문화와의 공존을 위해 노력하는 성숙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멘티의 사회적 소통을 돕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이 지닌 배경지식을 다문화지식으로 발전시키고 있었다. 다문화지식은 시민들의 자기비판과 사회적 성찰을 통하여 다문화사회의 관념 및 규범에 어울리는 시민성으로 발전, 확산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다문화지식을 지닌 다문화시민의 모습이다. 다문화시민은 타자와의 공존을 위해 문화다양성을 인식하고, 상호 문화 간의 소통과 공감으로 타자에 대한 이해와 존중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on multicultural knowledge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concep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entor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mentoring.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citizens, understanding multicultural knowledge is important because it is based on the universal morals of society. Knowledge is knowing, experience, feelings and emotions, and is more than just learning. And Knowledge changes are influenced by the shared environment. Therefore, knowledge is developed and changed by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it is a knowledge that meets the valu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of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experience of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ognize cultural diversity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student mentees, and con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mentoring activities through the formation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They also showed a mature attitude of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for others and efforts to coexist with other cultures. In addition, they tried to improve their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earchers were developing their background knowledge into multicultural knowledge, as a whole. Multicultural knowledge should be developed and spread to citizenship that conforms to the notions and norms of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itizen"s self-criticism and social reflection. Through this study, what we can see is a multicultural citizen who have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citizens should try that recognize cultural diversity for coexist with others, to understand and respect other people through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and empathy.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방현희 ( Hyun Hee Bang ),이미정 ( Mi Jung Lee ),레기영짱 ( Kieu Trang L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유학중인 대학원생들의 진로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진로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진로를 졸업 후 직업선택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을 인생 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으로 보고 있다. 연구의 분석틀은 Super, Ginzberg 등의 진로결정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방형 질문지를 준비하여 대학원 유학생들과 1:1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내용의 의미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인천의 A대학 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유학생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의 진로 방향은 크게 진학과 취업으로 대별되었다. 학위 취득 후의 거취에 관해서는 한국 체류와 본국 귀환, 제3국으로의 출국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하는 직업은 대학에서 한국어나 한국 관련 학과의 교수직 및 통역, 무역 관련 사업체에서 한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일을 원하고 있었다. 셋째,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부모의 직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직업이 자녀의 유학과 장래를 결정하는데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환경적인 영향 요인에는 문화적 배경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환경에 따라 결혼적령기,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정 등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진로가 결정된 상태에서 유학을 결심하였고, 유학이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성공적인 유학생활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강화되어, 이러한 인식이 유학생들로 하여금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decisions after the acquisition of the graduate degree.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school and the neighborhood on their career decision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research has been settled by a literature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decision theory. Career direction of the students were divided ``enroll in PhD`` and ``getting a job``. The preferences of residence after achieving the degree were staying in Korea, returning home, and departing to the third-world. The preference of job is as follows: professor of Korean department or professor of Korean-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terpretation, and a job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Korean in trade-related businesses. In determining the career, as a personal factor, the job of the parents have shown to be important in deciding the studying abroad and future career. Social·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marriageable age based on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

      • KCI등재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방현희(Bang, Hyunhee),이미정(Lee, Mi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할을 탐색하고, 그들의 역할 수행의 전문성 증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기초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방문교육지도사들의 역할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활동경험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은 업무의 특성상 다문화적 역량이 요구되므로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수용성 등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방문교육지도사는 교사로서의 역할과 함께 멘토(mentor)로서의 역할을 한다. 셋째,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에 대해서는 현실성 없고 실무활용도가 낮은 교육인 경우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육내용에 관해서 상담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보수교육에 대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은 다문화적 효능감을 기반으로 이행되어야 하므로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을 제안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증대 위하여 전문영역의 교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각적으로 확장된 사례연구를 통한 현장경험의 공유를 공식화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 풀(pool)의 마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investigating the role that recognized by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and confirming their recognition for education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expand professionalism. To approach the purpose, researcher pursued an investigation through the depth interviews to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based on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researcher grasp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role and education's experience of home educators through their activ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about the role of home seducators. First,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m has to be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lik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e and so on. I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Second, the home educators' role has to be played not only as a teacher but also as a mentor. Third, there were perceptions that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s is lack of practical use and reality in numerous case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s follows proposed for education of the home educators. The role and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 is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In this regard, the proposal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material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Therefore the pool of expert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has to be instituted for education of home visiting educators.

      • KCI등재

        韓国語動詞「빠지다(ppajida)」の意味 および対応する日本語動詞:イメージスキーマ変換を用いて

        백이연,방현희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3 일본연구 Vol.40 No.-

        This study is about the meaning of the Korean polysemous verb ppajida. We analyzed semantic structure of the word using the image schema of cognitive semantics, and matched Japanese equivalents to each meaning. First,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meaning of the Korean verb ppajida. by dividing it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according to the focus; usage A that focuses on moving away from the source location and expresses the object leaving its original position, usage B that focuses on the absence of the object, usage C that focuses on the departed object itself, usage D that focuses on how to leave, usage E that focuses on the path, and usage F that focuses on the goal. Second, we investigated the Japanese equivalents of ppajida. The usage A and the usage B are matched to the Japanese verb nukeru generally. And nukeru is used to mean passing through a route, as with ppajida usage E. Japanese verb ochiru, which focuses on the source location and the goal, also corresponded to many usage of ppajida. When the ‘goal’ is an undesirable situation, ochiiru is matched to ppajida. And hamaru and oboreru is matched to emphasize that it is difficult to get out of somewhere. In addition, the Japanese equivalents of ppajida include nagareru and ureru(usage A), otoru and kessekisuru(usage B), toreru and nokoru(usage C), and the expression such as suraritositeiru(slender, usage 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